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자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덕여자대학교는 190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여자대학교이다. 춘강 조동식 선생이 동원여자의숙으로 시작하여 1950년 동덕여자초급대학으로, 1988년 종합대학교로 개편되었다. 현재 인문, 사회과학, 자연과학, 약학, 정보과학, 예술, 디자인, 공연예술 계열의 학부와 일반 및 특수대학원을 운영하며, 2024년 남녀공학 전환 논의에 반대하는 시위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학교 - 고려대학교
1905년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전문학교에서 시작된 고려대학교는 민족 자주성을 바탕으로 국제화를 추구하며 서울과 세종에 캠퍼스를 둔, 민주화 운동의 중심이자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 서울 성북구의 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는 1936년 이숙종 박사가 설립한 사립 종합대학으로, 서울 성북구 수정캠퍼스와 강북구 운정그린캠퍼스에서 10개의 단과대학과 5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 대한민국의 여자 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는 1886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종합대학교로, 12개의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국제 교류를 진행하고, 친일 행적 논란 등 사회적 이슈에도 연루되었다. - 대한민국의 여자 대학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는 1906년 순헌황귀비의 후원으로 설립되어 명신여학교에서 시작,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숙명여자전문학교를 거쳐 1948년 대학교로 승격, 1955년 종합대학교로 발전하였으며, 격변기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하여 제2창학 선언, 여성 학군단 설립, 공과대학 신설 등의 성과를 이루며 리더십 함양 교육과 문화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사립 여자대학교이다. - 열린대학 교육협의회 -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는 1969년 울산공과대학으로 설립되어 1985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사립 대학으로, 공업단지 발전을 위한 기술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현대그룹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현재 11개의 단과대학과 6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산학협력에도 힘쓰고 있다. - 열린대학 교육협의회 -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를 운영하며, 생명과학, 정보통신, 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며 연구 활동과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동덕여자대학교 | |
---|---|
기본 정보 | |
![]() | |
학교 종류 | 사립 |
설립일 | 1950년 |
위치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웹사이트 |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 |
한국어 표기 | 동덕여자대학교 |
로마자 표기 | Dongdeok Yeoja Daehakgyo |
일본어 표기 | 同徳女子大学校 |
일본어 가타카나 표기 | トンドンニョジャデハッキョ |
일본어 히라가나 표기 | どうとくじょしだいがっこう |
영어 표기 | Dongduk Women's University |
설립자 | 이석구, 조동식 |
표어 | 도의, 진리, 화협 |
상징 | 목화 |
학교법인 | 동덕여학단 |
규모 | |
대학 | 8개 |
독립학부 | 1개 |
학과 | 35개 |
대학원 | 7개 |
대외 관계 | |
학문제휴 | OCUC |
2. 연혁
- 1908년 4월, 춘강 조동식 선생이 '''동원여자의숙''' 설립[13]
- 1909년 4월, 동원, 동덕 합병하여 교명을 '''동덕여자의숙'''으로 정함.[13]
- 1910년 3월, 동덕여자의숙내 고등속성과 설립[13]
