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나티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나티붐은 로마 제국 시대에 황제가 친위대에게 지급한 금전적 보상을 의미한다. 14년부터 193년까지의 기간 동안 여러 황제들이 즉위, 충성심, 유언, 기념 등의 목적으로 친위대에 도나티붐을 지급했다. 지급된 데나리우스의 액수는 황제, 시기, 상황에 따라 달랐으며, 때로는 약속만 되고 지급되지 않거나, 정기적으로 지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친위대 - 프라이토리아니
프라이토리아니는 로마 황제를 경호한 정예 군단병으로, 황제와의 근접성을 이용해 권력을 남용하며 로마 제국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로마 친위대 -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는 로마 황제를 호위하는 프라이토리아니를 통솔하는 직책으로 시작하여, 제정 시대에는 친위대 사령관 역할을 했고, 이후에는 사법권, 재정권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하는 최고위 행정관으로 기능했다. - 고대 로마의 경제 - 타베르나
타베르나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하여 로마 제국에서 중요한 상업 공간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품 판매와 해방 노예의 사회적 상승 기회 제공에 기여했고, 현재 이탈리아 지명에 흔적이 남아있다. - 고대 로마의 경제 - 코메스
코메스는 고대 로마에서 기원하여 영웅이나 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칭호로 사용되었으나, 로마 제정 시대에 황제의 측근 관료 직위로 발전하여 중세 시대에는 행정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봉건 시대에는 다양한 작위에 대한 라틴어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 이탈리아의 경제사 - 라틴 통화 동맹
라틴 통화 동맹은 1865년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스위스가 금과 은의 가치를 고정하여 통화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 결성한 통화 동맹으로, 금은 복본위제를 채택했으나 금과 은의 가치 변동 등의 문제로 1927년 공식 해체되었다. - 이탈리아의 경제사 - 탈러
탈러는 1518년 보헤미아 왕국의 요아힘스탈에서 생산된 은화인 요아힘스탈러에서 유래한 화폐로, 각 언어별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한국어의 '달러'도 여기에서 비롯되었고, 15세기 후반 유럽의 은 부족 속에서 여러 종류가 발행되어 신성 로마 제국에서 화폐 기준으로 쓰였다.
| 도나티붐 | |
|---|---|
| 로마 군사 용어 | |
| 어원 | 라틴어 'donare' (주다, 선물하다) |
| 정의 | 로마 황제가 군인들에게 제공하는 특별 포상금 |
| 목적 | 군대의 충성심 확보 및 유지 |
| 역사 | |
| 기원 | 로마 공화정 말기, 장군들이 사병들에게 제공한 선물에서 유래 |
| 황제 시대 | 황제들이 정기적으로 또는 특별한 경우에 지급 |
| 지급 시기 | 황제 즉위 황제 자녀 출생 전쟁 승리 제국 기념일 |
| 중요성 | |
| 군사적 중요성 | 군대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충성심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 |
| 정치적 중요성 | 황제의 권력 유지 및 정통성 강화에 기여 |
| 영향 | |
| 재정적 부담 | 제국 재정에 상당한 부담을 초래 |
| 군대의 권력 강화 | 군대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기여 |
| 추가 정보 | |
| 관련 용어 | 아에라리움 (국고) |
| 참고 문헌 | Campbell, J. B. (1984). The Emperor and the Roman Army, 31 BC – AD 235. Oxford: Clarendon Press. Roth, Jonathan P. (2009). Roman Warfa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 14–193년까지 친위대에 대한 황제의 증여
| 연도 | 황제 | 의도 및 특이사항 | 데나리우스 |
|---|---|---|---|
| 14 | 아우구스투스 | 유언 | 250 |
| 31 | 티베리우스 | 세야누스 사태에서 충성심 | 1,000 |
| 37 | 칼리굴라 | 즉위 | 500 |
| 41 | 클라우디우스 | 즉위 | 3,750 |
| 연간 | 클라우디우스 | 즉위 기념으로 매년 | 25 |
| 54 | 네로 | 즉위 | 3,750 |
| 암살에 대한 대가 | 500 혹은 그보다 적게 | ||
| 69 | 갈바 | 님피디우스 사비누스가 약속했으나 지불되지 않음 | 7,500 |
| 69 | 오토 | 약속 | 1,250 |
| 69 | 비텔리우스 | 약속 | 1,250 |
| 69 | 베스파시아누스 | 정기적인 도나티붐 | 알려져 있지 않음 |
| 79 | 티투스 | 정기적인 도나티붐 | 알려져 있지 않음 |
| 81 | 도미티아누스 | 보통의 도나티붐의 두 배를 고려했지만 보통의 경우를 택함 | 알려져 있지 않음 |
| 96 | 네르바 | 정기적인 도나티붐 | 알려져 있지 않음 |
| 98 | 트라야누스 | 정기적인 도나티붐 | 알려져 있지 않음 |
| 117 | 하드리아누스 | 보통 금액의 두 배[4] | 알려져 있지 않음 |
| 136 | 하드리아누스 | 아일리우스 입양에 따른 정기적인 도나티붐[5][6] | 알려져 있지 않음 |
| 138 | 안토니누스 피우스 | 정기적인 도나티붐 및 딸의 결혼 기념 | 알려져 있지 않음 |
| 161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베루스와 공동 통치 | 5,000 |
| 180 | 콤모두스 | 정기적인 도나티붐, 두 번째도 약속했지만 지불되지 않음 | 알려져 있지 않음 |
| 193 | 페르티낙스 | 콤모두스의 도나티붐을 강제로 대신 지불함 | 3,000 |
| 193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황제 자리를 사들임 | 7,250 |
| 193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도나티붐을 약속했으나 적게 줌 | 250 |
참조
[1]
간행물
Hadr. 5.7
SHA
[2]
간행물
Hadr. 23.12; 23,14; Ael. 6.3
SHA
[3]
간행물
"4,000 or 3,000 sestertii between the donativum and a congiarium, Hadr. 23.14; Ael. 6.3"
SHA
[4]
간행물
Hadr. 5.7
SHA
[5]
간행물
Hadr. 23.12; 23,14; Ael. 6.3
SHA
[6]
간행물
"4,000 or 3,000 sestertii between the donativum and a congiarium, Hadr. 23.14; Ael. 6.3"
S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