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곶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곶이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2000년 8월 7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역~봉화산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석관동 캠퍼스와 의릉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전철역 - 석계역
석계역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와 노원구 경계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으로, 1호선은 1985년, 6호선은 2000년에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대학교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이용객 수가 많다. - 서울 성북구의 전철역 - 길음역
길음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지하역으로 1985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미아사거리역과 성신여대입구역 사이에 위치하며,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있지만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감소 추세에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돌곶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돌곶이역 |
로마자 표기 | Dolgoji-yeok |
한자 표기 | 돌곶이驛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 245 화랑로 지하 349-8 |
개업일 | 2000년 8월 7일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
역 번호 | 643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
구조 | 지하역 |
역간 거리 정보 | |
이전 역 | 상월곡역 |
이전 역 간 거리 | 0.8 km |
다음 역 | 석계역 |
다음 역 간 거리 | 1.0 km |
기점 역으로 부터의 거리 | 31.7 km |
통계 정보 | |
2015년 승차 인원 | 9,844명 |
2015년 승강차 인원 | 18,788명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 '연혁'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내용을 생략합니다.)
2. 1. 연혁
- 2000년 8월 7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 ~ 봉화산 구간 개통과 함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당시) 소속으로 영업 개시.
-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 소속 역이 됨.
3. 역 구조
지하역으로, 층별 구조는 다음과 같다.
층 | 구분 | 내용 |
---|---|---|
지상 | 출입구 | 출구 |
L1 대합실 | 로비 |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L2 승강장 | 승강장 | 6호선 승강장 |
3. 1. 승강장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호선 | 승차 | 3,404 | 6,656 | 7,804 | 8,076 | 8,456 | 8,782 | 9,184 | 9,113 | 9,160 | 9,305 | [4] |
하차 | 3,061 | 5,777 | 6,783 | 7,047 | 7,383 | 7,731 | 8,152 | 8,016 | 7,993 | 8,114 | ||
승하차 | 6,465 | 12,432 | 14,588 | 15,123 | 15,838 | 16,513 | 17,337 | 17,129 | 17,153 | 17,420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colspan="2" | | |||
6호선 | 승차 | 9,743 | 9,768 | 9,755 | 9,796 | 9,741 | 9,844 | 9,779 | 9,480 | colspan="2" | | ||
하차 | 8,528 | 8,632 | 8,689 | 8,783 | 8,846 | 8,944 | 8,929 | 8,716 | colspan="2" | | |||
승하차 | 18,272 | 18,400 | 18,445 | 18,579 | 18,587 | 18,788 | 18,708 | 18,196 | colspan="2" | |
6. 인접한 역
(응암 순환 방면)
(신내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