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디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우디우스는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일원으로, 로마 제국의 제4대 황제였다. 기원전 10년에 태어나 54년에 사망했으며, 다양한 이름을 사용했다. 그는 브리타니아 정복, 공공 사업, 내정 개혁 등을 통해 제국을 확장하고 재정을 안정시켰다. 원로원과의 관계는 복잡했으며, 여러 차례의 쿠데타 시도가 있었다. 클라우디우스는 네 번 결혼했으며, 마지막 부인인 소 아그리피나가 그를 독살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클라우디우스는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소설, BBC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4년 사망 - 반표
반표는 후한 시대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전한 말 혼란기에 두융의 보호를 받으며 학문에 정진했고, 광무제의 후한 건국에 공을 세웠으며, 《사기》를 보충한 《사기후전》을 저술하여 아들 반고가 《한서》를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 - 54년 사망 - 스타키스
스타키스는 사도 바울로가 언급한 기독교 성인이자 정교회 전승에 따라 비잔티온의 주교였으며 알기르폴리에 교회를 설립하고 전도하다 순교한 인물로,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각각 10월 31일과 11월 4일에 기념된다. - 기원전 1세기 사람 - 혁거세 거서간
혁거세 거서간은 신라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기원전 69년 알에서 태어나 13세에 왕으로 추대되어 서라벌을 다스리다가 승천했으며, 현대 박씨의 시조로 여겨진다. - 기원전 1세기 사람 - 탈해 이사금
탈해 이사금은 알에서 태어났다는 설화가 전해지며, 남해 차차웅의 사위가 되어 대보를 지내다가 유리 이사금 사후 왕위에 올라 왜, 백제, 가야 등 주변 세력과 외교 및 군사적 갈등을 겪으며 영토 확장에 힘썼고, 김알지를 발견하여 신라 김씨 왕조의 기원을 마련했으며, 80년에 사망했다.
클라우디우스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Tiberius Claudius Nero Caesar Drusus |
전체 이름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게르마니쿠스 |
출생 이름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
출생일 | 기원전 10년 8월 1일 |
출생지 | 루그두눔, 갈리아 |
사망일 | 서기 54년 10월 13일 (63세) |
사망지 | 로마, 이탈리아 |
매장지 | 아우구스투스 영묘 |
별칭 | 클라우디우스 1세 |
통치 | |
직위 | 로마 황제 |
재위 기간 | 41년 1월 24일 – 54년 10월 13일 |
이전 통치자 | 칼리굴라 |
다음 통치자 | 네로 |
가문 | |
왕조 |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
아버지 |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
어머니 | 안토니아 미노르 |
결혼과 개인 생활 | |
배우자 | 플라우티아 우르굴라닐라 아일리아 파이티나 발레리아 메살리나 율리아 아그리피나 |
자녀 |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클라우디아 안토니아 클라우디아 옥타비아 브리타니쿠스 네로 (입양) |
기타 | |
로마자 표기법 | Ti. Claudius Nero Caesar Augustus Germanicus |
2. 이름
클라우디우스는 로마식 작명 관습, 사회적 관례, 개인적 선호도에 따라 생애 전반에 걸쳐 다양한 이름을 사용했다.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Tiberius Claudius D. f. Ti. n. Drusus): 코그노멘(cognomen)인 "드루수스(Drusus)"는 그의 아버지인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로부터 물려받았다. 그의 형인 게르마니쿠스는 장남으로서 삼촌이자 후일 황제가 된 티베리우스가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율리우스 카이사레스 가문에 입양되면서 "네로(Nero)"라는 코그노멘을 물려받았고, 아버지로부터 "게르마니쿠스(Germanicus)"라는 승전 명칭(아그노멘(agnomen))을 물려받았다.[1]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Tiberius Claudius D. f. Ti. n. Nero): 서기 9년 그의 형이 티베리우스에 의해 아우구스투스의 명에 따라 율리우스 카이사레스 가문에 입양되면서 클라우디우스는 클라우디이 네로네스의 당주가 되어 "네로(Nero)"라는 코그노멘을 계승하였다. 게르마니쿠스는 승전 명칭 "게르마니쿠스(Germanicus)"를 프라이노멘(praenomen)으로 유지하여 게르마니쿠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되었다. 