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리아어는 에데사에서 기원한 아람어의 한 변종으로, 3세기부터 13세기까지 고전 시리아어로 발전하여 문학, 전례, 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네스토리우스 분열 이후 동시리아어와 서시리아어로 나뉘었으며, 현재는 주로 기독교 전례 언어와 현대 신아람어 형태로 사용된다. 이라크 등지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문자와 음성학, 문법적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람어 - 신아람어
신아람어는 후기 고대 시대와 중세 시대에 아람어에서 파생된 언어로, 다양한 구어체와 문어체가 공존하며, 아시리아인들이 주로 사용하고, 제1차 세계 대전과 세이포 학살로 인해 언어적 연속성에 타격을 입었다. - 아람어 - 유대 아람어
유대 아람어는 기원전 7세기부터 중동 지역의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된 북서셈어군 언어로, 바빌론 유수 이후 유대인들의 일상에 스며들어 발전해왔으나 현대에는 현대 히브리어로 대체되는 추세이며, 유대-아람학은 이 언어와 관련된 유대인 공동체의 문화적 유산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 시리아의 언어 - 쿠르드어
쿠르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쿠르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남부 쿠르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 시리아의 언어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시리아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시리아어 |
다른 이름 | 고전 시리아어, 에데사 아람어 |
자기 이름 | ܠܫܢܐ ܣܘܪܝܝܐ, Leššānā Suryāyā (레샤나 수르야야) |
발음 | IPA: lɛʃˈʃɑːnɑː surˈjɑːjɑː |
지역 | 비옥한 초승달 지대 (북부 이라크, 북서부 이란, 시리아, 남동부 튀르키예, 레바논), 동부 아라비아 (바레인, 쿠웨이트, 카타르), 말라바르 해안 (케랄라) |
시대 | 서기 1세기; 13세기 이후 일상 언어로서 쇠퇴; 현재는 전례용으로 사용 |
참고 | Healey (2012), p. 637, 649 |
어족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어파1 | 셈어파 |
어파2 | 서셈어군 |
어파3 | 중앙셈어군 |
어파4 | 북서셈어군 |
어파5 | 아람어 |
어파6 | 동아람어군 |
조상어 | 원시 아프리카아시아어 |
조상어2 | 원시 셈어 |
조상어3 | 고대 아람어 |
조상어4 | 중세 아람어 |
조상어5 | 동부 중세 아람어 |
문자 | 시리아 문자 |
ISO 639-2 | syc |
ISO 639-3 | syc |
Glottolog | clas1252 (고전 시리아어) |
방언1 | 서부 시리아어 |
방언2 | 동부 시리아어 |
언어학적 특징 | |
다른 이름들 | 우르하야 (ܐܘܪܗܝܐ) 나흐라야 (ܢܗܪܝܐ) 아라마야 (ܐܪܡܝܐ) |
설명 | "기록된 언어" (ܠܫܢܐ ܟܬܒܢܝܐ) "기록된 언어" (ܟܬܒܢܝܐ) 또는 (ܟܬܘܒ݂ܘܢܳܝܳܐ) "고대 언어" (ܠܫܢܐ ܥܬܝܩܐ) "서기관의" 또는 "문학적" (ܣܦܪܝܐ) |
2. 명칭
