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곤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곤어파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독립된 어파로 간주되기도 한다. 도곤어파에는 명사 부류 체계가 없어 니제르콩고어족에서 일찍 분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곤어는 다른 니제르콩고어족 언어와 어휘적, 구조적으로 다르며, SOV 어순과 프랑스어와 유사한 동사 굴절 체계를 갖는다. 도곤어는 약 3~4천 년 전의 공통 조상에서 기원했으며, 밤바라어와 풀라어의 영향을 받았다. 도곤족은 자신들을 단일 민족으로 여기지만, 언어의 차이를 인식하며, 도곤어는 12개의 세계 언어 중 6개에 해당한다. 도곤어파는 여러 방언으로 분류되며, 토로 소 도곤어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방기메어는 도곤어의 분기된 갈래 또는 고립어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리의 언어 - 마닝카어
    마닝카어는 기니 중앙 고원에서 사용되며, 자음과 모음 체계, 4가지 성조를 가지고 로마자를 공식 표기법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 말리의 언어 - 밤바라어
    밤바라어는 만데어족에 속하며 약 910만 명이 서아프리카 7개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2023년 말리 공용어 지위를 획득했고,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응코 문자 등으로 표기되며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가진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도곤어파
개요
이름도곤어파
위치도곤족 거주 지역, 말리 (주로 방디아카라 주)
민족도곤족
언어 계통
어족니제르-콩고어족?
하위 언어평원 도곤어군
절벽 도곤어군
서부 도곤어군 (부두 도곤어)
북부 고원 도곤어군
낭아–왈로 (얀다 도곤어)
테불 도곤어
? 아나 도곤어
언어 코드
Glottodogo1299
Glottoref 이름Dogon
지도
도곤어파 지도
도곤어파 지도
범례

2. 분류

도곤어파 언어들이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한다는 증거는 미약하며, 만약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한다 해도 그 안에서 도곤어파의 위치는 불분명하다. 오늘날에는 도곤어파가 니제르콩고어족의 독립된 어파라는 주장이 선호되고, 그 밖에도 구르어군이나 만데어파에 포함된다는 주장을 비롯해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도곤어파에는 니제르콩고어족 대부분 언어의 특징인 명사 부류 체계가 없으므로 언어학자들은 도곤어파가 니제르콩고어족 내에서 아주 일찍 갈라져 나왔다고 여긴다.[12]

로저 블렌치는 도곤어가 어휘적, 구조적으로 대부분의 다른 니제르콩고어족 어파들과 매우 다르다고 평했다. 도곤어에는 니제르콩고어족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여겨지는 명사 부류가 없으며, 만데어파이조어파와 비슷하지만 다른 어파와는 다른 SOV(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지녔다. 프랑스어와 유사한 동사 굴절 체계는 주변의 어떤 언어와도 다르다. 따라서 도곤어의 조상은 매우 이른 시기에 갈라져 나왔을 것으로 짐작되나, 현대 언어들은 약 3-4000년 전의 조상으로부터 기원한 듯하다고 보았다. 또한 도곤 언어들이 연속적인 영토를 점하고 있으며, 이는 국지적 이주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도곤족이 조상 대대로 말리의 해당 지역에서 살아왔음을 암시한다고 덧붙였다.[13]

밤바라어풀라어는 도곤어파와의 문화적·지리적 가까움으로 인해 도곤어파 언어들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로저 블렌치는 도곤어가 분명 잘 확립되었고 통일성 있는 분기군이지만, 니제르콩고어족의 특질(명사 부류, 동사 확장, 양순연구개음)을 전혀 지니지 않았으며 동근 어휘의 수도 매우 적어 별개의 어족일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Calame-Griaule는 도곤어의 다양한 변종을 처음으로 연구한 것으로 보이며, 1956년에 언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 '''평원 도곤어''': 잠사이,* 토로 테구, 서부 평원 (방언: 토고 카, 텐구 카, 토모 카)
  • '''절벽 도곤어''' (방언: 토로 소,* 톰모 소, 돈노 소 Kamma sɔdlg)
  • '''서부 도곤어''': 둘레리, 몸보, 암파리–페낭게; 부두
  • '''북부 고원 도곤어''': 본둠, 도굴
  • '''얀다'''
  • '''낭가''': 나ŋ아, 반칸 테이 (와로), 벤 테이
  • '''테불'''


