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롱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롱이는 짚을 엮어 만든 전통적인 방수 의복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비나 추위를 막는 실용적인 도구로 활용되었으며, 특히 한국에서는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우비와 우산의 등장으로 실용성은 감소했지만, 전통 행사, 축제, 민속 예술 공연 등에서 의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 예술 작품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속담, 민속 신앙, 대중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2. 역사

도롱이는 고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었지만, 벼농사가 발달한 베트남, 중국 강남 지방, 한반도, 일본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특히 많이 사용되었다. 벼 짚은 방수 성질을 가지고 있어 물방울이 스며들기보다는 짚의 섬유 길이를 따라 흐르는 경향이 있었고, 단면이 빈 공간이 많은 구조로 되어 있어 보온에도 뛰어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도롱이는 전근대 기술로 제작된 의상 중에서는 방수 투습성이 매우 뛰어났다.

하지만 도롱이는 부피가 커서 움직이기 어렵고, 불에 매우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다만, 숲이나 습지에서는 주변 풍경과 비슷하게 보여 위장 효과를 내기도 했다.[1]

일본민예관 등에는 도롱이가 소장되어 있으며[7], 에나코 반도리라는 도롱이의 일종은 그 제작 기술이 일본에서 중요무형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8]

2. 1. 현대의 도롱이

합성 섬유와 이후 플라스틱이 일본에 도입되면서 미노|도롱이일본어는 실용성을 많이 잃고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여전히 다양한 전통 민속 행사와 축제에서 의상으로 착용되고 있으며, 오가 반도의 설날 축제에서 남자들이 가면과 미노|도롱이일본어를 착용한 도깨비와 같은 나마하게일본어로 분장한다. 미노|도롱이일본어는 일부 가부키 연극에서도 볼 수 있다.[2]

여러 명의 가 를 포함한 의상을 입고 있다.

3. 특징

짚은 본래 방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짚 매트에 물방울이 떨어지면 섬유 아래로 스며들기보다는 섬유 길이를 따라 흐르는 경향이 있다. 벼 짚과 같이 어느 정도 발수성이 있는 섬유에 빗방울이 떨어졌을 경우, 섬유를 따라 물이 흘러내려 내부로 스며들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다. 또한 짚의 단면은 여러 겹의 중공 구조로 되어 있어 보온에도 뛰어나다.[1] 전근대 기술로 제작된 의상으로는 방수 투습성이 매우 뛰어나지만, 부피가 매우 커서 움직이기 어렵고, 화기에 매우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부차적인 이점으로, 습지나 삼림에서 착용했을 때 주변 풍경에 섞여서 잘 보이지 않는 은신(은밀) 효과가 종종 나타나는데, 이는 현대의 길리 수트와 유사하다.[1]

4. 문화

도롱이는 여러 문화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등장한다.


  • 도롱이벌레: 사람이 도롱이로 몸을 감싸듯 잡동사니를 모아 보강한 고치를 만들어 월동하는 모습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 쏠배감펭: 일본어 명칭 '蓑笠子(도롱이립자)'는 지느러미를 도롱이나 삿갓에 비유한 것이다.
  • 도롱이거북: 일본 자라의 이명으로, 오래된 개체의 등껍질에 이끼가 껴서 도롱이를 두른 듯한 모습에서 유래했다.
  • 미노: 소의 제1 위(루멘)를 가리키는 일본어로, 열린 모습이 도롱이와 닮았기 때문이다.
  • 은신도롱이: 텐구오니가 몸에 걸치는 전설 속 도롱이로, 자유자재로 모습을 숨길 수 있다. 실체를 숨기기 위한 수단이나 겉으로 내세우는 이유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 도롱이불: 시가현 히코네시에 전해지는 괴화의 일종으로, 도롱이에 달라붙는 반딧불이 불빛 같은 발광체이다.
  • 도롱이짚신: 도롱이가 몸통, 짚신이 양 다리가 된 모습의 일본 요괴이다. 도롱이는 주력이 있고 오래되면 요괴로 변하기 쉽다고 여겨졌다.[9]

4. 1. 한국 문화

한국 민속에서 도롱이는 농경 사회의 상징이자 민속 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다양한 전설, 민담, 속담 등에서 도롱이를 소재로 한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다.

4. 2. 일본 문화

짚은 본래 방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짚 매트에 물방울이 떨어지면 섬유 아래로 스며들기보다는 섬유 길이를 따라 흐르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 일본의 우비는 종종 짚으로 만들어졌으며, 구하기 쉽고, 짜고 고정하기 쉬우며, 가볍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 우비는 부피가 크고 인화성이 매우 높았다. 과거에는 짚 옷이 숲과 습지를 포함한 특정 지형에서 상당한 수준의 위장 효과를 제공한다는 추가적인 장점도 있었는데,[1] 이는 현대의 길리 수트와 유사하다.

