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뒤통수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뒤통수뼈는 머리뼈를 구성하는 뼈 중 하나로, 두개골의 뒤아래쪽에 위치하며 뇌머리뼈를 보호한다. 뒤통수뼈는 뒤통수비늘, 바닥부분, 가쪽부분으로 나뉘며, 큰 타원형 구멍인 큰구멍을 통해 두개강과 척주관이 연결된다. 뒤통수뼈는 두정골, 측두골, 접형골, 고리뼈 등과 관절하며, 람다 봉합, 뒤통수유양 봉합 등을 형성한다. 발생 과정에서 막과 연골에서 기원하며, 임상적으로 외상이나 유전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다른 동물에서도 뒤통수뼈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어원은 라틴어 "occiput"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머리뼈 - 안와
    안와는 얼굴 중앙에 위치하여 눈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공간으로, 7개의 뼈로 구성되며, 눈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근육과 혈관, 신경을 포함하고, 종양, 염증, 외상 등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머리뼈 - 미간중간점
뒤통수뼈
개요
뒤통수뼈의 위치
뒤통수뼈의 위치
뒤통수뼈 애니메이션
뒤통수뼈 애니메이션
라틴어os occipitale
영어Occipital bone
설명신경두개골의 뼈
세부 정보
기원해당 정보 없음
부착해당 정보 없음
관절두 개의 마루뼈
두 개의 관자뼈
나비뼈
고리뼈
식별
AnatomographyPartsIDFMA52735
DA해당 정보 없음
MeSH 이름뒤통수뼈
그레이 해부학'31'
그레이 해부학 단락'129'
전구체해당 정보 없음

2. 구조

뒤통수뼈는 머리뼈를 구성하는 뼈 중 하나로, 다른 7개의 머리뼈와 마찬가지로 바깥층과 안쪽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해면뼈 조직이 존재한다. 뼈는 능선, 융기, 관절융기, 그리고 바닥부분 앞쪽 부분에서 특히 두껍다. 아래소뇌오목에서는 얇고 반투명하며 판사이질이 없다.

뒤통수뼈는 두개골의 뒤아래쪽에 위치하며[5], 사다리꼴 모양으로 굽어 있다. 큰구멍(대후두공)이라고 불리는 큰 타원형 구멍이 뚫려 있으며[5], 두개강과 척주관을 연결한다[6]

뒤통수뼈는 큰구멍을 기준으로 뒤통수비늘(후두린), 바닥부분(기저부), 가쪽부분(외측부)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5]

바깥쪽에서 본 뒤통수뼈


안쪽에서 본 뒤통수뼈

2. 1. 세부 구조

뒤통수뼈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 뒤통수비늘(후두린): 큰구멍 뒤쪽에 있는 넓고 굽은 판 부분이다.
  • 바닥부분(기저부): 큰구멍 앞쪽에 있는 사각형 부분으로, 나비뼈 몸통과 결합한다.
  • 가쪽부분(외측부): 큰구멍 양쪽에 위치하며, 관자뼈와 관절한다. 혀밑신경관, 목정맥구멍 등이 있다.[5]


뒤통수뼈의 세부 구조
구분위치 및 특징
뒤통수비늘(후두린)큰구멍의 뒤쪽, 넓고 굽은 판 모양. 바깥뒤통수융기, 목덜미선 등이 존재한다.
바닥부분(기저부)큰구멍의 앞쪽, 사각형 모양. 나비뼈와 결합한다.
가쪽부분(외측부)큰구멍의 양쪽, 관자뼈와 관절. 혀밑신경관, 목정맥구멍 등이 존재한다.



'''뒤통수비늘(후두린)'''은 큰구멍 위쪽 및 뒤쪽에 위치하며 위아래, 앞뒤로 굽어있다. 바깥면은 볼록하고, 바깥뒤통수융기가 있다. 바깥뒤통수융기에서 양쪽으로 두 개의 곡선, 위뒤통수선과 아래뒤통수선이 있다. 위뒤통수선 위쪽은 뒤통수평면, 아래뒤통수선 아래쪽은 목덜미평면이라고 한다. 바깥뒤통수융기에서 큰구멍까지 바깥뒤통수능선이 뻗어 있고, 목덜미인대가 붙는다. 여러 근육이 뒤통수 비늘의 외부 표면에 붙는다.[7]

안쪽 면은 오목하며, 십자융기에 의해 네 부분으로 나뉜다.[8] 위쪽 두 부분은 삼각형으로 대뇌의 뒤통수엽이, 아래쪽 두 부분은 사각형으로 소뇌 반구가 들어간다.[9] 십자융기의 교점은 안뒤통수융기라고 한다.[8] 안뒤통수융기에서 위쪽으로 뻗는 것은 뼈의 위쪽 각을 향해 뻗는다. 한쪽(일반적으로 오른쪽)에 위시상정맥동고랑 뒤쪽에 위치한 시상고랑이 있다. 십자융기의 아래쪽은 안뒤통수능선이라고 하며, 큰구멍 근처에서 두 갈래로 나뉘어 소뇌낫에 붙는다. 양쪽 모두 안뒤통수융기에서 뼈의 측면까지 가로정맥동고랑이 뻗어 있으며, 소뇌 천막에 붙는다.

2. 2. 관절

뒤통수뼈는 2개의 마루뼈, 2개의 관자뼈, 1개의 나비뼈, 1개의 고리뼈와 관절한다.

