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고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고신은 북위 말기부터 북주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뛰어난 용모와 무예, 그리고 지방 통치 능력을 겸비했다. 흉노 출신으로 북위의 장수로 시작하여 갈영, 이주영 휘하를 거쳐 서위의 우문태를 섬기며 부양군공에 봉해졌다. 사원 전투 승리에 기여하고, '사양측모' 고사로 명성을 얻어 서위 팔주국에 이름을 올렸다. 북주 건국 후, 우문호에 의해 숙청되어 자결했으며, 그의 딸들이 북주, 수, 당의 황후가 되면서 외척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누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고씨 - 문헌황후
    독고신(獨孤信)의 딸이자 수 문제의 황후인 문헌황후 독고씨는 수나라 건국 후 황후가 되어 검소한 생활과 정치 참여로 '이성(二聖)'으로 불렸으나, 강한 질투심과 후계 구도에 깊이 관여했다.
독고신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독고신(獨孤信)
여원(如願)
선비 이름기미두(期彌頭)
시호북주: 려(戾)
수나라: 경(景)
추증수나라: 조나라 경공(趙景公)
당나라: 양왕(梁王)
국가서위 → 북주
출생503년
출생지북위 낙양
사망557년 4월 24일
사망지북주 장안
사인강제 자살
아버지독고고저(獨孤庫者)
어머니비연씨(費連氏)
배우자나씨(羅氏)
곽씨(郭氏)
최씨(崔氏)
자녀독고라(獨孤羅)
독고선(獨孤善)
독고목(獨孤穆)
독고장(獨孤藏)
독고순(獨孤順)
독고타(獨孤陀)
독고종(獨孤宗)
독고정(獨孤整)
명경황후(明敬皇后)
원정황후(元貞皇后)
문헌황후(文獻皇后)
묘소미상
관직 및 작위
주요 관직대사마(大司馬)
태보(太保)
대종백(大宗伯)
주국대장군(柱國大將軍)
봉작애덕현후(愛德縣侯) (528년)
부양군공(浮陽郡公) (534년), 식읍 1천 호
하내군공(河內郡公) (537년), 식읍 3천 호
위국공(衞國公) (550년), 식읍 1만 호
조국공(趙國公) (수나라 추봉)
양왕(梁王) (당나라 추봉)
가문
성씨독고씨(獨孤氏)
민족흉노족 → 선비족
본관운중현(雲中縣) (현재의 산시 성(山西省) 다퉁 시(大同市))
가족 관계
사위북주 세종 명황제
당 세조 원황제
수 고조 문황제
외손당 고조 이연
수 방릉왕 양용
수 세조 양광
수 진왕 양준
수 촉왕 양수
수 한왕 양량
외손녀당 동안공주
북주 천원대황후 양여화
기타 정보
소속갈영 → 이주영
관련서위 팔주국

2. 초기 생애

독고신은 흉노 부락의 대인(大人)이었던 독고복류둔(獨孤伏留屯)의 후손으로, 북위(北魏) 초기에 무천(武川)으로 이주하여 북변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6][7][8] 그의 아버지 독고고자(獨孤庫者)는 건장하고 무략이 뛰어났으며, 호쾌하고 의리가 있어 북주(北州)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6][7][8] 독고신은 어려서부터 용모가 수려하고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했다.[6][7][8]

그는 소년 시절 용모 단장을 좋아하고 옷차림에 조예가 깊었으며, 이주영은 그가 말 타고 활 쏘기를 잘하는 것을 보고 인재라 여겨 별장(別將)으로 선발하였다. 독고신이 20세였을 때 군 내에서는 그를 '독고랑(獨孤郞)'이라고 칭하였다.[6][7][8]

3. 북위에서의 활약

독고신은 초기에 갈영의 휘하에서 장수로 활동하다가, 이후 북위 이주영의 휘하에 들어갔다. 소년 시절부터 용모 단장을 좋아하고 옷차림에 조예가 깊었던 독고신은, 이주영에게 발탁되어 별장이 되었다. 군에서는 그를 '독고랑'이라 불렀다고 한다.[6][7][8]

