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탈은 타인의 재물을 불법적으로 빼앗는 행위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전쟁, 내란, 자연재해, 폭동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해 왔다. 국제법은 무력 충돌 시 약탈을 금지하고 있으며, 전쟁 범죄로 규정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약탈은 승리한 군대의 보급 수단이나 처벌의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고고학 유물이나 산업 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약탈은 정부의 치안 유지 능력 부족, 정치적 상황, 또는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자연재해와 같은 상황에서는 약탈과 생존을 위한 행동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져 정부가 딜레마에 빠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약탈 - 바그다드 공방전 (1258년)
바그다드 공방전(1258년)은 몽골 제국 훌라구 칸이 아바스 칼리파국을 침공하여 수도 바그다드를 함락시키고 대규모 학살과 도시 파괴를 일으킨 사건이며, 아바스 왕조의 종말과 이슬람 황금 시대의 쇠퇴를 가져왔다. - 약탈 - 카디스 전투 (1702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초기에 잉글랜드와 네덜란드가 주도하는 대 동맹이 스페인의 카디스를 점령하려 했으나 지휘관들의 의견 차이, 스페인군의 저항, 연합군의 약탈 행위 등으로 실패하고 철수했다. - 전쟁 범죄 - 1987년 례위 학살
1987년 례위 학살은 1987년 3월 대만 례위 해안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베트남 난민선이 정치적 망명을 요청했으나 거부당하고 군인들에 의해 무장하지 않은 난민들이 집단 학살되었으며, 대만 계엄령 하에 은폐 시도 이후 폭로되어 진상 조사와 책임 추궁이 이루어졌으나 공식적인 사과나 보상은 없었다. - 전쟁 범죄 - 전쟁범죄
전쟁범죄는 국제 인도법 위반 행위로, 무력 충돌 상황에서 전투 의사가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살인, 상해, 성범죄 등을 포함하며, 개인에게 형사 책임을 묻는다.
약탈 | |
---|---|
기본 정보 | |
정의 | 무력을 사용하여 상품을 무차별적으로 빼앗는 행위 |
관련 용어 | 전리품 노획물 |
범죄 | |
유형 | 재산죄 |
관련 법률 | 형법 |
역사적 사례 | |
이라크 전쟁 | 바그다드에서 대규모 약탈 발생 |
칠레 | 산티아고 지진 후 약탈 발생 |
아르헨티나 | 경제 위기 시기 약탈 발생 |
2. 역사
2. 1. 고대 및 중세
2. 2. 근대
2. 3. 현대

약탈은 국제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쉽게 행해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전시 상황이 아직 적용되지 않는 내란 발생 시 더욱 그렇다. 예를 들어, 2011년 이집트 혁명은 이집트 고고학 유적지에서 유물 약탈이 크게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는데, 이는 정부가 유적지를 보호할 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33] 이슬람 국가(Islamic State) 무장세력이 이라크 국립박물관의 유물을 약탈하고 파괴한 행위와 같이 현대의 약탈 행위는 전쟁 규칙 자체에 대한 경멸을 표현하는 쉬운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34]
국가 또는 지역 정부가 갑자기 바뀌는 경우, 새로운 정부가 문제의 재산을 인계받은 것인지, 약탈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새로운 정부가 당시 부분적으로만 인정받는 경우에는 더욱 어려운데, 2021년 탈레반 공세 당시가 그러했다. 당시 해외로 도피한 전 정부 관리들의 많은 유물과 재산이 다른 국가들로부터 합법적인 아프가니스탄 정부로 인정받기 전에 탈레반의 손에 넘어갔다. 탈레반은 민간인 가옥과 마을의 추가 약탈과 방화를 아프가니스탄의 합법적인 정부로서의 권리 행사라고 주장하며 옹호해왔다.[35]
약탈은 내란이 한 국가의 국경 내에 대체로 국한되거나 평화 시에도 흔히 발생할 수 있다. 여러 미국 도시에서 발생한 2020년 조지 플로이드 시위 여파로 인한 폭동은 약탈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는데, 약탈자들은 폭동 자체를 둘러싼 불안정한 정치 상황과 내란을 이용했다.[36][37][38] 소요 사태 동안 전국적으로 최대 175개의 타겟 매장이 문을 닫았다.[39][40]
지속되는 카슈미르 분쟁 중에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군사화된 지역 사이에 갇힌 카슈미르인들의 약탈이 흔하고 광범위하게 발생한다.[41]
2022년, 국제 관찰자들은 러시아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에 식량부터 산업 장비까지 광범위한 약탈을 저지르고 있다고 비난하며 대규모 약탈에 연루되었다고 비난했다.[42] 우크라이나 언론인과 민간인들이 수많은 사진과 비디오를 공개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러시아 지휘관들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했다. 국제 관찰자들은 이러한 약탈이 러시아의 주장과는 달리 직접적인 명령의 결과이거나 러시아군인들에게 지휘관들이 적절한 식량과 자원을 공급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43]
3. 국제법상의 금지
관습 국제법과 국제법, 조약 모두 무력 충돌 시 약탈을 금지하고 있다.[6] 예전에는 남북 전쟁 당시 리버 법, 1874년 브뤼셀 선언, 옥스퍼드 매뉴얼에 약탈 금지 내용이 나타난다.[54] 1899년 및 1907년 헤이그 육전 조약과 1954년 헤이그 문화재 보호 협약에서는 군대가 적의 재산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보호도 제공해야 한다고 규정되었다.[65] 국제형사재판소 로마규정 제8조에서는 “습격에 의해 점령한 경우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도시 기타 지역에서 약탈을 행하는 것”은 전쟁 범죄라고 규정하고 있다.[6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수많은 약탈 행위가 전쟁 범죄로 기소되었다. 유고슬라비아 국제전범재판소에서는 피고인 중에 약탈 죄로 기소된 자도 있었다.[54]
1949년 제네바 제4조약에서도 전쟁 중 민간인에 대한 약탈이 명확하게 금지되어 있다.[67][68] 이러한 약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론적으로는 무주물은 소유주에게 반환될 때까지 관리하는 적국 재산 관리인(Custodian of Enemy Property)의 보관으로 이관된다.
