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데이터 전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데이터 전송은 통신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디지털 전송 또는 디지털 통신이라고도 한다. 이는 전기 전신, 자동 전신기 등에서 시작되어 컴퓨터, 전화, 텔레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으며, 현재는 디지털 혁명을 통해 2G 이동 통신, 화상 회의, 디지털 TV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었다. 데이터 전송은 전자기 신호로 표현되며, 아날로그 전송과 디지털 전송으로 구분된다. 디지털 전송은 아날로그 전송에 비해 잡음에 강하고 오류 보정이 용이하며, 여러 채널이 통신 선로를 공유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디어 기술 - 정보기술
    정보기술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축적, 획득, 조작, 전달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분야이며, 다양한 산업에 응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프로젝트 관리의 어려움과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미디어 기술 - 신호 처리
    신호 처리는 정보를 담은 신호를 조작하고 분석하는 기술로, 통신,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필터, 변환 등의 기술 요소와 미분 방정식, 선형 대수학 등의 수학적 개념이 사용된다.
  • 데이터 전송 - 대역폭 제한
    대역폭 제한은 네트워크 혼잡 방지, 특정 사용자 과도한 사용 방지, 서비스 품질 관리 등을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기술이다.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데이터 링크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연결로,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통신으로 나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특히 항공 분야에서 항공 교통 관제 및 정보 교환, 무인 시스템 제어에 사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데이터 전송

2. 관련 분야

데이터 전송 분야의 강좌 및 교재[1]는 '디지털 전송'[2][3] 및 '디지털 통신'[4][5] 분야와 유사한 내용을 다룬다.

2. 1. 통신 및 전기 공학

디지털 전송 또는 데이터 전송은 전통적으로 통신 및 전기 공학 분야에 속한다.[1] 데이터 전송의 기본 원리는 컴퓨터 과학 또는 컴퓨터 공학에서 다루는 데이터 통신, 즉 라우팅, 스위칭 및 프로세스 간 통신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 프로토콜을 다루는 범위 내에서 다루어질 수도 있다.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은 전송을 포함하지만, TCP 및 기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은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다루어지며, 데이터 전송 관련 교재나 강좌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대부분의 교재에서 아날로그 전송은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여 디지털화 없이 아날로그 메시지 신호를 전송하는 것만을 의미하며, 이는 비변조 기저대역 신호 또는 AM이나 FM과 같은 아날로그 변조 방식을 사용한 통과대역 신호로 전송된다. 펄스 폭 변조와 같은 아날로그 대 아날로그 펄스 변조 기저대역 신호도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네트워킹 관련 일부 책에서는 아날로그 전송이 FSK, PSK, ASK와 같은 디지털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비트 스트림의 통과대역 전송을 의미하기도 한다.[1]

2. 2. 컴퓨터 과학 및 컴퓨터 공학

데이터 전송의 기본 원리는 컴퓨터 과학 또는 컴퓨터 공학에서 다루는 데이터 통신, 즉 라우팅, 스위칭 및 프로세스 간 통신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 프로토콜을 다루는 범위 내에서 다루어질 수 있다.[1]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은 전송을 포함하지만, TCP 및 기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은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다루어지며, 데이터 전송 관련 교재나 강좌에서는 다루지 않는다.[1]

2. 3. 정보 이론 및 부호 이론

데이터 전송의 이론적 측면은 정보 이론부호 이론에서 다루어진다.[1]

3.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전송 분야의 강좌와 교재에서는 일반적으로 OSI 모형 프로토콜 계층 및 주제를 다룬다.[6]



또한, 이 세 계층의 계층 간 설계를 다루는 것도 일반적이다.[6]

3. 1. 물리 계층 (Layer 1)


  • 채널 코딩
  • ** 디지털 변조 방식
  • ** 회선 부호화 방식
  • ** 순방향 오류 정정 (FEC) 코드
  • 비트 동기화
  • 다중화
  • 이퀄라이제이션
  • 채널 모델[6]

3. 2. 데이터 링크 계층 (Layer 2)

OSI 모형의 계층 2에 해당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룬다.

