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라디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지털 라디오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압축, 변조하여 전송하는 기술로, 오디오 품질 향상,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주파수 효율 증대 등의 장점을 가진다. 국제전기통신연합은 DAB, DRM, ISDB-T, HD 라디오 등 4가지 디지털 라디오 시스템을 인정했다. 디지털 라디오는 지상파 또는 위성 서비스를 제공하며, IBOC 기술을 통해 기존 아날로그 방송과 동시 송출도 가능하다. 그러나 표준화 부족, 높은 단말기 가격 등의 문제로 인해 국가별 도입 상황은 상이하며, 한국은 DMB, 일본은 ISDB-T, 미국은 HD Radio를 주로 사용한다. 디지털 라디오는 고음질과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지만, 수신 환경에 따라 음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인터넷 라디오의 성장 또한 보급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디지털 라디오 | |
---|---|
디지털 라디오 | |
![]() | |
개요 | |
유형 | 라디오 방송 |
기술 | 디지털 통신 |
매체 | 전파 |
주요 기술 | |
변조 방식 | COFDM DSSS |
표준 | DAB DAB+ DMB HD 라디오 ISDB-T T-DMB |
디지털 라디오 기술 | |
디지털 오디오 방송 (DAB) | 유럽 및 기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표준, DAB+ 포함 |
디지털 라디오 몬디알 (DRM) | 단파, 중파, 장파 대역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표준 |
HD 라디오 | 북미에서 사용되는 표준 |
통합 서비스 디지털 방송 (ISDB) | 일본 및 일부 남아메리카 국가에서 사용되는 표준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MB) | 한국 및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표준, 지상파 DMB (T-DMB) 포함 |
특징 | |
음질 | 기존 아날로그 라디오보다 향상된 음질 제공 |
주파수 효율 |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더 많은 채널 전송 가능 |
추가 서비스 | 문자 정보, 데이터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기능 제공 |
장점 | |
고음질 | CD 수준의 깨끗한 음질 제공 |
채널 다양성 | 더 많은 방송 채널 청취 가능 |
데이터 서비스 | 실시간 교통 정보, 날씨 정보 등 추가 정보 제공 |
간섭 감소 | 전파 간섭 및 노이즈 감소 |
단점 | |
수신기 필요 | 디지털 라디오 수신기 또는 호환 장치 필요 |
초기 투자 비용 | 방송국 및 소비자 모두 초기 투자 비용 발생 |
서비스 지역 제한 | 일부 지역에서는 디지털 라디오 서비스 이용 불가 |
디지털 라디오 기술의 활용 | |
디지털 라디오 방송국 | 라디오 방송국에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고음질의 방송 제공 |
수신기 | 자동차, 가정용 오디오 시스템, 휴대용 기기 등에 탑재 |
데이터 서비스 | 교통 정보, 날씨 정보 등 데이터 서비스 제공 |
2. 디지털 라디오 방송 기술
디지털 라디오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다.[1] 이 기술은 기존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더 많은 채널을 제공하고, 음질을 개선하며, 이동 중 수신 안정성(페이딩 감소)을 높이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또한 데이터 방송과 같은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송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디지털 오디오 라디오 서비스 표준은 지상파 라디오 또는 위성 라디오 형태로 서비스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아날로그 라디오(AM 및 FM)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IP 기반의 인터넷 라디오 역시 대중적인 청취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2. 1. 주요 기술 표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화되고, AAC+[1] 또는 MP2와 같은 오디오 코딩 형식을 사용하여 압축되며, 디지털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라디오 프로그램 수를 늘리고, 오디오 품질을 향상시키며, 이동 환경에서 페이딩 문제를 제거하고, 추가적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허용하며, 지역을 커버하는 데 필요한 전송 전력 또는 송신기 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아날로그 라디오(AM 및 FM)는 여전히 더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IP를 통한 라디오 청취도 인기를 얻고 있다.2012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주요 디지털 무선 라디오 시스템으로 다음 네 가지 표준을 인정했다.
-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유럽의 디지털 라디오 몬디알(DRM)
- 일본의 ISDB-T
- 미국과 아랍 세계에서 사용되며 HD 라디오로 알려진 IBOC 기술
다음은 주요 디지털 라디오 기술 표준에 대한 설명이다.