4. 약탈의 유형
역사적으로 전쟁에서 승리한 군대가 약탈을 하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보병에게 약탈은 귀중한 보급원이자 수입원이었다.[55] 고대 로마에서는 약탈의 연장선으로 개선식이 행해졌으며, 칭기즈칸처럼 정복한 적에게서 부를 빼앗는 것을 최대의 행복으로 여긴 인물도 드물지 않았다.[56] 손자는 고대에는 교통망이 미발달되었다는 이유로 적국 약탈로 군량을 조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원래 중세에는 항복 권고에 응하지 않고 저항한 도시가 함락 후 3일간의 약탈을 당하는 것은 승자 측의 일종의 처벌이었다. 고대에는 인간도 전리품으로 약탈되어 노예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과 아이들은 승자의 구성원과 결혼하거나 양자로 받아들여져 승자의 사회에 편입되는 경우도 있었다.[57][58] 전근대 사회에서는 높은 가치에 휴대가 간편한 귀금속이 자주 약탈되었다. 하층 병사들에게 있어 전쟁 중의 약탈은 부당한 보물을 손에 넣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수단 중 하나였다. 18세기 이후에는 예술품도 약탈의 대상이 되었다. 1930년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에 걸쳐 나치 독일은 대규모이고 조직적인 예술품 약탈을 행했다.[59][60]
일반적으로 규율이 느슨한 군대는 약탈에 치우치기 쉬운 경향이 있으며, 약탈을 한 병사는 전리품을 운반하기 위해 기동력이 떨어지거나, 전리품을 신경 쓰다가 유연성을 잃어 군 전체의 멸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한편, 제1 사우드 왕국의 카르발라 점령처럼 약탈이 그 이후의 승리로 이어진 예도 있다.[61] 전시에 약탈을 행하는 것은 승자만이 아니다. 1915년에는 비스와 지역에서 철수하는 러시아군이 이 지역을 약탈하며 떠났다.[62] 또한 2003년 이라크 전쟁 중의 이라크 국립 박물관 약탈처럼 일반 시민이 혼란을 틈타 약탈을 저지른 경우도 있다.[63] 러시아의 작가 레프 톨스토이는 소설 『전쟁과 평화』에서 나폴레옹 1세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몰려오는 모스크바에서 시민에 의한 약탈이 확산된 모습을 그리고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정치적 이유 등으로 정부가 약탈을 장려하는 경우도 있다. 제1차 코트디부아르 내전에서는 프랑스군과 대립한 코트디부아르 정부가 프랑스인이나 프랑스 관련 시설에 대한 습격과 약탈을 선동했다.
약탈 행위는 국제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쉽게 행해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전시 상황이 아직 적용되지 않는 내란 발생 시 더욱 그렇다. 예를 들어, 2011년 이집트 혁명은 이집트 고고학 유적지에서 유물 약탈이 크게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는데, 이는 정부가 유적지를 보호할 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33] 이슬람 국가(Islamic State) 무장세력이 이라크 국립박물관의 유물을 약탈하고 파괴한 행위와 같이 현대의 약탈 행위는 전쟁 규칙 자체에 대한 경멸을 표현하는 쉬운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34]
국가 또는 지역 정부가 갑자기 바뀌는 경우, 새로운 정부가 문제의 재산을 인계받은 것인지, 약탈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새로운 정부가 당시 부분적으로만 인정받는 경우에는 더욱 어려운데, 2021년 탈레반 공세 당시가 그러했다. 당시 해외로 도피한 전 정부 관리들의 많은 유물과 재산이 다른 국가들로부터 합법적인 아프가니스탄 정부로 인정받기 전에 탈레반의 손에 넘어갔다. 탈레반은 민간인 가옥과 마을의 추가 약탈과 방화를 아프가니스탄의 합법적인 정부로서의 권리 행사라고 주장하며 옹호해왔다.[35]
약탈은 내란이 한 국가의 국경 내에 대체로 국한되거나 평화 시에도 흔히 발생할 수 있다. 2020년 조지 플로이드 시위 여파로 인한 폭동은 약탈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는데, 약탈자들은 폭동 자체를 둘러싼 불안정한 정치 상황과 내란을 이용했다.[36][37][38] 소요 사태 동안 전국적으로 최대 175개의 타겟 매장이 문을 닫았다.[39][40]
지속되는 카슈미르 분쟁 중에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군사화된 지역 사이에 갇힌 카슈미르인들의 약탈이 흔하고 광범위하게 발생한다.[41]
2022년, 국제 관찰자들은 러시아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에 식량부터 산업 장비까지 광범위한 약탈을 저지르고 있다고 비난하며 대규모 약탈에 연루되었다고 비난했다.[42] 우크라이나 언론인과 민간인들이 수많은 사진과 비디오를 공개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러시아 지휘관들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했다. 국제 관찰자들은 이러한 약탈이 러시아의 주장과는 달리 직접적인 명령의 결과이거나 러시아군인들에게 지휘관들이 적절한 식량과 자원을 공급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43]
- '''역사적 사례'''
- * 455년: 반달족에 의한 로마 약탈.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죽음으로 인한 혼란 속에서 이루어졌다.