영어 학술 문헌에서는 에데사 주변에서 기원한 아람어의 특정 변종을 지칭할 때 "시리아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 아람어 사용자와 작가들은 자신의 언어를 ''Aramaya''(아람어), ''Urhaya''(에데사 아람어), ''Nahraya''(Bet-Nahrain 지역), ''Suryaya''(시리아어) 등 여러 내부 명칭으로 불렀다.[1] 에데사의 야곱은 이 언어를 "''시리아어 또는 아람어''"(Suryāyā awkēt Ārāmāyā)라고 했으며, 에데사 아람어는 ''Urhāyā'', Bet-Nahrain 지역은 ''Naḥrāyā''라고 불렀다.[1] 서양 학계에서는 "Syriac"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데, 이는 본래 아람어 전체를 가리키던 그리스어 명칭이 축소되어 에데사 아람어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다.[1]
2. 1. 명칭 관련 논쟁
"Syriac"이라는 명칭은 넓은 의미(일반적인 아람어)와 좁은 의미(에데사 아람어, ''고전 시리아어'')로 사용되어 혼란을 야기했다. 테오도어 묄데케는 이러한 이중적 의미를 지적하며, ''고전 시리아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으나, 학계에서 일관성이 확립되지 않았다.[13] ISO 639 및 MARC 표준에서 "시리아어" 및 "고전 시리아어"라는 용어를 국제 표준화하는 과정에서 혼란이 발생했다.[14][15][16][17] 이러한 용어 문제는 신아람어 사용 공동체에게 중요한 사회언어학 및 민족언어학적 의미를 지닌다. 2005년 이라크 헌법은 "시리아어"(السريانية|al-surianiaar)를 신아람어 사용 공동체의 언어를 지칭하는 공식 용어로 채택했다.[18][19]3. 역사
시리아어의 역사는 언어적, 문화적 기준에 따라 여러 시기로 구분된다. 학자들 사이에 제안된 여러 분류에는 약간의 용어 및 연대기적 차이가 존재한다.
- 고대 시리아어 (구 에데사 아람어): 서기 1세기 초, 오스로에네 지역의 주요 아람어 방언으로 등장하여 에데사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 중기 시리아어 (중기 에데사 아람어): "고전 시리아어" 또는 "문학 시리아어"(ܟܬܒܢܝܐ|Kṯāḇānāyāsyr)라고도 불리며, 3세기부터 13세기까지 문학, 전례 및 문화적으로 크게 발전했다.
- 초기 고전 시리아어 (고전 이전 시리아어): 3세기와 4세기 동안 고전 시리아어 발전의 초기 단계.
- 고전 시리아어 (좁은 의미): 4세기부터 8세기까지 고전 시리아어 발전의 주요 표준화 단계.
- 후기 고전 시리아어 (고전 이후 시리아어): 8세기부터 12세기 또는 13세기까지 고전 시리아어 발전의 쇠퇴기.
- 현대 시리아어 (신 시리아 아람어): 현대 신아람어를 나타낸다.
- 현대 동부 시리아어 (북동 신아람어): 주로 아시리아 신아람어 및 칼데아 신아람어를 포함한다.
- 현대 서부 시리아어 (중앙 신아람어): 투로요 및 믈라소를 포함한다.
에데사(현 터키령 우르파)는 초기 기독교 연구와 포교의 중심지였고, 1~2세기경 이 지역의 아람어 방언이 기독교와 결합하여 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하면서 중동 일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5세기에 네스토리우스파가 사산 왕조 페르시아령 내에서 활동하게 되면서 로마 제국령 내의 기독교도와 교류가 끊기자, 양측의 언어에 차이가 생겼다. 페르시아령 내의 언어는 동시리아어, 로마령 내의 언어는 서시리아어라고 불린다.
7세기에 이 지역이 이슬람의 지배를 받게 되자 시리아어는 기독교도만이 사용하는 언어가 되었고, 구어는 아랍어에 대체되어 쇠퇴했다. 현재는 주로 기독교회의 전례 용어 등으로 사용된다.
