헤시오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시오도스는 고대 그리스의 시인으로, 소아시아 출신으로 추정되며, 그의 작품을 통해 생애를 엿볼 수 있다. 그는 목동으로 젊은 시절을 보내며 헬리콘 산에서 무사(뮤즈)의 부름을 받아 시인이 되었고, 형제와의 갈등과 문학 활동을 했다. 헤시오도스는 호메로스와 동시대 인물로 여겨지며, 그의 작품으로는 《신통기》, 《일과 날》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고대 그리스 문학과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후대에도 지속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8세기 시인 - 호메로스
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실존 여부와 작품 저술 등에 대한 "호메로스 문제"는 논쟁 중이며, 생애와 출생지는 불확실하고, 그의 서사시는 구전 전승을 거쳐 기록되어 그리스 문학과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헤시오도스 - 신통기
《신통기》는 헤시오도스가 지은 서사시로, 우주의 기원과 신들의 탄생, 크로노스에서 제우스로 이어지는 3대 교체 신화와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다루며 후대 문학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헤시오도스 - 일과 날
일과 날은 헤시오도스가 쓴 시로, 제우스와 무사들에게 찬가를 바치고 인간 세상의 두 가지 에리스, 판도라와 인류의 다섯 시대 신화, 페르세스에 대한 권고 등을 담아 동생과의 재산 분쟁을 다루며 정당한 노동과 정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구전시인 - 호메로스
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실존 여부와 작품 저술 등에 대한 "호메로스 문제"는 논쟁 중이며, 생애와 출생지는 불확실하고, 그의 서사시는 구전 전승을 거쳐 기록되어 그리스 문학과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구전시인 - 타미리스
타미리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트라키아 출신의 전설적인 가수이자 키타라 연주자로, 뛰어난 음악적 재능으로 스키타이인들의 왕으로 추대받았으나, 무사들과의 노래 경쟁에서 패배하여 맹인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헤시오도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헤시오도스 |
원어 이름 | Ἡσίοδος |
원어 이름 언어 | 고대 그리스어 |
직업 | 시인 철학자 농부 |
활동 시기 | 기원전 700년경 |
출생지 | 아이올리스 퀴메 |
사망지 | 아스카라 |
주요 작품 | 일과 날 신통기 헤라클레스의 방패 |
![]() | |
로마자 표기 | Hēsiodos |
인물 관계 | |
형제 | 페르세스 |
2. 생애
헤시오도스의 생애에 관해서는 그 자신의 기록에서 단편적으로 유추할 수밖에 없다. 방랑 음유시인으로 활동했다는 것과, 나이가 들어서는 아주 조금 물려받은 농토를 갈아서 생계를 유지했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64]
헤시오도스는 헬리콘 산에서 양을 치고 있을 때 뮤즈들을 만났으며, 여신들이 그에게 시적 권위의 상징인 월계수 지팡이를 주었다고 묘사한다(''신통기'' 22–35).[10] 한번은 그리스 본토와 에우보이아 사이의 좁은 해협을 건너 칼키스의 암피다마스의 장례식에 참가하여 노래 경연에서 삼족대를 획득했다.[9]
헤시오도스는 "논쟁적이고, 의심 많고, 풍자적으로 유머러스하며, 검소하고, 속담을 좋아하고, 여성을 조심하는" 사람이었다.[22] 그는 세모니데스와 같은 수준의 "여성 혐오자"였다.[23] 선과 악의 문제, 그리고 "정의롭고 전능한 신이 어떻게 불의한 자들이 이 세상에서 번영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관심에서 솔론과 닮았다. 서사 문학의 이상화된 영웅을 거부하고 농부에 대한 이상화된 견해를 선호하는 점에서 아리스토파네스를 연상시킨다.[24] 그러나 그가 ''신통기''(80 ff., 430, 434)에서 왕들을 찬양하고 ''일과 날''에서 부패한 자로 규탄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그가 자신이 작곡한 대상 청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25]