'''DAB'''(유레카 147)는 유럽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1980년대 후반에 정의되어 1995년부터 시작되었다. 주로 유럽 일부 국가와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사용되며, VHF 대역, UHF 대역, 위성을 사용한다. EU 국가들이 표준화한 유레카-147 방식으로, L 대역 위성파 또는 지상파를 이용해 방송된다. 상용 DAB 수신기는 1999년부터 판매되었으며, 2006년까지 약 1,000개의 DAB 방송국이 운영되었다.[2] 그러나 초기 표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개선된 '''DAB+''' 표준이 도입되었다. 주요 사용 국가는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스위스,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폴란드, 오스트레일리아 등이다. 노르웨이는 2017년 말 FM 방송을 폐지하고 DAB로 전환했으나, 이는 전국 방송사에 한정되었다.[14]
'''DRM'''은 주로 30MHz 미만의 단파 방송(SW), 중파 방송(MW), 장파 방송(LW) 등 진폭 변조(AM) 라디오에 사용되는 디지털 방송 표준이다. VHF 대역까지 지원하는 확장 표준인 '''DRM+'''도 개발되어 브라질, 독일, 인도 등 여러 국가에서 테스트가 진행되었다.[3][4] DRM+는 DAB+보다 저렴하여 지역 라디오 방송사에 유리한 선택지로 여겨지기도 한다. DRM은 음성 신호 외에 다양한 디지털 스트림 신호를 동시에 송출할 수 있으며, DRM+ 규격으로는 35-185kbit/초에서 최대 4개의 스트림 신호로 CD 수준의 음질이나 정지 영상, 동영상, HTML 콘텐츠 등을 송출할 수 있다.[18] DRM+는 기존 DRM 규격의 파생으로 174MHz까지의 주파수에 대응하며, AAC 코덱을 사용한다. 기존 수신기와의 호환성은 없지만, FM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하는 국가에서는 보급될 가능성이 있다.
'''ISDB'''(통합 서비스 디지털 방송)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VHF, UHF, 위성, 케이블 텔레비전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방송된다. 종류로는 위성 방송용 '''ISDB-S''', 지상파 디지털 음성 방송용 '''ISDB-TSB'''(아이디오(i-dio)에서 사용됨[15]), 휴대 단말기용 멀티미디어 방송용 '''ISDB-Tmm'''(NOTTV에서 사용됨[16]) 등이 있다.
'''IBOC'''(In-band on-channel)는 기존 아날로그 방송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디지털 방송을 함께 송출하는 방식이다. 미국의 아이비쿼티 디지털사가 개발한 HD 라디오가 대표적이며, 2002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기존 AM/FM 방송을 유지하면서 디지털 방송을 할 수 있고(Hybrid 전송), 방송국의 초기 투자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FM 방송에서는 대역 양쪽 일부를 줄여 채널을 늘리거나(Extended Hybrid 전송), 대역 전체를 디지털 방송에 사용할 수도 있다(All Digital 전송). FM 방송에서는 CD 수준의 음질 구현이 가능하다. 현재 미국 내 1,968개 이상의 방송국에서 HD Radio를 사용하고 있다.[17] 유사 규격으로 Digital Radio Express가 개발한 FMeXtra가 있으며, 이는 아날로그 방송과 동일 주파수 대역 내의 반송파를 사용하고 aacPlus(HE-AAC) 코덱을 사용한다. DRM+ 역시 IBOC 방식으로 FM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18]
'''DMB'''는 DAB를 기반으로 한국에서 개발하고 채택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디지털 방송 규격이다. 오디오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방송도 제공하며, 지상파와 위성파 방식이 있다.
아래는 그 외 디지털 라디오 관련 표준들이다.
분류 | 표준 | 주요 특징 및 사용 지역 |
---|---|---|
위성 라디오 | 월드스페이스 | 아시아, 아프리카 |
시리우스XM 라디오 | 북미 | |
모바호! | 일본, 대한민국 | |
멀티미디어 방송 | DTMB | 중국 등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TV 표준 (라디오 기능 포함 가능) |
디지털 TV 연계 | DVB-H | 유럽식 모바일 TV 표준 (라디오 기능 포함 가능) |
ISDB-T | 일본식 디지털 TV 표준 (라디오 기능 포함 가능) | |
데이터 방송 | RDS | 기존 FM 라디오를 통한 저대역폭 데이터 전송 |
라디오 호출기 | FLEX | 호출기 프로토콜 |
ReFLEX | 호출기 프로토콜 | |
POCSAG | 호출기 프로토콜 |
2. 2. 기술적 특징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화되고, AAC+[1] 또는 MP2와 같은 오디오 코딩 형식을 사용하여 압축된다. 이후 디지털 변조 방식을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은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라디오 프로그램 수를 늘리고, 오디오 품질을 향상시키며, 이동 환경에서의 페이딩 문제를 제거하고, 추가적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지역을 커버하는 데 필요한 전송 전력이나 송신기 수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여전히 아날로그 라디오(AM 및 FM)가 더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IP를 통한 라디오 청취도 인기를 얻고 있다.2012년 ITU는 4가지 주요 디지털 무선 라디오 시스템을 인정했다. 유럽의 DAB과 DRM, 일본의 ISDB-T, 그리고 미국과 아랍 세계에서 사용되며 HD 라디오로 알려진 IBOC 기술이 그것이다.