그의 아들인 칼리굴라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게르마니쿠스로 알려졌으며 승전 명칭을 유지했고, 나중에는 가이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로 알려졌다. 일부 권위자들은 그의 이름이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네로 게르마니쿠스(Tiberius Claudius Drusus Nero Germanicus)였을 가능성을 고려한다.[2][3][4]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Tiberius Claudius Caesar Augustus Germanicus): 클라우디우스는 아우구스투스나 그의 후계자에게 공식적으로 입양된 적이 없었지만, 아우구스투스의 누이인 옥타비아의 손자였기 때문에 가족적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또한 이전 두 황제가 즉위 시 사용했던 것처럼 "아우구스투스(Augustus)"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는 영웅적인 형제와 아버지와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게르마니쿠스(Germanicus)"라는 명칭을 유지했다. 그는 그의 외할머니인 리비아를 신격화하여 아우구스투스의 아내로서의 지위를 강조했다. 클라우디우스는 전설적인 아버지와 그의 명성을 주장하기 위해 자신의 칭호에 "필리우스 드루시(filius Drusi)"(드루수스의 아들)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했다.[5]
3. 생애
클라우디우스는 기원전 10년 8월 1일, 현재 프랑스의 리옹에 해당하는 루그두눔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어머니는 안토니아 미노르였다. 게르마니쿠스와 리빌라라는 형제자매가 있었으며, 외조부모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아우구스투스의 누이인 옥타비아 미노르였다.[1]
어린 시절 클라우디우스는 병약하고 말을 더듬었으며, 한쪽 발을 저는 등 신체적 장애를 겪었다.[1] 이 때문에 가족들에게 '괴물' 취급을 받으며 냉대받았고, 어머니는 그를 어리석음의 표본으로 여겼다. 심지어 클라우디우스는 여러 해 동안 할머니 리비아에게 맡겨지기도 했다.[1]
하지만 십 대 시절이 되면서 클라우디우스의 증상은 잦아들었고, 가족들은 그의 학문적 재능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서기 7년, 리비우스가 술피키우스 플라부스의 도움을 받아 클라우디우스에게 역사를 가르치도록 고용되었다. 클라우디우스는 역사가 리비우스의 영향을 받아 역사에 대한 재능과 흥미를 키웠고, 에트루리아와 카르타고 역사를 저술하기도 했다.[1]
아우구스투스 사후, 기사들은 클라우디우스를 대표단장으로 선출하는 등, 클라우디우스는 대중의 존경을 받았다. 티베리우스 사후 즉위한 칼리굴라는 37년에 클라우디우스를 공동 집정관으로 임명하여, 클라우디우스는 집정관에 취임하며 원로원 의원이 되었다.[1]
칼리굴라 암살 이후, 근위군단의 추대로 황제가 되었다. 이는 군사력이 로마 황제를 결정하는 군인황제 시대의 첫 사례였다.[2] 원로원의 승인을 받았지만, 실질적으로는 근위대의 군사력에 의해 즉위했다.[2]
클라우디우스는 황제 즉위 후, 로마 제국을 안정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강조하기 위해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형 게르마니쿠스와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게르마니쿠스"라는 명예 칭호를 유지했다. 또한 외할머니 리비아 드루실라를 신격화했다.[4]
플리니우스는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사람들이 반지에 보석을 사용하지 않고 금 자체로 봉인하는 유행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또한 클라우디우스는 마케도니아와 아카이아를 원로원 속주로 복원했다.
클라우디우스는 일생 동안 네 번 결혼했다. 첫 번째 약혼은 사촌인 아밀리아 레피다였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파혼되었다. 두 번째 약혼은 리비아 메둘리나 카밀라였는데, 결혼식 날 메둘리나가 갑자기 죽으면서 끝났다.[13]
플라우티아 우르굴라닐라와 결혼하여 아들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를 낳았지만, 드루수스는 십대 초반에 질식으로 사망했다. 클라우디우스는 나중에 우르굴라닐라가 간통을 저지르고 시누이를 살해했다는 의심으로 그녀와 이혼했다.[13]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클라우디우스는 아이리아 파에티나와 결혼하여 딸 클라우디아 안토니아를 낳았다. 하지만 이 결혼이 정치적 부담이 되자 그는 나중에 그녀와 이혼했다.[13]
아이리아 파에티나와 이혼한 지 몇 년 후인 38년이나 39년 초, 클라우디우스는 발레리아 메살리나와 결혼했다. 결혼 후 얼마 되지 않아 딸 클라우디아 옥타비아를 낳았고, 클라우디우스가 즉위한 직후 아들 브리탄니쿠스를 낳았다.[13] 48년, 클라우디우스가 오스티아에 있는 동안 메살리나는 연인 가이우스 실리우스와 공개적으로 결혼식을 올렸다.[13]
메살리나가 황제와 먼저 이혼했는지, 왕위를 찬탈하려 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자료들이 의견이 다르지만, 결국 그녀는 처형당했다.[13]