2. 1. 출생과 가계
고대 그리스의 전설적 시인 오르페우스의 후손으로, 정확한 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소아시아 출신의 부유한 농가의 차남 또는 장남으로 추정되며, 그의 동생이 유산을 탕진하였다는 점 정도가 알려져 있다.[64]헤시오도스의 아버지는 소아시아 출신으로 해상무역을 하다 실패하여 그리스 중부 보이오티아 지방의 아스크라에 정착했다고 한다. 헤시오도스는 보이오티아 지방에서 태어났으며, 그곳에서 목동으로 젊은 시절을 보낸 것으로 보인다. 그의 대표작인 테오고니아의 첫 구절에 따르면, 헬리콘 언덕에서 목동으로 일하던 중 음악의 여신으로부터 부름을 받아 시인이 되었다고 한다.[64]
그의 '''일과 나날'''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아이올리스의 키메(키메(아이올리스))(아나톨리아 해안, 레스보스 섬 남쪽)에서 왔고, 바다를 건너 보이오티아의 테스피아이 근처 아스크라라는 작은 마을에 정착했다. 아스크라는 "겨울에는 혹독하고 여름에는 힘들며 결코 즐겁지 않은 저주받은 곳"('''일과 나날''' 640)이었다. 헤시오도스는 아스카에 있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재산(Mount Helicon 기슭의 작은 땅)을 두고 그의 형제 페르세스와 소송을 벌였다. 페르세스는 처음에는 부패한 당국자나 ‘왕’들 덕분에 그의 정당한 몫을 가로챘던 것 같지만, 나중에는 가난해져서 검소한 시인에게 구걸하게 되었다('''일과 나날''' 35, 396).[11]
헤시오도스의 아버지가 아나톨리아에서 그리스 본토로 서쪽으로 이주한 것은 당시 대부분의 식민 운동과 반대 방향이어서 특이해 보일 수 있으며, 헤시오도스 자신도 그 이유를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원전 750년경 또는 그 이후에, 그의 아나톨리아 키메 출신의 항해 상인들이 캄파니아의 쿠마이(에우보이아인들과 공유하는 식민지)로 이주했는데, 그의 서쪽으로의 이동은 에우보이아가 그가 결국 자신과 가족을 정착시킨 보이오티아에서 멀지 않기 때문에 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5]
아버지는 원래 레스보스섬(Λέσβος) 남동쪽, 소아시아(Μικρά Ασία)의 도시 키메(Κύμη)(Cyme (Aeolis))의 상인이었으나 파산하여 보이오티아(Βοιωτία)의 작은 마을 아스크라(Ἄσκρη)로 이주하여 개척 농민으로서 아버지와 동생과 함께 농사를 지었다. 아스크라의 동쪽에는 뮤즈(Μοῦσα) 숭배의 땅인 헤리콘 산(Ἑλικῶν)이 있었고, 헤시오도스는 종종 그곳을 방문했다. 『신통기(Θεογονία)』에 따르면, 헤시오도스가 양을 치고 있을 때 갑자기 뮤즈가 그에게 시인으로서의 재능을 부여했다고 한다.[58]
『일과 날(Ἔργα καὶ Ἡμέραι)』에 따르면, 동생 페르세스(Πέρσης)와의 상속 재산을 둘러싼 재판에 휘말렸다. 현지 영주는 페르세스로부터 뇌물을 받고 헤시오도스가 자신에게 충실하지 않다고 비난하여 상속 재산인 토지를 몰수하여 페르세스에게 주었다. 이 때문에 분노한 그는 여행을 떠나 시인으로서 생활하게 되었다고 한다.[58]
2. 2. 형제와의 갈등과 문학 활동
헤시오도스의 아버지와 동생 페르세스와의 갈등은 그의 삶과 문학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헤시오도스의 아버지는 소아시아의 키메(아이올리스) 출신으로, 해상 무역에 실패한 후 그리스 중부 보이오티아 지방의 아스크라에 정착했다.[64] 헤시오도스는 이 곳에서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작은 땅을 두고 형제 페르세스와 소송을 벌였다.[9]처음에 페르세스는 부패한 관리들의 도움으로 헤시오도스의 몫을 가로챘지만, 나중에는 가난해져 헤시오도스에게 의지하게 되었다.('''일과 나날''' 35, 396).[9] 일부 학자들은 페르세스를 헤시오도스가 '''일과 나날'''에서 제시하는 도덕적 가르침을 위한 허구적 인물로 보기도 하지만,[11] 다른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실제로 있었던 일이라고 주장한다.[12]