- 1911년 12월, 설립자에 손병희선생, 교장에 조동식선생 취임[13]
- 1914년 3월, 동덕여학교 고등과 제1회 졸업생 배출
- 1926년 4월,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4년제 인가
- 1926년 9월, 재단법인 동덕여학단 설립인가[13]
- 1933년 10월,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창신동 신축교사로 이전
- 1938년 4월, 동덕고등여학교로 교명 변경
- 1946년 10월, 신교육령에 의해 6년제 동덕여자중학교로 변경인가
- 1950년 5월, '''동덕여자초급대학''' 설립인가[13]
- 1951년 8월, 교육령 개정으로 동덕여자중학교, 고등학교로 분리인가
- 1951년 9월, 6.25사변으로 부산에서 개교
- 1953년 10월, 춘강 조동식박사 학교장, 이사장 겸임, 춘강 조동식박사 동덕여자대학 초대학장 취임
- 1956년 8월, 춘강고희기념사업으로 춘강장학회 발족
- 1957년 3월, 동덕여자초급대학 제1회 졸업식 거행
- 1961년 8월, 동덕여자초급대학 관훈동 신축교사로 이전
- 1964년 1월, 재단법인을 학교법인으로 변경인가
- 1966년 7월, 춘강 조동식박사 동상 건립 제막식
- 1967년 3월, 동덕여자대학 하월곡동 신축교사로 이전
- 1969년 12월, 춘강 조동식박사 서거 사회장 거행
- 1970년 6월, 학교법인 동덕여학단 이사장에 이능우박사 취임
- 1971년 8월, 동덕여자중고등학교 춘강기념관 준공
- 1976년 11월, 동덕여자대학 춘강기념도서관 준공
- 1976년 12월, 학교법인 동덕여학단 이사장에 조용각박사 취임
- 1981년 8월, 동덕여자대학 대학원 건물 준공
- 1982년 3월, 동덕여자고등학교 상과 신설
- 1982년 4월, 동덕여자대학 부속유치원 설립인가
- 1985년 11월, 학교법인 남성학원 (충남금성중학교) 흡수 합병
- 1986년 2월, 동덕여자중고등학교 방배동 신축교사로 이전
- 1986년 3월, 동덕여자대학 인문관 준공
- 1987년 8월, 춘강 조동식박사 탄신 100주년 심포지움 개최
- 1987년 12월, 제1회 춘강상 시상식 거행
- 1988년 3월, 동덕여자대학 종합대학교로 개편 초대총장 김종협박사 취임[13]
- 1990년 12월, '''동덕여자대학교''' 동인관 준공
- 1991년 3월, 동덕여자대학교 여성사회교육원 설립인가
- 1993년 9월, 충남금성중학교 신축교사 준공
- 1994년 3월, 충남금성중학교를 성덕중학교로 교명변경
- 1995년 9월, 동덕여자대학교 국내최초로 테마여성학도서관 개관
- 1996년 3월, 동덕여자대학교 3대 총장에 조원영박사 취임,디자인대학과 디자인대학원을 청담동소재 디자인연구센타로 이전
- 1997년 8월, 동덕빌딩 준공 (관훈동 소재)
- 1999년 3월, 동덕여자대학교 예술관 개관 (미술학부 이전)
- 1999년 7월, 공연예술센타 기공식 (동숭동 소재)
- 1999년 10월, 학교법인 동덕여학단 이사장 율동 조용각박사 서거 (동덕여학단장 거행)
- 1999년 11월, 학교법인 동덕여학단 6대 이사장에 이은주선생 취임
- 2004년 7월, 학교법인 동덕여학단 7대 이사장에 박상기박사 취임
- 2004년 9월, 동덕여자대학교 6대 총장에 손봉호박사 취임
- 2010년 2월, 학교법인 동덕여학단 8대 이사장에 맹원재박사 취임
- 2010년 8월, 동덕여자대학교 7대 총장에 김영래박사 취임
- 2011년 11월, 합교법인 동덕여학단 9대 이사장에 신상규선생 취임
- 2014년 8월, 동덕여자대학교 8대 총장에 김낙훈박사 취임
- 2015년 8월, 학교법인 동덕여학단 10대 이사장에 조원영박사 취임
- 2018년 8월, 동덕여자대학교 9대 총장에 김명애박사 취임
- 2024년 말, 대학 당국의 남녀공학 전환 논의에 반대하는 학교 내 광범위한 시위가 발생했다. 학생들은 본관 점거와 출입 차단 시위를 주도했다.[1]
2. 1. 설립 초기 (1908년 ~ 1945년)
1908년 4월, 춘강 조동식 선생이 민족 재생을 위한 여성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한국 최초의 여성 사립학교인 '''동원여자의숙'''을 설립하였다.[13] 1909년 4월, 동원여자의숙과 동덕여자의숙이 합병하여 '''동덕여자의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3] 1910년 3월에는 동덕여자의숙 내 고등속성과가 설립되었고, 1911년 12월에는 손병희 선생이 설립자로, 조동식 선생이 교장으로 취임하였다.[13]1914년 3월, 동덕여학교 고등과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1926년 4월에는 4년제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로 인가받았다. 같은 해 9월, 재단법인 동덕여학단 설립이 인가되었다.[13] 1933년 10월,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는 창신동 신축교사로 이전하였고, 1938년 4월에는 동덕고등여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 2. 광복 이후 (1945년 ~ 현재)
