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바는 기원전 3년에 태어나 로마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법무관, 집정관을 거쳐 칼리굴라 황제 치하에서 라인강 방위군 지휘관을 역임했다. 이후 북아프리카와 히스파니아 총독을 지냈으며, 네로 황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빈덱스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원로원의 승인을 받아 황제가 되었으나, 재정 정책 실패와 측근들의 부패, 군단의 반란 등으로 인해 실정을 겪었다. 결국 오토의 반란에 휘말려 살해당했으며, 타키투스는 그를 "황제가 되지 않았더라면 황제직에 적합했을 인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9년 사망 - 비텔리우스
    비텔리우스는 69년 짧게 로마 황제를 지낸 인물로, 명문가 출신이지만 게르마니아 군단의 지지로 황제가 된 후 무능과 사치로 악명을 떨치다 베스파시아누스의 반란으로 몰락하여 처형당했다.
  • 69년 사망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는 69년에 잠시 로마 황제를 지냈으며 네로의 측근이었으나 갈바를 지지하여 네로 몰락에 기여, 갈바 암살 후 황제가 되었지만 비텔리우스에게 패배 후 자살했고 그의 죽음은 내전 방지를 위한 희생으로 평가받는다.
  • 라티나도 출신 - 안드레아 카르네발레
    이탈리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 안드레아 카르네발레는 공격수로 SSC 나폴리에서 마라도나, 조르다노와 함께 '마지카' 트리오를 이루며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고, 세리에 A 2회, 코파 이탈리아 1회, UEFA컵 1회 우승과 1990년 FIFA 월드컵 3위를 기록했다.
  • 라티나도 출신 - 교황 소테르
    2세기경 교황으로 재임한 교황 소테르는 가난한 기독교인과 유배된 자들에게 자선을 베풀고 몬타누스주의 운동에 대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축일은 4월 22일에 기념된다.
갈바
기본 정보
갈바의 금 아우레우스
갈바의 금 아우레우스. 범례:
로마자 표기Servius Sulpicius Galba
전체 이름세르비우스 술피키우스 갈바, 루키우스 리비우스 오켈라 술피키우스 갈바
즉위명임페라토르 세르비우스 갈바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출생일기원전 3년 12월 24일
출생지테라치나 근처, 이탈리아, 로마 제국
사망일서기 69년 1월 15일 (70세)
사망지로마, 이탈리아, 로마 제국
배우자아에밀리아 레피다
자녀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프루기 리키니아누스 (입양)
아버지가이우스 술피키우스 갈바 (기원전 5년 집정관)
어머니뭄미아 아카이카, 리비아 오켈리나 (입양)
통치
직책로마 황제
재위 기간68년 6월 8일 – 69년 1월 15일
이전 통치자네로
다음 통치자오토
연대기
연대4황제의 해
갈바68–69
오토69
비텔리우스69
베스파시아누스69–79
계승
이전 왕조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다음 왕조플라비우스 왕조

2. 초기 생애와 경력

갈바는 기원전 3년 12월 24일 테라치나 근처, 로마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우구스투스티베리우스의 총애를 받으며 성장했다.

20세(혹은 23세)에 법무관에 임명되었고, 33년에는 집정관이 되었다. 39년에는 칼리굴라 황제에 의해 라인강 방위군 지휘관에 임명되었으며,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주둔군 사령관으로서 엄격한 군기를 확립하여 명성을 얻었다. 45년에는 북아프리카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49년, 소 아그리피나클라우디우스 황제와 결혼하면서 그녀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갈바는 10년 정도 정계에서 은퇴해야 했다. 61년 이베리아반도 북동부의 총독으로 복귀하였다.

2. 1. 가문

갈바는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황제들과 혈연관계는 없었지만, 명문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3][4][5] 갈바라는 가명(cognomen)의 기원은 불확실하다. 수에토니우스는 술피키아 가문에서 이 이름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로마인들이 갈리아인을 묘사하는 데 사용했던 용어인 "갈바(galba)"에서 따왔거나, "갈바에(galbae)"라는 곤충의 이름을 따왔을 수 있다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한다.