클라우디우스는 다시 한 번 결혼했다. 소 아그리피나는 점차 클라우디우스로부터 권력을 장악했고, 아들이 황제가 될 길을 열었다.[14]
클라우디우스는 아그리피나를 받아들였고, 아들 네로를 입양하여 '네로 클라우디우스 카이사르'로 개명했다. 네로는 클라우디우스의 딸 옥타비아와 결혼하여 브리탄니쿠스와 함께 공동 상속인이 되었고, 지위가 상승했다.[15]
54년, 클라우디우스는 독버섯에 중독되어 사망했다고 전해지지만, 네 번째 아내이자 다음 황제인 네로의 어머니인 소 아그리피나에게 암살되었다는 설이 고대부터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32]
3. 1. 즉위 이전
클라우디우스는 기원전 10년 8월 1일 루그두눔(현재 프랑스의 리옹)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어머니는 안토니아 미노르였다. 그는 게르마니쿠스와 리빌라라는 두 명의 형제자매가 있었으며, 외조부모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 미노르(아우구스투스의 누이)였다.[1]클라우디우스는 어릴 때부터 병약하고, 말을 더듬고 한쪽 발을 저는 등 신체적 장애를 겪었다.[1] 이 때문에 가족들에게 '괴물' 취급을 받으며 냉대받았다. 어머니 안토니아는 아들을 어리석음의 표본으로 여겼고, 심지어 여러 해 동안 클라우디우스를 할머니 리비아에게 맡기기도 했다.[1] 리비아는 조금 더 친절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디우스에게 짧고 화난 질책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1] 클라우디우스는 훈육을 위해 전직 노새몰이꾼에게 맡겨지기도 했는데, 이는 그의 상태가 나태함과 의지력 부족 때문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1]
하지만 십 대 시절이 되면서 클라우디우스의 증상은 쇠퇴했고, 가족들은 그의 학문적 관심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서기 7년, 리비우스가 술피키우스 플라부스의 도움을 받아 클라우디우스에게 역사를 가르치도록 고용되었다. 그는 역사가 리비우스의 영향을 받아 역사에 대한 재능과 흥미를 키웠고, 에트루리아와 카르타고 역사를 저술하기도 했다.[1]
클라우디우스의 역사가로서의 활동은 그의 공직 진출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그는 내전에 관한 역사를 집필했는데, 그 내용이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로 통치하고 있던 옥타비아누스에 대해 너무 사실적이거나 비판적이었다는 것이다. 그의 어머니와 할머니는 재빨리 그 일을 중단시켰고, 이는 그들이 클라우디우스가 공직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게 만들었을 수 있다.
아우구스투스 사후, 기사들은 클라우디우스를 대표단장으로 선출하고, 그의 집이 불에 타자 상원은 공공 비용으로 재건할 것을 요구하는 등, 클라우디우스는 대중의 존경을 받았다. 티베리우스 사후 즉위한 칼리굴라는 37년에 클라우디우스를 공동 집정관으로 임명하여, 클라우디우스는 칼리굴라와 함께 집정관에 취임하며 원로원 의원이 되었다.[1]
3. 2. 즉위
칼리굴라가 암살된 후, 근위군단의 추대로 황제가 되었다. 이는 군사력이 로마 황제를 결정하는 군인황제 시대의 첫 사례가 되었다.[2] 원로원의 승인을 받았지만, 실질적으로는 근위대의 군사력에 의해 즉위했다.[2]전통에 따르면, 그라투스라는 근위병이 커튼 뒤에 숨어 있던 클라우디우스를 발견하고 그를 ''프린케프스''라고 선언했다.[2] 클라우디우스는 근위대 주둔지로 옮겨져 보호를 받았다.
원로원은 회의를 열고 정권 교체에 대해 논의했지만, 새로운 ''프린케프스''를 누구로 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원로원은 프라이토리아니(근위대)의 주장을 듣고 클라우디우스를 승인을 위해 넘겨줄 것을 요구했지만, 클라우디우스는 위험을 감지하고 거절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헤로데 아그리파가 클라우디우스에게 지시를 내렸다고 주장하지만, 고대 저술의 이전 버전에서는 아그리파의 역할을 축소하여 불확실한 부분이 남아 있다.[3] 결국 원로원은 굴복했고, 클라우디우스는 일반적인 사면을 선포했지만, 음모에 연루된 하급 장교 몇 명은 처형했다.
3. 3. 황제로서의 업적
클라우디우스는 황제 즉위 후, 로마 제국을 안정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고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강조하기 위해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형 게르마니쿠스와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게르마니쿠스"라는 명예 칭호를 유지했다. 또한 외할머니 리비아 드루실라를 신격화했다.[4]클라우디우스는 프라이토리아니 수비대의 주도로 황제가 되었는데, 이는 군대의 충성심을 확보하기 위해 뇌물을 사용한 최초의 황제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5] 그러나 그는 수비대에 감사하며, 통치 초기에 그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동전을 발행하기도 했다.
