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앵글인의 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앵글인의 왕은 571년부터 918년까지 존재했던 동앵글리아 왕국의 통치자들을 가리킨다. 이 왕국은 여러 왕조를 거쳤으며, 초기에는 우핑가스 가문이 지배했다. 749년에는 뵌나, 애설버트 1세, 애설레드 1세가 통치했고, 794년부터 796년까지 머시아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동앵글리아는 잠시 독립을 회복했지만, 다시 머시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827년에는 애설스탠에 의해 독립을 되찾았다. 879년에는 데인족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구스룸을 시작으로 여러 데인 왕들이 통치했지만, 918년 잉글랜드 왕국에 병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앵글인의 왕 - 오파 (머시아)
    오파는 8세기에 머시아 왕국을 통치하며 잉글랜드 중부 지역을 통합하고, 켄트와 서식스를 정복하는 등 앵글로색슨 7왕국 시대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오파의 제방 건설, 화폐 제도 개혁, 카롤루스 대제와 외교 관계를 맺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다 796년에 사망했다.
  • 동앵글인의 왕 - 래드왈드
    래드왈드는 7세기 초 동앵글리아 왕국의 왕으로, 기독교 세례를 받았음에도 이교 신앙과 기독교 신앙을 모두 숭배했으며, 에드윈을 보호하고 노섬브리아 왕위에 올리는 데 기여하여 "앵글인의 왕"으로 칭송받았고 서턴 후 묘지에 묻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이스트앵글리아 왕국 - 서퍽주
    서퍽주는 잉글랜드 동부에 위치하며 앵글로색슨족의 대규모 정착지이자 이스트앵글리아 왕국이었고, 서퍽 핑크 건축물, 서튼 후 유적, 올드버러 음악제와 같은 문화 행사로 유명하며, 입스위치, 로우스토프트, 버리 세인트 에드먼즈 등의 주요 도시가 있는 곳이다.
  • 이스트앵글리아 왕국 - 노퍽주
    잉글랜드 동부에 위치한 노퍽주는 북해와 접한 저지대 평야 지형으로, 농업, 모직물, 관광업, 에너지 산업이 발달했으며 노리치를 주도로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군주 목록 - 잉글랜드 국왕
    잉글랜드 국왕은 잉글랜드 왕국을 통치했던 군주를 의미하며, 웨섹스 왕조의 에그버트 이후 잉글랜드 전역에 군주권이 행사되었고, 1707년 연합법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 군주 목록 - 바르셀로나 백작
    바르셀로나 백작은 카탈루냐 지역을 다스린 역사적 작위로, 프랑크 왕국에서 시작하여 세습 작위로 독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아라곤과의 결혼을 통해 아라곤 연합왕국 형성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스페인 국왕이 계승하는 작위이다.
동앵글인의 왕
개요
명칭동앵글인의 왕
원어명Ēastengla Cyning (에스트앵글라 퀴닝그)
동앵글리아의 옛 깃발
동앵글리아의 옛 깃발
호칭퀴닝그
관저알 수 없음
지명자알 수 없음
지명자 직책알 수 없음
임명자알 수 없음
임명자 직책알 수 없음
통치 기간
임기알 수 없음
초대 왕웨하 (571년)
마지막 왕구스룸 2세 (918년)
성립571년
폐지918년
기타
계승 순위알 수 없음
부관알 수 없음
부관 직책알 수 없음
법정 계승자알 수 없음
법정 계승자 작위알 수 없음
봉급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2. 이스트앵글리아 왕조 (571년 ~ 794년)

동앵글리아 왕조는 571년경 웨하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넨니우스는 그를 "동앵글을 통치한 최초의 인물"로 기록했다. 초기 왕위는 우핑가스 가문이 계승하였다. 이 시기에는 베데가 ''임페리움''(패권)을 행사했다고 기록한 래드왈드와 같은 강력한 군주도 등장했다. 우핑가스 가문의 직접적인 통치는 749년 앨프왈드의 죽음으로 끝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여러 왕들이 뒤를 이었다. 이 왕조 시대는 794년 애설버트 2세가 머시아의 오파 왕에게 처형되면서 막을 내렸다.