이러한 갈등 속에서 헤시오도스는 문학 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그는 헬리콘 산에서 양을 치던 중 뮤즈 여신들로부터 영감을 받아 시인이 되었다고 한다.('''신통기''' 22–35).[10] 이 이야기가 사실이든 아니든, 헤시오도스는 전문적인 음유 시인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는 수금 대신 월계수 지팡이를 받았다고 전해진다.[10]
헤시오도스는 칼키스에서 열린 암피다마스의 장례식 노래 경연에 참가하여 삼족대를 획득하기도 했다.[9] 그는 자신의 작품에서 아버지의 항해 경험, 동양 신화에 대한 지식 등을 활용했는데, 이는 그의 가족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15]
헤시오도스는 '''일과 나날'''에서 농부의 일상을 묘사하며, 검소하고 정의로운 삶을 강조한다. 그의 작품은 당시 사회의 부패와 불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으며, 이는 형제와의 갈등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2. 3. 호메로스와의 관계 및 사망
헤시오도스와 호메로스의 출생 연대를 둘러싸고 학계에서는 여러 가지로 추측을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호메로스를 연장자로 보고 있다.[64]헤시오도스에 대한 여러 전설들이 축적되었고, 여러 자료에 기록되어 있다.
-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경연에 대한 이야기;[26]
- 비잔틴 문법학자 존 츠테제스가 쓴 헤시오도스의 전기
- 수다 사전에 있는 헤시오도스에 대한 항목
- 파우사니아스의 두 구절과 산발적인 논평(IX, 31.3–6 및 38.3 f.)
- 플루타르코스의 '''모랄리아'''의 한 구절(162b)
헤시오도스의 무덤 위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서로 다른, 하지만 초기의 전승이 존재한다. 하나는 투키디데스만큼 초기의 기록으로, 플루타르코스, 수다, 요한 츠체스의 저술에 언급되어 있는데, 델포이 신탁이 헤시오도스에게 네메아에서 죽을 것이라고 경고했고, 그래서 그는 로크리스로 도망쳐 네메아의 제우스 신전에서 살해당하고 거기에 묻혔다는 내용이다. 이 전승은 익숙한 반어적 관습을 따른다. 신탁의 예언이 결국 정확하게 들어맞은 것이다. 다른 전승은 기원전 7세기(헤시오도스 사후 약 1세기 이내)에 오르코메누스의 케르시아스가 쓴 에피그램에서 처음 언급되었는데, 헤시오도스가 보이오티아의 도시 오르코메노스에 묻혔다고 주장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오르코메누스 헌법』에 따르면, 테스피아이인들이 아스카를 유린하자 마을 주민들은 오르코메누스로 피신했고, 신탁의 조언에 따라 헤시오도스의 유골을 모아 그들의 아고라에서 그들의 창시자인 미니아스의 묘 옆에 명예로운 자리에 안치했다. 결국 그들은 헤시오도스 또한 그들의 "토착 창건자" (οἰκιστής|oikistēsgrc)로 여기게 되었다. 후대의 저술가들은 이 두 가지 기록을 조화시키려고 시도했다. 찰스 아브라함 엘턴(Charles Abraham Elton)의 저서 『헤시오도스 아스카이아누스의 유작, 헤시오도스의 헤라클레스의 방패 포함』에 인용된 고전 자료에서 얻은 또 다른 기록은, 헤시오도스가 소녀의 형제들에게 강간 혐의로 누명을 쓰고, 나이가 많은 데도 불구하고 보복으로 살해당했으며, 진짜 범인(밀레토스 출신의 여행 동반자)은 도망쳤다는 내용을 묘사한다.[27]
철학자 고르기아스의 제자 알키다마스에게서 유래했다고 하는 단편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시가 경연』에 따르면, 칼키스에서 호메로스와 시를 겨루었다고 한다. 이때 헤시오도스는 전쟁과 무용을 찬양하는 『일리아스』[59]를 읊어 듣는 이의 가슴을 뜨겁게 하는 호메로스에 대하여, 목가적인 『일과 날』[60]을 읊었기 때문에 평화로운 시를 사랑하는 당시 왕의 판정으로 승리를 얻었다.