통신 공학 문헌에서는 디지털 라디오를 무선 디지털 전송 기술, 즉 아날로그 정보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변조 방식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전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및 무선 주파수 통신 표준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이 정의에는 디지털 TV 및 디지털 라디오 방송뿐만 아니라, 2G 휴대폰과 같은 양방향 디지털 라디오 표준, DECT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무선 컴퓨터 네트워크,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무선 링크, 심우주 통신망(예: 보이저 우주 탐사선과의 통신) 등이 포함된다.
디지털 오디오 라디오 서비스 표준은 지상파 라디오 또는 위성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TV 시스템과 같이 휴대용 모바일 장치용으로 설계되며, 고정된 지향성 안테나가 필요한 다른 디지털 TV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 일부 디지털 라디오 시스템은 아날로그 AM 또는 FM 전송과 공존하거나 동시 방송할 수 있는 IBOC 솔루션을 제공한다. 반면, 다른 시스템들은 지정된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하나의 광대역 무선 신호로 다양한 비트 전송률의 여러 라디오 채널과 데이터 서비스, 기타 미디어를 통계적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SFN를 지원하여, 지역 내 모든 지상파 송신기가 동일한 라디오 프로그램을 동일한 주파수 채널로 전송함으로써 자체 간섭 문제 없이 시스템 스펙트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은 많은 잠재적 이점을 제공하지만, 표준에 대한 세계적인 합의 부족과 여러 단점으로 인해 도입이 지연되었다. 디지털 라디오에 대한 유레카 147 표준(DAB)은 월드 DMB 포럼에서 조정한다. 이 기술 표준은 1980년대 후반에 정의되었으며, 현재 일부 유럽 국가에서 도입되었다. 상업용 DAB 수신기는 1999년부터 판매되었고, 2006년까지 약 5억 명이 DAB 방송 서비스 지역에 있었지만, 당시에는 영국과 덴마크에서만 판매가 활발했다. 2006년 기준으로 약 1,000개의 DAB 방송국이 운영 중이었다.[2] 유레카 147 표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새로운 'DAB+' 표준이 도입되었다.
DRM 표준은 수년간 30MHz 미만의 주파수(단파, 중파, 장파)에서 디지털 방송에 사용되었다. 현재는 VHF 대역용 확장 표준인 DRM+도 개발되었다.[3] DRM+ 테스트는 브라질, 독일, 프랑스, 인도, 스리랑카, 영국, 슬로바키아, 이탈리아(바티칸 포함), 스웨덴 등 여러 국가에서 수행되었다.[4]
DRM+는 DAB+보다 더 투명하고 저렴한 표준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지역 라디오나 상업 방송사에 더 나은 선택지로 간주되기도 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DAB+가 도입되었지만, 정부는 2011년에 HD 라디오보다 DRM 및 DRM+를 선호하여 지역 및 지방의 DAB+ 서비스를 보완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현재까지 정의된 주요 단방향 디지털 라디오 표준은 다음과 같다.
분류 | 표준 | 비고 |
---|---|---|
주요 표준 | 유레카 147 (DAB) | |
DAB+ | ||
ISDB-TSB | ||
인터넷 라디오 | 기술적으로는 방송 시스템이 아님 | |
T-DMB V-Radio | ||
FM 대역 IBOC | HD 라디오 | FM 및 AM 대역 측대역에서 OFDM 변조 사용 |
FMeXtra | FM 대역 부반송파 | |
디지털 라디오 몬디알 확장 (DRM+) | AM 대역 측대역에서 OFDM 변조 사용 | |
컨버전트 디지털 라디오 (CDR) | FM 대역 측대역에서 OFDM 변조 사용 | |
AM 대역 IBOC | HD 라디오 | AM IBOC 측대역 |
디지털 라디오 몬디알 (DRM) | 단파, 중파 및 장파 대역용 | |
위성 라디오 | 월드스페이스 | 아시아 및 아프리카 |
시리우스XM 라디오 | 북미 | |
모바호! | 일본과 대한민국 | |
디지털 TV 겸용 | DMB | |
DVB-H | ||
ISDB-T | ||
DTMB | ||
FM 데이터 방송 | RDS | 기존 FM 라디오를 통한 저대역폭 디지털 데이터 방송 |
라디오 호출기 | FLEX | |
ReFLEX | ||
POCSAG | ||
NTT |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은 유레카 147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전 세계 약 20개국에서 채택된 디지털 라디오 표준이다. 초기에는 MPEG-1 오디오 계층 II 오디오 코딩 형식을 사용했으며, WorldDMB의 조정을 받았다. 2006년 11월, WorldDMB는 DAB가 HE-AACv2 오디오 코딩 형식(eAAC+)과 MPEG 서라운드, 그리고 더 강력한 오류 정정 부호화 방식인 리드-솔로몬 오류 수정 코딩을 채택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 이 개선된 표준은 DAB+로 명명되었으며, 이를 지원하는 수신기는 2007년부터 출시되기 시작했다.