Glottolog 4.3[5]은 Moran & Prokić (2013)과 Hochstetler (2004)의 분류를 종합하여 도곤어에 대해 동서 분할을 주장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서부 분파동부 분파


3. 언어

도곤어파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는지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며, 속한다고 해도 그 안에서 도곤어파의 위치는 불분명하다. 오늘날에는 도곤어파가 니제르콩고어족의 독립된 어파라는 주장이 일반적이며, 그 밖에도 구르어군이나 만데어파에 포함된다는 주장을 비롯해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도곤어파에는 니제르콩고어족 대부분 언어의 특징인 명사 부류 체계가 없으므로 언어학자들은 도곤어파가 니제르콩고어족 내에서 아주 일찍 갈라져 나왔다고 추정한다.[1][9]

로저 블렌치는 도곤어가 어휘적, 구조적으로 대부분의 다른 니제르콩고어족 어파들과 매우 다르다고 언급했다. 도곤어에는 니제르콩고어족의 전형적인 특징인 명사 부류가 없으며, 만데어파이조어파와 비슷하지만 다른 어파와는 다른 SOV(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지녔다. 프랑스어와 유사한 동사 굴절 체계는 주변의 어떤 언어와도 다르다. 따라서 도곤어의 조상은 매우 이른 시기에 갈라져 나왔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현대 언어들은 약 3,000~4,000년 전의 조상으로부터 기원한 듯하다.[12]

또한 블렌치는 도곤어파가 잘 확립되었고 통일성 있는 분기군이지만, 니제르콩고어족의 특질(명사 부류, 동사 확장, 양순연구개음)을 전혀 지니지 않았으며 동근 어휘의 수도 매우 적어 별개의 어족일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2][10]

밤바라어풀라어는 도곤어파와의 문화적, 지리적 가까움으로 인해 도곤어파 언어들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도곤족은 자신들을 단일한 민족 집단으로 여기지만, 서로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도곤족의 세계관에서 세계에 존재하는 열두 개 언어 중 여섯 개가 도곤어파 언어이다.[4] 도곤족은 잠사이 도곤어를 도곤어의 원조로 여기지만, 같은 마을 안에서도 언어적 차이를 인식하고 보존하려 한다.[14]

가장 많이 연구된 도곤어는 반디아가라 절벽에 위치한 상가의 토로 소 도곤어인데, 이는 마르셀 그리올의 연구와 말리의 13개 국가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토로 소 도곤어는 다른 절벽도곤어군 방언들과 상호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

3. 1. 하위 분류

도곤어파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는데, 이들을 처음 분류한 학자는 칼람그리올(Calame-Griaule)로 보인다. 1956년 칼람그리올의 분류 이후 새롭게 발견된 언어나 상호 의사 소통이 가능한 방언들이 추가되었다. 예를 들어, 호흐슈테틀러(Hochstetler)는 절벽도곤어군 언어들이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표준어 지위를 가진 두 언어는 별표(*)로 표시한다.

  • '''평원도곤어군''': 잠사이,* 토로 테구, 서부 평원 도곤어 (방언: 토고 캉, 텡구 캉, 토모 캉)
  • '''절벽도곤어군''' (방언: 토로 소*, 톰모 소, 돈노 소)
  • '''서부도곤어군''': 둘레리, 몸보, 암파리·페낭게, 부두
  • '''북부고원도곤어군''': 본둠, 도굴
  • '''얀다 도곤어'''
  • '''낭아도곤어군''': 낭아, 반칸 테이, 벤 테이
  • '''테불 도곤어'''


두욘(Douyon)과 블렌치(Blench)는 2005년에 아나 도곤어를 추가로 보고하였으나, 아직 미분류 상태이다.

