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미니크 방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미니크 방담은 프랑스 혁명 전쟁, 나폴레옹 전쟁 등에 참전한 프랑스의 군인이다. 1786년 군에 입대하여 빠른 진급을 거듭했으며, 네덜란드, 독일 등지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공을 세워 레지옹 도뇌르 대훈장을 받았으며, 1806년부터 1807년까지 브레슬라우를 점령했다. 1813년 쿨름 전투에서 포로가 되었으며, 백일천하 당시에는 그루시 원수 휘하의 제3군단을 이끌었다. 그는 잔혹한 성격으로 악명이 높았으며, 나폴레옹은 그를 "만약 그대가 두 명이 있다면 나는 그중 한 명을 목을 매달았을 것이다"라고 평했다. 1819년 귀국 후 참모로 복직했으며, 59세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혁명 전쟁 관련자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는 혁신적인 전술로 수많은 전쟁에서 공을 세운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이스마일 요새 함락 등의 잔혹 행위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러시아 육군 및 해군 대원수 칭호를 받았고 그의 군사 전략은 후대 러시아 군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 혁명 전쟁 관련자 - 아당 필리프 드 퀴스틴 백작
    아당 필리프 드 퀴스틴 백작은 프랑스의 귀족 장군이자 정치인으로,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하고 프랑스 혁명 기간 라인란트 지역을 점령하는 등 활약했으나, 반역죄로 기소되어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군사적 재능과 인간적인 면모, 허영심과 독선적인 태도, 혁명 정부와의 복잡한 관계, 그리고 니더빌러 파이앙스 공장 투자는 그의 삶의 특징을 보여준다.
  • 1830년 사망 - 시몬 볼리바르
    시몬 볼리바르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남아메리카 독립 운동가, 군인, 정치가로서, '해방자'라는 칭호로 불리며 남아메리카 여러 국가의 독립에 기여하고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에 기반한 통합을 추구했으나 그란 콜롬비아 해체로 이상이 좌절된, 라틴 아메리카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이다.
  • 1830년 사망 - 조제프 푸리에
    조제프 푸리에는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열전도 현상 연구를 통해 푸리에 법칙과 열전도 방정식을 유도하고 푸리에 해석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온실 효과에 대한 초기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 노르주 출신 - 피에르 모루아
    피에르 모루아는 릴 시장, 프랑스 총리, 상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주 40시간 근무제 단축 등 노동자 중심의 정책을 시행하고 사회당 제1서기 및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의장으로 활동한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치인이다.
  • 노르주 출신 - 뱅자맹 파바르
    뱅자맹 파바르는 릴 OSC 유소년팀 출신의 프랑스 축구 선수로, VfB 슈투트가르트와 바이에른 뮌헨을 거쳐 현재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 수비수로 활약하며, 프랑스 국가대표팀으로 2018 FIFA 월드컵 우승을 경험하기도 했다.
도미니크 방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미니크-조제프 르네 방담
도미니크-조제프 르네 방담
이름도미니크 조제프 르네 방담
출생일1770년 11월 5일
사망일1830년 7월 15일
출생지카셀, 프랑스
사망지카셀, 프랑스
군사 복무
소속프랑스 육군
복무 기간1786년–1815년, 1820년–1825년
최종 계급사단장
지휘 부대제1군단
제3군단
주요 참전 전투/전쟁프랑스 혁명 전쟁
나폴레옹 전쟁
주요 참전 전투제1차 슈토카흐 전투
아우스터리츠 전투
아벤스베르크 전투
란츠후트 전투
에크뮐 전투
쿨름 전투
바브르 전투
서훈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크루아
기타 정보
관련 인물운세부르크 백작, 제국 원수
추가 정보에투알 개선문에 이름이 새겨져 있음.

