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등전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전점(isoelectric point, pI)은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세라믹 재료 등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해당 물질이 용액 내에서 순수한 전하를 띠지 않는 pH 값을 의미한다. 아미노산과 단백질의 경우, 분자 내 아미노기와 카복실기의 해리 정도에 따라 전하가 달라지며, 등전점에서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균형을 이룬다. 세라믹 재료의 등전점은 수성 공정의 이해와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재료 표면의 화학적 특성과 pH에 따른 표면 전하 변화를 나타낸다. 등전점은 전기영동, 2차원 젤 전기영동, 등전점 포커싱 등 다양한 기술에 활용되며, 영전하점(point of zero charge, PZC)과 혼용되기도 하지만, 특정 흡착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온 - 이온 빔
    이온 빔은 전하를 띤 입자들의 좁은 흐름으로, 전류 밀도와 에너지로 측정되며, 격자형 또는 격자 없는 이온 소스를 통해 생성되어 다양한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이온 - 이온원
    이온원은 원자나 분자를 이온화하여 이온 빔이나 플라즈마를 만드는 장치로, 전자, 광자, 레이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온화를 유도하며 질량 분석법, 입자 가속기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 분석화학 - 도가니
    도가니는 금속이나 기타 물질을 고온에서 가열, 용융, 정련하는 데 사용되는 용기로, 기원전 6~5천년경에 등장하여 구리 제련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어 화학 분석, 금속 제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분석화학 - 미량 원소
    미량 원소는 지구과학에서 지각 내 극미량 원소를, 생물학에서 생명 활동에 필수적이나 함량이 적은 원소를 뜻하며, 두 분야의 정의는 다르나 극소량으로 존재하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생물학적으로는 철보다 함량이 적은 원소를 지칭하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 결핍 및 과다 섭취는 건강 문제를 야기하므로 적정량 섭취가 중요하다.
  • 분자생물학 - 단백질
    단백질은 아미노산 중합체로 생체 구조 유지와 기능에 필수적이며,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고유한 3차원 구조를 형성하여 효소, 구조, 수송, 저장, 수축, 방어, 조절 단백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인체 내에서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영양소이다.
  • 분자생물학 - 의학
    의학은 질병의 진단, 예후, 치료, 예방을 연구하는 과학 및 실천 분야이며, 고대부터 발전하여 현대에는 다양한 전문 분야로 세분화되고 첨단 기술 발전에 따라 혁신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등전점
개요
정의어떤 분자 내 총 전하가 0이 되는 pH 값
다른 이름아이소일렉트릭 포인트
설명이 지점에서 분자는 전기장 내에서 이동하지 않음
단백질 정제에 사용
서로 다른 등전점을 가진 단백질들을 분리하는 데 이용
양쪽성 이온의 순수한 알짜 전하가 0이 되는 pH
상세 정보
전하 상태용액의 pH가 등전점보다 낮으면 분자는 양전하를 띔
전하 상태용액의 pH가 등전점보다 높으면 분자는 음전하를 띔
활용
단백질 정제등전점 전기영동법, 등전점 초점화
참고 사항단백질 분리 기술에 활용

2. 아미노산 및 단백질의 등전점

아미노산아미노기(-NH₂)와 카복실기(-COOH)를 모두 가지고 있어 양쪽성 물질이며, 용액의 pH에 따라 전하가 달라진다. 아미노산은 등전점을 갖는 대표적인 화합물인데, 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과 같이 카복실기를 여러 개 가진 산성 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등전점이 낮고, 아르기닌, 히스티딘, 리신과 같이 아미노기를 여러 개 가진 염기성 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등전점이 높다.

2. 1. 아미노산의 등전점 계산

아미노산아미노기카복실기를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등전점을 갖는 대표적인 화합물인데, 카복실기를 여러 개 가진 산성 아미노산(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은 일반적으로 등전점이 낮고, 아미노기를 여러 개 가진 염기성 아미노산(아르기닌, 히스티딘 및 리신)은 일반적으로 등전점이 높다.[4] 그 외의 중성 아미노산의 등전점은 아미노기의 산 해리 상수와 카복실기의 산 해리 상수를 더하여 2로 나누면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단 하나의 아민과 하나의 카복실기만 있는 아미노산의 경우, pI는 이 분자의 pKa의 평균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4]

: \mathrm{pI} = \frac{\mathrm{p}K_\mathrm{a1} + \mathrm{p}K_\mathrm{a2}}{2}

전기영동 겔의 pH는 해당 겔에 사용된 완충 용액에 의해 결정된다. 완충액의 pH가 실행 중인 단백질의 pI보다 높으면, 단백질은 양극으로 이동한다(음전하는 양극에 끌린다). 완충액의 pH가 실행 중인 단백질의 pI보다 낮으면, 단백질은 겔의 음극으로 이동한다(양전하는 음극에 끌린다). 단백질을 pI와 동일한 완충액 pH로 실행하면 전혀 이동하지 않는다. 이는 개별 아미노산에도 적용된다.



두 예시(오른쪽)에서 등전점은 녹색 수직선으로 표시된다. 글리신에서 pK 값은 거의 7 단위만큼 떨어져 있다. 따라서 기체 상태에서 중성 종인 글리신(GlyH)의 농도는 분석적 글리신 농도의 100%에 가깝다.[5] 글리신은 등전점에서 쯔비터 이온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용액 내 이성질화 반응에 대한 평형 상수

:H2NCH2CO2H <=> H3N+CH2CO2-

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른 예시인 아데노신 일인산은 세 번째 종이 원칙적으로 관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표시되었다. 실제로 이 경우 등전점에서 의 농도는 무시할 수 있다.

pI가 pH보다 크면 분자는 양전하를 띤다.