동앵글리아 왕들의 연대표

2. 1. 우핑가스 가문 (571년 ~ 749년)

국왕재위 기간비고
웨하571년경 사망동앵글리아의 초기 통치자로 여겨진다. 넨니우스는 그를 "동앵글을 통치한 최초의 인물"로 기록했다.
우파571년 ~ 578년 (연대 미상)웨하의 아들이며, 우핑가스 왕조의 이름은 우파에게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튀틸라578년 이후 (연대 미상)우파의 아들. 중세 연대기 Flores Historiarum에 따르면 578년에 왕위에 올랐다.
래드왈드599년경 또는 616년경 즉위 ~ 624년 또는 627년 이전 사망티틸라의 아들. 베데는 그가 다른 앵글로색슨 왕국들에 대해 임페리움(패권)을 행사했다고 기록했으며, 이는 후대에 브레트왈다라는 칭호로 해석되었다. 그는 이름 이상으로 행적이 알려진 최초의 우핑가스 왕이다.
외르프왈드624년경 ~ 627년 또는 628년 사망래드왈드의 아들. 이교도였던 리치버트에게 살해되었다.
리크베르트약 627년 ~ 약 630년외르프왈드를 살해하고 왕위에 오른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동앵글리아는 잠시 이교 신앙으로 회귀했다.
시거브뤼트약 629년 또는 630년 즉위 ~ 634년 퇴위래드왈드의 아들 혹은 의붓아들로 추정된다. 프랑크 왕국에서 망명 생활 중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왕위에 오른 후 동앵글리아에 기독교를 전파하는 데 힘썼다. 수도 생활을 위해 에크그리크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퇴위했으나, 이후 머시아 왕국의 침공 때 전장으로 불려 나와 싸우다 636년경 사망했다.
에크그리크약 630년경 즉위 (634년경까지 시거브뤼트와 공동 통치) ~ 636년 사망시거브뤼트의 친척(혹은 형제)으로, 래드왈드의 아들일 가능성도 있다. 시거브뤼트와 함께 동앵글리아를 다스리다가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시거브뤼트와 함께 머시아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안나636년경 또는 640년대 초 ~ 653년 또는 654년 사망래드왈드의 조카이자 에니의 아들.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으며, 여러 자녀들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머시아의 펜다 왕에게 패배하여 살해되었다.
애설헤레653년 또는 654년 ~ 655년 사망안나의 형제. 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머시아의 펜다 왕을 도와 노섬브리아 왕국을 침공했다가 윈웨드 전투에서 전사했다.
애설왈드655년 ~ 663년 사망안나와 애설헤레의 형제. 형들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의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에알둘프663년 ~ 713년 사망안나, 애설헤레, 애설왈드의 조카. 즉, 애설헤레의 아들이다.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동앵글리아를 통치했다.
앨프왈드713년 ~ 749년 사망에알둘프의 아들. 그의 죽음으로 우핑가스 직계 가문의 통치는 막을 내린 것으로 여겨진다. 그가 남긴 편지들은 당시 유럽 대륙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2. 2. 뵌나, 애설버트 1세, 애셀레드 1세 (749년 ~ 794년)

앨프왈드가 749년에 사망한 후, 동앵글리아는 세 명의 왕이 공동으로 통치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뵌나, 애설버트 1세(앨버트라고도 불림), 그리고 '훈'이라는 인물이었으나, 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뵌나와 애설버트 1세는 749년부터 공동 통치를 시작했으며, 이들의 통치는 대략 760년경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애셀레드 1세가 왕위를 계승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정확한 재위 기간은 불분명하지만, 대략 760년부터 770년대 어느 시점까지 통치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애셀레드 1세는 이후 왕위에 오르는 애설버트 2세의 아버지였다.