그의 최후에 대해서는 고대부터 이미 다른 이야기가 있으며, 투키디데스가 전하는 로크리스에서 죽었다는 설과, 위의 『시가 경연』이나 7세기의 자료가 전하는 오르코메노스에서 죽었다는 설이 있다.
3. 작품
고대 주석가들은 헤시오도스의 작품으로 『신통기』, 『일과 낮』, 『헤라클레스의 방패』를 꼽았다. 그 외 작품들은 단편만 남아있다. 전해지는 작품들과 단편들은 모두 서사시의 전통적인 운율인 다크틸 육보와 언어로 쓰여졌다. 하지만 『헤라클레스의 방패』는 현재 위작으로 간주되며 기원전 6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32]
많은 고대 비평가들은 『신통기』를 헤시오도스의 작품이 아니라고 보았다.[32] 『신통기』와 『일과 낮』은 주제는 다르지만, 독특한 언어, 운율, 운율을 공유하며, 이는 호메로스의 작품이나 『헤라클레스의 방패』와 구별된다.[32] 두 작품은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동일한 버전을 언급한다.[33] 그러나 이 작품들조차도 삽입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과 낮』의 처음 열 구절은 오르페우스교의 제우스 찬가에서 빌려온 것일 수 있다.[34]
일부 학자들은 헤시오도스에게서 원시 역사적 관점을 발견했지만, 폴 카틀리지는 헤시오도스가 망각하지 않는 것을 옹호한다는 근거로 이러한 견해를 반박했다.[35] 헤시오도스는 격언시의 아버지로 여겨지기도 한다.[36] 그는 "사물을 체계화하고 설명하는 데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16] 고대 그리스 시는 강한 철학적 경향을 가지고 있었고, 헤시오도스는 호메로스와 마찬가지로 신의 정의의 본질에서부터 인간 사회의 시작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철학적' 문제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여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첫 번째 원인에 대한 질문이 헤시오도스와 호메로스에게서 시작되었을 수도 있다고 믿었다.[37]
헤시오도스는 귀족 통치자들의 불의에 항의했지만,[38] 청중에 맞춰 변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양면성은 『일과 낮』에서 인간 역사를 제시하는 방식에서 나타난다. 그는 삶이 쉽고 좋았던 황금 시대를 묘사하고, 그 뒤를 이어 은, 청동, 철의 시대를 거치면서 행동과 행복이 꾸준히 쇠퇴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는 마지막 두 시대 사이에 영웅 시대를 삽입하여, 전쟁을 치르는 그 시대의 사람들을 청동기 시대의 선조들보다 더 낫다고 묘사한다. 그는 귀족의 영웅적 전통에 공감하지 않는 세계관에 부응하는 것 같다.[39]
오늘날 헤시오도스의 진정한 작품으로 인정받는 것은 『일과 낮』뿐이다. 『신통기』의 저자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으나, 헤시오도스의 양식과 매우 가깝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헤시오도스의 기타 작품 (단편)'''
- 헤라클레스의 방패
- 여인열전
- 대 에호이아이
- 케익스의 결혼
- 멜람포디아
- 이데아의 다크틸로이
- 페리토오스의 하강
- 키론의 교훈
- 대업
- 천문학
- 아이기미우스
- 가마
- 조류점
- 《헤시오도스의 사랑하는 바트라쿠스를 위한 만가》[46]
3. 1. 《신들의 계보》
《신들의 계보》(Θεογονία|테오고니아el)는 우주의 생성, 탄생, 신들의 기원에 대한 가장 오래되고 권위있는 기록이다. 신들의 계보를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 이야기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헌이다.[33]《신통기》는 일반적으로 헤시오도스의 가장 초기 작품으로 여겨진다.[40]
> 증오스러운 불화는 고통스러운 수고를 낳았네,
>
> 태만, 기근, 그리고 눈물겨운 고통을,
>
> 전투, 싸움들을…
《신통기》는 혼돈, 가이아, 타르타로스, 에로스로 시작하여 세계의 기원(우주론)과 신들의 기원(신통기)에 관한 내용이며, 계보에 특별한 관심을 보인다. 그리스 신화에 담겨 있는 다양한 이야기의 파편들은 한때 도시마다 풍부한 신화가 존재했음을 암시하지만, 헤시오도스가 옛 이야기를 재구성한 것은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모든 헬레네스를 연결하는 받아들여진 버전이 되었다. 판도라, 프로메테우스에 대한 가장 오래된 알려진 출처이다.