3. 1. 고대 시리아어 (구 에데사 아람어)
서기 초 3세기 동안, 유프라테스 동쪽에 있는 에데사를 중심으로 한 오스로에네 왕국에서 사용되던 지역 아람어 방언이 두각을 나타내고 지역적 중요성을 얻기 시작했다.[4] 서기 1세기부터 3세기에 걸쳐 기록된 초기 비문 80여 개가 남아 있으며, 가장 오래된 비문은 서기 6년에, 가장 오래된 양피지는 서기 243년에 기록되었다. 이러한 언어의 초기 예는 모두 기독교와 관련이 없다.[4]오스로에네 지역의 공공생활 및 행정 언어로서 에데사 아람어는 점차적으로 비교적 일관된 형태, 스타일 및 문법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는 같은 시대의 다른 아람어 방언에는 없는 특징이다. 고대 에데사 아람어가 나중에 고전 시리아어로 발전했기 때문에 서양 학자들은 소급하여 "고대 시리아어" 또는 "원시 시리아어"로 명명했지만, 오스로에네 지역의 이 언어의 언어적 고향은 동시대(로마) 로마 시리아의 일부가 아니었다.[4]
3. 2. 중기 시리아어 (중기 에데사 아람어)
중기 시리아어(중기 에데사 아람어)는 3세기부터 13세기까지 문학, 전례, 문화적으로 발전하고 확장된 시기로, 시리아어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고전 시리아어" 또는 "문학 시리아어"(ܟܬܒܢܝܐ|Kṯāḇānāyāsyr)라고도 불린다.에데사(현 터키령 우르파)는 초기 기독교 연구와 포교의 중심지였고, 1~2세기경 이 지역의 아람어 방언이 기독교와 결합하여 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하면서 중동 일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5세기에 네스토리우스파가 사산 왕조페르시아령 내에서 활동하게 되면서 로마 제국령 내의 기독교도와 교류가 끊기자, 양측의 언어에 차이가 생겼다. 페르시아령 내의 언어는 '''동시리아어''', 로마령 내의 언어는 '''서시리아어'''라고 불린다.
7세기에 이 지역이 이슬람의 지배를 받게 되자 시리아어는 기독교도만이 사용하는 언어가 되었고, 구어는 아랍어에 대체되어 쇠퇴했다. 현재는 주로 기독교회의 전례 용어 등으로 사용된다.
3. 2. 1. 초기 고전 시리아어 (고전 이전 시리아어)
초기 고전 시리아어(고전 이전 시리아어)는 3세기와 4세기 동안 고전 시리아어 발전의 초기 단계를 나타내며, 이후의 언어 표준화 이전에 해당한다.[1] 3세기에는 에데사의 교회들이 지역 아람어 방언을 예배 언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초창기 문학 활동은 권위 있는 아람어 성경 번역본인 페쉬타(ܦܫܝܛܬܐ|프쉬타syr)를 만드는 데 집중되었다.[2] 동시에, 시리아의 에프렘은 에데사 아람어로 가장 소중한 시와 신학 작품들을 만들어 냈으며, 이는 나중에 시리아어로 알려지게 되었다.
3. 2. 2. 고전 시리아어 (좁은 의미)
페쉬타(ܦܫܝܛܬܐ|Pšīṭtāsyr) 성경 번역과 시리아의 에프렘의 시와 신학 작품이 이 시기에 등장하였다.[1] 3세기에는 에데사의 교회들이 지역 아람어 방언을 예배 언어로 사용하기 시작했고,[1] 초창기 문학 활동은 권위 있는 아람어 성경 번역본인 페쉬타를 만드는 데 집중되었다.[1] 동시에, 시리아의 에프렘은 에데사 아람어로 가장 소중한 시와 신학 작품들을 만들어 냈으며, 이는 나중에 시리아어로 알려지게 되었다.[1]489년에는 로마 제국의 동쪽 지역에 살던 많은 시리아어 사용 기독교인들이 박해와 그리스어 사용 기독교인들과의 갈등이 심화되자 사산 제국으로 피신했다.[1] 동방 교회와의 기독론적 차이로 인해 시리아어 사용 세계에서 격렬한 네스토리우스 분열이 일어났다.[1] 그 결과, 시리아어는 독특한 서부와 동부 방언으로 발전했다.[1] 방언 간에 높은 수준의 상호 이해가 유지되면서도, 두 방언은 발음과 표기 체계, 그리고 어휘 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1]
3. 2. 3. 후기 고전 시리아어 (고전 이후 시리아어)
후기 고전 시리아어(고전 이후 시리아어)는 8세기부터 12세기 또는 13세기까지 고전 시리아어가 다소 쇠퇴하는 단계를 나타낸다.[1] 7세기의 아랍 정복 이후, 아랍어가 시리아어를 대체하면서 구어체로서의 시리아어는 쇠퇴했다.3. 3. 현대 시리아어 (신 시리아 아람어)