2. 생애

도미니크 방담은 평생 동안 군인으로 활동하며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나폴레옹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뛰어난 지휘 능력과 용맹함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약탈과 잔혹 행위로 악명이 높았으며, 이로 인해 나폴레옹으로부터 "두 명이 있다면 한 명은 교수형에 처해야 할 것"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1805년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술트 원수의 제4군단 소속으로 생틸레르 장군과 함께 프란첸 고지를 탈환하는 공격을 지휘하여 큰 공을 세웠고, 레지옹 도뇌르 대훈장을 받았다.[2] 제4차 연합 전쟁[10] 기간 실레지아 전역에서 활약했으며, 1809년 전역에서는 아벤스베르크 전투, 란드슈트 전투, 에크뮐 전투에 참가했다.

1813년 쿨름 전투에서 클라이스트 장군이 이끄는 프로이센 군에게 포위되어 1만 3천여 명의 병사와 함께 포로가 되었다.[8] 포로로 잡혀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 앞으로 끌려나가 약탈 행위에 대해 비난을 받았으나, "나는 약탈자도 산적도 아니다. 그러나 어떠한 상황에 있었더라도 세상과 역사는 나의 손을 아버지의 피로 씻은 것을 비난하지 않을 것이다"라며 파벨 1세 암살에 알렉산드르 1세가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맞받아쳤다.[11]

루이 18세의 제2차 왕정복고 이후 미국으로 추방되었으나, 1819년 귀국하여 참모로 복귀했다. 1825년 퇴역 후에는 회고록을 집필하며 여생을 보냈고, 59세의 나이로 고향 카셀에서 사망했다. 그의 이름은 에투알 개선문 북쪽면에 새겨져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군 경력

도미니크 방담은 1786년에 군에 입대하여 빠르게 승진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한 1793년에 준장이 되었다.[2] 1794년 네덜란드, 1795년 라인강, 1796년 독일에서의 전투에 참전했다.[2] 약탈 혐의로 군사 재판을 받고 정직 처분을 받았으나, 1799년 3월 25일 복귀하여 제1차 슈토카흐 전투에서 활약했다.[3] 그러나 장 모로 장군과의 의견 충돌로 인해 네덜란드 점령 임무로 보내졌다.[3]

방담은 반항적이고 약탈로 유명한 잔혹하고 폭력적인 군인이었다고 전해진다. 나폴레옹은 그에게 "만약 그대가 두 명이 있다면, 나는 그중 한 명을 목을 매달았을 것이다"라고 말했고, "내가 지옥에서 루시퍼에 맞서 전쟁을 벌인다면, 방담이 내 뒤에 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고 한다.[6][7]

2. 2. 나폴레옹 전쟁 시기

방담은 잔인하고 난폭한 군인이자 약탈과 반항 행위로 악명이 높았다고 전해진다. 소문에 따르면, 나폴레옹은 방담을 대하며 "만약 그대가 두 명이 있다면 나는 그중 한 명을 목을 매달았을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나폴레옹은 덧붙여 지옥에서 루시퍼를 상대로 한 전역에 나선다면 그는(나폴레옹) 선봉의 지휘를 방담에게 맡기겠다고 했다.[6][7]

방담은 1786년에 군에 입대해 빠른 승진을 거듭했다. 1793년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할 때 그는 준장이 되었다. 하지만 방담은 약탈에 대한 혐의로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정직처분을 받는다. 1799년 3월 25일 복귀한 그는 제1차 슈토카흐 전투에서 활약했다.[2] 그러나 장 모로 장군과 논쟁을 벌인 것으로 인해 방담은 네덜란드 점령 임무로 보내졌다. 1805년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생틸레르 장군과 함께 술트 원수의 제4군단 소속으로 프라첸 고지를 점령하는 공격을 지휘했다.[3] 그의 지휘 능력으로 그는 레지옹 도뇌르 대훈장을 받았다.[2]