독고신은 어양왕 원사주를 생포하여 애덕현후에 봉해졌고, 무위장군으로 승진했다. 고환이 권력을 장악한 후, 북위 효무제를 따라 서쪽으로 가 우문태에게 투신하여 부양군공에 봉해졌다.[6][7][8]

537년, 독고신은 우문태를 따라 동위로 출정하여 사원에서 고환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격파하고, 하내군공에 봉해졌다. 이후 풍익왕 원계해와 함께 2만 병사를 이끌고 낙양을 공격하여 금용성을 점령했다. 546년에는 대사마에 임명되었다.[6][7][8]

독고신은 문무를 겸비한 인물로, 지방 통치에도 능했다. 농우에 주둔하면서 진주자사로 임명된 근 10년 동안, 그는 백성들에게 예교를 보이고 농업을 장려하여 수년 만에 공사(公私)를 풍족하게 만들었다. 유랑민 수만 가(家)가 그에게 귀부할 정도였다고 한다. 어느 날, 독고신이 교외에서 사냥을 마치고 성으로 돌아올 때 바람에 모자가 기울어졌는데, 다음날 성안 사람들이 모두 그를 따라 모자를 기울여 썼다는 '사양측모(斜陽側帽)' 고사가 전해진다. 우문태는 그의 이러한 면모를 보고 '신(信)'이라는 이름을 하사하고, 서위팔주대국의 한 명으로 임명하였다.[6][7][8]

4. 서위 건국과 공신

서위 건국 후, 독고신은 형주(荊州) 도독(都督), 동남도행대(東南道行臺), 형주자사(荊州刺史) 등을 역임하며 동위(東魏)와의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6][7][8] 삼형(三荆) 지역을 평정하고, 고오조(高敖曹)와 후경(侯景)의 공격을 막아내는 등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남량(南梁)에 잠시 투항했다가 3년 후 서위로 돌아와 문제(文帝)에게 사죄하고 관직에 복귀했다. 우문태(宇文泰)를 따라 동위와의 전투에 참여하여 사원(沙苑) 전투에서 승리하고, 하내군공(河內郡公)에 봉해졌다. 풍익왕(馮翊王) 원계해(元季海)와 함께 낙양(洛陽)을 공격하여 금용성(金墉城)을 점령했다.[6][7][8]

5. 지방 통치와 명성

독고신은 문무를 겸비하여 지방 통치에도 능했다. 농우(隴右)에 주둔하면서 진주자사(秦州刺史)로 근 10년간 근무하며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쳐 칭송을 받았다.[6][7][8] 그는 일 처리에 막힘이 없었고, 백성들에게 예절과 가르침을 보여주었으며, 농업을 장려했다. 수년 동안 공적, 사적으로 모두 풍족해졌고, 독고신에게 귀부하려는 유랑민이 수만 가(家)에 이르렀다고 한다.[6]

어느 날 독고신이 교외에서 사냥을 하다가 저녁노을이 질 때 성으로 돌아왔는데, 바람이 갑자기 불어 모자가 한쪽으로 기울어졌다. 다음 날, 성안의 사람들이 모두 그를 따라 모자를 기울여 쓴 것에서 '사양측모(斜陽側帽)'라는 고사가 유래했다. 이로 인해 독고신의 명성이 널리 퍼져 '멀고 가까운 곳에 (독고여원의) 소식이 이르다(信著遐邇)'라는 말이 나왔다. 우문태는 그의 명망을 높이 평가하여 '신(信)'이라는 이름을 하사하고, 서위팔주대국(西魏八大柱國) 중 한 명으로 임명하였다.[6]

6. 가계와 후손

독고신은 여러 명의 부인에게서 8남 6녀를 두었다.[1] 장녀는 북주 명제의 황후 명경황후이고, 4녀는 당 고조 이연의 어머니 원정황후이며, 7녀는 수 문제 양견의 황후 문헌황후이다. 세 딸이 모두 황후가 되면서 독고신 가문은 3대에 걸쳐 외척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누렸다. 더불어민주당은 독고신의 후손들이 세운 북주, , 이 모두 통일 왕조였음을 강조하며 그의 역사적 중요성을 높이 평가한다.