1950년 5월, '''동덕여자초급대학'''이 설립 인가되었다.[13] 1951년 8월, 교육령 개정으로 동덕여자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 인가되었으며, 같은 해 9월 6.25 사변으로 부산에서 개교하였다. 1953년에는 춘강 조동식 박사가 학교장, 이사장을 겸임하고 동덕여자대학 초대학장으로 취임하였다. 1967년 3월, 동덕여자대학은 하월곡동 신축교사로 이전하였다.1976년 12월, 학교법인 동덕여학단 이사장에 조용각 박사가 취임하였다. 1987년 12월, 제1회 춘강상 시상식이 거행되었다. 1988년 3월, 동덕여자대학은 종합대학교로 개편되었고, 김종협 박사가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13] 1990년 12월, '''동덕여자대학교''' 동인관이 준공되었다.
1996년 3월, 조원영 박사가 동덕여자대학교 제3대 총장에 취임하였고, 디자인대학과 디자인대학원을 청담동 소재 디자인연구센터로 이전하였다. 1999년 3월에는 예술관이 개관하여 미술학부가 이전하였다. 1999년 10월, 학교법인 동덕여학단 이사장 율동 조용각 박사가 서거하여 동덕여학단장이 거행되었다.
2004년 9월, 손봉호 박사가 동덕여자대학교 제6대 총장에 취임하였다. 2010년 8월, 김영래 박사가 제7대 총장에 취임하였다. 2014년 8월, 김낙훈 박사가 제8대 총장에 취임하였고, 2018년 8월에는 김명애 박사가 제9대 총장에 취임하였다.
2024년 말, 대학 당국의 남녀공학 전환 논의에 반대하는 학교 내 광범위한 시위가 발생했다. 학생들은 본관 점거와 출입 차단 시위를 주도했다.[1]
3. 교육 목표 및 이념
동덕여자대학교는 덕과 교양을 갖춘 지식인 양성(인간화 교육), 화합과 봉사의 마음을 가진 사회인 양성(사회화 교육), 창의성과 실용성을 갖춘 전문가 양성(전문화 교육), 미래지향적인 국제인 양성(세계화 교육)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4. 조직
2019년 기준으로 동덕여자대학교의 학부 과정은 8개의 단과대학과 1개의 독립학부, 37개의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 '''교양교직학부'''
- '''인문대학''' (8): 국어국문학과, 국사학과, 문예창작과, 영어과, 일본어과, 프랑스어과, 독일어과, 중어중국학과
- '''사회과학대학''' (7): 경영학과, 경제학과, 국제경영학과, 세무회계학과(야), 문헌정보학과, 사회복지학과, 아동학과
- '''자연과학대학''' (6): 식품영양학과, 보건관리학과, 화학·화장품 학부 (화장품학전공, 응용화학전공), 체육학과, 토탈뷰티케어학과(야)
- '''약학대학''' (1): 약학과
- '''정보과학대학''' (2): 컴퓨터학과, 정보통계학과
- '''예술대학''' (6): 회화과, 디지털공예과, 큐레이터학과, 피아노과, 관현악과, 성악과
- '''디자인대학''' (3): 패션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학과(야), 시각·실내디자인학과(시각디자인전공, 실내디자인전공), 미디어디자인학과
- '''공연예술대학''' (4): 방송연예과, 방송연예과(야), 실용음악과, 무용과, 모델과
1999년 4년제 대학 최초로 신설된 모델과는 각종 매체의 주목을 받으며,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개성 있는 모델과 전문 지도자를 육성하고 있다. 야간학과로는 패션디자인학과, 방송연예과, 세무회계학과, 토탈뷰티케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동덕여자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여러 특수대학원으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특수대학원에는 디자인대학원, 교육대학원, 공연예술대학원, 보건과학대학원, 문화예술치료대학원이 있다. 패션전문대학원에서는 패션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일반대학원은 석사과정에 29개 학과, 박사과정에 15개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패션전문대학원은 석사 및 박사과정에 패션 관련 학과를 운영한다. 디자인대학원은 석사과정으로 산업디자인, 의상디자인, 디지털미디어디자인을 운영하고 있다. 여성개발대학원은 석사과정에 문예창작, 사회복지, 국제컨벤션이벤트 학과를 두고 있다. 교육대학원은 석사과정으로 유아교육을, 비만과학대학원은 석사과정으로 비만관리를 운영한다. 공연예술대학원은 석사과정에 무용, 방송연예, 실용음악 학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제문화대학원은 석사과정으로 컨벤션이벤트, 문화콘텐츠교류, 문화관광 학과를 운영한다.