- * 870년: 사우다 이븐 무함마드의 아글랍 왕조에 의한 동로마 영토 멜리타(현 몰타 공화국, 이므디나) 점령(멜리타 포위전 (870년)). 도시는 파괴되었고, 교회는 약탈되었으며, 주민들은 학살당했다. 교회의 대리석이 가져가져 수스 성의 건설에 사용되었다.[75]
- * 1000년-1027년: 가즈나 왕조의 마흐무드의 인도 침공. 솜나트, 마투라, 카나우지 등의 종교 도시가 여러 차례 약탈을 당했다.
- * 1204년: 콘스탄티노플 함락. 제4차 십자군이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키고, 그 수도를 약탈하여 막대한 부를 이탈리아로 가져갔다.
- * 1631년: 마그데부르크 점령. 30년 전쟁 중, 틸리 백작 요한 체르클라에스가 이끄는 신성 로마 제국군이 프로테스탄트 도시 마그데부르크를 점령하고, 약탈과 학살을 자행하여 도시 인구는 3만 명에서 5000명으로 줄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독일어로 대량 학살을 의미하는 "마그데부르크화"(Magdeburgisieren)라는 말이 생겨났다.
- * 1664년: 마라타 지도자 시바지에 의한 수라트 점령·약탈
- * 1804년-1814년: 나폴레옹 전쟁. 나폴레옹 1세가 이끄는 프랑스 제국군(대륙군)은 유럽 전역에서 약탈을 자행했다.
- * 1812년: 바다호스 포위전. 스페인의 바다호스를 점령한 영국군과 포르투갈 군이 도시를 약탈했다.
- * 1860년: 원명원 약탈, 1900년: 베이징 약탈. 전자는 아편전쟁에서 청나라를 승리한 영국·프랑스 연합군, 후자는 의화단 사건에서의 8개국 연합군에 의한 것이다.[76]
- *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군슈츠(Kunstschutz)를 중심으로 점령지에서 예술품 약탈을 자행했다. 또한 소비에트 연방군도 독일과 독일에 점령당한 폴란드 등 동유럽 국가들을 약탈했다(제2차 세계 대전 중 폴란드의 약탈). 아시아에서도 일본군이 대규모적이고 조직적인 약탈을 자행했다.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러시아 연방군과 러시아 국가 친위대가 우크라이나 국내 민가 등에서 약탈 행위를 자행하고, 모국으로 약탈품을 보내는 모습이 기록되었다.[77][78]
- * 1863년: 미국 남북전쟁 당시 뉴욕에서 징병 거부에 항의하는 아일랜드계 카톨릭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폭도들이 프로테스탄트, 부유층, 흑인들을 표적으로 방화, 약탈, 폭력 행위를 저질렀다.[79]
- * 1939년-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폭격을 받은 영국의 여러 도시에서 붕괴된 건물을 아이들, 소방관, 일반 대중이 약탈한 사건이 여러 차례 보고되었다.[80]
- * 1977년: 뉴욕 대정전 당시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
- * 1989년: 미국의 파나마 침공 당시 파나마 시티에서 조직적인 약탈이 발생했다.
- * 1992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로드니 킹 사건을 계기로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로스앤젤레스 폭동).
- * 2003년: 미군의 이라크 침공 이후, 경찰 기능 상실과 미군의 치안 유지 활동 소홀로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대규모 약탈이 발생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이라크 국립 박물관 약탈 사건이다. 또한 병원이 습격당해 대부분의 물품을 빼앗기는 사태가 발생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진 피해 규모에는 과장된 부분도 있다. 이라크 국립 박물관의 경우에도 특히 중요한 유물들은 이라크 중앙은행 지하실에 은닉되어 있었다.[81]
- *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덮친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수몰된 지역에서 광범위한 약탈이 발생했다.[82]
- *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 구호 활동 지연으로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어 약탈이 발생하는 한편, 약탈자로 의심받는 사람들에 대한 자경단 활동도 발생했다.[83][84]
- * 2011년: 런던 폭동. 젊은이들이 런던 광범위 지역에서 약탈을 저질렀다.[85] 이 약탈은 조직적인 것이었다고 여겨지지만,[86] 배후는 명확하지 않다. 런던에서는 앞서 언급된 제2차 세계 대전 외에도 1981년 브릭스턴 폭동 당시에도 대규모 약탈이 발생했다.[87] 이 2011년 폭동과 약탈은 맨체스터, 리버풀, 버밍엄으로 번졌다.[88]
- * 2015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경찰에 체포되어 사망한 흑인 프레디 그레이의 장례식 이후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89]



재난 발생 시 경찰과 군대는 인도주의적 또는 전투 관련 문제로 인해 역부족이거나, 통신 인프라 손상으로 인해 소집될 수 없을 때, 약탈을 막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8] 특히 자연재해 발생 시 많은 민간인들이 생존을 위해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을 가져가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8]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며, 불필요한 "약탈"과 필요한 "물건 줍기"의 경계가 어디에 있는지는 정부에게 종종 딜레마가 된다.[9][10]
재해로 인해 경찰이나 군대가 기능을 정지하고 치안이 무너지면 약탈이 발생해도 제대로 단속하지 못하거나, 지역에 따라 교통이 두절되어 진압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막대한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구조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람들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주변에서 물건을 모으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가 약탈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물건을 찾고 있는 것인지 경계를 짓기 어려운 부분이며, 정부의 재해 처리의 어려운 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72]
- 1977년: 뉴욕 대정전 당시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
-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덮친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수몰된 지역에서 광범위한 약탈이 발생했다.[82]
-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 구호 활동 지연으로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어 약탈이 발생하는 한편, 약탈자로 의심받는 사람들에 대한 자경단 활동도 발생했다.[83][84]