애설버트 2세는 779년경에 즉위하여 794년까지 동앵글리아를 다스렸다. 그의 즉위 연도는 중세 후기 자료에 근거한다. 애설버트 2세는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동전을 주조했는데, 이는 당시 머시아의 영향력 아래 있던 동앵글리아가 어느 정도 독립성을 유지하려 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된다. 그러나 그의 통치는 비극적으로 끝났다. 794년, 강력한 머시아의 오파 왕의 명령에 의해 처형되었다.

3. 머시아 왕조 (794년 ~ 796년)

머시아의 왕 오파는 794년부터 796년까지 동앵글리아를 직접 통치하였다. 이는 오파가 동앵글리아를 정복하여 지배권을 확보한 결과이다. 오파는 757년부터 796년 7월까지 머시아의 군주로 재위하며 동앵글리아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했다.

4. 이스트앵글리아 왕조 (796년 ~ 798년)

오파가 796년에 사망한 후, 이스트앵글리아는 잠시 머시아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회복할 기회를 얻었다. 이 시기에 에드왈드가 왕위에 올랐다. 그의 정확한 혈통이나 배경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오파 사후의 정치적 공백기에 등장한 것으로 여겨진다. 에드왈드는 대략 796년부터 800년경까지 이스트앵글리아를 다스리며 짧은 기간 동안 동앵글리아 왕조의 통치를 이어갔다.

5. 머시아 왕조 (798년 ~ 826년)

머시아가 다시 동앵글리아를 지배하게 된 시기이다. 이 시기 동앵글리아를 통치한 머시아 왕들은 다음과 같다.


  • 코엔월프: 798년부터 821년까지 머시아를 통치하였다. 그는 에드왈드의 짧은 재위 이후 동앵글리아를 지배하였으며, 동앵글리아에 대한 그의 주권 통치가 시작된 정확한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다.
  • 세올월프: 코엔월프의 형제로, 821년부터 823년까지 머시아를 통치하였다.
  • 베오른월프: 출신은 불명이며, 823년부터 826년까지 머시아를 통치하였다. 그는 동앵글리아의 반란 중에 사망하였다.

6. 이스트앵글리아 왕조 (827년 ~ 879년)

머시아의 지배하에 있던 동앵글리아는 애설스탄이 반란을 일으켜 827년경 독립을 되찾았다. 그러나 이후 바이킹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에아드문드 순교왕을 마지막으로 동앵글리아 출신 왕의 시대는 끝나고 노르드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된다.

재위 기간비고
애설스탄827년 ~ 845년825년경 머시아에 대항하는 반란을 주도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의 즉위와 함께 동앵글리아의 독립이 재확립되었다.
애설웨아드약 845년 ~ 855년
에아드문드 순교왕855년 ~ 869년애설웨아드의 아들. 동앵글리아 출신의 마지막 왕. 아서에 따르면 14세에 즉위. 869년 11월 20일 바이킹에게 살해되었으며, 이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의 사후 동앵글리아의 정치 조직은 불확실해졌다.
오수알데약 869년 ~ 875년노르드의 지배 하에 있던 종속왕. 화폐 증거를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
애설레드 2세약 875년 ~ 878년노르드의 지배 하에 있던 종속왕. 화폐 증거를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 오수알데와 공동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다.


7. 데인 왕조 (879년 ~ 918년)

869년 에드먼드 왕이 바이킹에게 살해된 후 동앵글리아는 데인족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후 다음의 데인족 왕들이 동앵글리아를 다스렸다.


  • 구스룸 1세: 878년경부터 890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878년 웨지모어 조약의 일부로 웨섹스의 알프레드 대왕에게 동앵글리아를 할양받았다. 890년 5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외흐리크: 890년부터 902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902년 12월, 애설월드와 함께 전투에서 사망했다.
  • 애설월드: 웨섹스 왕족 출신으로, 데인족 편에 서서 왕위를 주장했다. 902년에 잠시 동앵글리아의 왕으로 인정받았으나, 같은 해 12월 전투에서 외흐리크와 함께 사망했다.
  • 구스룸 2세: 902년부터 918년까지 통치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동앵글리아의 데인족은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장로의 주권을 인정하게 되었다. 구스룸 2세는 918년 전투에서 사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