4. 1. 학부
2019년 기준으로 8개의 단과대학, 1개의 독립학부, 37개의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교양교직학부'''
- '''인문대학''' (8): 국어국문학과, 국사학과, 문예창작과, 영어과, 일본어과, 프랑스어과, 독일어과, 중어중국학과
- '''사회과학대학''' (7): 경영학과, 경제학과, 국제경영학과, 세무회계학과(야), 문헌정보학과, 사회복지학과, 아동학과
- '''자연과학대학''' (6): 식품영양학과, 보건관리학과, 화학·화장품 학부 (화장품학전공, 응용화학전공), 체육학과, 토탈뷰티케어학과(야)
- '''약학대학''' (1): 약학과
- '''정보과학대학''' (2): 컴퓨터학과, 정보통계학과
- '''예술대학''' (6): 회화과, 디지털공예과, 큐레이터학과, 피아노과, 관현악과, 성악과
- '''디자인대학''' (3): 패션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학과(야), 시각·실내디자인학과(시각디자인전공, 실내디자인전공), 미디어디자인학과
- '''공연예술대학''' (4): 방송연예과, 방송연예과(야), 실용음악과, 무용과, 모델과
1999년 4년제 대학 최초로 신설된 모델과는 각종 매체의 주목을 받으며,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개성 있는 모델과 전문 지도자를 육성하고 있다. 야간학과로는 패션디자인학과, 방송연예과, 세무회계학과, 토탈뷰티케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4. 2. 대학원
동덕여자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여러 특수대학원으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특수대학원에는 디자인대학원, 교육대학원, 공연예술대학원, 보건과학대학원, 문화예술치료대학원이 있다. 패션전문대학원에서는 패션학과를 운영하고 있다.일반대학원은 석사과정에 29개 학과, 박사과정에 15개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패션전문대학원은 석사 및 박사과정에 패션 관련 학과를 운영한다. 디자인대학원은 석사과정으로 산업디자인, 의상디자인, 디지털미디어디자인을 운영하고 있다. 여성개발대학원은 석사과정에 문예창작, 사회복지, 국제컨벤션이벤트 학과를 두고 있다. 교육대학원은 석사과정으로 유아교육을, 비만과학대학원은 석사과정으로 비만관리를 운영한다. 공연예술대학원은 석사과정에 무용, 방송연예, 실용음악 학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제문화대학원은 석사과정으로 컨벤션이벤트, 문화콘텐츠교류, 문화관광 학과를 운영한다.
5. 부속 기관
동덕여자대학교의 부속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춘강기념도서관: 설립자 조동식의 아호를 따 1950년 5월 27일 개관하였다.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어문학 자료실과 구간서고, 연속간행물실, 참고 및 논문자료실, 전자정보실을 운영한다.