1806년~1807년 그의 부대는 브레슬라우를 포위 공격했고, 마침내 함락시킨 후 요새를 평지화하도록 명령했다. 그는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동안 실레시아 전역 후 나폴레옹 1세로부터 운제부르크 백작(Count of Unsebourg) 작위를 받았다.[4] 1809년 전역에서 그는 아벤스베르크 전투, 1809년 란트슈트 전투, 에크뮐 전투에서 뷔르템베르크 출신 소규모 연합 군단을 지휘했다.[5]

1813년 전역에서 방담의 제1군단은 드레스덴 전투 후 후퇴하려던 연합군 보헤미아 군을 공격했다. 그의 부대가 쿨름 전투에 참여하는 동안, 클라이스트 장군이 이끄는 군단이 우연히 프랑스군 후방을 공격했다. 그 결과 발생한 재난에서 방담과 그의 부하 1만 3천 명이 사로잡혔다.[8] 방담은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 앞으로 끌려나가 약탈 행위에 대해 비난을 받았으나, "나는 약탈자도 산적도 아니다. 그러나 어떠한 상황에 있었더라도 세상과 역사는 나의 손을 아버지의 피로 씻은 것을 비난하지 않을 것이다"(나는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하지 않았다; 파벨 1세의 암살에 알렉산드르가 관여한 것이 아닌가 의심을 받았다)라고 맞받아 쳤다.[11]

1815년 전역(백일천하)에서 방담은 그루시 원수 지휘하 제3군단을 이끌었다. 워털루 전투 당시 그는 그루시에게 나폴레옹과 합류하라고 진언했으나, 그루시는 요한 폰 틸만 장군 지휘하 프로이센 제3군단을 우선 추적해 바브르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전쟁에서는 패배했다.

2. 3. 백일천하와 이후

1815년 백일천하 당시 방담은 그루시 원수 휘하의 제3군단을 이끌었다.[12] 워털루 전투에서 방담은 그루시에게 나폴레옹과 합류하라고 요청했으나, 그루시는 요한 폰 틸만 장군이 지휘하는 프로이센 제3군단을 추격하여 바브르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전쟁에서는 패배했다.[12]

전쟁 이후 루이 18세의 제2차 왕정복고로 방담은 미국으로 추방되어 필라델피아에 정착했다.[12] 그러나 1819년 12월 1일 법령에 의해 귀국이 허가되었다.[12] 그는 참모로 복귀했지만, 1825년 1월 1일을 끝으로 퇴역하였다.[12] 이후 카셀헨트(Ghent)에서 번갈아 살면서 회고록을 작성하는데 시간을 보냈다.[12] 그는 59세의 나이로 고향인 카셀에서 사망했다.[12] 그의 이름은 에투알 개선문 북쪽면에 새겨져 있다.

3. 평가

도미니크 방담은 반항적이고 약탈로 악명이 높은 잔혹하고 폭력적인 군인이었다고 전해진다.[6] 나폴레옹은 그에게 "네가 두 명이라면, 한 명이 다른 한 명을 교수형에 처해야 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을 거야."라고 말했고, "내가 지옥에서 루시퍼에 맞서 전쟁을 벌인다면, 탕담이 내 뒤에 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고 한다.[6][7]

참조

[1] 서적 Napoleon’s Enfant Terrible: General Dominique Vandamme
[2] 백과사전 Vandamme, Dominique René, Count
[3] 서적 Austerlitz 1805 Archon Books
[4] 문서 19 March 1808, confirmed by patent dated 1 April 1809. 1809-04-01
[5]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Weidenfeld & Nicolson
[6] 서적
[7] 서적 Wellington's Hidden Heroes: The Dutch and the Belgians at Waterloo https://books.google[...] Casemate
[8] 서적
[9] 서적 Napoleon’s Enfant Terrible: General Dominique Vandamme https://www.amazon.c[...]
[10] 문서 19 March 1808, confirmed by patent dated 1 April 1809. 1809-04-01
[11] 서적 Souvenirs militaires de la République et de l'Empire Le Livre chez vous
[12] 웹사이트 http://www.archive.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