"현대 시리아어"(신 시리아 아람어)는 현대 신아람어를 나타낸다.[4] 신 시리아어는 고전 시리아어에서 직접 발전한 것이 아니라 아람어의 같은 분파에 속하는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에서 발전했다. 이러한 방언은 고전 시리아어와 오랫동안 전례 및 문학 언어로서 공존해 왔으며, 후기 중세 및 초기 근대 시대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5]3. 3. 1. 현대 동부 시리아어 ([[북동 신아람어]])
현대 시리아어(신 시리아 아람어)는 현대 신아람어를 나타낸다.[4] 현대 시리아어는 고전 시리아어에서 직접 발전한 것이 아니라 아람어의 같은 분파에 속하는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에서 발전했다. 이러한 방언은 고전 시리아어와 오랫동안 전례 및 문학 언어로서 공존해 왔으며, 후기 중세 및 초기 근대 시대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5] 현대 시리아어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현대 동부 시리아어(북동 신아람어): 주로 아시리아 신아람어 및 칼데아 신아람어를 포함한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만다어가 사용하는 또 다른 동부 아람어 변종인 신만다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 현대 서부 시리아어(중앙 신아람어): 투로요 및 믈라소를 포함한다.[6]
3. 3. 2. 현대 서부 시리아어 ([[중앙 신아람어]])
투로요어 및 믈라소어를 포함한다.[1]3. 4. 네스토리우스 분열과 시리아어의 분화
5세기 네스토리우스파가 사산 왕조 페르시아령 내에서 활동하게 되면서 로마 제국령 내의 기독교도와의 교류가 끊기고, 쌍방의 언어에 차이가 생겼다. 페르시아령 내의 언어는 '''동시리아어''', 로마령 내의 언어는 '''서시리아어'''라고 불린다.489년, 로마 제국의 동쪽 지역에 살던 많은 시리아어 사용 기독교인들이 박해와 그리스어 사용 기독교인들과의 갈등이 심화되자 사산 제국으로 피신했다. 동방 교회와의 기독론적 차이로 인해 시리아어 사용 세계에서 격렬한 네스토리우스 분열이 일어났다. 그 결과, 시리아어는 독특한 서부와 동부 방언으로 발전했다. 방언 간에 높은 수준의 상호 이해가 유지되면서도, 두 방언은 발음과 표기 체계, 그리고 어휘 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시리아어는 주로 시리아 정교회가 사용하던 서부 방언(상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과 주로 동방 교회가 사용하던 동부 방언(메소포타미아 중부 및 북동부)으로 나뉘었다. 종교적 분열은 서시리아 전례와 동시리아 전례 간의 언어적 차이에도 반영되었다.
3. 5. 현대 시리아어의 현황
시리아어는 이라크에서 공식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21] 또한 이라크, 시리아, 팔레스타인,[22] 이스라엘, 스웨덴,[23][24] 독일의 아우크스부르크, 인도의 케랄라의 일부 공립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2014년, 터키 예실쾨이(이스탄불)에 아시리아 보육원이 개원하였다.[25][26] 이는 터키 국민 교육부가 허가를 거부했지만 로잔 조약에 명시된 비무슬림 소수 민족의 권리를 존중해야 함에 따라 소송을 벌인 끝에 이루어졌다.
2016년 8월, 시리아 카미실리시에 아시리아 공동체가 Ourhi 센터를 설립했다.[27] 이 센터는 자지라 지역의 공립학교에서 시리아어를 추가 언어로 가르치기 위해 교사를 교육하기 위한 곳으로, 2016/17 학년도부터 교육이 시작되었다.[28]
2023년 4월, AI 연구팀이 고전 시리아어를 위한 최초의 AI 번역 모델 및 웹사이트를 완성했다.[29]
4. 지리적 분포
시리아어는 에데사에서 아람어의 지역 방언이었으며, 동방 교회와 시리아 정교회의 영향을 받아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다. 아랍어가 지배적인 언어가 되기 전, 시리아어는 중동, 중앙 아시아, 인도의 말라바 해안에 있는 기독교 공동체에서 주요 언어였으며, 오늘날까지도 시리아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다. 로마 제국의 아람어를 사용하는 병사들이 쓴 비문과 함께 그레이트 브리튼의 하드리아누스 방벽에서도 발견되었다.