3. 국가별 현황
DAB와 DAB+는 비디오 코덱을 포함하지 않아 모바일 TV 방송에는 직접 사용될 수 없다. 하지만 DAB 관련 표준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과 DAB-IP는 각각 MPEG 4 AVC와 WMV9 비디오 코딩 형식을 포함하여 모바일 라디오와 TV 서비스 모두에 적합하다. DMB는 처음부터 DAB 부채널을 통해 전송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존 DAB 전송에 DMB 비디오 부채널을 추가하는 것이 용이하다. 대한민국은 T-DMB 방식을 채택하여 비디오 서비스와 함께 기존 DAB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은 ISDB-Tsb와 위성 방송 방식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관련 방송이 종료되었다. 미국은 독자적인 HD Radio 기술을 채택했다.
호주는 여러 대체 시스템을 시험한 후 2009년 5월 4일 DAB+ 표준을 사용하는 정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시작했다.[6] 현재 서비스는 5개 주의 주도인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멜버른, 퍼스, 시드니에서 운영 중이며, 캔버라와 다윈에서는 시험 방송이 진행 중이다.[7]
캐나다는 2012년 12월부터 실험적인 HD Radio 방송과 디지털 오디오 서브채널 운영을 사례별로 허용하기 시작했다. 초기 방송국으로는 온타리오주의 리틀커런트에 있는 CFRM-FM, 해밀턴의 CING-FM, 토론토의 CJSA-FM 등이 있다.[8][9]
홍콩은 기존 DAB 방식을 DVB-T2 Lite 방식으로 대체했다.
유럽에서는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북부 등 여러 국가에서 DAB/DAB+ 방송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위 유럽의 중추 지역에서 상당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시장성을 보여주고 있다. 독일과 영국은 자체적인 DAB/DAB+ 네트워크를 활발히 운영 중이며, 노르웨이는 세계 최초로 FM 방송을 중단하고 DAB+로 전면 전환했다. 반면 프랑스, 스페인, 스웨덴, 폴란드 등은 일부 대도시에서만 DAB+를 사용하고 있다. 포르투갈과 핀란드는 DAB 도입을 중단했으며, 핀란드는 유럽 연합에 자동차 제조사가 FM 수신 기능을 의무적으로 탑재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도 디지털 라디오 도입 시도가 있었다. 위성 통신 회사 월드스페이스(WorldSpace)는 "아프리카스타(AfriStar)", "아시아스타(AsiaStar)" 위성을 통해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에 디지털 오디오 정보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현재는 서비스가 중단된 상태이다. 또한 기존의 지상파 AM 라디오 및 단파 방송 대역을 디지털화하기 위한 디지털 라디오 몬디알레(Digital Radio Mondiale, DRM) 표준이 개발되어 70개 이상의 방송사가 시험 송출을 하고 있다. DRM은 음악에는 MPEG-4 기반의 aacPlus 코덱을, 음성에는 CELP 또는 HVXC 코덱을 사용한다. [http://www.drm.org/index.php?p=products 상업용 DRM 수신기]도 출시되었다. 그러나 DRM 수신기의 가격이 높아 많은 개발도상국 주민들이 구매하기 어렵고, 보급률도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 때문에 많은 기존 단파 방송사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인터넷 스트리밍, 위성방송(TV 셋톱박스 이용) 또는 지역 아날로그 FM 중계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일부 방송사(아일랜드 RTE의 252kHz 방송 등)는 시험 방송 후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지 않고 중단하기도 했다.
저렴한 DAB 라디오 수신기는 다양한 일본 제조업체에서 출시되고 있다. 월드스페이스는 톰슨 방송(Thomson Broadcast)과 협력하여 농촌 지역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텔레키오스크 도입을 시도하기도 했다.
3. 1. 대한민국
2005년 12월 1일 대한민국은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을 포함하는 지상파DMB(T-DMB) 서비스를 시작했다. 지상파 DMB는 유럽 ETSI가 발표한 사양을 따르는 DAB의 파생 기술이다. 서비스 시작 초기인 2005년 한 달 만에 11만 대 이상의 수신기가 판매되었다.
과거에는 위성 DMB 서비스도 있었으나 2012년에 종료되었다. 스카이라이프를 통해 Satio, Digital Radio KISS 등의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기도 했다.
2023년 3월 26일에는 윤석열 정부가 DMB 라디오 HD 방송을 추진하기도 했다.
3. 2. 일본
일본은 지상파 소리 방송을 위해 ISDB 방식 중 하나인 ISDB-TSB와 MobaHO!의 2.6 GHz 위성 사운드 디지털 방송을 도입했으나, 현재는 모든 관련 방송이 종료되었다.3. 3. 미국
미국은 아이비퀴티(iBiquity) 디지털 코퍼레이션이 개발하고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독점적인 인밴드 온 채널 (IBOC) 기술인 HD Radio를 디지털 라디오 표준으로 채택했다. "HD Radio"는 아이비퀴티의 상표명이며, 흔히 오해되는 것처럼 고화질(High Definition)이나 하이브리드 디지털(Hybrid Digital)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송신에는 유럽의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DVB-T)에도 사용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술이 이용된다. HD Radio 기술 도입의 주된 이유 중 하나는 기존 방송국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새로운 프로그래밍 서비스를 기존 사업자가 통제하도록 하면서 제한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의도라는 시각이 있다.