플리니우스는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사람들이 반지에 보석을 사용하지 않고 금 자체로 봉인하는 유행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또한 클라우디우스는 마케도니아와 아카이아를 원로원 속주로 복원했다.
3. 3. 1. 내정 개혁
칼리굴라가 암살된 후, 프라이토리아니는 클라우디우스를 황제로 추대했다. 이는 군사력이 로마 황제를 결정한 최초의 사례였다.[32] 클라우디우스는 즉위와 동시에 칼리굴라가 붕괴시킨 로마의 재정을 재건했다. 그는 해방 노예를 적극 등용하여 황제 권력 집중과 관료제 발달을 추진했는데, 이는 비(非)원로원 의원의 정치 참여 증대로 이어졌다.45년, 클라우디우스는 이탈리아의 유대인들을 강제 추방하는 반유대주의 정책을 실시하여 약 2만 5천 명의 유대인들이 그리스의 코린토스로 이주하였다.[32]
3. 3. 2. 제국 확장
클라우디우스는 브리타니아 원정을 단행하여 로마 제국의 영토를 확장했다. 이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원정 이후 처음으로 본격적인 브리타니아 정복이었으며, 실제로 브리타니아 남부 정복에 성공했다.[4] 훗날 황제가 된 베스파시아누스도 이때 처음으로 그 재능을 인정받았다. 또한 마우레타니아, 트라키아, 노리쿰, 리키아, 유대 지방을 로마 제국에 병합했다.3. 3. 3. 사법 및 입법 활동
클라우디우스는 재판을 직접 주관하는 등 사법 제도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2] 그는 법정 회기를 연장하고, 병든 노예의 지위, 시민권 사칭 처벌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칙령을 발표했다.3. 3. 4. 공공 사업
클라우디우스는 재위 기간 동안 수도와 속주 전역에서 많은 공공 사업을 시행했다. 그는 칼리굴라가 시작한 클라우디아 수도교와 아니오 노부스 수도교 등 두 개의 수도교를 건설하거나 완공했다.[7] 이 수도교들은 52년에 로마에 진입하여 마조레 문에서 만났다. 그는 또한 세 번째 수도교인 비르고 수도교를 복원했다.그는 교통에도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이탈리아 전역과 속주에 도로와 운하를 건설했다. 여기에는 라인강에서 바다로 이어지는 대규모 운하와 그의 아버지 드루수스가 시작한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 가도(이탈리아에서 독일로 이어지는 도로)가 포함된다. 로마에 가까운 곳에서는 티베르 강에 항행 가능한 운하를 건설하여 오스티아 북쪽에 있는 그의 새로운 항구인 포르투스로 이어지게 했다. 이 항구는 반원형으로 건설되었으며, 입구에는 두 개의 방파제와 등대가 있어 로마의 홍수를 줄였다.
오스티아 항구는 로마의 해상 운송 시즌이 끝난 후 겨울에 발생하는 끊임없는 곡물 부족 문제에 대한 클라우디우스의 해결책의 일부였다. 그의 해결책의 다른 부분은 비수기에 이집트로 여행하는 위험을 감수하려는 곡물 상인들의 배를 보험에 가입하게 한 것이었다. 그는 또한 그들의 선원들에게 시민권과 파피아 포파이아 법(결혼을 규제하는 법) 면제 등 특별한 특권을 부여했다. 또한 그는 칼리굴라가 식량에 부과했던 세금을 폐지하고 가뭄이나 기근을 겪고 있는 지역 사회의 세금을 추가로 감면했다.
기근을 피하기 위한 클라우디우스 계획의 마지막 부분은 이탈리아의 경작지 면적을 늘리는 것이었다. 이는 푸치네 호수를 배수하고 인근 강을 연중 항행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통해 달성될 예정이었다.[8] 사도행전에는 클라우디우스 통치 기간에 심각한 기근이 있었던 것으로 언급되어 있으며, 안티오크를 방문한 아가보라는 그리스도인이 예언했었다.[9]
호수 바닥을 통해 터널이 파였지만, 계획은 실패했다. 터널은 구부러져 있었고 물을 운반하기에 충분히 크지 않아 열리면 물이 역류했다. 그 결과 발생한 홍수로 개장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 대규모 검투사 경기가 휩쓸려 클라우디우스는 다른 관중들과 함께 목숨을 걸고 도망쳐야 했다. 호수의 배수는 중세까지도 문제로 남아 있었다. 마침내 19세기에 토르로니아 친왕에 의해 달성되어 16만 에이커(647 km²)가 넘는 새로운 경작지가 생겨났다.[8] 그는 클라우디우스의 터널을 원래 크기의 세 배로 확장했다.
