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동가리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동가리돔은 최대 25cm까지 자라는 소형 어류로, 몸은 옆으로 납작하며 흰색 바탕에 두 줄의 검은색 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인도양에서 태평양까지의 암초 지대에 분포하며, 제주도 연안에서도 발견된다. 쌍이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수층의 동물 플랑크톤, 산호 폴립, 저서생물 등을 먹고, 어린 개체는 다른 물고기를 청소해 주면서 먹이를 얻는다. 관상어로 인기가 있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아니아의 물고기 - 만다린피시
화려한 색상과 무늬가 돋보이는 관상어 만다린피시는 중국 관료의 의복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얕은 산호초 지대에 서식하며 작은 갑각류를 먹고 사는 최대 6cm까지 자라는 어류이다. - 나비고기과 - 세동가리돔
세동가리돔은 서부 태평양의 암초 지역에 서식하며, 교겐바카마와 유사한 줄무늬와 등지느러미의 검은 반점을 가진 나비고기과 어류로, 관상어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나비고기과 - 가시나비고기
가시나비고기는 인도-태평양 지역에 분포하며 흰색 바탕에 검은색 무늬와 노란색 지느러미를 가지고, 등지느러미 뒤쪽에 검은 반점이 있으며, 성어는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는 최대 23cm까지 자라는 잡식성 물고기이다. - 팔라우의 물고기 - 깃대돔
깃대돔은 양쥐돔목 깃대돔과에 속하며, 인도양과 태평양의 암초 지역에 분포하고 최대 23cm까지 성장하며, 납작한 몸과 튜브 모양의 주둥이, 검은색 띠를 특징으로 하는 잡식성 물고기이다. - 팔라우의 물고기 - 갯농어
갯농어는 갯농어과에 속하는 유일한 종으로, 인도양과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최대 1.8m까지 성장하고, 얕은 물에서 떼를 지어 생활하며 식용으로 소비된다.
두동가리돔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정보 | |
학명 | Heniochus acuminatus |
명명자 | Linnaeus, 1758 |
이명 | Chaetodon acuminatus Linnaeus, 1758 Chaetodon macrolepidotus Linnaeus, 1758 Heniochus macrolepidotus (Linnaeus, 1758) Taurichthys macrolepidotus (Linnaeus, 1758) Chaetodon bifasciatus Shaw, 1803 Chaetodon mycteryzans Gronow, 1854 |
링크 | FishWisePro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상태: LC 평가 기준: IUCN 3.1 비고: (전 세계) |
IUCN 적색 목록 (페르시아 만 평가) | 상태: VU 평가 기준: IUCN 3.1 |
학문적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아문 | 척추동물아문 Vertebrata |
강 | 조기어강 Actinopterygii |
목 | 나비고기목 또는 농어목 Perciformes |
아목 | 스즈키아목 Percoidei |
과 | 나비고기과 Chaetodontidae |
속 | 하타타테다이속 Heniochus |
종 | 하타타테다이 H. acuminatus |
일반 정보 | |
일본어 이름 | 하타타테다이 |
영어 이름 | Pennant coralfish |
한국어 이름 | 두동가리돔 |
2. 형태
두동가리돔은 최대 25cm까지 자랄 수 있는 소형 어류이다.[5][6] 자연에서 관찰되는 평균 크기는 약 15cm이다.[7]
몸은 옆으로 압축되어 있으며, 등지느러미의 첫 번째 줄기는 긴 흰색 필라멘트로 뻗어 있다. 몸 배경색은 흰색이며 두 개의 큰 검은색 대각선 띠가 있다. 두 번째 검은색 줄무늬 너머로,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노란색이다. 가슴지느러미 또한 노란색이다. 머리는 흰색이고, 눈은 검은색이며 검은색 띠로 연결되어 있다. 검은 반점이 있는 주둥이는 약간 길쭉하며 작은 말단 돌출(확장 가능) 입을 가지고 있다.
어린 개체는 성어와 달리 두 번째 검은색 줄무늬 뒤에 흰색 부위가 없다.
- 전장 25cm.
- 길게 뻗은 등지느러미의 가시줄이 특징이다. 아주 드물게 이 길게 뻗은 등지느러미가 두 갈래로 갈라진 개체도 있다.
- 흰색 바탕의 몸에 두 줄의 굵은 검은색 띠가 뻗어 있다. 등지느러미의 후반부,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는 노란색이다.
2. 1. 유사 종
두동가리돔은 줄무늬 두동가리돔과 매우 흡사하여 혼동하기 쉽다. 뚜렷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산호 두동가리돔은 주둥이가 더 길고 주둥이의 반점이 더 짙다. 또한 산호 두동가리돔의 배지느러미는 더 길고 둥근 끝을 가지고 있는 반면, 줄무늬 두동가리돔은 더 작고 각진 끝을 가지고 있다.
무레하타타테다이도 유사종이다. 두 종을 구별하는 방법은, 두동가리돔은 큰 무리를 짓지 않고(쌍 또는 수 마리 규모) 무레하타타테다이는 큰 무리를 짓는다는 것이다. 다만, 두동가리돔이 큰 무리를 이루거나, 무레하타타테다이가 큰 무리를 짓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외에도 등지느러미 가시의 수가 12개이면 무레하타타테다이이고, 11개이면 두동가리돔이다.