합성 섬유와 이후 플라스틱이 일본에 도입되면서 미노|미노일본어는 실용성을 많이 잃고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4. 2. 1. 민속



오늘날에도 도롱이는 여러 전통 민속 행사와 축제에서 의상으로 착용되고 있다. 오가 반도의 설날 축제에서 남자들이 가면과 미노를 착용한 도깨비와 같은 나마하게로 분장한다.[2] 가부키 연극에서도 미노를 볼 수 있다.[2]

4. 2. 2. 대중문화

짚은 본래 방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짚 매트에 물방울이 떨어지면 섬유 아래로 스며들기보다는 섬유 길이를 따라 흐르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 일본의 우비는 종종 짚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구하기 쉽고, 짜고 고정하기 쉬우며, 무게가 가볍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 우비는 부피가 크고 인화성이 매우 높았다.[1]

합성 섬유와 이후 플라스틱이 일본에 도입되면서 도롱이는 실용성을 많이 잃고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여전히 다양한 전통 민속 행사와 축제에서 의상으로 착용되고 있으며, 오가 반도의 설날 축제에서 남자들이 가면과 도롱이를 착용한 도깨비와 같은 나마하게로 분장한다. 도롱이는 일부 가부키 연극에서도 볼 수 있다.[2]

사루미노|일본어는 1691년 바쇼 학파 시의 선집으로, 고전 일본어 시의 가장 중요한 편집물 중 하나로 널리 여겨진다.[3][4]

도롱이벌레(Bagworm moth) 포켓몬인 도롱충이는 일본어로 미노뭇치|일본어라고 불리는데, 이는 도롱이벌레의 일본어 단어인 미노무시|일본어와 귀여운 애칭을 나타내는 일본어 접미사 -cchi|일본어의 포트만토이다. 미노무시|일본어 자체는 "벌레"를 의미하는 mino|일본어와 mushi|일본어의 포트만토이다. 이는 도롱충이의 일본어 이름이 "짚 코트를 입은 귀요미"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략 번역된다는 것을 의미한다.[5]

얼음 타입 포켓몬인 눈꼬마는 눈에서 나오는 일본 민속 영혼인 유킨코|일본어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또한 도롱이를 착용한다.

나루토에 등장하는 음 소속 닌자 도스 키누타는 어깨에 도롱이를 착용한다.[6]

4. 3. 관련 사물


  • '''도롱이벌레''': 사람이 도롱이로 몸을 감싸듯 잡동사니를 모아 보강한 도롱이 같은 고치를 만들어 월동하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미노무시(도롱이벌레)는 '미노가(도롱이 나방)'의 유충이다.
  • '''쏠배감펭''': 일본어 명칭의 한자 표기 '蓑笠子(도롱이립자)'는 이 물고기의 지느러미를 도롱이나 삿갓에 비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도롱이거북''': 일본 자라의 이명. 오래 사는 개체는 등 껍질 표면에 이끼가 생겨 마치 도롱이를 두른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 특징에서 속칭 '도롱이거북'이라고 한다.
  • '''미노''': 소의 제1 위(루멘)를 가리키는 일본어. 그 이름은 열린 모습이 도롱이와 닮은 데서 유래했다.
  • '''은신도롱이''': 텐구오니가 몸에 걸치는 전설 속의 도롱이로, 자유자재로 모습을 숨길 수 있다. 전하여 실체를 숨기기 위한 수단, 겉으로 내세우는 이유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 '''도롱이불''': 오미국 히코네(현 시가현 히코네시)에 전해지는 괴화의 일종으로, 몸에 걸친 도롱이에 달라붙는 반딧불이 불빛과 같은 미세한 수수께끼의 발광체. 이와 유사한 것을 다른 지역에서는 '도롱이벌레의 불(미노무시노히)' 등의 명칭으로 부른다.
  • '''도롱이짚신''': 도롱이가 몸통, 짚신이 양 다리가 된 모습의 일본의 요괴. 도롱이는 래방신의 많은 존재가 몸에 걸치는 것처럼 주력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오래 사용한 것은 요괴로 변하기 쉽다고 믿어졌다[9].

5. 기타


  • 시마바라의 난 직전 시마바라 번 영내에서는 연공을 체납한 농민에게 고문하거나 처형하는 방법으로, 손발을 묶은 다음 도롱이를 입혀 불을 지르는 "도롱이 춤"이 있었다.[7]
  • 태평양 전쟁 중에 미국군이 제작한 매뉴얼에는 도롱이를 착용한 일본군 병사의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으며, "일본군 병사가 사용하는 저격수용 위장복(카무플라주)"이라는 해설이 붙어 있다. 이는 일본군 병사가 우비로 사용하던 도롱이를 그 외관 때문에 풀이나 나무에 숨어 위장하기 위한 특수 장비라고 포획한 미국군이 오해한 것이다.[7]
  • 메이지 중기까지 아사쿠사 카미나리몬에서는 매년 3월 19일과 12월 19일에 도롱이 시장이 열렸다.[7]

참조

[1] 웹사이트 Japanese Mino (Rainwear) http://costumes.unc.[...] 2019-11-24
[2] 서적 Kabuki Costume Charles E. Tuttle Company: Publishers 1966
[3] 웹사이트 Sarumino (The Monkey's Raincoat), book in hanshibon format, two volumes Edited by Kyorai and Boncho Genroku 4 (1691) Izutsuya Shobei, publisher {{!}} 細道・より道・松尾芭蕉 https://basho-yamade[...] 2019-11-24
[4] 서적 Early Modern Japanese Literature: An Anthology, 1600-1900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04-21
[5] 간행물 Gotta Catch 'Em All!Communicating Entomology with Pokémon 2018-09-15
[6] 서적 Naruto Anime Profiles, Vol. 1 https://archive.org/[...] Viz media 2006-07-05
[7] 뉴스 【古きを訪ねて 日本民藝館の所蔵品から】蓑/息飲む細やかな仕事 日本農業新聞 2021-05-29
[8] 문서 高山市史 高山祭・民俗文化編
[9] 서적 妖鬼化 Softgarage
[10] 뉴스 蓑市 https://dl.ndl.go.jp[...] 林泉社 1936-194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