2. 3. 큰구멍 (대후두공)

큰구멍(foramen magnumla)은 앞뒤로 가장 긴 큰 타원형 구멍이다. 앞쪽보다 뒤쪽이 더 넓으며, 앞쪽은 뒤통수뼈관절융기에 의해 침범된다. 매끄러운 뼈 부분인 비탈길은 구멍의 앞면에서 위로 뻗어 있고, 정중 내후두능선은 그 뒤로 뻗어 있다.[5]

큰구멍을 통해 숨뇌와 그 막, 더부신경, 척추동맥, 앞척수동맥과 뒤척수동맥, 덮개막과 날개인대가 지나간다. 두개강과 척주관을 연결한다.[6]

큰구멍에는 두 개의 정중선 두개골 랜드마크가 있다. 바시온은 구멍의 가장 앞쪽 지점이고, 오피스톤은 반대쪽 뒤쪽 부분의 지점이다. 바시온은 치아와 일치한다.

3. 발생

뒤통수뼈는 대부분 막(membrane)에서 발생하며, 일부는 연골에서 발생한다. 뒤통수평면은 막에서, 목덜미평면은 연골에서 발생하며, 태아기 3개월경에 결합한다.

그림 3: 출생 시 뒤통수뼈

  • 뒤통수 평면: 막에서 발달하며, 일생 동안 분리된 상태로 남아 두정간뼈를 형성할 수 있다. 핵은 일반적으로 4개인데, 2개는 약 두 번째 달에 중간선 근처에서, 2개는 약 세 번째 달의 태아기에 중간선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서 나타난다.
  • 목덜미 평면: 두 개의 중심에서 뼈로 형성되며, 태아기 7주차에 나타나 곧 합쳐진다.
  • 측면 부분: 태아기 8주 동안 단일 중심에서 골화되기 시작한다.
  • 바닥 부분: 두 개의 중심에서 뼈로 형성되는데, 하나는 다른 하나 앞에 위치한다. 이들은 태아기 6주경에 나타나 빠르게 합쳐진다.
  • 뒤통수 평면은 두 개의 중심에서 골화되고, 바닥 부분은 하나의 중심에서 골화된다.


다섯 번째 달 동안 구멍 뒤쪽 가장자리에서 때때로 중심점 (케르크링)이 나타난다. 이것은 출생 전에 비늘 부분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하는 별도의 작은 뼈(때로는 이중)를 형성한다.

약 4세경에 비늘 부분과 두 개의 가쪽부분이 결합하고, 약 6세경에 하나의 뼈가 된다. 18~25세 사이에 뒤통수뼈와 나비뼈가 결합하여 하나의 뼈를 형성한다.

4. 임상적 중요성

뒤통수뼈에 가해지는 외상은 두개저 골절을 유발할 수 있다. 방사선 사진에서 보이는 '기저-치아 돌기선'은 기저와 치아 돌기 상단 사이의 거리로, 탈구 부상의 진단에 사용된다.[2]

에드워드 증후군과 베크위드-비데만 증후군 같은 유전 질환은 두드러진 뒤통수뼈를 유발할 수 있다.

분만태아의 뒤통수뼈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5. 다른 동물

많은 동물에서 뒤통수뼈는 평생 동안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개는 비늘 부분(상뒤통수), 가쪽 부분 좌우 부분(외뒤통수), 바닥 부분(기저뒤통수)의 네 부분으로 나뉜다.[4]

뒤통수뼈는 두개골의 가장 기초적인 부분인 내두개골의 일부이다. 연골어류와 무악어류에서는 뒤통수가 별도의 요소로 형성되지 않고 평생 동안 연골두개의 일부로 남아 있다. 대부분의 고등 척추동물에서 큰 구멍은 네 개의 뼈 고리로 둘러싸여 있다.

기저뒤통수는 구멍 앞에 위치하고, 두 개의 외뒤통수 관절융기는 양쪽에 위치하며, 더 큰 상뒤통수는 뒤쪽에 위치하며 두개골 뒤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많은 경골어류양서류에서 상뒤통수는 절대 골화되지 않고 평생 동안 연골로 남아 있다. 원시 형태에서 기저뒤통수와 외뒤통수는 척추의 중심과 신경궁과 다소 유사하며, 배아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후자의 뼈들은 일반적으로 첫 번째 척추의 관절을 위한 단일 오목한 원형 관절융기를 형성한다.[4]

그러나 포유류에서는 관절융기가 둘로 나뉘어지며, 이러한 패턴은 다른 몇몇 양서류에서만 볼 수 있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또한 큰 구멍 주변의 네 개의 개별 요소와 다른 척추동물의 두개골 지붕 뒤쪽을 형성하는 쌍을 이룬 후두정골로 구성된 단일 융합된 뒤통수뼈를 가지고 있다.[4]

6. 어원

'Occipital'은 라틴어 occiputl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머리 뒤쪽"을 의미한다. 여기서 ob는 "반대, 뒤에"를, caput는 "머리"를 뜻한다. 앞머리뼈와 구별된다.[3]

참조

[1] 학술지 Cranial base in craniofa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features, influence on facial growth, anomaly, and molecular basis https://doi.org/10.1[...] 2005
[2] 웹사이트 Basion-dens interval {{!}} Radiology Reference Article {{!}} Radiopaedia.org https://radiopaedia.[...] 2016-12-05
[3] 서적 occipital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4]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5] 문서 森ら
[6] 문서 森ら
[7] 인용
[8] 문서 森ら
[9] 문서 森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