미국의 FM HD Radio는 초당 96~128 킬로비트(kbit/s)의 오디오 전송률을 제공하며, 보조 "서브캐리어"를 통해 최대 64kbit/s의 추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AM HD Radio는 약 48kbit/s의 데이터 속도를 가지며, 보조 서비스는 더 낮은 속도로 제공된다. FM과 AM 방식 모두 제한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손실 압축 기술을 사용한다.
HD Radio는 기존 아날로그 주파수 변조(FM) 신호 바로 옆 채널 양쪽에 디지털 신호를 추가로 전송하여 "서브채널"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국의 아날로그 반송파 주파수가 93.3 MHz라면, 디지털 신호는 FM 방송 대역 내에서 93.1~93.2 MHz와 93.4~93.5 MHz를 차지하게 된다. 이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는 여러 개의 오디오 스트림(서브채널)을 담을 수 있으며, 이는 라디오 수신기에서 "93.3-2", "93.3-3" 등으로 표시된다. 하나의 방송국에 더 많은 서브채널을 추가하면, 고정된 총 대역폭을 각 스트림에 재할당하게 되어 채널당 대역폭이 줄어들고 음질이 낮아질 수 있다.
FCC 규정에 따라 HD Radio 신호의 전력은 현재 해당 방송국 아날로그 신호 전력의 10%로 제한된다. 이 낮은 전력 수준에도 불구하고, 아날로그 신호 바로 옆에 위치한 디지털 신호는 인접 채널 간섭을 일으켜 구형 라디오에서 잡음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14]
HD Radio로의 전환에 대한 연방 차원의 의무 규정은 없다. 하지만 2020년 10월 27일, FCC는 방송사들의 자발적인 전 디지털(all-digital) AM 라디오 운영을 전국적으로 승인했다.[13] 현재 미국 내 AM/FM 라디오 방송국의 약 90%가 HD Radio 방식으로 디지털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일부 방송국은 FMeXtra나 CAM-D 같은 다른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HD Radio 기술은 BMW, 포드, 현대, 재규어, 링컨, 메르세데스, 미니, 볼보 등 여러 자동차 제조사에서 공장 설치 옵션으로 제공하며 자동차 시장에도 진출했다.[12]
한편, 미국에서는 지상파 디지털 라디오와 별개로 디지털 위성 라디오 서비스가 발전했다. 주요 사업자로는 시리우스 위성 라디오와 XM 위성 라디오가 있었으며, 이들은 2000년대 초반 각각 위성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시리우스는 2000년 스페이스 시스템/로럴이 제작한 3개의 위성을 프로톤 로켓으로 발사했고, XM은 보잉 702 위성 3기(2001년 2기, 2005년 1기)를 씨런치(Sea Launch)를 통해 궤도에 올렸다. 두 회사 모두 위성 신호 수신이 어려운 도심 지역 등에 지상 중계기를 설치하여 서비스를 보완했다.
위성 라디오는 FCC의 검열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롭고, 광고가 적거나 없으며, 미국 전역 어디서나 동일한 채널을 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특히 하워드 스턴과 같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콘텐츠 진행자가 지상파에서 위성 라디오로 옮겨가는 등 검열 없는 콘텐츠와 광고 없는 음악 채널을 중심으로 성장했다. 다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월간 또는 연간 구독료를 지불해야 한다.
2007년 2월 19일, 시리우스와 XM은 합병하여 시리우스XM 라디오가 되었다. FCC는 위성 라디오 서비스를 위해 약 2.3GHz의 S 대역 주파수를 경매를 통해 할당했다.
1999년에는 루슨트 디지털 라디오, USA 디지털 라디오(USADR), 디지털 라디오 익스프레스 등 여러 업체가 다양한 디지털 라디오 방식에 대한 테스트를 시작하여 그해 12월 국립 라디오 시스템 위원회 (NRSC)에 결과를 보고할 예정이었으나[11], 이 테스트의 구체적인 결과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구분 | 특징 |
---|---|
HD Radio (지상파) | IBOC 방식, 아이비퀴티(iBiquity) 개발, 무료 청취, 지역 방송, 아날로그 동시 방송, 서브채널 제공, 음질 저하 및 간섭 가능성, 청취 거리 제한 |
시리우스XM 라디오 (위성) | 유료 구독, 전국 방송, 다양한 채널, 광고 적거나 없음, FCC 검열 영향 적음, 하워드 스턴 등 독점 콘텐츠 |
3. 4. 유럽
독일에서는 2020년 기준으로 DAB+ 신호가 전국 90% 이상을 커버하고 있다. 전국 단위 멀티플렉스에는 독일방송의 공영 방송 3개 채널과 상업 방송 12개 채널이 포함되며, 대부분 지역에서는 지역 공영 및 상업 방송 채널을 담은 추가 멀티플렉스도 이용할 수 있다.독일 최초의 DAB 방송 네트워크는 1995년 10월 17일 바이에른주에서 시작되어 1999년에 완전한 커버리지를 달성했다. 그러나 다른 주에서는 자금 지원 중단 등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MDR은 1998년에 방송을 중단했고, 브란덴부르크주는 2004년에 실패를 선언했다.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지역은 DVB-T 표준의 성공에 힘입어 오디오 전용 DVB-T 방식으로 전환을 시도하기도 했다. 2005년에는 대부분의 라디오 방송국이 DAB 네트워크를 떠났고, 2009년에는 방송사의 재정 수요 조사 위원회(KEF(방송사의 재정 수요 조사 위원회))가 경제적 타당성이 입증될 때까지 DAB 방송 자금 지원 중단을 권고했다.