원래는 1~2세기경 에데사(현 터키령 우르파) 부근의 아람어 방언으로 여겨지지만, 에데사가 초기 기독교 연구와 포교의 중심지가 되면서 이 방언이 기독교와 결합하여 문어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자 중동 일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5세기에 이른바 네스토리우스파가 분리되어 사산 왕조페르시아령 내에서 활동하게 되면서 로마 제국령 내의 기독교도와의 교류가 끊기고, 쌍방의 언어에 차이가 생겼다. 페르시아령 내의 언어는 '''동시리아어''', 로마령 내의 언어는 '''서시리아어'''라고 불린다.
7세기에 이 지역이 이슬람의 지배를 받게 되자 시리아어는 기독교도만이 사용하는 언어가 되었고, 구어는 아랍어에 대체되어 쇠퇴했다.
현재는 주로 기독교회의 전례 용어 등으로 사용된다.
5. 문자
시리아 문자는 세 가지 다른 서체로 쓰인다. 동서 분열 이전의 시리아어에서는 에스트란겔로체라는 고형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현재에도 구미 학술 출판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동시리아어는 네스토리우스체(동방 서체)를 사용하고, 서시리아어는 세르토체(서방 서체)를 사용한다.
묵자(써도 읽지 않는 문자)가 비교적 많고, 묵자를 나타내는 기호가 있다.
6. 음성학
북서 셈어와 마찬가지로 시리아어는 22개의 자음과 3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음성학적으로 시리아어는 다양한 형태로 발음에 약간의 변이가 있다. 다양한 현대 동(東) 아람어 방언들은 상당히 다른 발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때때로 공적 기도에서와 같이 고전 언어의 발음에 영향을 미친다. 고전 시리아어는 주요한 두 가지 발음 흐름, 즉 서(西)부와 동(東)부를 가지고 있다.
주기도문을 서(西) 시리아어로 노래한 ʾAḇôn daḇašmayyā|아본 다바슈마이야syr를 들을 수 있다.
대부분의 셈어파 언어와 마찬가지로, 시리아어의 모음은 주로 자음에 종속된다. 특히 강세 자음이 있을 경우, 모음은 중앙화되는 경향이 있다.
6. 1. 자음
시리아어는 다른 북서 셈어와 마찬가지로 22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로마자 표기 | ʾ|알레프syc | b|베트syc | g|기멜syc | d|달레트syc | h|헤syc | w|와우syc | z|자인syc | ḥ|헤트syc | ṭ|테트syc | y|요드syc | k|카프syc | l|라메드syc | m|멤syc | n|눈syc | s|사메크syc | ʿ|아인syc | p|페syc | ṣ|차데syc | q|코프syc | r|레쉬syc | š|신syc | t|타우syc |
---|---|---|---|---|---|---|---|---|---|---|---|---|---|---|---|---|---|---|---|---|---|---|
문자 | ܐsyc | ܒsyc | ܓsyc | ܕsyc | ܗsyc | ܘsyc | ܙsyc | ܚsyc | ܛsyc | ܝsyc | ܟsyc | ܠsyc | ܡsyc | ܢsyc | ܣsyc | ܥsyc | ܦsyc | ܨsyc | ܩsyc | ܪsyc | ܫsyc | ܬsyc |
발음 | , | , | , | , | , | , |
시리아어는 아람어와 마찬가지로 가볍게 대조되는 일련의 파열음/마찰음 쌍을 가지고 있다. 특정 어근의 다양한 변형에서, 어근 자음은 한 변형에서는 파열음 형태로, 다른 변형에서는 마찰음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시리아 문자에서는 각 쌍에 대해 단일 문자가 사용된다.
