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혜황귀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돈혜황귀비는 함풍제의 후궁으로, 동치제와 광서제 시대를 거쳐 선통제에 의해 황고진귀비로 진봉되었다. 1856년에 태어나 1872년 진귀인으로 책봉되었으며, 이후 진빈, 진비로 진봉되었다. 청나라가 멸망한 후에도 자금성에 머물다 1933년 사망했으며, 1935년 헌철황귀비와 함께 쌍산욕혜릉비원침에 봉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후궁 - 화유황귀비
화유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가경제의 첩 시절 두 자녀를 두었으며 함비, 함귀비를 거쳐 현희황귀태비로 봉해졌고 사후 화유황귀비로 추증되었으며 73세에 사망하여 창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후궁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 1856년 출생 - 우드로 윌슨
우드로 윌슨은 진보적 국내 정책 추진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창설 주도 등으로 기억되지만 인종차별적 견해와 뇌졸중으로 인한 무능력 상태로 비판받는 제28대 미국 대통령이다. - 1856년 출생 - 필리프 페탱
필리프 페탱은 제1차 세계 대전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시 프랑스 정권 수반으로서 나치 독일과 협력한 행위로 인해 반역죄로 기소되어 유배지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1933년 사망 - 이와야 사자나미
이와야 사자나미는 메이지 시대에 아동 문학을 보급하고 일본 최초의 아동 문학 총서 간행, 전승 설화 리텔링, '옛날이야기 하이쿠 그림' 창조 등을 통해 일본 근대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아동 문학가, 소설가, 시인, 수필가이자 문예 평론가이다. - 1933년 사망 - 미야자와 겐지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 시인이자 소설가, 동화 작가, 농업기술 지도자인 미야자와 겐지는 불교적 신앙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헌신이 담긴 작품들을 남겼으며 사후 재평가를 통해 일본 문학사의 중요한 작가로 인정받았다.
돈혜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호 | 돈혜황귀비 (敦惠皇貴妃) |
출생일 | 함풍 6년 8월 8일 (1856년 9월 6일) |
사망일 | 민국 22년 4월 24일 (1933년 5월 18일) (향년 76세) |
매장지 | 쌍산욕혜릉비원침 |
가문 | 서림각라 (西林覺羅; 출생 시) 애신각라 (愛新覺羅; 결혼 후) |
가족 관계 | |
부친 | 나림 |
배우자 | 동치제 |
작위 및 칭호 | |
초봉 | 진귀인(瑨貴人) |
추가 봉작 | 진빈 진비 황고진귀비 영혜황귀비 영혜황귀태비 |
2. 생애
돈혜황귀비는 함풍 6년(1856년) 8월 8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육품 문관(주사, 主事)을 역임한 뤄린(羅霖)이고, 아버지의 할아버지는 지칭(吉卿)이다. 가계는 다음과 같다.[1]
아버지 | 뤄린(羅霖/罗霖), 육품 문관(主事)을 역임. |
---|---|
아버지의 할아버지 | 지칭(吉卿) |
동치 11년(1872년) 2월 3일, 진귀인(瑨貴人)으로 봉해졌고, 같은 해 9월 13일 경인궁 유빈과 순빈이 입궁했으며, 진귀인은 혜비와 함께 영화궁에 거처하였다. 가문이 다른 몇몇 후궁들과 비교가 안되기 때문에 지위가 가장 낮았다.[1] 동치 13년(1874년) 11월 15일, 양궁 황태후의 교지를 받아 진빈(瑨嬪)으로 진봉되었다.[1]
광서 20년(1894년) 1월, 서태후는 그해 60세 생일을 맞아 내정 비빈들이 평소 자신을 근면하게 모셨다는 이유로, 진빈을 진비(瑨妃)로 진봉하였다.[1] 광서 34년(1908년) 10월 25일, 선통제에 의해 황고진귀비(皇考瑨貴妃)로 진봉되었다.[1]
1913년 3월 12일, 푸이는 시린 기오로 부인을 "영혜 황귀비"로 책봉했다.[1] 1924년 11월 21일 선통제가 자금성에서 쫓겨나자, 돈혜황귀비도 그를 따라 궁궐을 나왔다.[1] 1933년 5월 18일 오후 7시, 옛 영수고륜공주부에서 78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1] 시호는 돈혜황귀비(敦惠皇貴妃)이다.[1] 1935년 3월 15일, 헌철황귀비 관곽과 함께 쌍산욕혜릉비원침에 봉안하였다.[1]
그녀의 봉호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시기 | 봉호 | 품계 | 비고 |
---|---|---|---|
함풍제 (1850–1861 재위) 시대 | 시린 기오로 부인 | - | |
동치제 (1861–1875 재위) 시대 | 진 귀인 (瑨貴人중국어) | 육품 (第六品) | |
진 빈 (瑨嬪중국어) | 오품 (第五品) | ||
광서제 (1875–1908 재위) 시대 | 진 비 (瑨妃중국어) | 사품 (第四品) | |
진 귀비 (瑨貴妃중국어) | 삼품 (第三品) | ||
중화민국 (1912–1949) 시대 | 융혜 황귀비 (榮惠皇貴妃중국어) | 이품 (第二品) | |
중화민국 (1912–1949) 시대 | 돈혜 황귀비 (敦惠皇貴妃중국어) | - | 사후 추존 |
2. 1. 가계와 초기 생애
함풍 6년(1856년) 8월 8일 사시(巳時)에 태어났다. 동치 11년(1872년) 2월 3일, 진귀인으로 봉해졌고, 같은 해 9월 13일 묘각에 경인궁 유빈과 순빈이 입궁했으며, 진귀인은 혜비와 함께 영화궁에 거처하였다. 가문이 다른 몇몇 후궁들과 비교가 안되기 때문에 지위가 가장 낮았다.동치 13년(1874년) 11월 15일, 양궁 황태후의 교지를 받아 진빈으로 진봉되었다. 광서 20년(1894년) 1월, 서태후는 그해 60세 생일을 맞아 내정 비빈들이 평소 자신을 근면하게 모셨다는 이유로, 진빈을 진비로 진봉하였다. 광서 34년(1908년) 10월 25일, 선통제에 의해 황고진귀비로 진봉되었다. 선통제는 동치제와 광서제의 대를 이은 후손으로 대통을 계승했고, 동치제의 미망인은 광서제의 미망인과 권력투쟁을 시작했다. 진귀비는 불사에 전념하여 유황귀비 밑에 있었다. 돈혜황귀비의 이름은 역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미래의 돈혜황귀비는 함풍제 치세 6년째 되는 해, 음력 8월 8일, 즉 그레고리력으로는 1856년 9월 6일에 태어났다.