블렌치는 명사의 복수 접미사를 근거로 부두 도곤어가 몸보 도곤어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보았다. 또한 왈로·쿰베 도곤어가 어휘적으로 낭아 도곤어와 유사하다고 지적하였고, 호흐슈테틀러는 이것이 낭아 도곤어와 같은 언어일 수 있다고 추정한다.

3. 1. 1. ''Glottolog'' 4.3 분류

Glottolog영어 4.3[5]은 Moran & Prokić (2013)과 Hochstetler (2004)의 분류를 종합한다. Moran & Prokić (2013)은 도곤어에 대해 동서 분할을 주장하며, 얀다 돔 도곤어, 테불 우레 도곤어, 나잠바-킨디게어를 원래 서부 도곤어였지만, 집중적인 접촉으로 인해 동부 도곤어와 점점 더 유사해진 언어로 간주한다.

  • '''도곤어'''
  • * '''''서부 분파'''''
  • ** '''서부 도곤어'''

암파리 도곤어
부노게 도곤어
몸보 도곤어
페낭게 도곤어
티라니게 디가 도곤어

  • ** '''북부 고원 도곤어'''

도굴 돔 도곤어
얀다-본둠-테불
* 나잠바-킨디게어: ''본둠 돔, 킨디게, 나잠바''
* 테불 우레 도곤어
* 얀다-아나
** 아나 팅가 도곤어
** 얀다 돔 도곤어

  • * '''''동부 분파'''''
  • ** '''절벽 도곤어'''

돈노 소 도곤어
톰모 소 도곤어
토로 소 도곤어: ''이비 소, 이렐리, 상가 소, 요르노 소, 유가 소''

  • ** '''낭간 도곤어'''

방칸 테이 도곤어
벤 테이 도곤어
낭가 도곤어

  • ** '''평원 도곤어'''

잠사이 도곤어: ''바마, 돔노, 고노, 구루, 페르게 테구''
토로 테구 도곤어
서부 평원 도곤어
* 텐구-토고 도곤어: ''김리 칸, 텐구 칸, 테누 칸, 토고 칸, 워루 칸''
* 토모 칸 도곤어

4. 도곤어 이전의 언어

방기메어(방게리메어라고도 함)는 과거에 도곤어파의 일원으로 여겨졌으나, 지금은 도곤어파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으며 고립어일 가능성이 있다.[15] 블렌치는 방기메어가 도곤어 이전에 그 지역에 존재했던 언어들의 흔적이라고 생각한다. 도곤족은 이 지역에 수천 년 동안 살아온 것으로 보인다.

블렌치(Blench, 2015)는 도곤어파에 나일사하라어족 기층 언어가 존재할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이 기층 언어는 현재는 사멸한 나일사하라어족의 어파일 것이며 블렌치는 이를 “고원(Plateau)”어파라 부른다.[11]

5. 어휘 비교

도곤어파는 어휘와 구조 면에서 니제르콩고어족의 다른 어파들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로저 블렌치는 도곤어가 니제르콩고어족의 일반적인 특징인 명사 부류가 없고, 만데어파이조어파와 유사한 SOV 어순을 가진다는 점을 지적했다.[1] 또한, 도곤어의 동사 굴절 체계는 프랑스어와 유사하여 주변 다른 언어들과는 매우 다르다고 언급했다.[1]

블렌치는 도곤어파가 니제르콩고어족의 특징을 거의 보이지 않아 독립된 어족일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2] 한편, 밤바라어풀라어는 지리적, 문화적 근접성으로 인해 도곤어파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2]

