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사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사마는 중국의 관직으로, 주나라 시대에는 병마를 관리하는 성의 수장이었으며, 진나라에서는 태위와 같은 무관직이었다. 전한 시대에는 삼공의 반열에 오르며 곽거병에게 처음으로 장군호와 함께 대사마가 내려졌다. 이후 병권을 잃고 삼공의 순위 변동을 겪었으나 직위는 존속되었다. 신나라, 후한, 위진 시대에도 대사마 직책이 존재했으며, 각 시대별로 주요 인물들이 대사마에 임명되었다.

2. 역사

대사마는 주나라에서 전쟁에 쓸 병마(兵馬)를 관리하는 성(省)의 수장이었다고 한다. 진나라에서는 태위(太尉)라 불린 무관(武官) 직책이었다.

전한에서는 삼공(三公)이라는 세 가지 최고 관직 중 하나였다. 혜제 6년(기원전 189년)에 주발이 처음으로 태위로 임명되었으나, 무제 건원(建元) 2년(기원전 139년)에 태위 전분이 면관된 뒤에는 태위가 임명되지 않아 사실상 폐지되었다. 건원 4년(기원전 119년)에 대장군 위청과 표기장군(票騎將軍) 곽거병이 나란히 존재했기에 처음으로 곽거병에게 대사마가 내려져 장군호 앞에 붙게 되었다. 선제 지절(地節) 2년(기원전 68년)에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 곽광이 죽고 선제는 그 아들 곽우(霍禹)를 단지 대사마로만 삼았을 뿐 장군의 호칭을 없애어, 그의 병권을 빼앗았다. 이때부터 대사마는 병권을 갖지 못하게 되었고, 이후에도 삼공의 순위나 장군호 유무의 변천이 있었지만 대사마라는 직위 자체는 존속되었다.

(新)의 왕망(王莽)을 타도한 경시제(更始帝)도 대사마를 두었는데, 유수(劉秀)도 당초 겸무직인 행대사마(行大司馬)로서 하북(河北)으로 보내졌다. 유수가 황제로 즉위한 뒤에도 대사마가 설치되어 오한(吳漢)이 임명되었는데, 후한(後漢) 건무(建武) 27년(51년)에 태위로 바뀌었다. 중평 6년(189년) 유우가 대사마에 임명되면서[29] 대사마직이 부활하였는데, 이때 대사마와 태위는 각각 따로 존재하였다.[30]

위진(魏晋) 시대에는 삼공의 위에 존재하는 직책으로서 부활하였다.

2. 1. 주나라

(周)에서는 전쟁에 쓸 병마(兵馬)를 관리하는 성(省)의 수장이었다고 한다.

2. 2. 진나라

진나라에서는 태위(太尉)라 불린 무관(武官) 직책이었다.[29]

2. 3. 전한

소제 상관황후의 외조부
선제 곽황후의 아버지장안세거기장군위장군선제지절 3년 4월 무신 (기원전 67년)원강 4년 8월 병인 (기원전 62년)거기장군사망장탕의 아들곽우우장군지절 3년 (기원전 67년)지절 3년 7월 임진 (기원전 67년)우장군처형곽광의 아들
상관황후의 백부
곽황후의 형한증거기장군신작 원년 (기원전 61년)오봉 2년 4월 기축 (기원전 55년)전장군사망한왕신의 현손
한설의 아들허연수거기장군오봉 2년 5월 (기원전 55년)감로 원년 3월 정사 (기원전 53년)강노장군사망허광한의 동생
선제 허황후의 숙부
성제 허황후의 조부사고거기장군황룡 원년 12월 계유 (기원전 49년)영광 원년 7월 계미 (기원전 43년)시중은퇴사량제의 조카
사황손 유진의 사촌
사단의 아버지왕접거기장군원제영광 원년 9월 무자 (기원전 43년)영광 3년 4월 계미 (기원전 41년)시중
위위사망도후의 조카허가거기장군영광 3년 7월 임술 (기원전 41년)건시 3년 8월 계축 (기원전 30년)좌장군 위위파면허연수의 아들
선제 허황후의 사촌
성제 허황후의 아버지왕봉대장군성제경녕 원년 6월 기미 (기원전 33년)양삭 3년 8월 정사 (기원전 22년)시중
위위사망성제 왕황후의 형
왕망의 백부왕음거기장군양삭 3년 9월 갑자 (기원전 22년)영시 2년 정월 을사 (기원전 15년)어사대부사망성제 왕황후의 사촌
왕봉의 사촌왕상위장군영시 2년 2월 정유 (기원전 15년)영시 4년 11월 경신 (기원전 13년)특진은퇴왕봉의 이복 동생
성제 왕황후의 이복 동생
왕망의 숙부위장군→대장군원연 원년 정월 임술 (기원전 12년)원연 원년 12월 신해 (기원전 12년)사망왕근표기장군→(없음)원연 원년 12월 경신 (기원전 12년)수화 원년 7월 갑인 (기원전 8년)광록훈은퇴왕봉의 이복 동생
성제 왕황후의 이복 동생
왕망의 숙부왕망(없음)수화 원년 11월 병인 (기원전 8년)수화 2년 11월 정묘 (기원전 7년)시중
기도위
광록대부파면왕봉의 조카
성제 왕황후의 조카사단(없음)애제수화 2년 (기원전 7년)수화 2년-건평 원년
(기원전 7년-기원전 6년)좌장군전임→대사공부희(없음)건평 2년 4월 정유 (기원전 6년)건평 2년 2월 정축 (기원전 5년)시중
광록대부파면성제 부소의의 사촌정명위장군→표기장군건평 2년 (기원전 5년)원수 원년 9월 기묘 (기원전 2년)파면정희의 형제부안위장군원수 원년 (기원전 2년)원수 원년 (기원전 2년)특진파면부소의의 사촌
애제 부황후의 아버지위상거기장군원수 원년 11월 임오 (기원전 2년)원수 원년 11월 기축 (기원전 2년)광록대부사망동현위장군원수 원년 12월 경자 (기원전 2년)원수 2년 6월 을미 (기원전 1년)시중
부마도위파면왕망(없음)평제원수 2년 6월 경신 (기원전 1년)원시 원년 2월 병진 (1년)전임재임


2. 4. 신나라

大司馬중국어신나라(新) 시기 왕망(王莽)이 설치한 관직이다.

