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아르트 (포르투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아르트(포르투갈)는 포르투갈의 주앙 1세의 아들로, 형의 죽음으로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그는 아버지의 정책을 이어받아 아프리카 해양 탐험을 지원했으며, 5년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코르테스를 여러 번 소집하여 정치적 합의를 모색했다. 1437년, 형제들과 함께 모로코의 탕헤르를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동생 페르난두가 인질로 잡히는 결과를 낳았다. 그는 1438년 흑사병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포르투갈에 정치적 위기를 초래했다. 그는 문화적인 면모도 보였으며, 여러 저술과 시를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1년 출생 - 제1대 달라이 라마
티베트 유목민 출신으로 불교에 귀의한 겐둔 둡빠는 간덴 사원 주지이자 타쉴훈포 사원 창건자로서 수행과 명상에 정진하여 티베트에서 존경받는 스님이 되었으며, 불교 경전 주석과 저술을 통해 티베트 불교 발전에 기여했다. - 1391년 출생 - 쇼츄왕
쇼츄왕은 류큐 국왕의 칭호로 슌텐 왕조, 에이소 왕조, 산잔 시대, 제1쇼씨 왕조, 제2쇼씨 왕조에서 사용되었다. - 1438년 사망 - 맹사성
맹사성은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까지 청렴하고 검소한 삶과 뛰어난 정치적 능력으로 명성을 떨친 문신이자 명재상으로, 조선 개국 후 태조, 태종, 세종 3대에 걸쳐 요직을 두루 역임하며 조선 초기 정치와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1438년 사망 - 아다이 칸
아다이 칸은 15세기 초 아룩타이 태사의 지지로 몽골 칸에 올랐으나 서부 몽골 귀족들의 반발, 오이라트와의 갈등, 명나라의 압박 속에서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1438년 토곤 타이시에게 살해당했으며, 가계와 출생지, 생년월일은 불분명하다. - 아비스가 - 엔히크 항해왕자
엔히크 항해왕자는 포르투갈의 왕자로서 아프리카 해안 탐험을 후원하고 항해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포르투갈의 대항해 시대를 이끌었으나, 1460년에 사망했다. - 아비스가 - 마누엘 1세 (포르투갈)
마누엘 1세는 1495년부터 1521년까지 포르투갈을 통치한 왕으로, 중앙 집권화와 해상 무역로 개척을 통해 포르투갈의 번영을 이끌었으며, 마누엘 양식을 발전시키고 유대인 정책을 펼쳤다.
두아르트 (포르투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포르투갈 국왕 |
재위 기간 | 1433년 8월 14일 – 1438년 9월 9일 |
이전 국왕 | 주앙 1세 |
다음 국왕 | 아폰수 5세 |
배우자 | 아라곤의 엘레아노르 (1428년 결혼) |
자녀 | 아폰수 5세 페르난두 엘레오노르, 신성 로마 황후 인판타 카타리나 후아나, 카스티야 여왕 |
왕가 | 아비스 |
아버지 | 주앙 1세 |
어머니 | 필리파 드 랭카스터 |
출생일 | 1391년 10월 31일 |
출생지 | 비제우, 포르투갈 |
사망일 | 1438년 9월 9일 |
사망지 | 토마르, 포르투갈 |
매장지 | 바탈랴 수도원 |
![]() | |
이름 | |
포르투갈어 | Duarte |
별칭 | '웅변가 (o Eloquente)' |
2. 초기 생애
두아르트는 주앙 1세 국왕의 적자 중 둘째 아들이었다. 1400년, 그의 형인 아폰수가 10세의 나이로 사망하면서 두아르트는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두아르트는 주앙 1세 국왕의 적자 중 둘째 아들이었으나, 1400년 형 아폰수가 10세의 나이로 사망하면서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
왕위에 오르기 전, 두아르트는 항상 국정 운영에 있어 부왕을 보좌했다. 그는 1415년 포르투갈의 세우타 점령 이후 기사 작위를 받았는데, 세우타는 지브롤터 해협 건너편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도시였다. 1433년, 부친이 흑사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왕위를 계승했다.[2]
국왕이 된 두아르트는 즉위 초부터 국내 정치의 안정을 도모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주력했다. 5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그는 국가의 주요 정치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포르투갈 코르테스(국가 의회)를 다섯 차례나 소집했다. 또한, 부왕이 추진했던 아프리카 해양 탐험 정책을 계승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이어 나갔다. 그는 자신의 형제이자 유명한 탐험가인 항해왕자 엔히크를 격려하고 재정적으로 지원했으며, 엔히크는 아프리카 서해안을 따라 여러 탐험을 주도했다. 특히 질 이아느스가 이끈 1434년의 탐험은 아프리카 북서부 해안의 보자도르 곶을 최초로 통과하는 성과를 거두었고, 이는 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더 나아가는 탐험의 길을 열었다.