5. 1. 기본 어휘

언어위치나무먹다이름
요르노-소gìrǐːsúgùrùkínɛ̌nnɛ́nɛ́, nɛ̀nɛ̌ːkɛ̀nɛ́, áŋáìllîːkǐːnáːdǐːkáːbôy
토로 테구타비jìró, gìrósúgúrúcìrⁿò-kájìrⁿólèlánéŋcìránáː, X nàlí ~ lɛ́ìsǒŋ
벤 테이베니jìrésúːrⁿùcírⁿììrⁿú, ìrⁿílɛ̀mdɛ̂ːmǒː, m̀bǒːgòŋgòrócìrⁿéynáː, nàː-dûmnîːñɛ́ìnìrⁿîː
얀다 돔얀다gìd-íyè, gìdèsúnkìnzàìnnɛ̀mdàcɛ́nɛ́, m̀bòjènjùkìrⁿàtìmè, tìmɛ̀, nìːínjúʔə́ñɛ́ ~ ʔə́ñá-lìín
잠세두엔차jìrésûncírⁿéìrⁿénɛ̀nɛ́káːnɛ̂yⁿcìrⁿénáːníːñɛ́ːbón
페르게 테구페르구에gìrésúŋúrⁿùkírⁿéìrⁿélɛ̀lɛ́káːnɛ̂mkìrⁿénáːníːñɛ́ːsórⁿú
구루키리gìrésúŋùnkírⁿéìrⁿénɛ̀nɛ́káːnɛ̂yⁿkìrⁿé̀̌níːñɛ́ːbón
낭가안다gìrésúŋúrⁿìkírⁿêǹnɛ́, ìnɛ́, ìrⁿɛ́nɛ́ndɛ̀nɔ̌ːgòndùgókìrⁿádéː, nàː dûːnîːkɔ́ːǹnèrⁿî, ìnèrⁿî
방칸-테이와로gìrésûncírⁿèŋìrⁿɛ́, ñìrⁿɛ́lɛ̀mbìrɛ̂mbǔːgòŋgòrókìrⁿěynàː-dûmnîːñɛ́ŋìnnîː, ñìnnîː
나잠바쿠베벨-아디아gìró ~ gìrésúnùː ~ súnìːkìnjâː ~ kìnjɛ̂ːìnɔ̌ː ~ ìnɛ̌ːnɛ̌ndɔ̀ː ~ nɛ̌ndɛ̀ːìbí-ŋgé ~ ìbígěn-gé ~ gěnkìná-ŋgó ~ kìnánǐː ~ nìː-mbóíŋgé ~ íŋgé, ínjé ~ ínjékwɛ́ínèn ~ ínèn
톰모-소통고-통고gìrésúgúlúkínúìnúnííndɛ́kɛ̀nnɛ́, áŋáìlìyékìyétímɛ́dííńyɛ́bóy
토고-칸코포로-펜gìrésúgúrúkírⁿíìrⁿínɛ́nɛ́káⁿnɛ́kìrⁿínáːdíːñíː ~ ñíːbɔ́ⁿ
몸보송고gírèsúgúlí kìjìkìjìkínjàínnìnèːndédónìgèːŋgégàːwⁿěːtíníŋgɔ̀mîːɲɛ́ːíní
방게미어ɡìrétàŋàsúmbí-rìn nóɔ́ n síìⁿnóɔ́ n ʒɛ̀rínɔ́ɔ̀ʒíìnnòɔ̀rɛ̀dʷàà, dʷàɛ̀ɥíèdì-á(màá) níì

[6][7]