이후 디지털 라디오 배치는 2011년에 재개되었다. 공영 및 민영 라디오 방송사의 합동 위원회는 2010년 12월 새로운 국가 표준으로 "DAB+"를 채택했다. 새로운 방송 네트워크는 2011년 8월 1일, 각각 10kW 출력의 27개 방송국으로 시작하여 전국 70% 커버리지를 목표로 했으며, 채널 5C에서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인 "Bundesmux"(연방 멀티플렉스)가 운영되었다 (독일 디지털 라디오 수신 정보). DAB+의 초기 시장 성공에 힘입어 2012년 11월에는 네트워크 확장이 결정되었다.
노르웨이는 2017년 세계 최초로 아날로그 FM 라디오 방송을 중단하고 전국적으로 DAB+ 방송으로 완전히 전환했다. 다만, 지역 방송국은 여전히 FM으로 방송할 수 있다.
영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라디오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영국방송협회(BBC)가 1990년 시험 방송을 시작하여 1995년 9월 런던에서 본방송을 개시했다. 1999년 11월에는 민영 방송 계열의 전국 디지털 배포 서비스인 "Digital One"이 클래식 FM, 버진 라디오 등을 포함한 8개 방송으로 본방송을 시작했다. 현재 영국은 약 500개의 송신기, 2개의 전국 DAB 앙상블, 48개의 지역 DAB 앙상블을 통해 250개 이상의 상업 방송국과 34개의 BBC 라디오 방송국을 방송하고 있다. 런던에서는 약 100개의 방송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청취자는 DAB를 통해 약 30개의 추가 방송국을 들을 수 있다.
영국 인구의 44.3%가 DAB 디지털 라디오 수신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라디오 청취 시간의 34.4%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진다. RAJAR의 2013년 1분기 자료에 따르면, 약 2,600만 명(인구의 39.6%)이 매주 디지털 라디오를 청취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60만 명 증가한 수치이다. 하지만 당시 FM 청취율은 61%로 여전히 높았고, DAB 청취율은 21% 수준이었다.[10] 디지털 라디오 방송은 Sky, 버진 미디어, Freeview와 같은 디지털 텔레비전 플랫폼과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서도 제공된다.
기존 DAB 표준의 초기 성공으로 인해 더 효율적인 DAB+로의 전환은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되고 있으며, 2020년 기준으로 영국 방송국의 약 절반 정도가 DAB+를 사용하고 있다. 만약 DAB 방송이 중단될 경우 구형 수신기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영국 정부는 청취율과 커버리지 기준 충족 여부에 따라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종료(전환)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며, 전환 시 FM을 유지하면서 일부 서비스를 DAB 전용으로 옮기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2010년부터 DAB+ 수신기가 판매되기 시작했다.
아일랜드에서도 아일랜드방송협회(RTÉ)가 전국적으로 지상파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하고 있으며, 더블린에서는 일부 민영 방송국의 방송도 청취할 수 있다.
그 외 유럽 국가들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 DAB/DAB+ 사용 국가: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덴마크, 이탈리아 북부 등 유럽의 중추 지역에서 상당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시장에서 추진력을 얻고 있다.
- 제한적 사용 국가: 프랑스, 스페인, 스웨덴, 폴란드는 일부 대도시에서만 DAB+를 사용하고 있다.
- DAB 중단 국가: 포르투갈과 핀란드는 DAB 방송을 중단했다. 핀란드는 유럽 연합(EU)에 자동차 제조업체가 FM 라디오 수신 기능을 의무적으로 탑재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아스트라 디지털 라디오(Astra Digital Radio, ADR)는 통신위성 운영사인 SES 아스트라가 운영했던 위성 라디오 시스템으로, 1995년 방송을 시작했으나 2012년에 종료되었다.
3. 5. 기타 국가
홍콩은 DAB 방식을 DVB-T2 Lite 방식으로 대체했다.유럽에서는 여러 국가에서 DAB 및 DAB+를 도입했거나 시험 중이다.
