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사마는 중국의 관직으로, 주나라 시대에는 병마를 관리하는 성의 수장이었으며, 진나라에서는 태위와 같은 무관직이었다. 전한 시대에는 삼공의 반열에 오르며 곽거병에게 처음으로 장군호와 함께 대사마가 내려졌다. 이후 병권을 잃고 삼공의 순위 변동을 겪었으나 직위는 존속되었다. 신나라, 후한, 위진 시대에도 대사마 직책이 존재했으며, 각 시대별로 주요 인물들이 대사마에 임명되었다.
대사마는 주나라에서 전쟁에 쓸 병마(兵馬)를 관리하는 성(省)의 수장이었다고 한다. 진나라에서는 태위(太尉)라 불린 무관(武官) 직책이었다.
2. 역사
전한에서는 삼공(三公)이라는 세 가지 최고 관직 중 하나였다. 혜제 6년(기원전 189년)에 주발이 처음으로 태위로 임명되었으나, 무제 건원(建元) 2년(기원전 139년)에 태위 전분이 면관된 뒤에는 태위가 임명되지 않아 사실상 폐지되었다. 건원 4년(기원전 119년)에 대장군 위청과 표기장군(票騎將軍) 곽거병이 나란히 존재했기에 처음으로 곽거병에게 대사마가 내려져 장군호 앞에 붙게 되었다. 선제 지절(地節) 2년(기원전 68년)에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 곽광이 죽고 선제는 그 아들 곽우(霍禹)를 단지 대사마로만 삼았을 뿐 장군의 호칭을 없애어, 그의 병권을 빼앗았다. 이때부터 대사마는 병권을 갖지 못하게 되었고, 이후에도 삼공의 순위나 장군호 유무의 변천이 있었지만 대사마라는 직위 자체는 존속되었다.
신(新)의 왕망(王莽)을 타도한 경시제(更始帝)도 대사마를 두었는데, 유수(劉秀)도 당초 겸무직인 행대사마(行大司馬)로서 하북(河北)으로 보내졌다. 유수가 황제로 즉위한 뒤에도 대사마가 설치되어 오한(吳漢)이 임명되었는데, 후한(後漢) 건무(建武) 27년(51년)에 태위로 바뀌었다. 중평 6년(189년) 유우가 대사마에 임명되면서[29] 대사마직이 부활하였는데, 이때 대사마와 태위는 각각 따로 존재하였다.[30]
위진(魏晋) 시대에는 삼공의 위에 존재하는 직책으로서 부활하였다.
2. 1. 주나라
주(周)에서는 전쟁에 쓸 병마(兵馬)를 관리하는 성(省)의 수장이었다고 한다.
2. 2. 진나라
진나라에서는 태위(太尉)라 불린 무관(武官) 직책이었다.[29]
2. 3. 전한
소제 상관황후의 외조부
선제 곽황후의 아버지장안세 거기장군→위장군 선제 지절 3년 4월 무신 (기원전 67년) 원강 4년 8월 병인 (기원전 62년) 거기장군 사망 장탕의 아들 곽우 우장군 지절 3년 (기원전 67년) 지절 3년 7월 임진 (기원전 67년) 우장군 처형 곽광의 아들
상관황후의 백부
곽황후의 형한증 거기장군 신작 원년 (기원전 61년) 오봉 2년 4월 기축 (기원전 55년) 전장군 사망 한왕신의 현손
한설의 아들허연수 거기장군 오봉 2년 5월 (기원전 55년) 감로 원년 3월 정사 (기원전 53년) 강노장군 사망 허광한의 동생
선제 허황후의 숙부
성제 허황후의 조부사고 거기장군 황룡 원년 12월 계유 (기원전 49년) 영광 원년 7월 계미 (기원전 43년) 시중 은퇴 사량제의 조카
사황손 유진의 사촌
사단의 아버지왕접 거기장군 원제 영광 원년 9월 무자 (기원전 43년) 영광 3년 4월 계미 (기원전 41년) 시중
위위사망 도후의 조카 허가 거기장군 영광 3년 7월 임술 (기원전 41년) 건시 3년 8월 계축 (기원전 30년) 좌장군 위위 파면 허연수의 아들
선제 허황후의 사촌
성제 허황후의 아버지왕봉 대장군 성제 경녕 원년 6월 기미 (기원전 33년) 양삭 3년 8월 정사 (기원전 22년) 시중
위위사망 성제 왕황후의 형
왕망의 백부왕음 거기장군 양삭 3년 9월 갑자 (기원전 22년) 영시 2년 정월 을사 (기원전 15년) 어사대부 사망 성제 왕황후의 사촌
왕봉의 사촌왕상 위장군 영시 2년 2월 정유 (기원전 15년) 영시 4년 11월 경신 (기원전 13년) 특진 은퇴 왕봉의 이복 동생
성제 왕황후의 이복 동생
왕망의 숙부위장군→대장군 원연 원년 정월 임술 (기원전 12년) 원연 원년 12월 신해 (기원전 12년) 사망 왕근 표기장군→(없음) 원연 원년 12월 경신 (기원전 12년) 수화 원년 7월 갑인 (기원전 8년) 광록훈 은퇴 왕봉의 이복 동생
성제 왕황후의 이복 동생
왕망의 숙부왕망 (없음) 수화 원년 11월 병인 (기원전 8년) 수화 2년 11월 정묘 (기원전 7년) 시중
기도위
광록대부파면 왕봉의 조카
성제 왕황후의 조카사단 (없음) 애제 수화 2년 (기원전 7년) 수화 2년-건평 원년
(기원전 7년-기원전 6년)좌장군 전임→대사공 부희 (없음) 건평 2년 4월 정유 (기원전 6년) 건평 2년 2월 정축 (기원전 5년) 시중
광록대부파면 성제 부소의의 사촌 정명 위장군→표기장군 건평 2년 (기원전 5년) 원수 원년 9월 기묘 (기원전 2년) 파면 정희의 형제 부안 위장군 원수 원년 (기원전 2년) 원수 원년 (기원전 2년) 특진 파면 부소의의 사촌
애제 부황후의 아버지위상 거기장군 원수 원년 11월 임오 (기원전 2년) 원수 원년 11월 기축 (기원전 2년) 광록대부 사망 동현 위장군 원수 원년 12월 경자 (기원전 2년) 원수 2년 6월 을미 (기원전 1년) 시중
부마도위파면 왕망 (없음) 평제 원수 2년 6월 경신 (기원전 1년) 원시 원년 2월 병진 (1년) 전임 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