헤시오도스의 창조 신화는 오랫동안 히타이트의 쿠마르비의 노래와 바빌로니아의 에누마 엘리시와 같은 동쪽의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져 왔다. 이러한 문화적 교류는 북시리아의 알 미나와 같은 8세기와 9세기 그리스 무역 식민지에서 일어났을 수 있다.
《신통기》는 신들의 탄생과 전투를 그리며 제우스의 왕권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나타나는 왕권 교체 신화에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영향이 짙게 나타난다.[62]
3. 2. 《일과 날》
《일과 날》(Ἔργα καὶ Ἡμέραιgrc)은 약 828행의 노동시로 농부의 일상 생활을 포괄적으로 그리며 농부가 할 일에 대한 실천적인 지침을 제시하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이른바 '황금시대'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61] 헤시오도스는 자신의 경험에서 얻은 여러 가지 도덕적, 실천적 교훈을 이 교훈시에 담고 있으며 이후 헬레니즘, 로마 시대는 물론 서양 교훈문학의 효시가 되는 작품으로 평가 받는다.
''일과 나날''은 800행이 넘는 서사시로, 노동은 인간의 보편적인 숙명이지만, 기꺼이 일하는 자는 살아남을 것이라는 두 가지 일반적인 진리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학자들은 그리스 본토의 농업 위기에 대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작품을 해석해왔는데, 이 위기는 새로운 땅을 찾는 기록된 식민지 개척의 물결을 불러일으켰다.
이 작품은 다섯 가지의 인류의 시대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정직한 노동의 삶을 규정하고 게으름과 부정한 재판관들(예: 페르세스에게 유리하게 판결한 자들)을 비판하며 고리대금업 관행을 공격하는 조언과 지혜를 담고 있다. 정의와 불의를 감시하며 지상을 배회하는 불멸의 존재들을 묘사한다.[41] 신과 인간 모두 게으른 자들을 혐오하며, 그들은 벌집의 수벌과 같다고 여기는 점에서 노동을 모든 선의 근원으로 간주한다.[42] 폭력이 성실한 노동과 명예를 압도하는 공포 속에서, "황금 시대"를 묘사하는 구절들은 농업과 과일 재배를 통한 비폭력적인 식단의 사회적 특징과 관행을 충분히 살아가는 더 높은 삶의 길로 제시한다.[43]
『일과 날』은 근면한 노동을 칭찬하고, 나태와 부정한 재판을 비난하는 작품이다. 이 책에는 세계 최초의 농사력으로 여겨지는 부분 외에, 판도라와 다섯 시대의 설화, 항해술, 매일의 길흉 등에 대해 쓰여진 부분이 있다. 농사력에 대해서는, 이 책에 쓰인 정도의 내용은 당시 청중에게는 상식이었고, 지침서가 아니라 농업을 소재로 삼았다는 것 자체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기도 한다.[61]
3. 3. 기타 작품
- 《헤라클레스의 방패》(Ἀσπὶς Ἡρακλέους|아스피스 헤라클레우스grc) : 총 480행의 서사시이다. 헤라클레스의 이야기와 특히 그의 방패에 대한 서사이다. 현재는 위작으로 간주되며 기원전 6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32]
- 《여인열전》(γυναικών κατάλογος|귀나이콘 카탈로고스el) : 고대에는 전 5권의 방대한 내용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는 일부 단편만이 남아있다. 신들과 관계를 맺은 필멸의 여성들과 그들의 결합에서 태어난 자손들에 대한 신화적 목록이었다.
이외에도 헤시오도스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시들이 단편적으로 남아있다. 고대 저술가들은 헤시오도스에게 다음과 같은 6행시들을 귀속시켰다.