왕망시건국 원년(9년) 정월에 견한을 대사마로 임명했다.[1] 견한은 시건국 4년(12년)에 사망했고, 후임으로 공영이 임명되었다.[1] 공영은 시건국 5년(13년)에 은퇴했으며, 록병이 대사마가 되었다.[1] 록병은 천봉 원년(14년) 3월에 파면되었고, 묘흔이 대사마가 되었다.[1] 묘흔은 천봉 2년(15년)에 좌천되어 사명으로 이동했고, 진무가 대사마가 되었다.[1] 진무는 천봉 3년(16년) 7월에 파면되었고, 장우가 대사마가 되었다.[1][2] 장우는 천봉 6년(19년)에 파면되었고, 동충이 대사마가 되었다.[2] 동충은 지황 4년(23년) 7월에 살해되었고, 왕읍이 대사마가 되었다.[2] 왕읍은 지황 4년(23년) 10월에 전사했다.[2]

신나라 대사마
이름장군호황제취임퇴임전직퇴임 이유비고
견한(없음)왕망시건국 원년 정월시건국 4년사망[1]
공영(없음)시건국 4년시건국 5년영시장군은퇴[1]
록병(없음)시건국 5년천봉 원년 3월파면[1]
묘흔(없음)천봉 원년 3월천봉 2년오위장군좌천[1]
진무(없음)천봉 2년천봉 3년 7월파면[1]
장우(없음)천봉 3년 7월천봉 6년파면[1][2]
동충(없음)천봉 6년지황 4년 7월살해[2]
왕읍(없음)지황 4년지황 4년 10월대사공전사[2]


2. 5. 후한

후한에서는 건무 27년(51년)에 대사마가 태위로 바뀌었다.[29] 중평 6년(189년) 유우가 대사마에 임명되면서[29] 대사마직이 부활하였는데, 이때 대사마와 태위는 각각 따로 존재하였다.[30]

후한 대사마
이름장군호황제취임퇴임전직퇴임 이유비고
오한(없음)광무제건무 원년 7월 임오건무 20년 5월 신해한 대장군사망[3][8]
(유륭)표기장군건무 20년 6월 임진건무 27년 5월 정축좌중랑장대사마 폐지행 대사마사
유우(없음)헌제중평 6년 9월 을유초평 4년태위살해[9]
(이각)(없음)흥평 2년 5월 임오차기장군자칭?
장양(없음)건안 원년 6월 계묘건안 2년 11월안국장군살해[9]
(유비)(없음)건안 24년 가을건안 26년 4월 병오황제 즉위자칭


2. 6. 위진남북조 시대

·진 시대에는 태위와 병립하면서도 삼공보다 격이 높은 직책으로 부활하여 조인 등 거물이 취임했다. 다음은 위진 시대의 대사마 임명 사례이다.

위진 시대 대사마 임명 사례
이름장군호황제취임퇴임전직퇴임 이유비고
(공손강)(없음)문제추증[12][13]
조인(없음)황초 2년 12월 기묘 (221년)황초 4년 3월 정미 (223년)대장군사망[12][14]
조휴(없음)명제황초 7년 12월 (226년)태화 2년 9월 경자 (228년)정동대장군사망[15][16]
조진(없음)태화 4년 2월 계사 (230년)태화 5년 3월 (231년)대장군사망[15][17]
공손연(없음)청룡 원년 12월 (233년)[15][13]


3. 주요 인물

색상구분
#ffccff전후좌우대사마
#ccffff행대사마사
#ffffcc자칭
#cccccc추증


참조

[1] 서적 漢書王莽伝中
[2] 서적 漢書王莽伝下
[3] 서적 後漢書光武帝紀
[4] 서적 後漢書劉玄伝
[5] 서적 後漢書王郎伝
[6] 서적 後漢書劉盆子伝
[7] 서적 後漢書劉永伝
[8] 서적 後漢書呉漢伝
[9] 서적 後漢書献帝紀
[10] 서적 後漢書董卓伝所引『献帝起居注』
[11] 서적 三国志蜀書2 先主伝
[12] 서적 三国志魏書2 文帝紀
[13] 서적 三国志魏書82 公孫度伝
[14] 서적 三国志魏書9 曹仁伝
[15] 서적 三国志魏書2 明帝紀
[16] 서적 三国志魏書9 曹休伝
[17] 서적 三国志魏書9 曹真伝
[18] 서적 三国志蜀書3 後主伝
[19] 서적 三国志蜀書14 蔣琬伝
[20] 서적 三国志呉書2 呉主伝
[21] 서적 三国志呉書11 呂範伝
[22] 서적 三国志呉書11 朱然伝
[23] 서적 三国志呉書15 全琮伝
[24] 서적 三国志呉書3 孫亮伝
[25] 서적 三国志呉書15 呂岱伝
[26] 서적 三国志呉書19 孫綝伝
[27] 서적 三国志呉書3 孫晧伝
[28] 서적 三国志呉書13 陸遜伝
[29] 서적 《후한서》 권9, 중평 6년 9월 을유조
[30] 서적 《후한서》 백관지1, 태위조, 유소의 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