  • 채널 접속 방식, 매체 접근 제어(MAC)
  • 패킷 모드 통신 및 프레임 동기화
  • 오류 감지 및 자동 반복 요청(ARQ)
  • 흐름 제어[6]

3. 3. 표현 계층 (Layer 6)

표현 계층은 소스 코딩(디지털화 및 데이터 압축)을 포함하며, 정보 이론과 관련이 있다.[6] 암호화는 어떤 계층에서든 발생할 수 있지만, 표현 계층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6]

4. 종류

데이터 전송 방식에는 크게 직렬 전송과 병렬 전송 두 가지가 있다.

직렬 전송은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분해하여 하나의 전송 선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이 방식은 한 번에 한 비트만 전송하지만, 전송 속도가 빠르고 오류 발생 가능성이 낮아 장거리 전송에 적합하다.

병렬 전송은 여러 개의 전송 선을 사용하여 여러 비트를 동시에 전송한다. 이 방식은 직렬 전송보다 전송 속도가 빠르지만, 각 전송 선의 미세한 특성 차이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장거리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주로 컴퓨터 내부나 프린터 연결과 같이 단거리 전송에 사용된다.

4. 1. 직렬 전송

데이터를 비트 열로 만들어 하나의 선으로 보낸다. 한 번에 1비트만 보내지만 전송 속도는 빠르다.[1] 일반적으로 체크 디지트나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장거리 전송에 사용된다.[2]

데이터의 문자 또는 다른 개체를 나타내는 그룹의 신호 요소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1] 디지털 직렬 전송은 단일 와이어, 주파수 또는 광학 경로를 통해 비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1] 병렬 전송보다 적은 신호 처리와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여주기 때문에, 각 개별 경로의 전송 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1]

4. 2. 병렬 전송

복수 개의 선을 사용하여 여러 비트를 동시 병행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병렬 전송은 둘 이상의 별도 경로를 통해 관련 신호 요소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여러 개의 전기 와이어를 사용하여 여러 비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렬 전송보다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내부, 예를 들어 내부 버스에서 사용되며, 때로는 프린터와 같은 외부 장치에도 사용된다. 타이밍 왜곡은 이러한 시스템에서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는데, 병렬 데이터 전송의 와이어가 불가피하게 약간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일부 비트가 다른 비트보다 먼저 도착하여 메시지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악화되는 경향이 있어 장거리에서 병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5. 동기 및 비동기 데이터 전송

비동기식 직렬 통신은 전송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를 사용하며,[19] 데이터를 간헐적으로 보낼 때 쓰인다. 반면 동기식 전송은 클럭 신호를 사용하여 송수신 측의 전송 속도를 맞추고, 지속적인 데이터 스트림을 보낸다. 시작 및 정지 비트가 없어 데이터 전송 효율이 높다.

동기 데이터 전송은 클럭 신호로 동기화하여 데이터를 연속 전송하므로 전송률이 높지만, 클럭 동기가 깨지면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수신 불가능 기간 동안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클럭 재동기화, 체크 디지트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비동기 데이터 전송은 문자 앞뒤에 시작 및 정지 비트를 추가하여 수신 측이 전송 시작과 종료를 감지하도록 한다.

5. 1. 비동기 데이터 전송

비동기식 직렬 통신은 전송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기 위해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를 사용한다.[19] 이 전송 방식은 연속적인 스트림이 아닌 간헐적으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된다.