3. 3. 5. 종교 개혁
클라우디우스는 아우구스투스의 종교 개혁에 관한 논문을 저술했을 정도로 로마 전통 종교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국가 종교의 올바른 형태에 대해 고민했고, 알렉산드리아 그리스인들이 자신의 신전에 신성을 부여하려는 요청을 거절하며 신만이 새로운 신을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4] 그는 칼리굴라가 추가한 불필요한 축제들을 없애고, 잊혀진 축제일을 복원하는 등 옛 관습과 고대 언어를 부활시키려 노력했다.클라우디우스는 도시 내 동방 신비 종교가 확산되는 것을 우려하여 로마적인 대안을 찾고자 했다. 그는 공화정 시대에 많은 사람들이 따르던 엘레우시스 신비 의식을 장려했다. 또한, 외국 점성가들을 추방하고, 고대 로마의 점쟁이인 점복관(haruspices)을 복권시켜 대체하고자 했다.[5]
특히, 클라우디우스는 로마 국가 종교와 갈등을 일으키고 포교 활동을 하는 드루이드교를 탄압했다.[5]
3. 4. 원로원과의 관계
클라우디우스는 즉위 과정의 특수성 때문에 로마 원로원의 환심을 사기 위해 노력했다. 정기 회의에 참석하여 의원들과 동등하게 발언하고, 법안 제안 시에는 호민관의 권한을 가진 자격으로 집정관들 사이에 앉았다. 즉위 초기에 황제의 칭호를 거부하고 원로원이 주화를 발행하도록 허용했으며, 마케도니아와 아카이아 속주를 원로원 관할로 복귀시켰다.클라우디우스는 상원을 효율적이고 대표적인 기구로 개편하고자 했다. 원로원 의원들이 토론에 소극적인 것을 질책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만약 여러분이 이 제안들을 받아들인다면, 원로원 의원들이여, 여러분의 신념에 따라 즉시 그리고 간단하게 말씀해 주십시오. 만약 받아들이지 않으신다면, 대안을 찾으십시오. 그러나 바로 여기서 지금 하십시오. 또는 고려할 시간을 원하신다면, 시간을 가지십시오. 단, 소집될 때마다 의견을 말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집정관이 임명된 집정관의 말을 그대로 반복하고, 다른 모든 사람이 단지 '나는 찬성한다'라고 말하며, 그 후 회의가 끝난 후 '우리는 토론했다'라고 발표하는 것은 상원의 위엄에 어울리지 않습니다.[10]
47년에는 오랫동안 폐지되었던 감찰관 직책을 맡아 자격 미달 의원들을 제명하고, 속주 출신 인사들을 상원에 받아들였다. 리옹 비석(Lyon Tablet)에는 갈리아 출신 원로원 의원들의 입회를 옹호하는 그의 연설이 보존되어 있다. 그는 귀족 가문의 수를 늘리기도 했다.
하지만 많은 원로원 의원들은 클라우디우스에게 적대적이었다. 이는 황제가 원로원이 아니라 프라이토리아노 수비대의 주도로 즉위했기 때문이며, 그의 평판을 손상시켰다. 클라우디우스는 군대의 충성심을 확보하기 위해 뇌물을 사용한 최초의 황제였으며, 즉위 후 수비대 병사들에게 15000세스테르티우스를 상으로 주었다.[5]
클라우디우스 치세 동안 여러 차례의 쿠데타 시도가 있었고, 많은 원로원 의원들이 처형되었다. 아피우스 실라누스는 의문스럽게 처형되었고, 비니키아누스와 스크리보니아누스는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아시니우스 갈루스, 발레리우스 아시아티쿠스 등 많은 원로원 의원들이 음모에 연루되어 처형되거나 유배되었다. 가이우스 실리우스의 음모는 메살리나와 연관되어 타키투스의 연대기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수에토니우스는 클라우디우스 치세 동안 35명의 원로원 의원과 300명의 기사가 처형되었다고 기록했다.[29]
클라우디우스는 효율성을 위해 상원의 권력을 축소하고, 제국의 재정 문제 등 행정을 황제가 임명한 관리와 해방 노예들에게 맡겼다. 이로 인해 원로원의 분노는 더욱 커졌고, 해방 노예들이 황제를 조종한다는 비난이 제기되었다.