일부 셈어와 마찬가지로 시리아어도 강세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세 개가 있다. 셈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또 다른 종류의 자음인 두 개의 인두음 마찰음이 있다. 시리아어는 또한 풍부한 치찰음 배열을 가지고 있다.
rowspan=2 | |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성문음 | ||||||||||||
---|---|---|---|---|---|---|---|---|---|---|---|---|---|---|---|---|---|---|---|---|---|---|
평음 | 인두화 | |||||||||||||||||||||
비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파열음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
마찰음 | colspan=2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colspan=2 | | colspan=2 style="border-right: 0;" | | colspan=2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style="border-right: 0;" | | style="border-left: 0;" | | ||||
접근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탄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6. 2. 모음
고전 시리아어는 , , , , , , 의 모음을 가졌다. 서부 방언에서는 가 로, 는 와 합쳐졌다. 이중 모음으로는 , , , 가 있었다.고전 시리아어의 모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서부 방언과 동부 방언은 모음 체계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동시리아어가 더 오래된 체계를 보존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동부 방언에서는 일부 화자가 모음의 다섯 가지 질을 구별하고, 다른 화자는 세 가지만 구별하는 등 전설 모음의 발음에 더 유동성이 있다. 모음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중요하지 않으며, 고모음은 개모음보다 더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개모음은 접근 자음 및 와 함께 이중 모음을 형성한다. 거의 모든 방언에서 가능한 이중 모음은 다음과 같이 축소된다.
- 는 보통 가 되지만, 서부 방언은 를 가진다.
- 는 때때로 단모음화되어 가 된다.
- 는 보통 가 된다.
- 는 때때로 단모음화되어 가 된다.
7. 문법
시리아어는 다른 셈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많은 단어가 세 개의 시리아 자음으로 이루어진 삼자음 어근을 바탕으로 한다. 새로운 단어는 이 세 자음에 다양한 모음과 자음을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취하다"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가진 어근 ܫܩܠsyc('''')에서 파생된 단어들은 다음과 같다.
- ܫܩܠsyc – : "그가 취했다"
- ܢܫܩܘܠsyc – : "그는 취할 것이다"
- ܫܩܘܠsyc – : "취하라! (남성 단수)"
- ܫܩܠsyc – : "그는 취한다" (남성)
- ܫܩܠsyc – : "그가 들어올렸다"
- ܐܫܩܠsyc – : "그가 출발했다"
- ܫܩܠܐsyc – : "취함, 부담, 교정, 부분 또는 음절"
- ܫܩ̈ܠܐsyc – : "취함, 이익, 세금"
- ܫܩܠܘܬܐsyc – : "짐승"
- ܫܘܩܠܐsyc – : "오만"
형용사는 항상 수식하는 명사와 성, 수에서 일치한다. 형용사가 서술어인 경우 절대 상태에 있지만, 수식 형용사인 경우 명사의 상태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ܒܝܫܝ̈ܢ ܫܩ̈ܠܐsyc, ''''는 "세금은 나쁘다"를 의미하고, ܫܩ̈ܠܐ ܒܝ̈ܫܐsyc, ''''는 "나쁜 세금"을 의미한다.
7. 1. 명사
대부분의 명사는 세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어근에서 파생된다. 문법적 성(남성 또는 여성), 수(단수, 복수, 드물게 쌍수), 상태(절대, 강세, 구문)를 가진다.- 절대 상태는 명사의 기본 형태이다. – ܫܩ̈ܠܝܢ|šeqlin|세금syc
- 강세 상태는 일반적으로 명확한 명사를 나타낸다. – ܫܩ̈ܠܐ|šeqlē|그 세금syc
- 구문 상태는 다른 명사와 관련된 명사를 나타낸다. – ܫܩ̈ܠܝ|šeqlay|...의 세금syc
고전 시리아어의 발전 과정에서 강세 상태가 명사의 일반적인 형태가 되었고, 절대 상태와 구문 상태는 특정 고정 구문으로 격하되었다. (예: ܒܪ ܐܢܫܐ/ܒܪܢܫܐ|bar nāšā|사람, 인물syc, 문자 그대로 "사람의 아들").