- 2011년: 런던 폭동. 젊은이들이 런던 광범위 지역에서 약탈을 저질렀다.[85]
재해로 인해 경찰이나 군대가 기능을 정지하고 치안이 무너지면 약탈이 발생해도 제대로 단속하지 못하거나, 지역에 따라 교통이 두절되어 진압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72] 특히 막대한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구조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람들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주변에서 물건을 모으려고 할 수 있다.[72]
1863년 미국 남북전쟁 당시 뉴욕에서 징병 거부에 항의하는 아일랜드계 가톨릭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폭도들이 프로테스탄트, 부유층, 흑인들을 표적으로 방화, 약탈, 폭력 행위를 저질렀다.[79]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폭격을 받은 영국의 여러 도시에서 붕괴된 건물을 아이들, 소방관, 일반 대중이 약탈한 사건이 여러 차례 보고되었다.[80]
1977년 뉴욕 대정전 당시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고,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에서도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이후, 경찰 기능 상실과 미군의 치안 유지 활동 소홀로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대규모 약탈이 발생했다.[81]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이라크 국립 박물관 약탈 사건이다.[81]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덮친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수몰된 지역에서 광범위한 약탈이 발생했다.[82]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 구호 활동 지연으로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어 약탈이 발생하는 한편, 약탈자로 의심받는 사람들에 대한 자경단 활동도 발생했다.[83][84] 2011년 런던 폭동에서는 젊은이들이 런던 광범위 지역에서 약탈을 저질렀다.[85] 이 약탈은 맨체스터, 리버풀, 버밍엄으로 번졌다.[88] 2015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경찰에 체포되어 사망한 흑인 프레디 그레이의 장례식 이후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89]
"약탈"이라는 용어는 비인가된 사람들에 의해 국가에서 고고학 유물이 반출되는 경우에도 사용되는데, 이는 금전적 이득을 추구하는 국내법 위반자 또는 주로 명성이나 이전에는 "과학적 발견"에 더 관심이 있는 외국 국가일 수 있다.[44] 예를 들어, 이집트 무덤의 내용물이 서구의 박물관으로 옮겨진 것을 들 수 있다.[44] 영어의 루팅(looting)이라는 단어는 고고학 조사에서 발굴된 유물이 출토된 국가에서 발굴자의 국가로 가져가지는 사례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약탈"은 특히 왕가의 계곡을 중심으로 한 고대 이집트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이 오늘날 많은 수가 대영박물관을 비롯한 유럽 각지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는 예가 특히 잘 알려져 있다.[69] 아멘호테프 2세의 오벨리스크는 영국 더럼 대학교 동양 박물관에, 필레 신전의 프톨레마이오스 9세의 오벨리스크는 마찬가지로 영국 도싯의 윔본에 현재 보관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이집트 측에서는 "약탈"이라는 비난이 있는 반면, 유럽인들은 자신들이 조사단을 조직하고 위치를 특정하여 발굴 조사를 하지 않았다면 애초에 보물의 대부분은 출토조차 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유럽 각지에서 이집트 원래 위치로 출토품 반환이 진행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쟁 배상의 일환으로, 소련군은 독일의 소련 점령 지역과 나중에 폴란드로 이관된 회복된 영토를 포함하여 체계적으로 약탈을 자행했다.[45][46][70][71] 소련은 귀중한 산업 설비, 기반 시설 및 전체 공장을 소련으로 이송했다.[45][46]
시리아 내전 당시 반군이 장악한 알레포 지역의 많은 공장들이 약탈당하고 자산이 해외로 이전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47][48] 농업 생산 시설과 발전소도 압류되어 다른 곳에 매각되었다.[49][50]
4. 1. 전쟁 약탈
역사적으로 전쟁에서 승리한 군대가 약탈을 하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보병에게 약탈은 귀중한 보급원이자 수입원이었다.[55] 고대 로마에서는 약탈의 연장선으로 개선식이 행해졌으며, 칭기즈칸처럼 정복한 적에게서 부를 빼앗는 것을 최대의 행복으로 여긴 인물도 드물지 않았다.[56] 손자는 고대에는 교통망이 미발달되었다는 이유로 적국 약탈로 군량을 조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원래 중세에는 항복 권고에 응하지 않고 저항한 도시가 함락 후 3일간의 약탈을 당하는 것은 승자 측의 일종의 처벌이었다. 고대에는 인간도 전리품으로 약탈되어 노예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과 아이들은 승자의 구성원과 결혼하거나 양자로 받아들여져 승자의 사회에 편입되는 경우도 있었다.[57][58] 전근대 사회에서는 높은 가치에 휴대가 간편한 귀금속이 자주 약탈되었다. 하층 병사들에게 있어 전쟁 중의 약탈은 부당한 보물을 손에 넣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수단 중 하나였다. 18세기 이후에는 예술품도 약탈의 대상이 되었다. 1930년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에 걸쳐 나치 독일은 대규모이고 조직적인 예술품 약탈을 행했다.[59][60]
일반적으로 규율이 느슨한 군대는 약탈에 치우치기 쉬운 경향이 있으며, 약탈을 한 병사는 전리품을 운반하기 위해 기동력이 떨어지거나, 전리품을 신경 쓰다가 유연성을 잃어 군 전체의 멸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한편, 제1 사우드 왕국의 카르발라 점령처럼 약탈이 그 이후의 승리로 이어진 예도 있다.[61] 전시에 약탈을 행하는 것은 승자만이 아니다. 1915년에는 비스와 지역에서 철수하는 러시아군이 이 지역을 약탈하며 떠났다.[62] 또한 2003년 이라크 전쟁 중의 이라크 국립 박물관 약탈처럼 일반 시민이 혼란을 틈타 약탈을 저지른 경우도 있다.[63] 러시아의 작가 레프 톨스토이는 소설 『전쟁과 평화』에서 나폴레옹 1세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몰려오는 모스크바에서 시민에 의한 약탈이 확산된 모습을 그리고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정치적 이유 등으로 정부가 약탈을 장려하는 경우도 있다. 제1차 코트디부아르 내전에서는 프랑스군과 대립한 코트디부아르 정부가 프랑스인이나 프랑스 관련 시설에 대한 습격과 약탈을 선동했다.