3. 치세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그는 국정에 참여하며 부왕을 보좌했고, 1415년 지브롤터 해협 건너편 북아프리카의 세우타를 점령하는 원정에 참여하여 기사 작위를 받았다. 1433년, 부왕이 흑사병으로 사망하자 왕위를 계승했다.[2]
국왕이 된 두아르트는 국내 정치 안정을 위해 노력했으며, 5년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포르투갈 코르테스(국가 의회)를 다섯 차례 소집하여 국가 현안을 논의했다. 그는 또한 부친의 아프리카 해양 탐험 정책을 계승하여 지원했다.
3. 1. 세우타 정복의 유산과 탕헤르 원정
두아르트는 부왕 주앙 1세 때 시작된 아프리카 해양 탐험 정책을 이어받아, 동생 엔히크의 서아프리카 해안 탐사를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이는 1434년 질 이아네스가 항해의 금단 영역으로 여겨지던 보자도르 곶 남쪽 항로를 개척하는 성과로 이어졌다.[9]
부왕 주앙 1세 시대인 1415년에 정복한 세우타는 포르투갈 역사상 최초의 해외 영토이자 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로서 전략적 가치가 있었다.[18] 이를 통해 아프리카 연안 및 내륙 정보를 얻고,[15] 이베리아 반도 방어와 해상 안전 확보에 기여했다.[19] 그러나 세우타는 점차 무역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재정적 부담으로 작용하기 시작했으며,[20] 이는 훗날 탕헤르 원정의 배경이 되었다.[21]
1437년, 동생 엔히크의 주도로 탕헤르 원정이 추진되었으나 전투에서 참패했고, 막내 동생 페르난두가 인질로 잡히는 결과를 낳았다.[2] 이 사건은 두아르트 치세 말년에 큰 정치적 부담을 안겼다.
3. 1. 1. 탕헤르 원정의 배경
1415년 세우타 정복은 초기에는 성공적으로 보였으나, 곧 포르투갈의 재정에 큰 부담을 주기 시작했다. 모로코 상인들이 기존의 교역로 대신 탕헤르(Tangier)를 이용하면서 세우타는 고립되었고, 막대한 주둔군 유지 비용만 들어가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21] 세우타의 가치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탕헤르 점령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일각에서는 세우타를 포기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었다.[21]
이러한 상황에서 탕헤르 원정을 처음 제안한 인물은 엔히크 왕자였다.[22] 1432년, 엔히크는 부왕 주앙 1세에게 탕헤르 공격을 건의했지만, 왕실 평의회는 물론 왕세자 두아르트를 포함한 다른 왕자들(페드루, 주앙)도 인력 부족과 막대한 비용 문제, 마리니드 왕조와의 불필요한 충돌 가능성을 들어 반대했다.[23][2] 정복의 실효성과 성공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었다.[23] 그러나 엔히크는 당시 모로코의 마리니드 왕조가 술탄 암살(1420년) 이후 정치적 혼란과 분열을 겪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24] 지금이 공격의 적기라고 주장했다. 그는 교황으로부터 원정에 대한 특권을 받아 유럽 전역에서 병력을 모집하면 인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득했다.[25]
1433년 주앙 1세가 사망하고 두아르트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탕헤르 원정 논의는 잠시 중단되었다.[26] 두아르트는 여전히 원정에 부정적이었지만, 엔히크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상속받은 영지에 불만을 품고 있던 막내 동생 페르난두를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였고,[27] 왕비(형수) 레오노르를 통해 두아르트 왕을 설득하도록 압박했다. 결정적으로 1436년 3월, 엔히크는 자신의 모든 재산을 두아르트 왕의 둘째 아들이자 자신의 조카인 페르난두(훗날의 페르난두 드 비제우 공작)에게 상속하겠다는 유언장을 작성했고,[29] 마침내 두아르트는 원정을 승인했다.[30]
원정 준비는 1436년 4월, 두아르트 왕이 에보라에서 코르테스(의회)를 소집하여 자금을 마련하면서 본격화되었다.[31] 엔히크는 교황청을 상대로 로비를 벌여[32] 1436년 9월 교황 에우제니오 4세로부터 원정을 승인하는 칙령(''Rex Regnum'')을 받아냈다.[33] 이는 교황청 내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얻어낸 결과였다.[2] 카스티야와의 카나리아 제도 문제로 인한 외교적 갈등도 1437년 여름에 진정되면서[34] 원정의 외부적 장애물은 제거되었다.