3. 5. 결혼과 가정 생활
클라우디우스는 일생 동안 네 번 결혼했다. 첫 번째 약혼은 사촌인 아밀리아 레피다였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파혼되었다. 두 번째 약혼은 리비아 메둘리나 카밀라였는데, 결혼식 날 메둘리나가 갑자기 죽으면서 끝났다.[13]플라우티아 우르굴라닐라와 결혼하여 아들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를 낳았지만, 드루수스는 십대 초반에 세이아누스의 딸 유닐라와 약혼한 직후 질식으로 사망했다. 클라우디우스는 나중에 우르굴라닐라가 간통을 저지르고 시누이 아프로니아를 살해했다는 의심으로 그녀와 이혼했다. 이혼 후 우르굴라닐라가 딸 클라우디아를 낳자, 클라우디우스는 아이를 파기했는데, 아버지가 그의 해방 노예 중 한 명이었다는 주장 때문이었다.[13]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아마도 28년에) 클라우디우스는 세야누스의 친척인 아이리아 파에티나와 결혼하여 딸 클라우디아 안토니아를 낳았다. 하지만 이 결혼이 정치적 부담이 되자 그는 나중에 그녀와 이혼했다.[13]
아이리아 파에티나와 이혼한 지 몇 년 후인 38년이나 39년 초, 클라우디우스는 발레리아 메살리나와 결혼했다. 메살리나는 클라우디우스의 사촌이자 칼리굴라의 측근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결혼 후 얼마 되지 않아 딸 클라우디아 옥타비아를 낳았고, 클라우디우스가 즉위한 직후 아들 브리탄니쿠스를 낳았다.[13]
고대 역사가들은 메살리나가 색정광이었으며 클라우디우스에게 정기적으로 불륜을 저질렀다고 주장한다. 타키투스는 그녀가 매춘부와 경쟁하여 누가 하룻밤에 더 많은 성 파트너를 가질 수 있는지 시험까지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13] 또한 그녀는 클라우디우스의 정책을 조종하여 부를 축적했다. 48년, 클라우디우스가 오스티아에 있는 동안 메살리나는 연인 가이우스 실리우스와 공개적으로 결혼식을 올렸다.[13]
메살리나가 황제와 먼저 이혼했는지, 왕위를 찬탈하려 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자료들이 의견이 다르지만, 결국 그녀는 처형당했다.[13]
클라우디우스는 다시 한 번 결혼했다. 그의 해방 노예들이 추천한 세 명의 후보는 칼리굴라의 세 번째 부인 롤리아 파울리나, 클라우디우스의 이혼한 두 번째 부인 아이리아 파에티나, 그리고 클라우디우스의 조카딸 소 아그리피나였다.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아그리피나는 여성스러운 매력으로 승리했다. 그녀는 점차 클라우디우스로부터 권력을 장악했고, 아들이 황제가 될 길을 열었다.[14]
실리우스와 메살리나의 쿠데타 시도는 클라우디우스 가문 출신이라는 그의 입장의 약점을 깨닫게 했을 가능성이 높다. 아그리피나는 아우구스투스의 몇 안 되는 후손 중 한 명이었고, 그녀의 아들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미래의 네로)는 황실 가족의 마지막 남성 중 한 명이었다. 상원이 율리우스 가문과 클라우디우스 가문 사이의 불화를 종식시키려는 시도로 이 결혼을 추진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14]
클라우디우스는 아그리피나를 받아들였고, 아들 네로를 입양하여 '네로 클라우디우스 카이사르'로 개명했다. 네로는 클라우디우스의 딸 옥타비아와 결혼하여 브리탄니쿠스와 함께 공동 상속인이 되었고, 지위가 상승했다.[15]
3. 6. 죽음
54년, 클라우디우스는 독버섯에 중독되어 사망했다고 전해지지만, 네 번째 아내이자 다음 황제인 네로의 어머니인 소 아그리피나에게 암살되었다는 설이 고대부터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32] 고대 역사가들은 클라우디우스가 독살되었다는 데 동의하며, 아마도 버섯이나 깃털(구토를 유발하기 위해 목구멍에 넣은 것으로 추정됨)에 들어 있던 독약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거의 모든 고대 역사가들이 그의 마지막이자 강력했던 아내인 소 아그리피나를 배후로 지목한다. 아그리피나와 클라우디우스는 사망하기 몇 달 전부터 더욱 대립적인 관계가 되었으며, 클라우디우스가 자신의 나쁜 아내들을 공개적으로 한탄하고, 제국의 가족 내에서 그의 지위를 회복하기 위해 브리타니쿠스의 성년기에 주목하기 시작할 정도로 심각해졌다. 아그리피나에게는 브리타니쿠스가 권력을 얻기 전에 네로의 계승을 확보할 동기가 있었다.
