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덴표쇼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표쇼호(天平勝宝)는 749년 8월 19일 고켄 천황 즉위와 함께 개원되어 757년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다. 이 시기에는 쇼무 천황의 퇴위와 고켄 천황의 즉위, 《가이후소》 편찬, 도다이지 대불 개안 의식, 감진의 일본 도착 등의 주요 사건들이 있었다. 덴표쇼호 8년에는 쇼무 천황이 사망했으며, 9년에는 다치바나노 나라마로의 난이 일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 시대 - 고후쿠지
    고후쿠지는 669년 후지와라 가마타리가 창건한 나라의 불교 사찰로, 후지와라 씨의 후원을 받아 번성했으나 화재와 전란으로 피해를 입고 재건을 거듭했으며, 현재는 여러 문화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나라 시대 - 헤이조궁
    헤이조궁은 710년부터 784년까지 일본의 수도였던 헤이조쿄의 천황 거처로, 내정과 외조, 주작문 등의 시설을 갖추었으며,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국영 역사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덴표쇼호
개요
시대나라 시대
기간749년 ~ 757년
천황고켄 천황
이전덴표간포
다음덴표호지

2. 연혁

덴표칸포 원년(749년) 7월 2일(율리우스력 749년 8월 19일) 고켄 천황 즉위에 따라 개원하여 덴표쇼호 9년(757년) 8월 18일(율리우스력 757년 9월 6일) 덴표호지로 개원되었다.[3][4][5] 덴표쇼호는 "천평의 평화와 승리의 보물"을 의미한다.[3] 쇼무 천황승려가 되기 위해 양위하였는데, 이는 일본 역사상 최초의 일이었다.[4]


  • '''749년'''(덴표쇼호 1년): 쇼무 천황이 퇴위하고, 그의 딸 고켄 천황이 즉위하였다.[6]
  • '''750년'''(덴표쇼호 2년): 고켄 천황이 퇴위하고, 양아들 준닌 천황이 즉위하였다.[8]
  • '''752년'''(덴표쇼호 4년): 나라 도다이 사에서 대불 개안 의식이 거행되었다.[7]

2. 1. 개원

덴표칸포 원년(749년) 7월 2일(율리우스력 749년 8월 19일) 고켄 천황 즉위에 따라 개원하였다.[3][4][5] 덴표쇼호는 "천평의 평화와 승리의 보물"을 의미한다.[3] 쇼무 천황승려가 되기 위해 양위하였는데, 이는 일본 역사상 최초의 일이었다.[4] 쇼무 천황의 재위 기간과 덴표칸포 연호는 그가 새로운 삶을 시작하면서 동시에 종료되었고, 이전 연호는 단 4개월 만에 종료되었다.[5] 덴표쇼호 9년(757년) 8월 18일(율리우스력 757년 9월 6일) 덴표호지로 개원되었다.

2. 2. 주요 사건


  • '''덴표쇼호 원년'''(749년)
  • * 7월 2일 - 쇼무 천황고켄 천황에게 양위하였다.[6]
  • '''2년'''(750년)
  • * 견당사가 열여섯 번째로 파견되었다. 후지와라노 기요카와가 대사, 기비 마키비와 오토모노 코마로가 부사로 임명되었다.
  • * 9월 5일 (8월 1일): 고켄 천황 10년에 천황이 퇴위했고, 양아들이 즉위(센소)했다. 그 직후, 준닌 천황이 즉위했다고 전해진다(소쿠이).[8]
  • '''3년'''(751년)
  • * 현존하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한시집인 《가이후소》(懐風藻|회풍조일본어)가 편찬되었다.
  • '''4년'''(752년)
  • * 도다이지(東大寺)의 대불에서 개안공양(開眼供養) 의식이 치러졌다.[7]
  • * 다시 사도국을 설치하였다.
  • '''6년'''(754년)
  • * 당나라에서 고승 감진(鑑真일본어)이 일본에 당도하였다.
  • '''8년'''(756년)
  • * 쇼무 천황(성무 상황)의 붕어를 받들어 유품을 도다이지에 납입(쇼소인의 효시).
  • '''9년'''(757년)
  • * 4월 4일 - 오이 왕태자가 됨(→ 준닌 천황)
  • * 7월 - 다치바나노 나라마로의 난이 일어났다.

3. 인물

덴표쇼호 시대에는 여러 인물들이 활동했다. 쇼무 천황은 749년에 퇴위하고 그의 딸 고켄 천황에게 양위하였다.[6] 고켄 천황은 752년에 도다이 사에서 대불 개안 의식을 거행하였고,[7] 이후 준닌 천황에게 양위하였다.[8] 쇼무 천황은 756년에 사망하였으며, 그의 유품은 도다이지에 납입되어 쇼소인의 시초가 되었다.[7]

다치바나노 모로에는 쇼무 천황 시기인 757년에 사망하였다. 다치바나노 나라마로의 난이 일어나기도 했다.[1] 이 시대에 당나라의 고승 감진이 일본에 왔다.[1]

3. 1. 고켄 천황 (孝謙天皇)

孝謙天皇|고켄 천황일본어 1년(749년) 쇼무 천황이 퇴위하고, 그의 딸이 즉위(센소)하였다.[6] 그 직후, 고켄 천황이 정식으로 즉위하였다(소쿠이).[6]

孝謙天皇|고켄 천황일본어 4년(752년) 4월, 대불 개안 의식이 나라 도다이 사에서 거행되었다.[7]

孝謙天皇|고켄 천황일본어 10년(750년 9월 5일, 덴표쇼호 2년 8월 1일), 고켄 천황이 퇴위했고, 양아들이 즉위(센소)했다.[8] 그 직후, 준닌 천황이 즉위했다고 전해진다(소쿠이).[8]

3. 2. 쇼무 천황 (聖武天皇)

749년(덴표쇼호 원년), 쇼무 천황이 퇴위하고 그의 딸 고켄 천황이 즉위하였다.[6]

756년(덴표쇼호 8년) 5월 2일 쇼무 천황이 사망하였다. 같은 해 쇼무 천황(쇼무 상황)의 유품을 도다이지에 납입하였다. (쇼소인의 효시).[7]

3. 3. 준닌 천황 (淳仁天皇)

749년 쇼무 천황이 퇴위하고 그의 딸이 즉위(센소)하였고, 그 직후 고켄 천황이 정식으로 즉위하였다.[6] 750년 9월 5일 (덴표쇼호 2년, 8월 1일), 고켄 천황이 퇴위했고, 양아들이 즉위(센소)하였다. 그 직후, 준닌 천황이 즉위했다고 전해진다(소쿠이).[8]

3. 4. 다치바나노 모로에 (橘諸兄)

쇼무 천황 시기인 덴표쇼호 9년(757년) 1월 6일에 다치바나노 모로에(전 좌대신 정일위)가 사망하였다.

3. 5. 다치바나노 나라마로 (橘奈良麻呂)

다치바나노 나라마로의 난이 일어났다.[1]

3. 6. 감진 (鑑真)

당나라에서 고승 감진(鑑眞)이 일본에 당도하였다.[1]

4. 서력 대조표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3]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4] 서적
[5] 서적
[6] 문서
[7] 서적 https://books.google[...]
[8] 서적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