뿔나비고기는 깃대돔과 매우 닮았지만, 나비고기보다는 양쥐돔에 가까운 종이다. 또한, 무늬의 형태도 다르다.
3. 습성
두동가리돔은 쌍이나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소극적인 물고기로, 영역은 거의 없다. 어린 개체는 다른 물고기의 기생충을 제거해주기도 한다.[3] 성어는 수층의 동물 플랑크톤, 산호 폴립, 가끔 저서생물을 먹는다.[11]
잡식성으로 플랑크톤, 조류 등을 먹으며, 어린 물고기는 다른 물고기에 붙어있는 기생충도 먹는다.
수심 10m~75m의 산호초 등 해저 부근에 서식하며, 오키나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혼슈에서는 어항의 방파제 측면을 쪼거나 하면서 헤엄쳐 다닌다.
4. 식성
두동가리돔은 대부분 플랑크톤을 먹지만, 수조 환경에서는 잡식한다. 짝을 지어 생활하며, 수층의 동물 플랑크톤, 산호 폴립 그리고 가끔 저서생물을 먹는다.[11] 어린 개체는 단독 생활을 하며, 다른 물고기를 청소해 주면서 먹이를 얻을 수 있다.[3]
5. 분포 및 서식지
6. 생태
쌍이나 무리를 지어 있으며, 소극적인 물고기로 영역은 거의 없다. 어릴 때 몇몇은 다른 물고기의 기생충을 없애주기도 한다. 두동가리돔은 짝을 지어 생활하며, 수층의 동물 플랑크톤, 산호 폴립 그리고 가끔 저서생물을 먹는다.[11] 어린 개체는 단독 생활을 하며, 다른 물고기를 청소해 주면서 먹이를 얻을 수 있다.[3]
잡식성으로 플랑크톤, 조류 등을 먹는다. 어린 물고기는 다른 물고기에 붙어있는 기생충도 먹는다. 수심 10~75m의 산호초 등의 해저 부근에 서식하며, 오키나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혼슈에서는 어항의 방파제 측면을 쪼거나 하면서 헤엄쳐 다닌다. 태평양 및 인도양의 열대 산호초 등에 서식한다. 추위에 강하여 혼슈에서도 성어가 발견된다. 북쪽 한계는 아오모리현 시모키타반도이다.
7. 보전 상태
이 종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었지만,[1] 일부 지역 개체군은 감소하고 있다. 다른 많은 암초어류와 마찬가지로, 두동가리돔은 여러 산호초가 훼손되고 심하게 파편화되어 연속적인 산호 군집이 없는 상황으로 인해 페르시아 만에서 위협받고 있다.[2]
8. 분류
두동가리돔은 1758년 린네가 출판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Chaetodon acuminatus''로 처음 기술되었다.[12] 린네는 ''Chaetodon macrolepidotus''라는 종도 기술했는데, 이는 조르주 퀴비에가 기준 종으로 사용했고, 이후 ''H. acuminatus''의 동의어로 간주되는 ''Heniochus'' 속의 기준 종이 되었다.[13]
9. 인간과의 관계
관상어로 인기가 있어, 다양한 크기로 판매된다. 수조 내에서는 길게 뻗은 등지느러미가 수질에 따라 녹는 경우가 있지만, 지느러미 부분이 녹아도 실 모양으로 남은 등지느러미 연골이 있다면 안정되면 회복되기도 한다.[4]
극소형 낚싯바늘에 크릴 등을 달아 낚을 수 있다.[4]
참조
[1]
간행물
"''Heniochus acuminatus''"
2010
[2]
간행물
"''Heniochus acuminatus'' (Persian Gulf assessment)"
2024-07-26
[3]
간행물
Heniochus acuminatus
FishBase
[4]
웹사이트
Species Heniochus acuminatus Linnaeus 1758
https://www.fishwise[...]
2020-04-19
[5]
서적
Coral reef fish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문서
Chaetodontidae
Springer-Verlag, Berlin
[7]
문서
Poissons de Djibouti
RDA International, Inc., Placerville (California, USA)
[8]
문서
Micronesian reef fishes
Coral Graphics, Barrigada, Guam
[9]
서적
"Chaetodontidae & Microcanthidae"
Aquatic Photographics
[10]
웹사이트
"''Heniochus acuminatus''"
https://fishesofaust[...]
Museums Victoria
2020-11-25
[11]
웹사이트
ADW: Heniochus acuminatus: INFORMATION
https://animaldivers[...]
Animaldiversity.org
2022-08-23
[12]
웹사이트
Heniochus
Cof genus
2020-11-24
[13]
웹사이트
Chaetodontidae
Cof family
2020-11-24
[14]
웹사이트
"Order ACANTHURIFORMES (part 1): Families LOBOTIDAE, POMACANTHIDAE, DREPANEIDAE and CHAETODONTIDAE"
https://etyfish.org/[...]
The ETYFish Project
2022-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