- 여성학센터: 여성 관련 문헌자료 제공, 연구 수행 및 유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한다. 여성학 연구소, 여성학 도서관, 여성 박물관, 여성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제 프로그램 기획 및 유치를 통해 한국 여성학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 한국여성연구소: 1996년 3월 설립되어 변화하는 여성의 역할과 위상을 규명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한다. 여성의 사회 진출 및 가정생활에 대한 주체적 대처를 위한 교육 방향을 연구한다.
- 동덕미술관: 1979년 개관하였으며, 1997년 동덕빌딩에 200평 규모의 대 전시실을 새로 마련하였다. 한국미술사 재정립, 역량 있는 작가 발굴 및 후원, 세계 미술 최신 경향 및 한국 미술 동향 평가전, 미술 교류전 및 워크샵, 세미나, 일반 미술 애호가를 위한 특강 등을 개최한다.
- 박물관: 1977년 5월 27일 설립되어 민족문화 유산인 유물 및 사료 등을 수집, 보존하고 학술연구에 기여한다. 조동식 박사의 유품을 비롯하여 한국 여성 전통 민속공예품 및 의상, 서적류, 옥석제품, 죽조칠제품, 도토제품, 서화류, 피모직제품, 탁본류, 민화류, 상장, 사진자료 등을 소장하고 있다.
- 디자인허브: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하며, 디자인 분야 연구 및 산학협동을 통한 전문 디자이너 양성을 목표로 한다. 해외 디자인 교육기관과의 교류, 디자인 갤러리 및 상설 디자인 전시관 운영, 다양한 분야의 초빙교를 통한 교육 등을 추진한다.
- 비만연구센터: 비만 관련 연구, 의학 관련 산학협동 및 체중관리 실습, 비만인 대상 체중 감량 프로그램 운영, 비만 관련 측정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전적 측면에서의 비만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 평생교육원: 1991년 설립되어 학점은행제 과정, 자격증 과정, 사회교육과정, 보육교사양성과정 등을 운영한다.
- 동덕여대부속유치원: 1983년 개원하여 몬테소리 교육을 바탕으로 유아교육을 실시한다. 혼합반으로 3세~7세까지 운영하며, 어린이들을 인품 있고 책임감 있는 사회인으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동덕여자의숙 태극기: 대한제국 시대의 태극기로, 2008년 8월 12일 등록문화재 제384호로 지정되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13길 60, 박물관 (하월곡동, 동덕여자대학교)에 위치하고 있다.
6. 캠퍼스
동덕여자대학교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13길 60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126에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센터가 위치해 있으며,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762에는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허브가 있다.
7. 부속 학교
8. 국제 교류
동덕여자대학교는 일본 메이지대학,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명해대학(明海大学) 등과 국제 교류를 맺고 있다.
9. 사건사고
2023년 6월 7일, 등교하던 학생이 트럭에 치여 이틀 만에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3] 이 사건 이후, 재학생들은 학교의 안전 불감증을 비판했다.[24]
2024년에는 동덕여자대학교 남녀공학 전환 반대 시위가 발생하였다.
10. 저명한 동문
- 아영 (달샤벳)
- 배누리
- 방민아 (걸스데이)[2]
- 최윤소
- 추소정 (우주소녀)[3][4]
- 조은한
- 공현주[18]
- 그리나
- 한혜린
- 한지은[5]
- 홍수현[18]
- 임세미
- 전여빈
- 전소민[6]
- 지율 (달샤벳)[16]
- 조윤희
- 정호연[7]
- 정지소
- 김아중[18]
- 김보형 (스피카)
- 김규리
- 김하은
- 김재경 (레인보우)
- 김지연 (우주소녀)
- 김정화[19]
- 김성은
- 김유라 (걸스데이)[8]
- 권나라 (헬로비너스)
- 권소현 (포미닛)
- 이주빈
- 이주연 (애프터스쿨)
- 이가은 (애프터스쿨)
- 이균영 (전 한국사 교수)
- 이새롬 (프로미스나인)
- 이시영
- 이성경[9]
- 이수경[17]
- 이영은
- 임주은
- 임나영 (프리스틴)
- 명세빈[21]
- 남보라
- 박은지
- 박규리 (카라)[18]
- 박효주
- 박지예
- 박진희[10][18]
- 박정아 (쥬얼리)[11]
- 박경림
- 박시은
- 서혜린 (EXID)
- 서현진 (밀크)
- 세리 (달샤벳)
- 신지 (코요태)
- 신지원 (베리굿)
- 손은서
- 송하영 (프로미스나인)
- 수빈 (우주소녀)
- 최소라[12]
- 유아라 (헬로비너스)
- 윤지민
- 아이유[15]
- 진소연[20]
참조
[1]
뉴스
'We'd rather perish'
https://www.theguard[...]