갈바의 조상 중 한 명은 기원전 200년 집정관이었고, 또 다른 조상은 기원전 144년 집정관이었다. 후대 황제인 갈바의 아버지와 형제는 모두 가이우스라는 이름으로 기원전 5년과 서기 22년에 각각 집정관직을 역임했다.

갈바의 할아버지는 역사가였고 그의 아들은 변호사였는데, 그의 첫 번째 아내는 퀸투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의 손녀이자 루키우스 뭄미우스 아카이쿠스의 증손녀인 뭄미아 아카이카였다. 갈바는 증조부인 카툴루스로부터 내려온 혈통을 자랑스러워했다.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그는 신 주피터로부터 이어지는 아버지 쪽 혈통과 전설적인 미노스의 아내 파시파에로부터 이어지는 어머니 쪽 혈통을 조작된 족보를 통해 주장했다. 갈바는 리비아와 먼 친척 관계였다고 알려져 있으며,[6] 그에게 많은 존경을 표했고, 리비아 덕분에 그의 경력이 발전했다.

2. 2. 초기 경력

로마의 귀족 가문에서 기원전 3년 12월 24일에 태어났다. 20세(23세)에 법무관을 시작으로[8], 33년에는 집정관에 임명되었다.[8] 39년에는 칼리굴라 황제에 의해 라인강 방위군 지휘관에 임명되었다.[8]

45년에는 북아프리카 총독에 임명되었다.[8] 소 아그리피나클라우디우스 황제와 결혼한 49년, 그녀와 사이가 좋지 않아 10년 정도 정계에서 은퇴했다.[8] 61년에 이베리아반도 북동부의 총독으로 복귀했다.[8]

갈바는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주둔군 사령관으로서 엄격한 군기를 확립하여 명성을 얻었다.[8]

3. 황제 즉위

68년, 네로에 대항한 빈덱스의 반란에 가담한 갈바는 사람들의 지지를 얻어 오토와 함께 로마로 진군했다.[1] 원로원은 네로를 버리고 갈바를 황제로 인정했고, 네로는 자살했다.[1]

갈바는 제국의 재정 재건을 위해 지출을 억제하려 했으나, 이는 많은 사람들의 미움을 샀다.[1] 69년 1월 1일,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두 군단이 황제에 대한 충성 맹세를 거부했고, 다음 날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도 반란이 일어나 비텔리우스를 황제로 추대했다.[1] 이러한 상황에서 갈바는 원로원의 지지를 얻기 위해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리키니아누스를 후계자로 선택했다.[1]

3. 1. 빈덱스의 반란

68년, 네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빈덱스에 의해 갈바는 반란의 주모자로 추대되었다. 비록 빈덱스는 진압되었으나, 68년 6월 8일 원로원은 갈바를 황제로 선포했다.

3. 2. 네로의 죽음

원로원은 네로를 버리고 갈바를 새로운 황제로 인정했다.[1] 국적자로 몰린 네로는 갈바가 로마에 입성하기 전에 자살했다.[1]

4. 로마 통치와 몰락

갈바는 네로의 선물을 몰수하는 등 재정 확보를 위한 정책을 펼쳤으나, 많은 사람들에게 비판을 받았다.[14] 측근들까지 탐욕스럽게 재물을 긁어모아 갈바에 대한 사람들의 신임은 더욱 실추되었다. 수에토니우스는 갈바가 사소한 의심만으로도 재판 없이 저명한 인물들을 사형에 처했으며, 로마 시민권을 거의 부여하지 않았고, 배심원들의 청원을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클라우디우스가 부여한 특권마저 박탈했다고 기록했다.