- 《대 에호이아이》(대 에호이아이): 《여인들의 목록》과 유사하지만, 아마 더 긴 시일 것이다.
- 《케익스의 결혼》(케익스의 결혼): 특정 케익스의 결혼식에 참석한 헤라클레스에 관한 시이며, 수수께끼로 유명하다.
- 《멜람포디아》(멜람포디아): 신화 속의 위대한 예언자들의 가족과 관련된 신화를 다루는 족보시.
- 《이데아의 다크틸로이》(이데아의 다크틸로이): 신화 속의 제련공인 이데아의 다크틸로이에 관한 작품.
- 《페리토오스의 하강》(페리토오스의 하강): 테세우스와 페리토오스의 저승 여행에 관한 이야기.
- 《키론의 교훈》(키론의 교훈): 젊은 아킬레우스에게 전해진 키론의 가르침을 제시하는 교훈적인 작품.
- 《대업》(대업) 혹은 《위대한 작품들》: 《일과 나날》과 유사하지만, 아마 더 긴 시일 것이다.
- 《천문학》(천문학): 칼리마쿠스 (《서간》 27)가 아라투스의 《파이노메나》와 비교했던 것으로 보이는 천문학 시.
- 《아이기미우스》(아이기미우스): 도리아인 아이기미우스에 관한 영웅 서사시(헤시오도스 또는 밀레토스의 케르콥스에게 귀속됨).
- 《가마》(가마) 혹은 《도공들》: 시인에게 보상하는 도공들을 아테나가 돕도록 요청하는 짧은 시. 호메로스에게도 귀속됨.
- 《조류점》(조류점): 《일과 나날》에 이어지는 새 점에 관한 작품.
이 작품들 외에도 《수다》는 그 밖에 알려지지 않은 "헤시오도스의 사랑하는 바트라쿠스를 위한 만가"를 열거한다.[46]
4. 헤시오도스의 영향과 유산
4. 1. 고대 그리스 문학과 사상에 끼친 영향
서정시인 알카이오스는 사포와 동시대이며 같은 지역 출신으로, 『일과 날』 582-88행을 서정적 운율과 레스보스 방언으로 바꾸어 썼다. 이 작품은 단편으로만 남아 있다.[47]서정시인 바키리데스는 기원전 470년 피티아 게임의 전차 경주에서 티라노스 히에론의 승리를 기념하는 승전가에서 헤시오도스를 인용하거나 각색하였다. 그는 "보이오티아의 한 남자, 뮤즈의 섬김이인 헤시오도스는 이렇게 말했다. '신들이 총애하는 자에게는 사람들의 좋은 평판도 따른다.'"라고 썼다. 그러나 이 말은 헤시오도스의 현존하는 작품에는 없다.[49]
헤시오도스의 『여성 목록』은 헬레니즘 시대에 목록시에 대한 유행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테오크리토스는 그의 목가 두 편(3.40–51과 20.34–41)에서 연애에 실패한 시골뜨기들이 낭송하는 여주인공들의 목록을 제시한다.[50]
3세기 후반 트리어의 아우구스타 트레베로룸에서 발견된 헤시오도스의 초상화가 있다. 이 모자이크는 중앙 부분에 제작자의 서명인 'MONNUS FECIT'('모누스가 만들었다')가 새겨져 있으며, 그림은 'ESIO-DVS'('헤시오도스')라는 이름으로 식별된다. 이것은 헤시오도스의 유일하게 진위가 확인된 초상화이다.[51]
기원전 1세기 후반 헤르쿨라네움에서 발견된 로마 청동 흉상인 소위 "가짜 세네카"는 이제 세네카의 흉상이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기젤라 리히터는 이것을 헤시오도스의 상상 초상화로 확인했다. 1813년에 상당히 다른 특징을 가진 세네카의 비문이 새겨진 헤르마 초상화가 발견되었을 때부터 이 흉상이 세네카의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인정되어 왔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현재 리히터의 확인 결과를 따른다.[52]
4. 2. 후대 평가
- 사포와 동시대인이자 같은 지역 출신인 서정시인 알카이오스는 『일과 날』 582-88행을 서정적 운율과 레스보스 방언으로 바꿔서 다시 썼다. 이러한 각색은 단편으로만 남아 있다.[47]
- 서정시인 바킬리데스는 기원전 470년 피티아 경기의 전차 경주에서 티라노스 히에론의 승리를 기념하는 승전가에서 헤시오도스를 인용하거나 각색하였다. 그는 "보이오티아의 한 남자, 뮤즈의 섬김이인 헤시오도스는 이렇게 말했다. '신들이 총애하는 자에게는 사람들의 좋은 평판도 따른다.'"라고 하였는데, 인용된 말은 헤시오도스의 현존하는 작품에는 없다.[49]
- 헤시오도스의 『여인들의 목록』은 헬레니즘 시대에 목록시에 대한 유행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테오크리토스는 그의 목가시 두 편(3.40–51과 20.34–41)에서 연애에 실패한 시골뜨기들이 낭송하는 여주인공들의 목록을 제시한다.[50]
- 3세기 후반 트리어의 아우구스타 트레베로룸에서 발견된 헤시오도스의 초상화가 있다. 이 모자이크는 중앙 부분에 제작자의 서명인 'MONNUS FECIT'('모누스가 만들었다')가 새겨져 있으며, 그림은 'ESIO-DVS'(헤시오도스)라는 이름으로 식별된다. 이것은 헤시오도스의 유일하게 진위가 확인된 초상화이다.[51]
4. 3. 현대적 의의
- 알카이오스는 사포와 동시대인이자 같은 지역 출신인 서정시인으로, 『일과 날』(Works and Days) 582-88행을 서정적 운율과 레스보스 방언으로 바꿔서 다시 썼다. 이러한 각색은 단편으로만 남아 있다.[47]