약 1년간의 준비 끝에 1437년 늦여름, 원정대가 마침내 출정 준비를 마쳤다. 그러나 원정에 대한 국내의 반대 여론이 여전히 높았기 때문에 병력 모집은 순조롭지 않았고, 최종 원정대 규모는 기사 3,000명, 보병 2,000명, 궁수 1,000명 등 총 6,000명 수준으로 당초 계획의 절반에 그쳤다.[35]
한편, 포르투갈이 원정을 준비하는 동안 모로코 역시 방어 태세를 갖추었다. 비록 정치적으로 분열된 상태였지만, 수도 페스의 섭정 아부 자카리아 야흐야 알 와타시(Abu Zakariya Yahya al-Wattasi)는 성전(지하드)을 호소하며 세력을 규합했다. 탕헤르의 방어는 1415년 세우타 함락 당시 총독이었던 살라 이븐 살라(Salah ibn Salah)가 맡았다. 그는 복수심에 불타며 그라나다에서 용병을 고용하는 등 약 7,000명의 수비대를 확보하고 요새를 강화했으며, 세우타로 통하는 길목을 차단하는 등 철저히 대비했다.[36][37]
3. 1. 2. 원정의 실패와 후폭풍
1437년, 두아르트의 동생 엔히크와 페르난두는 그를 설득하여 모로코의 마리니드 왕조를 공격하도록 했다. 이 원정은 페드루와 주앙 형제가 마리니드 술탄과의 충돌을 피해야 한다며 반대했고, 교황 역시 반대 의사를 표했음에도 불구하고 감행되었다.[2] 이들의 우려는 결국 현실이 되었다.
엔히크가 총사령관으로 임명된 원정대는 1437년 8월 22일 벨렘 항을 출발했다.[38] 세우타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육로와 해로로 나누어 탕헤르로 향했다. 엔히크가 이끄는 육군은 9월 13일 탕헤르 외곽에 도착했으며,[39] 해로로 이동한 막내 동생 페르난두는 먼저 도착해 있었다. 탕헤르를 포위하고 9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세 차례 공격을 감행했으나 모두 실패했다.[40] 10월 9일경, 모로코 마리니드 왕조의 섭정 아부 자카리야가 이끈 대규모 지원군이 도착하여 벌어진 탕헤르 전투에서 포르투갈군은 참패했고, 총사령관 엔히크마저 위험에 처하기도 했다.
약 3,000명의 포르투갈군 생존자[41]는 모로코 지원군에게 포위되어 바다로 향하는 퇴로와 보급로가 완전히 차단되었다.[42] 보급이 끊기자 굶주림에 시달렸고, 군마를 잡아먹거나 부족한 우물물로 버텨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놓였다.[43][44] 결국 엔히크는 군대의 안전 철수를 보장받는 대가로 세우타를 마리니드에게 반환하겠다는 조약을 제안했다. 이 조약은 1437년 10월 17일 엔히크와 살라 이븐 살라 사이에 체결되었다.[45] 조약 이행을 담보하기 위해 양측은 인질을 교환했는데, 포르투갈 측에서는 두아르트의 막내 동생인 페르난두 왕자가 인질로 넘겨졌다.[46] 10월 19일, 생존한 포르투갈 원정대원들은 배를 타고 탕헤르를 떠났다. 이 원정의 대실패는 주도적으로 이를 추진했던 엔히크의 명성을 크게 실추시켰고 그의 정치적 입지를 좁혔다.