이러한 여러 실정으로 인기가 없어져 69년 1월 1일,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제4군단과 제22군단은 갈바에게 충성 서약을 거부하고 새로운 황제를 요구하며 갈바의 흉상을 무너뜨렸다. 다음 날,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병사들 또한 충성을 거부하고 그 지역 총독인 비텔리우스를 황제로 선포했다.[23] 결국 갈바는 1월 15일에 근위대에 의해 살해되었다.[23]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갈바는 음모자들의 거짓 보고에 속아 포럼에서 암살 현장으로 유인당했다. 갈바는 지급되지 않은 상여금으로 목숨을 구걸하거나 참수당할 것을 요청했다. 그를 도운 사람은 셈프로니우스 덴수스라는 근위대 백부장뿐이었는데, 그는 갈바를 방어하다가 죽었다. 120명이 나중에 오토에게 자신들이 갈바를 죽였다고 청원했고, 그들은 비텔리우스에 의해 처형되었다.[26] 그는 쿠르티우스 호수 근처에서 살해되었다.[27]


4. 1. 실정

갈바는 네로의 선물을 몰수하는 등 재정 확보를 위한 정책을 펼쳤으나, 많은 사람들에게 비판을 받았다.[14] 측근들까지 탐욕스럽게 재물을 긁어모아 갈바에 대한 사람들의 신임은 더욱 실추되었다. 특히 티투스 비니우스 장군, 근위대 대장 코르넬리우스 라코, 그리고 갈바의 해방 노예인 이켈루스의 영향을 크게 받아 매우 나쁜 평판을 얻었다.[14]

수에토니우스는 갈바가 사소한 의심만으로도 재판 없이 저명한 인물들을 사형에 처했으며, 로마 시민권을 거의 부여하지 않았고, 배심원들의 청원을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클라우디우스가 부여한 특권마저 박탈했다고 기록했다.

갈바는 티투스 비니우스 장군, 근위대 대장 코르넬리우스 라코, 갈바의 해방 노예인 이켈루스를 포함한 부패한 집단의 조언을 받았다. 또한 로마 시민들의 재산을 몰수하고, 게르마니아 군단을 해산시켰으며, 빈덱스와 싸운 근위대와 병사들에게 봉급을 지불하지 않았다. 이러한 행동들로 인해 그는 인기가 없어졌다.[14]

4. 2. 반란과 죽음

69년 1월 1일,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제4군단과 제22군단은 갈바에게 충성 서약을 거부하고 새로운 황제를 요구하며 갈바의 흉상을 무너뜨렸다. 다음 날,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병사들 또한 충성을 거부하고 그 지역 총독인 비텔리우스를 황제로 선포했다.[23]

갈바는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리키니아누스를 후계자로 삼아 황제로서의 권위를 인정받으려 했지만, 1월 15일에 근위대에 의해 살해되었다.[23] 오토는 자신이 후계자로 지명되지 않은 것에 분노하여 소수의 근위대원들과 공모하여 노령의 황제를 살해하고 스스로 황제가 되려 했다. 수도의 군대는 근위대뿐만 아니라 히스파니아 출신 갈바의 군단과 로마 함대, 일리리아, 브리타니아, 게르마니아에서 온 여러 부대 병사들로 구성되었는데, 그들은 상여금을 받지 못한 것에 분노했다.[24] 또한 갈바가 자신들의 장교와 동료 병사들을 숙청한 것에 분개했는데, 특히 함대 출신 병사들의 경우 더욱 그러했다. 많은 근위대원들은 최근 니므피디우스 사비누스의 살해 사건에 충격을 받았고, 일부 주저하던 이들은 갈바가 사비누스와의 연관성에 대해 복수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오토의 편에 서게 되었다.[25]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갈바는 아마포 갑옷을 입었지만, 많은 칼에 대항할 수 있는 보호 장치는 별로 없다고 말했다. 어떤 병사가 오토를 죽였다고 주장하자 갈바는 "무슨 권한으로?"라고 쏘아붙였다. 그는 음모자들의 거짓 보고에 속아 포럼에서 암살 현장으로 유인당했다. 갈바는 지급되지 않은 상여금으로 목숨을 구걸하거나 참수당할 것을 요청했다. 그를 도운 사람은 셈프로니우스 덴수스라는 근위대 백부장뿐이었는데, 그는 갈바를 방어하다가 죽었다. 120명이 나중에 오토에게 자신들이 갈바를 죽였다고 청원했고, 그들은 비텔리우스에 의해 처형되었다.[26] 그가 한때 친절을 베푼 게르만 병사들이 그를 돕기 위해 달려왔지만, 길을 잘못 들어 너무 늦게 도착했다. 그는 쿠르티우스 호수 근처에서 살해되었다.[27]