고대 및 초기 고전 시리아어에서는 대부분의 소유격 명사 관계가 구문 상태를 사용하여 구성되었으나, 나중에는 관계 입자 ܕ|d-, da-|syc를 사용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왕국의 세금"은 ܫܩ̈ܠܝ ܡܠܟܘܬܐ|šeqlay malkuṯā|syc에서 ܫܩ̈ܠܐ ܕܡܠܟܘܬܐ|šeqlē d-malkuṯā|syc로 바뀌었다. 밀접하게 관련된 명사는 대명사 접미사를 추가하여 더 가까운 문법적 관계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ܫܩ̈ܠܝܗ ܕܡܠܟܘܬܐ|šeqlêh d-malkuṯā|syc는 "그녀의 세금, 왕국의 [그것들]"을 의미한다.
7. 2. 동사
대부분의 시리아어 동사는 삼자 어근을 기반으로 한다. 활용 동사는 인칭, 성(1인칭 제외)과 수, 시제와 활용을 나타낸다. 비한정 동사 형태는 부정사와 능동태 및 수동태 분사이다.시리아어는 단 두 개의 진정한 형태론적 시제, 즉 완료와 미완료를 가진다. 이 시제는 원래 아람어에서는 상을 나타냈지만, 현재는 진정한 시간적 과거 시제와 미래 시제가 되었다. 현재 시제는 일반적으로 분사 뒤에 주어 대명사가 오는 방식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대명사는 일반적으로 3인칭의 경우 생략된다.
시리아어는 또한 다른 셈어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파생 동사 어간을 사용한다. 이것들은 동사의 어근을 규칙적으로 수정하여 의미의 다른 변화를 표현한다. 첫 번째 어간은 기본적인 상태, 즉 동사의 ''''(이 이름은 어근의 형태를 모델로 함) 형태로, 단어의 일반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다음은 동사의 집중 어간인 '''' 형태로, 일반적으로 강조된 의미를 나타낸다. 세 번째는 확장 어간인 '''' 형태이며, 이는 종종 사역적 의미를 갖는다. 이 어간들 각각은 병렬 수동태 활용을 가지고 있다: 각각 '''', '''' 및 ''''이다.
"쓰다"의 기본 G-어간 또는 "Peal" 활용은 완료와 미완료에서 다음과 같다:[30]
rowspan="2" colspan="2" | | 완료 | 미완료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1인칭 | ܟܬܒܬ|keṯḇeṯsyc | ܟܬܒܢ|kəṯaḇnsyc | ܐܟܬܘܒ|eḵtoḇsyc | ܢܟܬܘܒ|neḵtoḇsyc | |
2인칭 | 남성 | ܟܬܒܬ|kəṯaḇtsyc | ܟܬܒܬܘܢ|kəṯaḇtûnsyc | ܬܟܬܘܒ|teḵtoḇsyc | ܬܟܬܒܘܢ|teḵtəḇûnsyc |
여성 | ܟܬܒܬܝ|kəṯaḇtsyc | ܟܬܒ̈ܬܝܢ|kəṯaḇtênsyc | ܬܟܬܒܝܢ|teḵtəḇînsyc | ܬܟܬܒ̈ܢ|teḵtəḇānsyc | |
3인칭 | 남성 | ܟܬܒ|kəṯaḇsyc | ܟܬܒܘ|kəṯaḇsyc | ܢܟܬܘܒ|neḵtoḇsyc | ܢܟܬܒܘܢ|neḵtəḇûnsyc |
여성 | ܟܬܒܬ|keṯbaṯsyc | ܟܬܒ|kəṯaḇsyc | ܬܟܬܘܒ|teḵtoḇsyc | ܢܟܬܒ̈ܢ|neḵtəḇānsyc |
8. 기타
교토대학교 종합생존학관의 이소베 히로아키(磯部洋明) 부교수(우주물리학)와 오사카대학교 문학연구과 대학원생 하야카와 나오시 등의 연구팀은 바티칸 도서관이 웹상에 공개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재 터키의 디야르바키르 근처에 있었던 수도원의 요슈아라는 인물이 8세기 후반에 시리아어로 쓴 「주크닌 연대기」의 삽화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오로라 그림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지에 발표했다.[1]
참조
[1]
서적
The Syriac Writers of Qatar in the Seventh Century
Gorgias Press
2014-12-09
[2]
서적
Religious Origins of Nations?