'''비동기 데이터 전송'''은 ASCII 등 문자를 나타내는 비트 열의 앞뒤에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를 더하여 10비트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0100 0001"을 전송할 때는 "'''1''' 0100 0001 '''0'''"이 된다. 이것들은 수신 측이 문자의 전송 시작과 종료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 방식은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전송될 때 사용되며,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는 반대 극성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수신 측은 다음 패킷이 전송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5. 2. 동기 데이터 전송

동기식 전송은 클럭 신호를 사용하여 전송의 수신 및 전송 끝에서 전송 속도를 동기화한다.[19] 클럭은 별도의 신호이거나 데이터에 내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두 노드 간에 지속적인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된다. 시작 및 정지 비트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동기 데이터 전송'''에서는 시작 비트나 정지 비트가 사용되지 않고,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클럭 신호를 사용하여 전송 속도를 동기화하고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시작 비트나 정지 비트가 없는 만큼 데이터 전송률이 높아지지만, 클럭 동기가 깨지면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수신 측은 프로토콜상 송수신할 수 없는 기간이 있으며, 그동안의 전송 데이터는 손실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클럭 재동기화 기구를 마련하고, 체크 디지트 등을 사용하여 바이트 단위로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

6. 통신 채널

다음은 통신 채널 유형이다.

7. 역사 및 응용

데이터 전송은 점대점 또는 점대다중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채널에는 구리선, 광섬유, 무선 통신 채널, 저장 매체, 컴퓨터 버스 등이 있다. 데이터는 전기 전압, 전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등 전자기 신호 형태로 표현된다.

아날로그 전송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반면, 디지털 통신은 개별 메시지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메시지는 라인 코드를 사용하여 일련의 펄스로 표현(기저대역 전송)하거나, 디지털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제한된 수의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파형으로 표현(대역 통과 전송)할 수 있다. 대역 통과 변조 및 복조(감지)는 모뎀 장비에서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에 따르면, 비트 스트림을 나타내는 기저대역 및 대역 통과 신호 모두 디지털 전송으로 간주된다.

전송되는 데이터는 컴퓨터나 키보드 같은 데이터 소스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메시지일 수도 있고, 펄스 부호 변조(PCM)나 더 발전된 소스 코딩(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데이터 압축) 방식을 사용하여 비트 스트림으로 디지털화된 전화 통화나 비디오 신호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일 수도 있다. 이러한 소스 코딩 및 디코딩은 코덱 장비에서 수행한다.

7. 1. 초기 발전

데이터는 정보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통신의 발달과 함께 비전자적인 방법(광학, 음향, 역학적)으로 전송되어 왔다. 전화 발명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한 전자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다. 현대 시대 최초의 전자기 데이터 전송은 전기 전신(1809)과 자동 전신기(1906)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들은 모두 디지털 신호를 사용했다. 20세기 초, 해리 나이퀴스트, 랄프 하틀리, 클로드 섀넌 등은 데이터 전송 및 정보 이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 연구를 수행했다.

1960년대 초, 폴 배런은 저렴한 전자 장치를 활용한 스위치로 음성 메시지를 디지털 통신하는 '분산형 적응형 메시지 블록 스위칭'을 고안했다.[7][8] 도널드 데이비스는 1965년부터 1967년까지 패킷 스위칭, 고속 라우터, 통신 프로토콜, 계층적 컴퓨터 네트워크, 종단 간 원칙 등 현대 데이터 통신의 핵심 개념을 발명하고 구현했다.[9][10][11][12] 배런의 연구는 사용자가 신뢰성을 제공한다는 개념을 포함했다.[13][14][15] 이들의 업적은 컴퓨터 네트워크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16][17]

데이터 전송은 컴퓨터 컴퓨터 버스에서 활용되며, RS-232(1969), FireWire(1995), USB(1996) 등 병렬 포트직렬 포트를 통해 주변 장치와 통신한다. 데이터 전송 원리는 1951년부터 오류 감지 및 수정을 위한 저장 매체에도 적용되었다. 1952년 로널드 휴 바커는 디지털 코드로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바커 코드를 발명했다.[18] 데이터 전송은 모뎀(1940), 근거리 통신망(LAN) 어댑터(1964), 리피터, 리피터 허브, 마이크로파 링크,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997) 등 컴퓨터 네트워킹 장비에도 사용된다.