한편, 세우타 식민지는 점령 이후 포르투갈 재정에 계속 부담을 주고 있었다. 포르투갈이 세우타를 점령하자 기존에 세우타를 경유하던 사하라 횡단 무역 대상들이 탕헤르를 새로운 거점으로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세우타는 경제적으로 고립되고 쇠퇴했다. 탕헤르 점령 실패는 세우타의 전략적, 경제적 가치를 더욱 떨어뜨렸다.
탕헤르에서의 참패는 두아르트 치세 말년을 뒤흔드는 주요 사건이 되었다. 페드루와 주앙 형제는 조약을 이행하여 세우타를 넘겨주고 페르난두를 석방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정작 조약에 서명했던 엔히크는 조약을 파기하고 세우타를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며 내부 갈등이 깊어졌다. 결정을 내리지 못한 두아르트는 1438년 초 레이리아에서 포르투갈 코르테스(의회)를 소집하여 자문을 구했다. 코르테스는 조약 비준을 거부하고 세우타를 계속 보유하기로 결정했으며, 두아르트에게 페르난두의 석방을 위한 다른 방법을 찾으라고 요구했다.
두아르트는 그해 여름 토마르에서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일설에는 인질로 잡힌 동생 페르난두의 비극적인 운명에 대한 슬픔과 고뇌로 병을 얻어 사망했다고도 전해진다. 페르난두는 결국 풀려나지 못하고 1443년 페스에서 억류된 채 사망했다.[2]
3. 2. 말년과 사망
탕헤르 원정 실패 후 귀국한 엔히크는 포르투갈군 철수 과정에서 발생한 무혈 충돌[47]을 근거로 모로코와의 조약 파기를 주장했으나, 이는 큰 설득력을 얻지 못했다.[48] 탕헤르에서의 실패와 동생 페르난두의 석방 문제는 두아르트 치세 말년을 지배하는 주요 과제가 되었다. 엔히크는 조약 파기를 주장한 반면, 다른 동생들인 페드루와 주앙은 조약을 이행하여 세우타를 넘겨주고 페르난두를 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2]
결정을 내리지 못한 두아르트는 1438년 초 레이리아에서 코르테스(의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를 논의했다. 코르테스는 세우타를 포기하는 조약의 비준을 거부하고, 세우타를 계속 보유하면서 다른 방법을 통해 페르난두의 석방을 추진할 것을 결의했다.[49][2] 이후 페르난두 왕자의 석방을 위한 여러 노력이 있었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49]
두아르트는 1438년 9월(또는 그해 여름 늦게[2]) 토마르에서 흑사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이는 그의 아버지 주앙 1세와 어머니 필리파가 사망한 원인과 같았다.[2] 민간 설화에서는 그가 불운한 동생 페르난두의 운명에 대한 비탄으로 사망했다고도 전해진다.[2] 그의 사후에도 세우타 반환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모로코에 볼모로 잡혀 있던 페르난두는 결국 1443년 6월 5일 페스의 포로 수용소에서 4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0][8][2]
두아르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왕위는 겨우 6살 된 아들 아폰수 5세(1432~1481)에게 계승되었다. 두아르트는 유언을 통해 왕비 레오노르(1402-1445)에게 섭정을 맡겼으나, 그녀가 아라곤 출신의 외국인이라는 점 때문에 귀족들과 민중의 반발이 심했다. 결국 1439년 코르테스는 국왕의 숙부이자 두아르트의 동생인 코임브라 공작 페드루를 단독 섭정으로 임명했다.[51] 왕비 레오노르는 카스티야로 망명했고, 1445년 그곳에서 사망했다.