5. 평가

타키투스는 그의 저서 역사에서 갈바를 "만약 황제가 되지 않았더라면, 세간의 평판은 일치하게 그가 바로 황제의 자질을 갖춘 인물이라고 인정했을 것이다"라고 평가했다.[34]

한편, 갈바 사후 민중 사이에서 그의 인기가 높아졌던 것으로 보인다. 베드리아쿰 전투(제1차 베드리아쿰 전투)에서 오토가 비텔리우스에게 패배하여 자살했다는 소식이 로마에 전해지자, 케레스 축제 행사의 관객들은 비텔리우스에게 열렬한 환호를 보냈고, 몸을 치장한 후 갈바의 상을 가지고 여기저기 신전을 돌아다녔다고 한다.[35]

참조

[1] 문서 Fasti Ostienses AE 1978
[2] 논문 Imperial Elements in the Formula of the Roman Emperors during the First Two and a Half Centuries of the Empire https://www.jstor.or[...] 1957
[3] 웹사이트 Gammal man, kallad Galba. Porträtthuvud från sen republikansk tid https://collection.n[...]
[4] 서적 Rembrandt Drawing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19
[5] 서적 The Drawings of Rembrandt https://books.google[...] Phaidon Press 1955
[6] 웹사이트 Suetonius Life of Galba Chapter 23 https://penelope.uch[...]
[7] 웹사이트 Suetonius Life of Galba Chapter 3 https://penelope.uch[...]
[8] 문서 Suentonius "Life of Galba" Chapter 6
[9] 웹사이트 To Autolycus III.27 http://www.logoslibr[...]
[10] 서적 The Writings of Clement of Alexandria https://books.google[...] 1867
[11] 문서 The Jewish War IV.491 http://www.perseus.t[...]
[12] 문서 Epitome de Caesaribus 6 http://www.roman-emp[...]
[13] 문서 Historia Romana LXIII, 26
[14] 문서 Suetonius "Life of Galba" Chapters 4; 12–14
[15] 문서 Suetonius "Life of Vitellius" Chapter 7
[16] 문서 Suetonius "Life of Galba" Chapters 21–23
[17] 웹사이트 Histories 1.49 https://penelope.uch[...]
[18] 논문 Reversed Epiphanies: Roman Emperors Deserted by Gods https://www.jstor.or[...] 2009-03
[19] 웹사이트 Over Life-Size Relief Head of Emperor Galba? https://www.getty.ed[...]
[20] 서적 Studia Varia https://books.google[...] L'Erma di Bretschneider 1994
[21] 서적 Mutilation and Transformation: Damnatio Memoriae and Roman Imperial Portraiture https://books.google[...] Brill 2004
[22] 웹사이트 House of Galba (Casa di Galba) (Herculaneum) https://ermakvagus.c[...]
[23] 문서 Plutarch 24.1 and Tacitus Histories 27-49 https://penelope.uch[...]
[24] 문서 Histories; Book I. 5–8
[25] 문서 Histories; Book I. 25–28
[26] 문서 Plutarch "Life of Galba" Chapters 26–27
[27] 문서 Suetonius "Life of Galba" Chapters 19–20
[28] 서적 The Works of Tacitus https://archive.org/[...] J. and F. Rivington 1770
[29] 문서 Tacitus p. 46
[30] 문서 Plutarch "Life of Galba" Chapter 28
[31] 문서 Galba
[32] 웹사이트 Galba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33] 서적 同時代史 1.41 筑摩書房 1996
[34] 서적 同時代史 1.49 筑摩書房 1996
[35] 서적 同時代史 2.55 筑摩書房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