전화 네트워크에서는 펄스 부호 변조(PCM)와 시분할 다중화(TDM)를 결합, 여러 통화를 동일한 구리선이나 광섬유 케이블로 전송하는 디지털 통신이 사용된다. 전화 교환기는 디지털 및 소프트웨어 제어 방식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부가 가치 서비스를 제공했다. 최초의 AXE 전화 교환기는 1976년에 출시되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통합 서비스 디지털망(ISDN) 서비스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디지털 통신이 제공되었다. 1990년대 말부터 ADSL, 케이블 모뎀, 건물 내 광 가입자망(FTTB), 가정 내 광 가입자망(FTTH) 같은 광대역 접속 기술이 보편화되었다. 현재는 IP 전화, IPTV 등 패킷 모드 통신으로 기존 통신 서비스를 대체하는 추세이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하면 신호 처리 능력이 향상되어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는 샘플링이 가능하며, 여러 디지털 신호를 다중화하는 것이 아날로그 신호보다 간편하다. 이러한 장점과 컴퓨터 데이터 전송 수요 증가, 광대역 통신 채널 및 반도체 전자 공학 발전으로 디지털 통신은 빠르게 성장했다.

디지털 혁명은 2세대(1991) 이후 이동 통신, 화상 회의, 디지털 TV(1998), 디지털 라디오(1999), 원격 측정 등 다양한 디지털 통신 응용 프로그램을 탄생시켰다.

7. 2. 현대 기술

디지털 방식은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송신 주파수 대역폭이 커도 신호를 압축하여 부호화하므로 대역폭을 줄일 수 있으며, 잡음에 강하고 오류 보정이 간편하며, 여러 채널이 통신 선로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디지털 통신은 아날로그 통신보다 전송 품질과 양이 뛰어나 널리 보급될 전망이다. 디지털 통신 매체에는 디지털 이동전화, 화상전화, 고화질 텔레비전(HDTV) 등이 있다.[7][8]

1960년대 초, 폴 배런은 저가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스위치를 이용해 음성 메시지를 디지털 통신하는 '분산형 적응형 메시지 블록 스위칭'을 발명했다. 도널드 데이비스는 1965년부터 1967년까지 패킷 스위칭, 고속 라우터, 통신 프로토콜, 계층적 컴퓨터 네트워크 및 종단 간 원칙을 포함하는 현대 데이터 통신 기술을 발명하고 구현했다.[9][10][11][12]

데이터 전송은 컴퓨터의 컴퓨터 버스에서 사용되며, RS-232(1969), FireWire(1995), USB(1996)와 같은 병렬 포트직렬 포트를 통해 주변 장치와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 1951년부터 오류 감지 및 수정을 위한 저장 매체에도 데이터 전송 원리가 사용되었다. 1952년 로널드 휴 바커가 발명하고 1953년에 발표한 바커 코드는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는 문제를 극복한 최초의 실용적인 방법이었다.[18] 모뎀(1940), 근거리 통신망(LAN) 어댑터(1964), 리피터, 리피터 허브, 마이크로파 링크,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997) 등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킹 장비에도 데이터 전송 기술이 사용된다.

전화 네트워크에서는 펄스 부호 변조(PCM)와 시분할 다중화(TDM)를 결합하여 동일한 구리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여러 통화를 전송하는 데 디지털 통신이 사용된다. 전화 교환기는 디지털 및 소프트웨어 제어 방식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부가 가치 서비스를 가능하게 했다. 예를 들어, 최초의 AXE 전화 교환기는 1976년에 발표되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통합 서비스 디지털망(ISDN) 서비스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디지털 통신이 제공되었다. 1990년대 말부터 ADSL, 케이블 모뎀, 건물 내 광 가입자망(FTTB), 가정 내 광 가입자망(FTTH)과 같은 광대역 접속 기술이 소규모 사무실과 가정에 널리 보급되었다. 현재는 IP 전화 및 IPTV와 같은 패킷 모드 통신으로 기존 통신 서비스를 대체하는 추세이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하면 더 큰 신호 처리 능력을 얻을 수 있다. 통신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통해 무작위 프로세스로 발생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대신 샘플링할 수 있으며, 여러 디지털 신호를 다중화하는 것은 아날로그 신호 다중화보다 훨씬 간단하다.