1448년 아폰수 5세가 친정을 시작하면서 페드루는 섭정 자리에서 물러났으나, 곧 브라간사 공작과의 권력 투쟁에 휘말렸다. 이듬해인 1449년 5월 알파로베이라 전투에서 페드루는 패배하여 전사했고, 이후 브라간사 공작 가문은 포르투갈의 강력한 귀족 세력으로 부상하게 되었다.[52]
4. 유산
두아르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포르투갈에 정치적 위기를 불러일으켰다. 그의 어린 아들 아폰수 5세가 왕위를 계승하게 되면서, 두아르트의 형제들이 섭정을 맡을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두아르트는 유언을 통해 당시 인기가 없었던 외국인 아내 아라곤의 엘레오노르를 섭정으로 지명했다. 이에 시민들은 봉기했고, 레겐고스의 주앙이 소집한 왕국의 시민들은 코임브라의 페드루를 섭정으로 추대했다. 반면 귀족들은 엘레오노르를 지지하며 내전의 위협까지 가했다. 이 섭정 위기는 엘레오노르와 페드루 사이에 복잡하고 긴장된 권력 분점 협정을 통해 겨우 진정되었다.
정치적인 측면 외에 두아르트는 문화적인 유산도 남겼다. 그는 사색적이고 학구적인 왕자였으며, ''O Leal Conselheiro'' (충실한 조언자)와 ''Livro Da Ensinança De Bem Cavalgar Toda Sela'' (모든 안장에서 말을 잘 타는 법에 대한 가르침의 책)라는 논문을 저술했고, 여러 편의 시도 남겼다. 또한 그는 사망 당시 포르투갈 법전을 개정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었다.
5. 가족 관계
두아르트는 1428년 아라곤의 엘레오노르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아라곤의 페르난도 1세와 알부르케르케의 엘레오노르의 딸이었다.
5. 1. 자녀
두아르트는 1428년 아라곤의 엘레오노르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아라곤의 페르난도 1세와 알부르케르케의 엘레오노르의 딸이었다.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라곤의 엘레오노르 (1402년경–1445년 2월 19일); 1428년 9월 22일 결혼 | |||
주앙 공자 | 1429년 10월 | 1433년 8월 14일 | 포르투갈의 왕자. |
필리파 공주 | 1430년 11월 27일 | 1441년 3월 24일 | 11세에 사망. |
아폰수 공자 | 1432년 1월 15일 | 1481년 8월 28일 | 그의 뒤를 이어 포르투갈의 아폰수 5세가 됨. |
마리아 공주 | 1432년 12월 7일 | 1432년 12월 8일 | 유아기에 사망. |
페르난두 공자 | 1433년 11월 17일 | 1470년 9월 18일 | 비스우 공작. 그는 잠시 동안 형 아폰수 5세의 상속자로 지명되었고, 따라서 공자 대신 왕자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그는 미래의 왕 마누엘 1세의 아버지였다. |
엘레오노르 공주 | 1434년 9월 18일 | 1467년 9월 3일 | 프리드리히 3세와의 결혼으로 신성 로마 제국 황후가 됨. |
두아르테 공자 | 1435년 7월 12일 | 1435년 7월 12일 |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망. |
카타리나 공주 | 1436년 11월 26일 | 1463년 6월 17일 | 그녀는 나바라의 카를로스 4세와 약혼했지만, 결혼 전에 그가 사망했다. 그의 사망 후, 카타리나는 성 클레어 수도원에 들어가 수녀가 되었다. |
조아나 공주 | 1439년 3월 20일 | 1475년 6월 13일 | 카스티야의 엔리케 4세와의 결혼으로 카스티야의 여왕이 됨. |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Portugal: From the Commencement of the Monarchy to the Reign of Alfonso III.
S.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2]
서적
The Story of Portugal
https://books.google[...]
G.P. Putnam's sons
[3]
간행물
John I, King of Portugal
Britannica
[4]
서적
John of Gaunt: King of Castile and Leon, Duke of Aquitaine and Lancaster, Earl of Derby, Lincoln, and Leicester, Seneschal of England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2018-07-17
[5]
간행물
Peter I, King of Portugal
Britannica
[6]
서적
Historia genealogica da casa real portugueza
https://archive.org/[...]