- 바키리데스는 서정시인으로, 기원전 470년 피티아 게임의 전차 경주에서 히에론의 승리를 기념하는 승전가에서 헤시오도스를 인용하거나 각색하였다. "보이오티아의 한 남자, 뮤즈의 섬김이인 헤시오도스는 이렇게 말했다. '신들이 총애하는 자에게는 사람들의 좋은 평판도 따른다.'"라는 구절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 말은 헤시오도스의 현존하는 작품에는 없다.[49]
- 헤시오도스의 『여성 목록』(Catalogue of Women)은 헬레니즘 시대에 목록시에 대한 유행을 만들었다. 테오크리토스는 그의 목가시 두 편(3.40–51과 20.34–41)에서 연애에 실패한 시골뜨기들이 낭송하는 여주인공들의 목록을 제시하였다.[50]
5. 한국의 관점에서의 헤시오도스
헤시오도스는 고대 그리스의 시인으로, 그의 작품은 서양 문학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하지만 한국의 관점에서 헤시오도스를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나 자료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헤시오도스가 한국의 역사나 문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시오도스의 작품에 나타난 신화, 농경, 노동 등의 주제는 한국의 전통적인 가치관과 비교해 볼 수 있는 지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과 날》에 나타난 근면과 성실의 강조는 한국 사회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지는 덕목이다.
헤시오도스의 작품은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영어 번역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저자 | 제목 | 출판 정보 | 비고 |
---|---|---|---|
조지 채프먼(George Chapman) | The Works of Hesiod영어 | 런던, 1618 | 프랜시스 베이컨 경(Sir Francis Bacon)에게 헌정 |
쿠크(Cooke) | Works and Days영어 | 런던, 1728 | 그리스어에서 번역 |
토마스 앨런 싱클레어(Thomas Alan Sinclair) | Hesiodou Erga kai hemerai영어 | 런던, 맥밀란 앤드 컴퍼니(Macmillan and co.), 1932 | |
마틴 리치필드 웨스트(Martin Litchfield West) | Hesiod Works & Days영어 |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Oxford University Press), 1978 | |
아포스톨로스 아타나사키스(Apostolos Athanassakis) | Theogony; Works and days; Shield / Hesiod영어 | 볼티모어: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부(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3 | |
R.M. 프레이저(R.M. Frazer) | The Poems of Hesiod영어 | 노먼: 오클라호마 대학교 출판부(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83 | |
데이비드 W. 탠디(David W. Tandy), 월터 C. 닐(Walter C. Neale) | Works and Days: a translation and commentary for the social sciences영어 |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 |
캐서린 M. 슐레겔(Catherine M. Schlegel), 헨리 와인필드(Henry Weinfield) | Theogony and Works and Days영어 | 앤아버, 미시간, 2006 | |
G.W. 모스트(G.W. Most) | Hesiod: Theogony, Works and Days, Testimonia영어 | 캠브리지, MA, 2006 | 로브 고전 문헌 시리즈(Loeb Classical Library) 57권 |
G.W. 모스트(G.W. Most) | Hesiod: The Shield, Catalogue, Other Fragments영어 | 캠브리지, MA, 2007 | 로브 고전 문헌 시리즈(Loeb Classical Library) 503권 |
이러한 번역본들은 헤시오도스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Hesiod: Theogony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3]
사전
Hesiod
http://dictionary.re[...]