국가 | 현황 |
---|---|
벨기에 | DAB 사용 가능 |
네덜란드 | DAB 사용 가능 |
스위스 | DAB 사용 가능 |
덴마크 | DAB 사용 가능 |
노르웨이 | DAB 사용 가능 |
이탈리아 북부 | DAB 사용 가능 |
프랑스 | 대도시 DAB+ 사용 |
스페인 | 대도시 DAB+ 사용 |
스웨덴 | 대도시 DAB+ 사용 |
폴란드 | 대도시 DAB+ 사용 |
포르투갈 | DAB 중단 |
핀란드 | DAB 중단 (EU에 자동차 제조업체의 FM 지원 의무화 요청) |
이처럼 유럽의 중추 지역에서 DAB/DMB 방식이 상당한 커버리지를 확보하며 시장에서 추진력을 얻고 있다. 반면 포르투갈과 핀란드는 DAB 도입을 중단했다. 핀란드는 유럽 연합(EU)에 자동차 제조업체가 DAB뿐만 아니라 기존의 FM 수신 기능도 의무적으로 탑재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도 디지털 라디오 도입이 시도되었다. 위성 통신 회사인 월드스페이스(WorldSpace)는 "아프리카스타(AfriStar)", "아시아스타(AsiaStar)", "아메리카스타(AmeriStar)"라는 3개의 위성 네트워크를 통해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에 디지털 오디오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했다. 아프리카스타와 아시아스타는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랐으나, 아메리카스타는 월드스페이스가 사용하려던 L 대역 주파수가 미국 군사 시스템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미국에서 발사 허가를 받지 못했다. 월드스페이스는 전성기에 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대부분 지역(특히 인도가 가입자의 96% 차지)에서 17만 명이 넘는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 현재 월드스페이스는 서비스를 중단했지만, 두 개의 위성이 여전히 궤도에 남아 일부 채널을 방송하고 있다. 팀브르 미디어(Timbre Media)와 사레가마 인디아(Saregama India)가 회사 재출범을 계획 중이다. 각 위성은 3개의 전송 빔을 통해 빔당 50개의 채널을 제공하며, 뉴스, 음악, 오락, 교육 콘텐츠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었다.
한편, 기존의 지상파 AM 라디오 방송(국제 단파 방송 포함)에 사용되는 라디오 주파수 대역에 디지털 방송을 도입하려는 노력도 있다. 디지털 라디오 몬디알레(Digital Radio Mondiale, DRM)라는 표준이 개발되어 70개 이상의 방송사가 이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송출하고 있으며, [http://www.drm.org/index.php?p=products 상업용 DRM 수신기]도 출시되었다. DRM 시스템은 음악 전송에는 MPEG-4 기반의 aacPlus 코덱을, 음성 프로그램에는 CELP 또는 HVXC 코덱을 사용한다. 그러나 DRM 수신기의 가격이 높아 많은 개발도상국 주민들이 구매하기 어렵고, 보급률도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 때문에 많은 기존 단파 방송사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인터넷 스트리밍, 위성방송(TV 셋톱박스 이용) 또는 지역 아날로그 FM 중계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일부 방송사(아일랜드 RTE의 252kHz 방송 등)는 시험 방송 후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지 않고 중단하기도 했다.
수신기 보급과 관련하여, 다양한 일본 제조업체들이 저렴한 DAB 라디오 수신기를 출시하고 있다. 또한 월드스페이스는 톰슨 방송(Thomson Broadcast)과 협력하여 텔레키오스크라는 마을 단위 통신 센터를 도입하여 농촌 지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텔레키오스크는 독립형 장치로 고정형 또는 이동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4. 장점과 단점
디지털 라디오는 기존의 AM(중파/진폭변조)이나 FM(초단파/주파수변조)과 같은 아날로그 방식 라디오 방송과 비교하여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아날로그 방식의 AM이나 SW(단파 방송)은 수신 지역의 가장자리나 지형적 조건 등으로 전파 세기(전계 강도)가 약해지더라도, 잡음이 섞이기는 하지만 내용을 알아듣는 것은 가능하다. 다만 혼신에는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디지털 방식은 전파 세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약해지면 아예 소리가 끊기거나 수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지만, 전파 세기가 충분하면 혼신에 강하고 깨끗한 음질을 제공하며 데이터 방송과 같은 부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처럼 각 방식에는 뚜렷한 장단점이 존재하므로, 디지털 라디오를 단순히 아날로그 라디오의 대체재로만 생각하기는 어렵다. 디지털 라디오 도입은 음질 향상과 부가 서비스 제공이라는 이점을 가져왔지만, 표준화 문제와 수신 환경에 따른 제약 등 여러 과제도 안고 있다.[2]
4. 1. 장점
기존의 AM(중파, 진폭변조)이나 FM(초단파, 주파수변조)과 같은 아날로그 방식 라디오 방송과 비교할 때, 디지털 라디오는 여러 장점을 가진다.우선, 일정 수준 이상의 수신 환경이 확보되면 음질 저하가 적고 고음질의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아날로그 방식은 수신 상태가 나빠지면 잡음이 심해지지만, 디지털 방식은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 강도만 유지되면 깨끗한 음질을 제공하며 혼신에도 강하다.