BRILL
2010
[3]
서적
The Syriac World
Yale University Press
2023-06-20
[4]
서적
Eusebius, Christianity and Judaism
Brill
2022-10-04
[5]
서적
The Semitic Languages
Yale University Press
2023-06-20
[6]
학술지
Kthobonoyo Syriac: Some Observations and Remarks
2020-03-04
[7]
웹사이트
About the origin of the Lebanese language (I)
https://syriacpress.[...]
Syriacpress
2022-02-27
[8]
서적
Die neuaramäischen Dialekte der Khabur-Assyrer in Nordostsyrien
Harrassowitz
2008
[9]
서적
CLASSICAL SYRIAC
Gorgias Handbooks
[10]
서적
Internationale Zeitschriftenschau für Bibelwissenschaft und Grenzgebiete
[1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Late Antiquity
[12]
서적
Introduction to Aramean and Syriac Studies
Gorgias Press
2017-12-11
[13]
웹사이트
ISO 639-2 Registration Authority: Change History (syc)
https://www.loc.gov/[...]
2023-02-21
[14]
웹사이트
Additions to MARC Code List for Languages
https://www.loc.gov/[...]
2007-10-22
[15]
웹사이트
ISO 639-2 Registration Authority: Change History (syr)
https://www.loc.gov/[...]
2023-02-21
[16]
웹사이트
639 Identifier Documentation: syr
https://iso639-3.sil[...]
2023-02-21
[17]
웹사이트
Language and Script Identifiers
https://syriaca.org/[...]
2023-02-21
[18]
뉴스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Iraq
https://zaidalali.bo[...]
2005-12-28
[19]
웹사이트
Iraqi Constitution
https://web.archive.[...]
2023-02-21
[20]
웹사이트
Surayt-Aramaic Online Project (SAOP)
https://userblogs.fu[...]
2023-02-21
[21]
웹사이트
The Comprehensive Policy to Manage the Ethnic Languages in Iraq
http://www.turkmen.n[...]
2023-02-21
[22]
웹사이트
Syriacs: Still Going Strong
https://bethbc.edu/b[...]
2017-03-28
[23]
뉴스
The Ben Yehudas of Aramaic
https://www.haaretz.[...]
2010-04-01
[24]
뉴스
Syriac... a language struggling to survive
https://web.archive.[...]
2007-12-28
[25]
뉴스
Assyrian School Welcomes Students in Istanbul, Marking a New Beginning
http://www.aina.org/[...]
2014-09-10
[26]
뉴스
Turkey Denies Request to Open Assyrian-Language Kindergarten
https://web.archive.[...]
2014-11-04
[27]
뉴스
Syriac Christians revive ancient language despite war
https://web.archive.[...]
ARA News
2016-08-17
[28]
뉴스
Hassakeh: Syriac Language to Be Taught in PYD-controlled Schools
https://syrianobserv[...]
The Syrian Observer
2016-10-03
[29]
웹사이트
Syriac.IO – Translator
https://www.syriac.i[...]
2023-05-08
[30]
서적
2013
[31]
웹사이트
8世紀 シリア語文献 世界最古のオーロラ図か 京大・磯部准教授、ズークニーン年代記調査 /京都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7-06-28
[32]
웹사이트
オーロラ描いた最古の絵? 京大准教授らシリア語文書で確認
http://www.kyoto-np.[...]
京都新聞
2017-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