약탈 행위는 국제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쉽게 행해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전시 상황이 아직 적용되지 않는 내란 발생 시 더욱 그렇다. 예를 들어, 2011년 이집트 혁명은 이집트 고고학 유적지에서 유물 약탈이 크게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는데, 이는 정부가 유적지를 보호할 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33] 이슬람 국가(Islamic State) 무장세력이 이라크 국립박물관의 유물을 약탈하고 파괴한 행위와 같이 현대의 약탈 행위는 전쟁 규칙 자체에 대한 경멸을 표현하는 쉬운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34]
국가 또는 지역 정부가 갑자기 바뀌는 경우, 새로운 정부가 문제의 재산을 인계받은 것인지, 약탈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새로운 정부가 당시 부분적으로만 인정받는 경우에는 더욱 어려운데, 2021년 탈레반 공세 당시가 그러했다. 당시 해외로 도피한 전 정부 관리들의 많은 유물과 재산이 다른 국가들로부터 합법적인 아프가니스탄 정부로 인정받기 전에 탈레반의 손에 넘어갔다. 탈레반은 민간인 가옥과 마을의 추가 약탈과 방화를 아프가니스탄의 합법적인 정부로서의 권리 행사라고 주장하며 옹호해왔다.[35]
약탈은 내란이 한 국가의 국경 내에 대체로 국한되거나 평화 시에도 흔히 발생할 수 있다. 2020년 조지 플로이드 시위 여파로 인한 폭동은 약탈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는데, 약탈자들은 폭동 자체를 둘러싼 불안정한 정치 상황과 내란을 이용했다.[36][37][38] 소요 사태 동안 전국적으로 최대 175개의 타겟 매장이 문을 닫았다.[39][40]
지속되는 카슈미르 분쟁 중에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군사화된 지역 사이에 갇힌 카슈미르인들의 약탈이 흔하고 광범위하게 발생한다.[41]
2022년, 국제 관찰자들은 러시아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에 식량부터 산업 장비까지 광범위한 약탈을 저지르고 있다고 비난하며 대규모 약탈에 연루되었다고 비난했다.[42] 우크라이나 언론인과 민간인들이 수많은 사진과 비디오를 공개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러시아 지휘관들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했다. 국제 관찰자들은 이러한 약탈이 러시아의 주장과는 달리 직접적인 명령의 결과이거나 러시아군인들에게 지휘관들이 적절한 식량과 자원을 공급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43]
- '''역사적 사례'''
- * 455년: 반달족에 의한 로마 약탈.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죽음으로 인한 혼란 속에서 이루어졌다.
- * 870년: 사우다 이븐 무함마드의 아글랍 왕조에 의한 동로마 영토 멜리타(현 몰타 공화국, 이므디나) 점령(멜리타 포위전 (870년)). 도시는 파괴되었고, 교회는 약탈되었으며, 주민들은 학살당했다. 교회의 대리석이 가져가져 수스 성의 건설에 사용되었다.[75]
- * 1000년-1027년: 가즈나 왕조의 마흐무드의 인도 침공. 솜나트, 마투라, 카나우지 등의 종교 도시가 여러 차례 약탈을 당했다.
- * 1204년: 콘스탄티노플 함락. 제4차 십자군이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키고, 그 수도를 약탈하여 막대한 부를 이탈리아로 가져갔다.
- * 1631년: 마그데부르크 점령. 30년 전쟁 중, 틸리 백작 요한 체르클라에스가 이끄는 신성 로마 제국군이 프로테스탄트 도시 마그데부르크를 점령하고, 약탈과 학살을 자행하여 도시 인구는 3만 명에서 5000명으로 줄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독일어로 대량 학살을 의미하는 "마그데부르크화"(Magdeburgisieren)라는 말이 생겨났다.
- * 1664년: 마라타 지도자 시바지에 의한 수라트 점령·약탈
- * 1804년-1814년: 나폴레옹 전쟁. 나폴레옹 1세가 이끄는 프랑스 제국군(대륙군)은 유럽 전역에서 약탈을 자행했다.
- * 1812년: 바다호스 포위전. 스페인의 바다호스를 점령한 영국군과 포르투갈 군이 도시를 약탈했다.
- * 1860년: 원명원 약탈, 1900년: 베이징 약탈. 전자는 아편전쟁에서 청나라를 승리한 영국·프랑스 연합군, 후자는 의화단 사건에서의 8개국 연합군에 의한 것이다.[76]
- *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군슈츠(Kunstschutz)를 중심으로 점령지에서 예술품 약탈을 자행했다. 또한 소비에트 연방군도 독일과 독일에 점령당한 폴란드 등 동유럽 국가들을 약탈했다(제2차 세계 대전 중 폴란드의 약탈). 아시아에서도 일본군이 대규모적이고 조직적인 약탈을 자행했다.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러시아 연방군과 러시아 국가 친위대가 우크라이나 국내 민가 등에서 약탈 행위를 자행하고, 모국으로 약탈품을 보내는 모습이 기록되었다.[77][78]
- * 1863년: 미국 남북전쟁 당시 뉴욕에서 징병 거부에 항의하는 아일랜드계 카톨릭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폭도들이 프로테스탄트, 부유층, 흑인들을 표적으로 방화, 약탈, 폭력 행위를 저질렀다.[79]
- * 1939년-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폭격을 받은 영국의 여러 도시에서 붕괴된 건물을 아이들, 소방관, 일반 대중이 약탈한 사건이 여러 차례 보고되었다.[80]
- * 1977년: 뉴욕 대정전 당시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
- * 1989년: 미국의 파나마 침공 당시 파나마 시티에서 조직적인 약탈이 발생했다.
- * 1992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로드니 킹 사건을 계기로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로스앤젤레스 폭동).