또한, 음성 정보 외에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데이터 방송을 통해 문자 정보나 이미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일부 시스템에서는 동영상 서비스까지 지원한다.
기술적으로는 통계적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하나의 광대역 무선 신호로 다양한 비트 전송률의 여러 라디오 채널과 데이터 서비스, 기타 미디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어 채널 효율성이 높다. 일부 시스템은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운영을 지원하여, 지역 내 모든 지상파 송신기가 동일한 주파수로 같은 프로그램을 전송함으로써 간섭 문제 없이 시스템 스펙트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2. 단점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 라디오(AM, SW)는 수신 지역 가장자리나 지형적 조건 등으로 전파 세기(전계 강도)가 약해지면 잡음이 섞이기는 하지만 내용을 알아들을 수는 있다. 다만 혼신에는 약하다. 반면, 디지털 방식은 전파 세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약해지면 아예 소리가 끊기거나 수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다. 물론 전파 세기가 충분하면 혼신에도 강하고 음질도 좋으며, 데이터 방송 등 부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처럼 각 방식에는 장단점이 있어 디지털 라디오를 단순히 아날로그 라디오의 대체재로만 보기는 어렵다.또한, 디지털 라디오 표준에 대한 세계적인 합의가 부족하여 도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2] 예를 들어, 유럽에서 주로 사용되는 DAB 표준(유레카 147)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어 새로운 'DAB+' 표준이 도입되기도 했다.
국가별로 채택하는 규격이 다르다는 점도 문제다. 이 때문에 단말기 가격이 아날로그 라디오 수신기보다 비싸고, 수신에 필요한 전용 IC 가격을 낮추기도 어렵다. 여기에 인터넷 라디오가 널리 보급된 점도 디지털 라디오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노르웨이처럼 국가가 강제로 전환하여 보급에 성공한 사례도 있지만, 일본처럼 보급에 어려움을 겪는 국가도 있다.
참조
[1]
서적
Cosine-/Sine-Modulated Filter Banks: General Properties, Fast Algorithms and Integer Approxim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10-24
[2]
웹사이트
Digital Broadcast - bringing the future to you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Digital Radio Mondiale - Technical Info
http://www.drm.org/t[...]
2018-04-29
[4]
웹사이트
Digital Radio Mondiale - DRM+ Testing gets underway today in Stockholm, Sweden
http://www.drm.org/d[...]
2018-04-29
[5]
웹사이트
New High Efficiency Audio Option Added for DAB Digital Radio
https://web.archive.[...]
2016-02-06
[6]
웹사이트
Digital Radio Launch
https://www.radioinf[...]
2009-08
[7]
웹사이트
Digital Radio Plus
http://www.digitalra[...]
2011-07-26
[8]
웹사이트
Digital radio policy - In this public notice, the Commission sets out its revised policy for digital radio broadcasting
http://www.crtc.gc.c[...]
2006-12-15
[9]
웹사이트
CRTC looking at bringing HD Radio to Canada
http://blog.fagstein[...]
2014-01-16
[10]
웹사이트
Analogue radio will CONTINUE in Blighty as Minister of Fun dodges D-Day death sentence
https://www.theregis[...]
[11]
웹사이트
Current.org | Testing digital radio systems, 1999
https://web.archive.[...]
1999-08-16
[12]
웹사이트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 Automotive
http://www.ibiquity.[...]
[13]
웹사이트
FCC AUTHORIZES ALL-DIGITAL AM RADIO
https://docs.fcc.gov[...]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2020-10-27
[14]
웹사이트
ノルウェー、今年末までにFMラジオ放送を廃止 世界初
https://web.archive.[...]
www.cnn.co.jp
2019-02-22
[15]
웹사이트
i-dioサービス終了のお知らせ
https://www.i-dio.jp[...]
i-dio公式HP
2019-12-25
[16]
웹사이트
スマホ向け放送「NOTTV」、2016年6月末で終了
https://web.archive.[...]
k-tai.watch.impress.co.jp
2019-02-22
[17]
웹사이트
FCC digital radio broadcasting FM stations list
http://licensing.fcc[...]
[18]
웹사이트
DRM™ - Digital Radio Mondiale - Reception in New Zealand
https://web.archive.[...]
owdjim.gen.nz
2019-02-22
[19]
웹사이트
開局から4年3カ月、「NOTTV」の放送終了を見届けた
https://www.itmedia.[...]
ITmedia
2020-01-02
[20]
웹사이트
i-dio 放送終了のお知らせ
https://web.archive.[...]
i-dio
2020-01-02
[21]
문서
스카이라이프 방송대학 방송 종료
스카이라이프 (현: 스카이라이프 프리미엄 서비스)
2012-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