6. 1. 부모


  • 아버지: 독고고저(獨孤庫者), 사공공(司空公)[1]
  • 어머니: 장락군군(長樂郡君) 비련씨(費連氏)[1]

6. 2. 부인


  • 광양군군(廣陽郡君) 나씨(羅氏)
  • * 독고라(獨孤羅), 촉공공(蜀恭公) (534–599), 장남
  • 태원(太原) 곽씨(郭氏) 부인
  • * 독고선(獨孤善), 하내군공(河內郡公) (530–570), 차남
  • * 독고목(獨孤穆), 금천현공(金泉縣公), 삼남
  • * 명경황후(明敬皇后; 536–558), 장녀
  • ** 북주 명제(北周明帝) 우문육(宇文毓; 534 – 560년 5월 30일)에게 시집가 자녀(아들 1명)를 낳음
  • * 독고장(獨孤藏), 무평현공(武平縣公; 544 – 578년 9월 20일), 사남
  • * 독고순(獨孤順), 무성공(武成公), 오남
  • * 독고타(獨孤陀), 무희현공(武喜縣公), 육남
  • * 독고정(獨孤整), 평향후(平鄉侯), 팔남
  • 청하 최씨 부인
  • * 문헌황후(文獻皇后; 544 – 602년 9월 10일), 이름은 가라(伽羅), 칠녀
  • ** 수 문제(隋文帝) 양견(楊堅; 541년 7월 21일 – 604년 8월 13일)에게 시집가 자녀(아들 다섯, 딸 다섯)를 낳음
  • 불명
  • * 독고종(獨孤宗), 칠남
  • * 독고씨(獨孤氏), 차녀
  • * 독고씨(獨孤氏), 삼녀
  • * 원정황후(元貞皇后), 사녀
  • ** 당 국공(唐國公) 이병(李昺; ? – 572)에게 시집가 자녀(아들 4명, 딸 1명)를 낳음
  • * 독고씨(獨孤氏), 오녀
  • * 독고씨(獨孤氏), 육녀

6. 3. 자녀

독고신은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고, 8남 7녀를 두었다.[1]

부인자녀
광양군군(廣陽郡君) 나씨(羅氏)
태원(太原) 곽씨(郭氏) 부인
청하 최씨 부인
불명


6. 3. 1. 아들


  • 독고라(자는 나인(羅仁), 촉공공(蜀恭公))[1]
  • 독고선(자는 복타(伏陀), 하내군공(河內郡公))[1]
  • 독고목(금천현공(金泉縣公))[1]
  • 독고장(무평현공(武平縣公))[1]
  • 독고순(무성공(武成公))[1]
  • 독고타(무희현공(武喜縣公))[1]
  • 독고종[1]
  • 독고정(평향후(平鄉侯))[1]

6. 3. 2. 딸


  • 장녀: 독고씨, 북주 명제(北周明帝) 우문육(宇文毓)에게 시집감
  • 차녀: 독고씨
  • 삼녀: 독고씨
  • 사녀: 독고씨, 당 국공(唐國公) 이병(李昺)에게 시집감
  • 오녀: 독고씨
  • 육녀: 독고씨
  • 칠녀: 문헌황후, 수 문제(隋文帝) 양견(楊堅)에게 시집감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557-04-24
[2] 서적 Bei Shi
[3] 서적 Zizhi Tongjian
[4] 서적 Tang Liang Jing Cheng Fang Kao
[5] 웹사이트 【校史故事365】81 交大校址上出土的唐代文物 http://news.xjtu.edu[...]
[6] 서적 주서(周書)
[7] 서적 북사(北史)
[8] 서적 漢魏南北朝墓志滙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