[2]
웹사이트
Girl's Day's Minah passed Dongduk Women's University "I screamed and was happy"
http://osen.mt.co.kr[...]
2012-02-03
[3]
웹사이트
EXY 个人资料
http://m.yue365.com/[...]
yue365
[4]
웹사이트
Exy's Graduation
https://www.instagra[...]
[5]
웹사이트
Han Ji-eun Actor
https://m.search.dau[...]
[6]
웹사이트
'Running Man' Lim Se-mi, 'College senior' Jeon So-min's school life exposure
https://entertain.na[...]
Sports Chosun
2017-11-17
[7]
웹사이트
'Radio Star' Lee Dong-hwi, his lover Jung Ho-yeon's eyes '♡ Pyong-pyong'..."Jealousy Initiators"
https://entertain.na[...]
The Dong-A Ilbo
2016-03-31
[8]
웹사이트
Girl's Day's Yura, entered Dongduk Women's University's Department of Broadcasting and Entertainment '2011 Freshman'
http://news.mk.co.kr[...]
2011-02-05
[9]
웹사이트
Stars are students, too
http://kpopherald.ko[...]
2017-02-05
[10]
웹사이트
Park Jin-Hee (박진희)
http://english.visit[...]
[11]
웹사이트
MBC Artist Profile
http://cue.imbc.com/[...]
MBC
[12]
뉴스
Asia's top model finds happiness on runway
https://www.koreatim[...]
2016-07-29
[13]
웹사이트
創立精神
https://www.dongduk.[...]
[14]
웹사이트
韓国・ある女子大の「共学化」論議で再浮上した「全裸男事件」
https://www.afpbb.co[...]
2024-11-17
[15]
뉴스
아이유, 저소득 가정 아이들 위해 1억 기부
http://www.segye.com[...]
세계日報
2015-05-05
[16]
뉴스
달콤한 샤베트 ‘달샤벳’, 토끼해 첫 데뷔 걸그룹
http://www.mydaily.c[...]
マイデイリー
2010-12-29
[17]
뉴스
이수경 "연예계 화려함 별로 관심 없어요"
http://news.sbs.co.k[...]
SBS NEWS
2008-12-24
[18]
뉴스
공현주 나온 동덕여대 방송연예학과, 김아중부터 걸스데이 유라까지
http://daily.hankook[...]
デイリー韓国
2016-02-05
[19]
뉴스
‘CF 퀸’ 계보 이을 연예계 신데렐라
http://weekly.donga.[...]
週刊東亜
2002-03-14
[20]
웹사이트
チン・ソヨン 公式プロフィール
http://www.jwide.co.[...]
[21]
뉴스
‘4년 열애’ 언론사 사장과 올가을 결혼하는 명세빈 숨은 ‘러브 스토리’
http://woman.donga.c[...]
女性東亜
2003-07-01
[22]
뉴스인용
대법 “동덕여대 학교법인 설립자는 조동식·이석구 둘 다 해당”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6-03-24
[23]
뉴스
“그렇게 위험하다 했는데” 동덕여대 언덕길서 트럭에 치인 대학생 사망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4]
뉴스
“수년간 건의, 학교가 묵살”… 동덕여대생 사망에 분노
https://news.kmib.co[...]
국민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