- * 2003년: 미군의 이라크 침공 이후, 경찰 기능 상실과 미군의 치안 유지 활동 소홀로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대규모 약탈이 발생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이라크 국립 박물관 약탈 사건이다. 또한 병원이 습격당해 대부분의 물품을 빼앗기는 사태가 발생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진 피해 규모에는 과장된 부분도 있다. 이라크 국립 박물관의 경우에도 특히 중요한 유물들은 이라크 중앙은행 지하실에 은닉되어 있었다.[81]
- *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덮친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수몰된 지역에서 광범위한 약탈이 발생했다.[82]
- *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 구호 활동 지연으로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어 약탈이 발생하는 한편, 약탈자로 의심받는 사람들에 대한 자경단 활동도 발생했다.[83][84]
- * 2011년: 런던 폭동. 젊은이들이 런던 광범위 지역에서 약탈을 저질렀다.[85] 이 약탈은 조직적인 것이었다고 여겨지지만,[86] 배후는 명확하지 않다. 런던에서는 앞서 언급된 제2차 세계 대전 외에도 1981년 브릭스턴 폭동 당시에도 대규모 약탈이 발생했다.[87] 이 2011년 폭동과 약탈은 맨체스터, 리버풀, 버밍엄으로 번졌다.[88]
- * 2015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경찰에 체포되어 사망한 흑인 프레디 그레이의 장례식 이후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89]
4. 2. 자연재해 약탈
재난 발생 시 경찰과 군대는 인도주의적 또는 전투 관련 문제로 인해 역부족이거나, 통신 인프라 손상으로 인해 소집될 수 없을 때, 약탈을 막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8] 특히 자연재해 발생 시 많은 민간인들이 생존을 위해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을 가져가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8]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며, 불필요한 "약탈"과 필요한 "물건 줍기"의 경계가 어디에 있는지는 정부에게 종종 딜레마가 된다.[9][10]재해로 인해 경찰이나 군대가 기능을 정지하고 치안이 무너지면 약탈이 발생해도 제대로 단속하지 못하거나, 지역에 따라 교통이 두절되어 진압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막대한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구조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람들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주변에서 물건을 모으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가 약탈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물건을 찾고 있는 것인지 경계를 짓기 어려운 부분이며, 정부의 재해 처리의 어려운 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72]
- 1977년: 뉴욕 대정전 당시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
-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덮친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수몰된 지역에서 광범위한 약탈이 발생했다.[82]
-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 구호 활동 지연으로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어 약탈이 발생하는 한편, 약탈자로 의심받는 사람들에 대한 자경단 활동도 발생했다.[83][84]
- 2011년: 런던 폭동. 젊은이들이 런던 광범위 지역에서 약탈을 저질렀다.[85]
4. 3. 폭동 약탈
재해로 인해 경찰이나 군대가 기능을 정지하고 치안이 무너지면 약탈이 발생해도 제대로 단속하지 못하거나, 지역에 따라 교통이 두절되어 진압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72] 특히 막대한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구조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람들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주변에서 물건을 모으려고 할 수 있다.[72]1863년 미국 남북전쟁 당시 뉴욕에서 징병 거부에 항의하는 아일랜드계 가톨릭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폭도들이 프로테스탄트, 부유층, 흑인들을 표적으로 방화, 약탈, 폭력 행위를 저질렀다.[79]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폭격을 받은 영국의 여러 도시에서 붕괴된 건물을 아이들, 소방관, 일반 대중이 약탈한 사건이 여러 차례 보고되었다.[80]
1977년 뉴욕 대정전 당시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고,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에서도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이후, 경찰 기능 상실과 미군의 치안 유지 활동 소홀로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대규모 약탈이 발생했다.[81]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이라크 국립 박물관 약탈 사건이다.[81]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덮친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수몰된 지역에서 광범위한 약탈이 발생했다.[82]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 구호 활동 지연으로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어 약탈이 발생하는 한편, 약탈자로 의심받는 사람들에 대한 자경단 활동도 발생했다.[83][84] 2011년 런던 폭동에서는 젊은이들이 런던 광범위 지역에서 약탈을 저질렀다.[85] 이 약탈은 맨체스터, 리버풀, 버밍엄으로 번졌다.[88] 2015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경찰에 체포되어 사망한 흑인 프레디 그레이의 장례식 이후 폭동과 약탈이 발생했다.[89]
4. 4. 고고학 유물 약탈
"약탈"이라는 용어는 비인가된 사람들에 의해 국가에서 고고학 유물이 반출되는 경우에도 사용되는데, 이는 금전적 이득을 추구하는 국내법 위반자 또는 주로 명성이나 이전에는 "과학적 발견"에 더 관심이 있는 외국 국가일 수 있다.[44] 예를 들어, 이집트 무덤의 내용물이 서구의 박물관으로 옮겨진 것을 들 수 있다.[44] 영어의 루팅(looting)이라는 단어는 고고학 조사에서 발굴된 유물이 출토된 국가에서 발굴자의 국가로 가져가지는 사례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약탈"은 특히 왕가의 계곡을 중심으로 한 고대 이집트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이 오늘날 많은 수가 대영박물관을 비롯한 유럽 각지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는 예가 특히 잘 알려져 있다.[69] 아멘호테프 2세의 오벨리스크는 영국 더럼 대학교 동양 박물관에, 필레 신전의 프톨레마이오스 9세의 오벨리스크는 마찬가지로 영국 도싯의 윔본에 현재 보관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이집트 측에서는 "약탈"이라는 비난이 있는 반면, 유럽인들은 자신들이 조사단을 조직하고 위치를 특정하여 발굴 조사를 하지 않았다면 애초에 보물의 대부분은 출토조차 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유럽 각지에서 이집트 원래 위치로 출토품 반환이 진행되고 있다.4. 5. 산업 약탈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쟁 배상의 일환으로, 소련군은 독일의 소련 점령 지역과 나중에 폴란드로 이관된 회복된 영토를 포함하여 체계적으로 약탈을 자행했다.[45][46][70][71] 소련은 귀중한 산업 설비, 기반 시설 및 전체 공장을 소련으로 이송했다.[45][46]시리아 내전 당시 반군이 장악한 알레포 지역의 많은 공장들이 약탈당하고 자산이 해외로 이전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47][48] 농업 생산 시설과 발전소도 압류되어 다른 곳에 매각되었다.[49][50]