디지털 혁명은 2세대(1991) 및 이후의 이동 통신, 화상 회의, 디지털 TV(1998), 디지털 라디오(1999), 원격 측정 등 데이터 전송 원리가 적용되는 다양한 디지털 통신 응용 프로그램을 탄생시켰다.

7. 3. 통신 시스템의 발전

디지털 방식은 아날로그 방식보다 신호를 효율적으로 압축하고 부호화하여 대역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잡음에 강하고 오류 보정이 쉬우며, 여러 채널이 통신 선로를 공유하기 용이하다. 디지털 통신은 아날로그 통신에 비해 전송 품질과 양이 우수하여 널리 보급될 전망이다. 디지털 통신 매체에는 디지털 이동 전화, 화상 전화, 고화질 텔레비전(HDTV) 등이 있으며, 응용 범위는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7]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는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비전자적 수단(예: 광학, 음향, 역학적)을 통해 전송되어 왔다. 전화의 발명 이후, 아날로그 신호 데이터는 전자적으로 전송되기 시작했다. 현대 시대의 첫 번째 데이터 전자기 전송은 전기 전신(1809)과 자동 전신기(1906)였으며, 둘 다 디지털 신호를 사용했다. 20세기 초 해리 나이퀴스트, 랄프 하틀리, 클로드 섀넌 등은 데이터 전송 및 정보 이론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적 연구를 수행했다.

1960년대 초, 폴 배런은 저가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스위치를 이용해 음성 메시지의 디지털 통신을 위한 '분산형 적응형 메시지 블록 스위칭'을 발명했다.[8] 도널드 데이비스는 패킷 스위칭, 고속 라우터, 통신 프로토콜, 계층적 컴퓨터 네트워크, 종단 간 원칙 등을 포함한 현대 데이터 통신의 핵심 개념들을 1965-7년 동안 발명하고 구현했다.[9][10][11][12] 배런의 작업에는 소프트웨어 스위치 및 통신 프로토콜을 갖춘 라우터나 네트워크 자체가 아닌 사용자가 신뢰성을 제공한다는 개념이 포함되지 않았다.[13][14][15] 이들의 업적은 컴퓨터 네트워크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16][17]

데이터 전송은 컴퓨터의 컴퓨터 버스에서 사용되며, RS-232(1969), FireWire(1995), USB(1996) 등과 같은 직렬 포트병렬 포트를 통해 주변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 원리는 1951년부터 오류 감지 및 수정을 위한 저장 매체에도 사용되었다. 1952년 로널드 휴 바커는 디지털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바커 코드를 발명했다.[18] 데이터 전송은 모뎀(1940), 근거리 통신망(LAN) 어댑터(1964), 리피터, 리피터 허브, 마이크로파 링크,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997) 등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킹 장비에 사용된다.

전화 네트워크에서는 펄스 부호 변조(PCM)를 시분할 다중화(TDM)와 결합하여 동일한 구리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여러 통화[호출]를 전송하는 데 디지털 통신이 사용된다. 전화 교환기는 디지털 및 소프트웨어 제어 방식으로 발전하여 많은 부가 가치 서비스를 가능하게 했다. 예를 들어, 최초의 AXE 전화 교환기는 1976년에 발표되었다. 통합 서비스 디지털망(ISDN) 서비스는 1980년대 후반에 최종 사용자에게 디지털 통신을 제공했다. 1990년대 말부터 ADSL, 케이블 모뎀, 건물 내 광 가입자망(FTTB), 가정 내 광 가입자망(FTTH)과 같은 광대역 접속 기술이 소규모 사무실과 가정에 널리 보급되었다. 현재는 IP 전화 및 IPTV와 같은 패킷 모드 통신으로 기존 통신 서비스를 대체하는 추세이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하면 더 큰 신호 처리 능력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무작위 프로세스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지털 신호는 샘플링을 통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없이도 처리할 수 있다. 여러 디지털 신호의 다중화는 아날로그 신호보다 훨씬 간단하다. 이러한 이점, 컴퓨터 데이터 전송 수요 증가, 광대역 통신 채널 및 반도체 전자 공학의 발전으로 디지털 통신은 빠르게 성장했다.