[4]
서적
Hesiod: Theogony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5]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Greek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7]
서적
Greek Society
Pelican Books
1971
[8]
서적
Economic Thought Before Adam Smith: Austrian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Economic Thought, Economic Analysis Before Adam Smith: Hesiod to Lessius, The End of Economic Man: An Introduction to Humanistic Economics
Edward Elgar Publishing
1995, 1975, 2001
[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0]
서적
Hesiod: Theogony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11]
서적
Hesiod, The Homeric Hymns and Homerica
Harvard University Press
1964
[1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3]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4]
서적
Greek Mythology and Poetics
Cornell
1990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Greek Literature
[16]
서적
The Pelican History of Greece
Penguin
1966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Greek Literature
[18]
서적
Hesiod: Theogony
[19]
서적
Hesiod: Theogony
[20]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1]
서적
Hesiod: Theogony
[2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2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Greek Literature
[24]
서적
Greek Society
[25]
서적
Hesiod: Theogony
[26]
서적
Hesiod, The Homeric Hymns and Homerica
[27]
서적
The Remains of Hesiod the Ascræan, Including the Shield of Hercules by Hesiod
https://www.gutenber[...]
BALDWIN, CRADOCK, AND JOY
2021-09-29
[28]
논문
Homer and Hesiod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Pennsylvania ScholarlyCommons
1997
[29]
서적
Hesiod: Theogony
[30]
서적
Hesiod: Theogony
[31]
서적
Hesiod: Theogony
[3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Greek Literature
[33]
서적
Myth and Society in Ancient Greece
1980
[34]
서적
Studies of the Greek Poets
[35]
서적
Sparta and Lakonia – A regional history 1300 to 362 BC
[36]
서적
Studies of the Greek Poets
[37]
서적
Tragedy and the Early Greek Philosophical Tradition
[38]
서적
Greek Society
[39]
서적
The Pelican History of Greece
[40]
서적
Hesiod
Oxford
[41]
서적
Works and Days
[42]
서적
Works and Days
[43]
웹사이트
The Ethics of Diet – A Catena
http://www.ivu.org/h[...]
[44]
논문
[45]
논문
[46]
웹사이트
Suda
http://www.stoa.org/[...]
[47]
서적
Greek Lyric Poetry: a selection of early Greek lyric, elegiac and iamb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48]
서적
Pergamon und Hesiod
Philipp von Zabern
[49]
서적
Greek Lyric Poetry
Loeb
[50]
서적
Theocritus: A Sele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웹사이트
Portrait of Hesiod
https://www.worldhis[...]
2021-12-17
[52]
서적
The Portraits of the Greeks and The Four Philosophers by Rubens and the Pseudo-Seneca in Seventeenth-Century Painting and review of G. Richter, The Portraits of the Greeks
Phaidon and The Art Bulletin and The Burlington Magazine
[53]
서적
Greek Myth and Hesiod
[54]
서적
De Digammo Hesiodeo Quaestiones and Sitzungs-Bericht der Wiener Akademie and Hesiod: Theogony
Stockholm and Wiener Akademie
[55]
서적
Hesiod: Theogony
[56]
서적
De carminum hesiodeorum atque hymnorum quattuor magnorum vocabulis non homericis and Hesiod: Theogony
Königsberg
[57]
서적
Hesiod: Theogony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역사
[64]
서적
신들의 계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