5. 한국의 입장
6. 약탈 방지 노력
6. 1. 국제적 노력
6. 2. 국내적 노력
7. 기타
7. 1. 딜레마
재난 발생 시 경찰과 군대는 인도주의적 또는 전투 관련 문제로 인해 역부족이거나, 통신 인프라 손상으로 인해 소집될 수 없을 때, 약탈을 막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8] 특히 자연재해 발생 시 많은 민간인들이 생존을 위해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을 가져가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며, 불필요한 "약탈"과 필요한 "물건 줍기"의 경계가 어디에 있는지는 정부에게 종종 딜레마가 된다.[9][10] 다른 경우에는 정치적 또는 종교적, 사회적, 경제적 이유 등으로 정부가 약탈을 용인하거나 심지어 조장하기도 한다.재해로 인해 경찰이나 군대가 기능을 정지하고 치안이 무너지면 약탈이 발생해도 제대로 단속하지 못하거나, 지역에 따라 교통이 두절되어 진압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막대한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구조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람들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주변에서 물건을 모으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가 약탈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물건을 찾고 있는 것인지 경계를 짓기 어려운 부분이며, 정부의 재해 처리의 어려운 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72]
7. 2. 용인되는 약탈
참조
[1]
뉴스
Baghdad protests over looting
http://news.bbc.co.u[...]
BBC
2003-04-12
[2]
뉴스
World: Americas Looting frenzy in quake city
http://news.bbc.co.u[...]
1999-01-28
[3]
뉴스
Argentine president resigns
http://news.bbc.co.u[...]
2001-12-21
[4]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looting
http://www.dictionar[...]
2016-12-12
[5]
웹사이트
Booty – Define Booty at Dictionary.com
http://www.dictionar[...]
[6]
간행물
Rule 52. Pillage is prohibited.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Cambridge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Hague Convention on the Law and Customs of War on Land (Hague II), article 28
https://avalon.law.y[...]
[8]
뉴스
Haiti earthquake: looting and gun-fights break out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0-01-16
[9]
뉴스
Indonesian food minister tolerates looting
http://news.bbc.co.u[...]
1998-07-21
[10]
논문
Disaster Mythology and Fact: Hurricane Katrina and Social Attachment
2008
[11]
논문
Dynamics of International Norm Change: Rules against Wartime Plunder
https://doi.org/10.1[...]
2008
[12]
서적
Warlord politics in China, 1916–1928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6
[13]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Part 1 the Mongols Proper and the Kalmyks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08
[14]
서적
A History of the Franks
Pantianos classics
1916
[15]
서적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6]
서적
The Empire of the Arabs
Hodder and Stoughton
1963
[17]
서적
Whose Culture?: The Promise of Museums and the Debate over Antiqui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18]
서적
Tajemnice nazistowskiej grabieży polskich zbiorów sztuki
Warszawa
2004
[19]
뉴스
Nazi loot claim 'compelling'
http://news.bbc.co.u[...]
2002-10-02
[20]
서적
The History of Saudi Arab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8
[21]
서적
Z dziejów Drugiej Rzeczypospolitej
Wydawnictwa Szkolne i Pedagogiczne
1986
[22]
뉴스
Iraq Museum Reopens Six Years After Looting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9-02-23
[23]
잡지
The Rape and Rescue of Kuwaiti City
https://newrepublic.[...]
1991-03-24
[24]
웹사이트
Oil Fires in Iraq
https://earthobserva[...]
2016-09-02
[25]
웹사이트
Fifteen years after looting, thousands of artefacts are still missing from Iraq's national museum
http://theconversati[...]
[26]
웹사이트
It's Disturbingly Easy to Buy Iraq's Archeological Treasures
https://www.theatlan[...]
2018-03-19
[27]
뉴스
'Loot-to-order' antiquities sold on Facebook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5-02
[28]
웹사이트
The Race to Save Syria's Archaeological Treasures
https://www.smithson[...]
[29]
잡지
Syria's Looted Past: How Ancient Artifacts Are Being Traded for Guns
https://world.time.c[...]
2012-09-12
[30]
뉴스
Syrians loot Roman treasures to buy guns
https://www.thetimes[...]
[31]
서적
Art and Cultural Heritage: Law, Polic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2]
서적
The Kuwait Crisis: Basic Documen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33]
웹사이트
"Space Archaeologists" Show Spike in Looting at Egypt's Ancient Sites
https://www.scientif[...]
[34]
웹사이트
'Cultural War': Iraq Mourns Relics Destroyed by ISIS
https://www.nbcnews.[...]
2015-06-29
[35]
뉴스
Taliban looted, torched Afghan homes after evicting residents -Human Rights Watch
https://www.reuters.[...]
2021-07-07
[36]
웹사이트
'Peaceful protests got hijacked': Some criminals used George Floyd protests as cover for looting, police say
https://www.usatoday[...]
2020-06-15
[37]
웹사이트
Looter from BLM and George Floyd Protest Bragged About Theft on Facebook While Offering Stolen Goods for Sale
https://www.techtime[...]
2020-06-06
[38]
웹사이트
List: Austin businesses looted during protests
https://www.kvue.com[...]