디지털 혁명은 2세대(1991) 및 이후의 이동 통신, 화상 회의, 디지털 TV(1998), 디지털 라디오(1999), 원격 측정 등 데이터 전송 원리가 적용되는 다양한 디지털 통신 응용 프로그램을 탄생시켰다.

7. 4. 디지털 혁명과 응용

디지털 통신은 아날로그 통신보다 전송 품질과 양이 뛰어나 널리 보급될 전망이다. 디지털 통신은 잡음에 강하고 오류 보정이 쉬우며, 여러 채널이 통신 선로를 공유하기 쉽다. 또한, 신호를 압축하여 부호화하므로 대역폭을 줄일 수 있다.[7]

디지털 통신 기술은 이동 통신, 화상 회의, 디지털 TV, 디지털 라디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16][17]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하면 신호 처리가 용이해져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는 샘플링이 가능하고, 여러 신호를 다중화하기 쉽다. 이러한 장점과 컴퓨터 데이터 전송 수요 증가, 광대역 통신 채널 및 반도체 기술 발전으로 디지털 통신은 빠르게 성장했다.

8. 디지털 방식의 전송 (한국의 관점)

디지털 방식은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송신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도 신호를 특별한 방식으로 압축하여 부호화하므로 대역폭을 줄일 수 있다. 잡음에 강하고 오류 보정이 간편하며, 여러 채널이 통신 선로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 통신은 아날로그 통신보다 전송 품질과 양이 훨씬 뛰어나 앞으로 더욱 널리 보급될 전망이다. 디지털 통신 매체에는 디지털 이동전화, 화상전화, 고화질 텔레비전(HDTV) 등이 있으며, 활용 범위는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Digital Data Transmission Wiley 1983
[2] 서적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https://www.amazon.c[...] Kluwer International Publishers 2003
[3] 서적 Principles of Digital Transmission: With Wireless Applications http://search.barnes[...] Springer 2008
[4] 서적 Digital Communications https://www.amazon.c[...] John Wiley & Sons 1988
[5] 서적 Digital Communications http://www.mhhe.com/[...] McGraw-Hill 2000
[6] 논문 Cross-layer design proposals for wireless mobile networks: a survey and taxonomy https://ieeexplore.i[...]
[7] 학술지 The beginnings of packet switching: some underlying concepts http://web.cs.ucla.e[...] 2002
[8] 웹사이트 Paul Baran and the Origins of the Internet https://www.rand.org[...] 2020-02-15
[9] 서적 Turing's Legacy: A History of Computing at the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1945-1995 https://books.google[...] National Museum of Science and Industry 1997
[10]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Future https://archive.org/[...] Phoenix 2000
[11] 학술지 Data Communications at the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1965-1975) https://archive.org/[...] 1987
[12] 학회자료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for Computers Giving Rapid Response at remote Terminals https://people.mpi-s[...] 2020-09-15
[13] 학술지 Principles and lessons in packet communications https://ieeexplore.i[...] 1978
[14] 서적 Entrepreneurial Capitalism and Innovation: A History of Computer Communications 1968–1988
[15] 서적 The Dream Machine https://books.google[...] Stripe Press 2018
[16] 뉴스 The real story of how the Internet became so vulnerable http://www.washingto[...] 2020-02-18
[17] 보고서 A History of the ARPANET: The First Decade https://apps.dtic.mi[...] Bolt, Beranek & Newman Inc. 1981-04-01
[18] 서적 Group Synchronisation of Binary Digital Systems Butterworth 1953
[19] 뉴스 What is Asynchronous Transmission? - Definition from Techopedia https://www.techoped[...] Techopedia.com 2017-12-08
[20] 서적 Principles of Digital Data Transmission Wiley 198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1. 4. 15. 오후 2:59:27

블은 답을 알고 있다: 블루투스로 보는 전 세계 스마트 기기 출하량 – 바이라인네트워크

출처: 바이라인네트워크 ( 한국 / 한국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