일부에서는 그의 시식관 할로투스, 그의 의사 크세노폰, 또는 악명 높은 독살자 로쿠스타가 치명적인 물질을 투여한 사람으로 지목하기도 한다.[23] 어떤 사람들은 그가 저녁 식사에서 한 번 복용한 후 오랜 고통을 겪은 후 죽었다고 말하고, 어떤 사람들은 회복되었다가 다시 독살되었다고 말한다. 그의 동시대 자료들 중 세네카는 황제의 죽음을 자연적인 원인으로 돌렸고, 요세푸스는 그의 독살에 대한 소문만 언급했다.
클라우디우스의 유골은 10월 24일 54년에 그의 고모부 아우구스투스의 장례식과 유사한 장례식 후 아우구스투스 묘에 안치되었다. 이후 클라우디우스의 친아들 브리탄니쿠스도, 소 아그리피나의 의붓아들로 클라우디우스가 양자로 삼았던 네로에 의해 살해되었다. 클라우디우스에게는 브리탄니쿠스 외에 아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20년)가 있었지만 요절하였고, 브리탄니쿠스의 죽음으로 남계는 완전히 단절되었다.
4. 관련 작품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1934년과 1935년에 각각 소설 《나는 클라우디우스다》(I, Claudius)와 《신 클라우디우스》(Claudius the God)를 출판하여 클라우디우스를 대중에게 널리 알렸다. 두 소설 모두 1인칭 시점으로 쓰여 독자가 클라우디우스의 자서전을 읽는 듯한 느낌을 준다.[29] 그레이브스는 소설 속에서 클라우디우스의 편지, 연설, 어록을 사용하여 진정성을 더했다.[30]
1937년, 조제프 폰 스턴버그 감독은 찰스 로턴을 클라우디우스 역으로 캐스팅하여 《나는 클라우디우스다》를 영화로 만들려고 했다. 그러나 주연 배우 머리 오버런의 교통사고로 영화는 완성되지 못했다. 남은 필름은 BBC 다큐멘터리 《실현되지 않은 서사시》(The Epic That Never Was, 1965)에 소개되었다.[29]
그레이브스의 두 소설은 영국 방송 협회(BBC)에서 제작한 텔레비전 드라마 《나는 클라우디우스다》(I, Claudius)의 원작이 되었다. 데릭 자코비가 클라우디우스 역을 맡아 1976년 BBC2에서 방영된 이 드라마는 비평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어 영국 아카데미 영화 및 텔레비전 예술상(BAFTA)을 여러 개 수상했다. 드라마는 1977년 미국에서 《마스터피스 시어터》(Masterpiece Theatre)를 통해 방영되었고, 이후 VHS와 DVD로 출시되었다.[30]
2010년에는 로빈 브룩스가 각색하고 존퀼 판팅이 연출한 라디오 드라마가 BBC 라디오 4에서 6개의 에피소드로 방영되었다. 톰 굿맨-힐이 클라우디우스, 데릭 자코비가 아우구스투스, 해리엇 월터가 리비아, 팀 맥이너니가 티베리우스, 새뮤얼 바넷이 칼리굴라 역을 맡았다.
2011년, HBO와 BBC Two는 미니시리즈 제작 권리를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로마》의 제작자인 앤 톰포폴로스와 제인 트랜터가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나, 2018년까지 제작되지 않았고 출시일도 미정이다.
이 외에도 여러 영화와 드라마에서 클라우디우스가 등장했다.
- 1954년 영화 《데메트리우스와 검투사들》: 배리 존스
- 1960년 영화 《메살리나》: 미노 도로
- 1968년 드라마 《카이사르들》: 프레디 존스
- 1975년 TV 특별 프로그램 《더 업 폼페이!》: 시릴 애플턴
- 1979년 영화 《칼리굴라》: 지안카를로 바데시 (클라우디우스를 바보로 묘사)
- 1981년 영화 《칼리굴라와 메살리나》: 지노 투리니
- 1985년 미니시리즈 《A.D.》: 리처드 카일리
- 2004년 TV 영화 《네로》: 마시모 다포르토
-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로마 제국》 시즌 3: 켈슨 헨더슨
- 영화 《글래디에이터》: 클라우디우스의 쿠데타 진압 언급 (허구)
- 드라마 《브리타니아》(2018): 스티브 펨버턴
- 2019년 BBC 영화 《호러블 히스토리스: 더 무비 - 로튼 로만스》: 데릭 자코비
문학에서는 미카 발타리의 역사 소설 《로마인》, A. E. 폰 보그트의 소설 《원자 제국》과 《린의 마법사》, 린다 프라우드의 소설 《영혼의 전차》 등에 클라우디우스가 등장한다.