2020-06-01
[39]
웹사이트
Target Closes 175 Stores Nationwide In Wake Of George Floyd Protests, Looting
https://www.forbes.c[...]
2020-05-31
[40]
웹사이트
VIDEO: People loot Minneapolis Target in wake of George Floyd protests
https://www.kron4.co[...]
2020-05-28
[41]
웹사이트
Two arrested for beating, looting homeless man in Srinagar: Police
https://thekashmirwa[...]
2022-09-12
[42]
뉴스
Russians plunder $5M farm vehicles from Ukraine – to find they've been remotely disabled
https://edition.cnn.[...]
2022-05-02
[43]
웹사이트
'Hungry' Russian Soldiers Loot Ukrainian Shops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 Radio Liberty
2022-03-02
[44]
뉴스
Egypt's Antiquities Chief Combines Passion, Clout to Protect Artifacts
National Geographic News
2006-10-24
[45]
웹사이트
Między Modernizacja a Marnotrawstwem
http://www.ipn.gov.p[...]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46]
웹사이트
Armia Czerwona na Dolnym Śląski
http://www.ipn.gov.p[...]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47]
웹사이트
Turkey looted Syria factory: Damascus – World News
https://www.hurriyet[...]
2013-01-10
[48]
서적
Assessing the War on Terror: Western and Middle Eastern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
[49]
서적
The Last Sanctuary in Aleppo: A remarkable true story of courage, hope and survival
https://books.google[...]
Headline
2019
[50]
뉴스
Turkey accused of plundering olive oil from Syria to sell in the EU
https://www.telegrap[...]
2019-01-14
[51]
뉴스
Baghdad protests over looting
http://news.bbc.co.u[...]
BBC
2003-04-12
[52]
뉴스
World: Americas Looting frenzy in quake city
http://news.bbc.co.u[...]
BBC News
1999-01-28
[53]
뉴스
Argentine president resigns
http://news.bbc.co.u[...]
BBC News
2001-12-21
[54]
웹사이트
Rule 52. Pillage is prohibited.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서적
Warlord politics in China, 1916–1928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6
[56]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Part 1 the Mongols Proper and the Kalmyks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08
[57]
서적
African Background in American Colon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58]
서적
The Empire of the Arabs
Hodder and Stoughton
1963
[59]
서적
Tajemnice nazistowskiej grabieży polskich zbiorów sztuki
Warszawa
2004
[60]
뉴스
Nazi loot claim 'compelling'
http://news.bbc.co.u[...]
2002-10-02
[61]
서적
The History of Saudi Arab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8
[62]
서적
Z dziejów Drugiej Rzeczypospolitej
Wydawnictwa Szkolne i Pedagogiczne
1986
[63]
뉴스
Iraq Museum Reopens Six Years After Looting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9-02-23
[64]
웹사이트
Rule 52. Pillage is prohibited.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서적
Art and Cultural Heritage: Law, Polic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66]
웹사이트
国際刑事裁判所に関するローマ規程
https://www.mofa.go.[...]
外務省
[67]
웹사이트
Rule 52. Pillage is prohibited.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Kuwait Crisis: Basic Documen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69]
뉴스
Egypt's Antiquities Chief Combines Passion, Clout to Protect Artifact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6-10-24
[70]
웹사이트
MIĘDZY MODERNIZACJĄ A MARNOTRAWSTWEM
http://www.ipn.gov.p[...]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71]
웹사이트
ARMIA CZERWONA NA DOLNYM ŚLĄSKU
http://www.ipn.gov.p[...]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2018-12-04
[72]
뉴스
Indonesian food minister tolerates looting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5-11
[73]
뉴스
Top 10 Plundered Artifacts – Nefertiti's Bust
http://www.time.com/[...]
2009-08-27
[74]
웹사이트
Will Nefertiti Return to Egypt for a Brief Visit? Egypt Asks Germany for a Majestic Loan
http://arthistory.ab[...]
2006-06-17
[75]
웹사이트
New Light on the Darkest Age in Malta's History
http://melitensiawth[...]
2018-12-04
[76]
서적
English Lessons: The Pedagogy of Imperialism in Nineteenth-Century China
Duke University Press; Hong Kong University Press
[77]
웹사이트
ロシア兵が略奪品を発送か 洗濯機にTV…映像流出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2-06-08
[78]
웹사이트
ロシア兵のブチャ略奪、容疑者10人を特定…家電の位置をGPSで追跡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2-06-08
[79]
뉴스
On This Day: August 1, 1863
https://www.nytimes.[...]
[80]
웹사이트
A nation of looters: it even happened in the Blitz
http://www.theweek.c[...]
2018-12-04
[81]
웹사이트
Penn Museum –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 Anthropology
http://www.museum.up[...]
2018-12-04
[82]
웹사이트
Looters take advantage of New Orleans mess
http://www.nbcnews.c[...]
[83]
뉴스
Mob justice in Haiti
https://www.thestar.[...]
2018-12-04
[84]
웹사이트
Looting Flares Where Authority Breaks Down
https://www.nytimes.[...]
2018-12-04
[85]
뉴스
Further riots in London as violence spreads across England
https://www.bbc.co.u[...]
2018-12-04
[86]
뉴스
Second night of violence in London – and this time it was organised
https://www.theguard[...]
2018-12-04
[87]
서적
Half the Battle: Civilian Morale in Britai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88]
뉴스
UK riots: Trouble erupts in English cities
https://www.bbc.co.u[...]
2018-12-04
[89]
뉴스
Baltimore Enlists National Guard and a Curfew to Fight Riots and Looting
https://www.nytimes.[...]
2018-12-04
[90]
뉴스
무장 약탈판쳐 앰뷸런스까지 빼앗아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03-04-11
[91]
뉴스
강도로 돌변한 시민들…물가난에 상점 약탈
https://news.naver.c[...]
SBS 뉴스
2012-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