Lisboa Occidental
[7]
VHS
大航海 ヴァスコ・ダ・ガマの道 第1巻ポルトガル ここに地尽き始まる〜大航海時代の始まり〜
해工房
[8]
서적
The Story of Portugal
G.P. Putnam's sons
[9]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10]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11]
서적
스페인,포르투칼사
미래엔
[12]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13]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14]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15]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16]
서적
무역의 세계사
라이팅하우스
2019-04-10
[17]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18]
웹사이트
세우타
두산백과
[19]
서적
스페인,포르투칼사
대한교과서
1988-04-15
[20]
웹사이트
암흑 바다를 넘어서다 - '바다 시대' 연 포르투갈 엔리케 왕자(1434~1460년)
이병철
2002-07-18
[21]
문서
Russell, 2000
[22]
문서
Russell, 2000: Ch. 6, p. 136ff.
[23]
문서
Four of the written opinions (pareceres) of April–June 1432, are preserved in Monumenta Henricana, vol. IV: Ferdinand of Arraiolos (p. 99), John of Reguengos (p. 111), Afonso of Barcelos (p. 123) and Afonso of Ourém (p. 129). A summary of the opinions can be found in Russell (2000: Ch.6). The opinion of Peter of Coimbra at this time is unknown, but was probably negative, as can be deduced from his later statements, e.g. see Ruy de Pina's Chronica del Rey D. Duarte, ch. 19
[24]
문서
Julien, p. 196
[25]
문서
The only primary record of Henry's opinion is his later parecer, dated 1436 (month unknown), and reproduced in Monumenta Henricina, vol. V, p. 201. See the summary in Russell, 2000: pp. 156–158
[26]
문서
Russell, p. 160
[27]
문서
Ruy de Pina, Chronica d'El Rey D. Duarte, Ch. 10; Russell, 2000: p. 151; Quintella, p. 85, all of whom suggest that Ferdinand's dissatisfaction may have been calculatedly stoked by Henry.
[28]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29]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30]
문서
Henry's will and testament of 7 March 1436 can be found in Monumenta Henricina, vol. V,p. 205. See Russell, p. 168
[31]
문서
Quintella, p. 86; Russell, p. 160
[32]
문서
Russell, p. 153
[33]
문서
Pope Eugenius IV's bull Rex Regnum (September 8, 1436) can be found in Monumenta Henricana, vol. 5, (p. 271)
[34]
문서
Russell. p. 165
[35]
문서
Pina, p. 96; Russell, p. 175; Quintella, p. 89
[36]
문헌
Russell, p. 178
[37]
문헌
Quintella, p. 92
[38]
문헌
Quintella, p. 87
[39]
문헌
Quintella, p. 90
[40]
문헌
Pina, p. 102; Quintella, p. 90; Russell, p. 178 By contrast, Álvares (pp. 57–59) asserts there were three failed assaults attempted on the city in this early period. See the alternative timeline below. A critique of Álvares is presented in Elbl, pp. 907–1020. For a very long alternative view of the action, see Elbl, 2015, pp. 73 ff.
[41]
문헌
Álvares, p. 62; also Russell, p. 181. The anonymous soldier's letter reports 3,000 on October 3 (Monumenta Henricina, vol. 6, p. 208), if true, and if the mass desertion of 1,000 happened as the chroniclers reported it, then the camp would be reduced to as few as 2,000. Elbl, 2015, 93–100 emphatically argues against this entire interpretation.
[42]
문헌
Pina, p. 118; Quintella, p. 96
[43]
문헌
Pina, p. 114
[44]
문헌
Pina, p. 124; Quintella, p. 96
[45]
문헌
Pina, pp. 124–125. A copy of the treaty of October 17, 1437 is preserved and found in Monumenta Henricina, Vol. VI, p. 211
[46]
문헌
Pina, p. 125; Quintella, p. 97. However, Russell, pp. 183–84 doubts this. Elbl, 2015, pp. 121–123, provides extensive details and a new interpretation.
[47]
문헌
Quintella, p. 97
[48]
문헌
Russell, p.185
[49]
문헌
Pina, p. 132; Quintella, p. 98
[50]
문헌
Álvares, p. 346
[51]
서적
Rainhas medievais de Portugal. Dezassete mulheres, duas dinastias, quatro séculos de História
A esfera dos livros
2010
[52]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