가계는 다음과 같다.[1]
아버지 | 뤄린(羅霖/罗霖), 육품 문관(主事)을 역임. |
---|---|
아버지의 할아버지 | 지칭(吉卿) |
참고 자료는 다음과 같다.
- 『청사고』
- 『선통사전』
2. 2. 후궁 시절
돈혜황귀비는 함풍 6년(1856년) 8월 8일 사시(巳時)에 태어났다.[1] 동치 11년(1872년) 2월 3일, 진귀인(瑨貴人)으로 봉해졌고, 같은 해 9월 13일 묘각에 경인궁 유빈과 순빈이 입궁했으며, 진귀인은 혜비와 함께 영화궁에 거처하였다.[1] 가문이 다른 몇몇 후궁들과 비교가 안되기 때문에 지위가 가장 낮았다.[1]동치 13년(1874년) 11월 15일, 양궁 황태후의 교지를 받아 진빈(瑨嬪)으로 진봉되었다.[1] 광서 20년(1894년) 1월, 서태후는 그해 60세 생일을 맞아 내정 비빈들이 평소 자신을 근면하게 모셨다는 이유로, 진빈을 진비(瑨妃)로 진봉하였다.[1] 광서 34년(1908년) 10월 25일, 선통제에 의해 황고진귀비(皇考瑨貴妃)로 진봉되었다.[1] 선통제는 동치제와 광서제의 대를 이은 후손으로 대통을 계승했고, 동치제의 미망인은 광서제의 미망인과 권력투쟁을 시작했다.[1] 진귀비는 불사(佛事)에 전념하여 유황귀비 밑에 있었다.[1]
함풍제 치세 6년(1856년 9월 6일, 음력 8월 8일)에 태어난[2] 시린 기오로(서림각라, 西林覺羅|xī lín jué luō중국어) 부인은 1872년 11월 자금성에 입궁하여 동치제로부터 "진 귀인" 칭호를 받았다.[2] 1874년 12월 23일 "진 빈"으로 진봉되었다.[2]
1875년 1월 12일 동치제가 사망하고, 그의 사촌인 재천이 광서제로 즉위했다.[2] 시린 기오로 부인은 1894년 2월 6일에 "진빈(Jin Consort)"으로, 1895년 5월 29일에 "귀인 진(Noble Consort Jin)"으로 봉해졌다.[2]
그녀의 봉호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시기 | 봉호 | 품계 | 비고 |
---|---|---|---|
함풍제 (1850–1861 재위) 시대 | 시린 기오로 부인 | - | |
동치제 (1861–1875 재위) 시대 | 진 귀인 (瑨貴人중국어) | 육품 (第六品) | |
진 빈 (瑨嬪중국어) | 오품 (第五品) | ||
광서제 (1875–1908 재위) 시대 | 진 비 (瑨妃중국어) | 사품 (第四品) | |
진 귀비 (瑨貴妃중국어) | 삼품 (第三品) | ||
중화민국 (1912–1949) 시대 | 융혜 황귀비 (榮惠皇貴妃중국어) | 이품 (第二品) | |
중화민국 (1912–1949) 시대 | 돈혜 황귀비 (敦惠皇貴妃중국어) | - | 사후 추존 |
2. 3. 민국 시기
1913년 3월 12일, 푸이는 시린 기오로 부인을 "영혜 황귀비"로 책봉했다.[1] 1924년 11월 21일 선통제가 자금성에서 쫓겨나자, 돈혜황귀비도 그를 따라 궁궐을 나왔다.[1]2. 4. 사망
1924년 11월 21일(민국 13년 10월 25일), 선통제가 자금성에서 쫓겨나자, 그를 따라 궁궐을 나왔다. 1933년 5월 18일(민국 22년 4월 24일) 오후 7시, 옛 영수고륜공주부에서 78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시호는 돈혜황귀비(敦惠皇貴妃)이다. 관구는 기린비골목 5번지 부중에 있었다. 1935년 3월 15일(민국 24년 2월 11일), 헌철황귀비 관곽과 함께 쌍산욕혜릉비원침에 봉안하였다.3. 돈혜황귀비가 등장하는 작품
년도 | 제목 | 배우 | 역할 |
---|---|---|---|
2020 | 말대주량 | 후싱얼 | 송혜태비 |
참조
[1]
문서
同治十一年 十月
[2]
문서
同治十三年 十一月 十五日
[3]
문서
光緒二十年 正月 一日
[4]
문서
光緒二十一年 五月 六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