5. 2. 수사

언어12345678910
도굴루 돔어 (1)tɔ̀mɔ̀nééɡètáándùkɛ́ɛ́sɔ̀ǹókúlèsɔ́ɔ́wɛ̀sèèlétùùwɔ́pɛ́ɛ̀l
도굴 돔 도곤어 (2)tomonɛiɡetaandukɛɛson'nɔkuloisɔɔiseeletuwɔpɛɛl
톰모 소 도곤어tíí (수식어로서 túmɔ́)néétààndúnǎyǹnɔ́kúlóysɔ́yɡáɡìràtúwwɔ́pɛ́l
돈노 소 도곤어tí (세는 용도로), túrulɛ̀ytàːnunàynùmoro / nnɔkúlóy / kuleisɔ̀yɡàɡaratùo / tuɡɔpɛ́lu
잠세이 도곤어túrúlɛ̌y / lɛ̀ytǎːn / tàːnnǎyⁿ / nàyⁿ *nǔːyⁿ / nùːyⁿkúróysûyⁿɡáːràláːrúwà / láːrwàpɛ́rú
토로 소 도곤어 (1)tíì (세는 용도로), túrúlɛ́jtàánúnàjínùmɔ́r̃ɔ́kúlòjsɔ́jɡááràtúwɔ́pɛ́rú
토로 소 도곤어 (2)tíírú (세는 용도로), túrúléítáánúnáínúmɔ́rɔ́nkúlòísɔ́íɡáɡárátúwɔ́pɛ́lú
토로 테구 도곤어túrúlɛ̌ytǎːlínǎyⁿ *nǔːyⁿkúréysóyⁿɡáːràláːràpɛ́ró
방칸 테이 도곤어tùmájǒjtàːnínìŋŋějⁿnùmmǔjⁿkúròjsíjⁿɔ̀jⁿɡáːràjtèːsúmpɛ́ːrú
벤 테이 도곤어tùmɔ́:yěytàːnúnǐːyⁿnùmǔyⁿkúròysúyⁿɔ̀yⁿɡáːràytèːsǐmpɛ́rú
몸보 도곤어yɛ̀ːtáːŋɡù / tíːtà (세는 용도로)nɛ́ːŋɡátáːndìkɛ́ːjɔ́núːmùkúléyⁿsɔ́ːlìséːlètóːwàpɛ́ːlù
나잠바-킨디게어kúndénôːjtàːndîːkɛ́ːdʒɛ̀jnùmîːkúlèjswɛ̂jsáːɡìːtwâjpíjɛ́lì
낭가 도곤어tùmâwǒjtàːndǐːnɔ̌jⁿnìmǐːkúrêsújɛ̂ɡáːrɛ̀tèːsǐːpɛ́ːrú
토고 칸 도곤어 (1)lɔ́ytàán, tàánúnǎyⁿnúnɛ́ɛ́ⁿkúréésɔ́ɔ̀sìláàtúwáàpɛ́rú
토고 칸 도곤어 (2)lɔ́yìtánnnáɲìnúmɛ̀kúlènsɔ́sílàtúwàpɛ́lì
얀다 돔 도곤어tùmá:nɔ́ː / nótáːndùcɛ́zɔ̀nûmkúléswɛ́ːsáːɡètwâːpíyél

[8]

참조

[1] 웹사이트 Dogon Languages http://www.rogerblen[...] 2013-05-19
[2] 웹사이트 Niger-Congo: an alternative view http://www.rogerblen[...]
[3] 간행물 Was there a now-vanished branch of Nilo-Saharan on the Dogon Plateau? Evidence from substrate vocabulary in Bangime and Dogon http://www.rogerblen[...] Mother Tongue 2015
[4] 문서
[5] 웹사이트 Glottolog 4.3 https://glottolog.or[...]
[6] 논문 Dogon Comparative Wordlist https://dogonlanguag[...] 2015
[7] 논문 Bangime and Dogon Comparative Wordlists 2013
[8] 웹사이트 The Niger-Congo Language Phylum https://lingweb.eva.[...]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2019
[9] 웹사이트 Dogon Languages http://www.rogerblen[...] 2013-05-19
[10] 웹사이트 Niger-Congo: an alternative view http://www.rogerblen[...]
[11] 간행물 Was there a now-vanished branch of Nilo-Saharan on the Dogon Plateau? Evidence from substrate vocabulary in Bangime and Dogon Mother Tongue 2015
[12] 웹사이트 Dogon Languages http://www.rogerblen[...] 2013-05-19
[13] 웹사이트 Niger-Congo: an alternative view http://www.rogerblen[...]
[14] 문서
[15] 간행물 Was there a now-vanished branch of Nilo-Saharan on the Dogon Plateau? Evidence from substrate vocabulary in Bangime and Dogon https://www.academia[...] Mother Tongue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