5. 가계도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가계도 | ||||||||||||||
---|---|---|---|---|---|---|---|---|---|---|---|---|---|---|
Gaius Julius Caesar II|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2세la | Marcia|마르키아la | colspan="10" | | ||||||||||||
colspan="5"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 ||||||||||||||
Gaius Marius|가이우스 마리우스la | Julia|율리아la | Gaius Julius Caesar (proconsul)|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프로콘술)la | Aurelia Cotta|아우렐리아 코타la | Sextus Julius Caesar (consul 91 BC)|섹스투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기원전 91년 집정관)la | colspan="7" | | |||||||||
colspan="5"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 ||||||||||||||
Gaius Marius minor|가이우스 마리우스 미노르la | Cornelia Cinna minor|코르넬리아 킨나 미노르la | Gaius Julius Caesar|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la | Julia Caesaris minor|소 율리아 카이사리스la | Marcus Atius Balbus|마르쿠스 아티우스 발부스la | colspan="8" | | |||||||||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 ||||||||||||||
Pompeia|폼페이아la | Julia Caesaris|율리아 카이사리스la | Gaius Octavius|가이우스 옥타비우스la | 아티아 | colspan="8" | | ||||||||||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 ||||||||||||||
Scribonia|스크리보니아la | 아우구스투스 | 리비아 드루실라 | Tiberius Claudius Nero|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la | 소 옥타비아 | 안토니우스 | Gaius Claudius Marcellus Minor|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미노르la | colspan="7" | | |||||||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 ||||||||||||||
아그리파 | 대 율리아 | 티베리우스 | 대 드루수스 | 소 안토니아 | 대 안토니아 | Lucius Domitius Ahenobarbus (consul 16 BC)|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기원전 16년 집정관)la | 소 마르켈라 | Marcus Valerius Messalla Messallinus|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메살리누스la | colspan="5" | | |||||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 ||||||||||||||
대 아그리피나 | 게르마니쿠스 | 클라우디우스 | Gnaeus Domitius Ahenobarbus (consul 32)|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32년 집정관)la | 도미티아 레피다 | Marcus Valerius Messalla Barbatus|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바르바투스la | colspan="4" | | ||||||||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 ||||||||||||||
Milonia Caesonia|밀로니아 카이소니아la | 칼리굴라 | 소 아그리피나 | 메살리나 | colspan="9" | | ||||||||||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 | ||||||||||||||
Julia Drusilla (daughter of Caligula)|율리아 드루실라 (칼리굴라의 딸)la | 네로 | 클라우디아 옥타비아 | 브리탄니쿠스 | colspan="8" | |
참조
[1]
harvard
null
null
[2]
harvard
null
null
[3]
문서
Bellum Judaicum
s:The War of the Jew[...]
null
[4]
웹사이트
Claudius
https://pharaoh.se/r[...]
2018-03-12
[5]
웹사이트
Coin, Museum No. R1874,0715.4
http://www.britishmu[...]
2018-02-26
[6]
웹사이트
Head of the Emperor Claudius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null
[7]
서적
The Twelve Caesars
Penguin
2006
[8]
서적
The Twelve Caesars
Penguin
2006
[9]
웹사이트
Acts 11:28 KJV
https://en.wikisourc[...]
null
[10]
문서
English translation of Berlin papyrus
null
[11]
harvard
null
null
[12]
서적
Eunuchs and Castrati: A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Markus Wiener Publishers
2001
[13]
harvard
null
null
[14]
harvard
null
1940
[15]
harvard
null
2015
[16]
뉴스
Robert Graves's Story of a Flagrant Age in Rome: 'I, Claudius' Is a Brilliant Picture of Rome During the Reigns of Augustus, Tiberius and Caligula
https://proquest.com[...]
The New York Times
1934-06-10
[17]
웹사이트
The Imperial Gene
http://www.mentalhea[...]
The Medical Post
1996-07-16
[18]
저널
A Neurological Mystery from History: The Case of Claudius Caesar
2010
[1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Oxford At The Clarendon Press
1937
[20]
harvard
null
null
[21]
harvard
null
1934
[22]
harvard
null
1993
[23]
harvard
null
null
[24]
harvard
null
2004
[25]
harvard
null
2015
[26]
서적
Emperor worship and Roman religion
Clarendon Press, Oxford
2002
[27]
서적
Emperor worship and Roman religion
Clarendon Press
null
[28]
서적
Rome and Its Empire, AD 193–284
https://books.google[...]
2008
[29]
웹사이트
I, Claudius (2009) – Synopsis
https://web.archive.[...]
[30]
웹사이트
I, Claudius
https://www.imdb.com[...]
1977-11-06
[31]
웹사이트
Claudius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null
[32]
성경
사도행전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