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월곡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월곡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2000년 8월 7일 봉화산역까지의 구간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12월 15일 응암순환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다. 2면 3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역 주변에는 월곡중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등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전철역 - 석계역
    석계역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와 노원구 경계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으로, 1호선은 1985년, 6호선은 2000년에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대학교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이용객 수가 많다.
  • 서울 성북구의 전철역 - 길음역
    길음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지하역으로 1985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미아사거리역과 성신여대입구역 사이에 위치하며,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있지만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감소 추세에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상월곡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상월곡역 승강장
승강장
주소서울특별시 성북구 상월곡동, 화랑로 157 지하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노선6호선
승강장2
선로3
구조지하역
개업일2000년 8월 7일
노선 정보
노선6호선
이전 역641 월곡
역간 거리0.8km
다음 역돌곶이 643
역간 거리0.8km
기점 역응암
총 거리30.9km
통계
승차 인원 (2015년)6,688명
승강 인원 (2015년)12,847명
부가 정보
상월곡역 2번 출입구
2번 출입구

2. 역사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 ~ 봉화산 구간 개통과 함께 2000년 8월 7일 종착역으로 영업이 개시되었다. 같은 해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 ~ 응암순환 구간이 개통되면서 중간역으로 전환되었다.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

2. 1. 개요

2. 2. 연혁

2000년 8월 7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 ~ 봉화산 구간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 개시. 같은 날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당시) 6호선 역으로 개업하였다.

2000년 12월 15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 ~ 응암순환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다.

2017년 5월 31일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

3. 역 구조

상월곡역승강장은 개통 당시 주박을 위해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도 아침에 상월곡 출발 열차 1편성이 있다. 7호선 청담역과 같은 구조지만, 2000년 개통 초 상월곡 ~ 봉화산 구간을 운행했던 영향으로 신내 방향에 유치선이 있다. 현재는 이 선로를 주박용으로 이용하지 않으며, 신내차량사업소에서 상월곡으로 회송하여 응암방향 첫차 운행을 시작한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5]

링크


승강장은 2면 3선의 섬식 지하역이다. 중앙 선로는 사용하지 않으며, 양쪽에 승강장이 있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상행선6호선동묘전・삼각지・월드컵경기장역・매봉 방면
중선현재 미사용
하행선석계・태릉입구・봉화산・신내 방면


3. 1. 개요

3. 2. 상세

상월곡역승강장은 개통 당시 주박을 위해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도 아침에 상월곡 출발 열차 1편성이 있다. 7호선 청담역과 같은 구조지만, 2000년 개통 초 상월곡 ~ 봉화산 구간을 운행했던 영향으로 신내 방향에 유치선이 있다. 현재는 이 선로를 주박용으로 이용하지 않으며, 신내차량사업소에서 상월곡으로 회송하여 응암방향 첫차 운행을 시작한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5]

섬식 승강장 2면 3선의 지하역이다. 중앙 선로는 사용하지 않으며, 양쪽에 승강장이 있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3. 3. 승강장



상월곡역은 2면 3선 섬식 승강장 구조의 지하역이다. 가운데 선로는 사용하지 않으며, 양쪽에 승강장이 있다.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상행6호선월곡, 고려대, 삼각지, 응암 방면
주박하지 않음 (신내에서 회송)
하행돌곶이, 석계, 태릉입구, 신내 방면


4. 역 주변

월곡중학교, 우남아파트, 동아아파트, 장위2동 행정복지센터, 서울월곡초등학교, 석관동우체국, 성북구립정보도서관, 월곡2동 치안센터, 동덕여자대학교 중문, 성북구도시관리공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서울시설공단상월곡역 주변에 위치한다.

4. 1. 개요

4. 2. 주요 시설

월곡중학교, 우남아파트, 동아아파트, 장위2동 행정복지센터, 서울월곡초등학교, 석관동우체국, 성북구립정보도서관, 월곡2동 치안센터, 동덕여자대학교 중문, 성북구도시관리공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서울시설공단이 있다.

5. 이용객 변동

상월곡역의 이용객 수는 개통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0년 8월 7일 개통 당시 일평균 승차 인원은 3,139명, 하차 인원은 3,111명이었으나,[6] 2009년에는 승차 인원 6,987명, 하차 인원 6,324명으로 증가하였다.[6] 2000년 자료는 2000년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6]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6호선승차3,1394,4795,7406,6706,9456,9486,9356,9236,9616,987[6]
하차3,1114,0245,2515,9576,2216,2406,2576,2366,3096,324
승하차6,2508,50310,99012,62613,16613,18713,19213,15813,27013,311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6호선승차6,8616,7066,7686,7976,6986,6876,4486,283
하차6,1335,9506,1056,2026,1316,1595,9045,776
승하차12,99412,65612,87312,99912,82912,84612,35212,059


5. 1. 개요

5. 2. 연도별 이용객 수

wikitext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6호선승차3,1394,4795,7406,6706,9456,9486,9356,9236,9616,987[6]
하차3,1114,0245,2515,9576,2216,2406,2576,2366,3096,324
승하차6,2508,50310,99012,62613,16613,18713,19213,15813,27013,311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6호선승차6,8616,7066,7686,7976,6986,6876,4486,283
하차6,1335,9506,1056,2026,1316,1595,9045,776
승하차12,99412,65612,87312,99912,82912,84612,35212,059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3]

6. 인접한 역

wikitable



; 서울교통공사

: 6호선

:: 월곡역 (641) - '''상월곡역 (642)''' - 돌곶이역 (643)

6. 1. 개요

6. 2. 인접역 목록



; 서울교통공사

: 6호선

:: 월곡역 (641) - '''상월곡역 (642)''' - 돌곶이역 (643)

참조

[1] 웹사이트 상월곡역 https://terms.naver.[...] Doosan Encyclopedia 2020-11-18
[2] 웹사이트 상월곡(한국과학기술원)역 https://terms.naver.[...] 서울지명사전 2020-11-18
[3] 웹사이트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4] 텍스트
[5] 텍스트
[6] 웹사이트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