2. 2. 펩타이드 및 단백질의 등전점

펩타이드단백질은 여러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복잡한 전하 특성을 갖는다. 펩타이드 및 단백질의 등전점은 구성 아미노산의 종류와 서열, 3차원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진다. 헨더슨-하셀바흐 방정식[6], 유전 알고리즘[9], 서포트 벡터 머신 알고리즘[10] 등 다양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펩타이드 및 단백질의 등전점을 예측할 수 있다.

Bjellqvist와 공동 연구자들이 제안한 모델에서는 동일한 시료를 겹치는 pH 구배에서 농축하여 pK 값을 밀접하게 관련된 고정화제 간에 결정했다.[6] 변형된 아미노산에 대한 pK 값 결정과 같은 방법론의 개선도 이루어졌다.[7][8]

보다 진보된 방법은 하전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으로부터 ±3 잔기 떨어진 인접 아미노산의 영향, 유리 C 말단의 영향, 그리고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해당 pK 값에 대한 보정 항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한다.[9] 다른 접근 방식으로는 서포트 벡터 머신 알고리즘[10]과 실험적으로 알려진 단백질/펩타이드 등전점에 대한 pKa 최적화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이 있다.[11]

실험적으로 측정된 단백질의 등전점은 데이터베이스에 집계되었으며,[12][13] 예측된 모든 단백질의 등전점 데이터베이스도 개발되었다.[14]

실제로 염기성 아미노산(아르기닌, 라이신 및/또는 히스티딘)이 많은 단백질은 등전점이 대략 7보다 클 것이고(염기성), 산성 아미노산(아스파르트산 및/또는 글루탐산)이 많은 단백질은 등전점이 7보다 낮을 것이다(산성).

등전점 포커싱이라고도 알려진 폴리아크릴아미드 젤에서 pH 구배를 따라 Ip에 의한 단백질의 전기영동 선형(수평) 분리 후, 두 번째 폴리아크릴아미드 젤(SDS-PAGE)에서 표준 분자량 선형(수직) 분리를 수행하는 것을 2차원 젤 전기영동 또는 PAGE 2D라고 한다. 이 기술은 단백질을 별개의 "스팟"으로 철저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높은 분자량과 낮은 Ip를 가진 단백질은 2차원 젤의 왼쪽 상단 부분으로 이동하고, 낮은 분자량과 높은 Ip를 가진 단백질은 동일한 젤의 오른쪽 하단 영역에 위치한다.

2. 3. 등전점 전기영동

단백질의 등전점은 등전점 전기영동(isoelectric focusing)이라는 기술에 활용되어 단백질을 분리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등전점 전기영동은 pH 기울기가 형성된 겔에서 단백질이 자신의 등전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전기영동 겔의 pH는 사용된 완충 용액에 의해 결정된다. 완충액의 pH가 실행 중인 단백질의 pI보다 높으면, 단백질은 양극으로 이동하고, 낮으면 음극으로 이동한다. 단백질을 pI와 동일한 완충액 pH로 실행하면 이동하지 않는다.[4]

펩타이드단백질의 등전점을 추정하기 위한 여러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다양한 pK 값을 사용하여 헨더슨-하셀바흐 방정식을 사용한다.[6]

2차원 젤 전기영동(2D-PAGE)은 등전점 포커싱과 SDS-PAGE를 결합하여 단백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단백질을 별개의 "스팟"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높은 분자량과 낮은 Ip를 가진 단백질은 2차원 젤의 왼쪽 상단 부분으로 이동하고, 낮은 분자량과 높은 Ip를 가진 단백질은 오른쪽 하단 영역에 위치한다.

3. 세라믹 재료의 등전점

금속 산화물 세라믹의 등전점(IEP)은 재료 과학에서 수성 공정 단계(합성, 변형 등)를 이해하고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5] 화학 흡착 또는 물리 흡착 종이 없는 상태에서, 수용액 내 입자 표면은 일반적으로 표면 수산화 종 M-OH (M은 Al, Si 등과 같은 금속)로 덮여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15] IEP보다 높은 pH 값에서는 주된 표면 종은 M-O이며, IEP보다 낮은 pH 값에서는 M-OH2+ 종이 주를 이룬다.[16][17]

다음은 일반적인 세라믹 재료들의 대략적인 등전점(IEP) 값이다.[16][17]

재료IEP
WO3[23]0.2–0.5
Sb2O5[23]<0.4–1.9
V2O5[23][28]1–2 (3)
δ-MnO21.5
SiO2[23]1.7–3.5
SiC[18]2–3.5
Ta2O5[23]2.7–3.0
TiO2[19]2.8–3.8
γ-Fe2O3[23]3.3–6.7
SnO2[20]4–5.5 (7.3)
ZrO2[23]4–11
ITO[21]6
Cr2O3[23][28]6.2–8.1 (7)
Fe3O4[23]6.5–6.8
CeO2[23]6.7–8.6
Y2O3[23]7.15–8.95
γ-Al2O37–8
β-MnO2[28]7.3
Tl2O[22]8
α-Al2O38–9
α-Fe2O3[23]8.4–8.5
ZnO[23]8.7–10.3
Si3N4[20]9
CuO[20]9.5
La2O310
NiO[20]10–11
PbO[23]10.7–11.6
MgO[23]12–13 (9.8·12.7)



위 표의 값은 25°C 물에서의 등전점을 나타낸다. 실제 등전점은 순도, 상(phase)과 같은 재료 요인과 온도와 같은 물리적 변수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등전점 측정은 어려울 수 있어, 자료마다 다른 값이 제시되기도 한다.

혼합 산화물은 각 순수 산화물의 등전점 값 사이의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합성된 비정질 알루미노규산염(Al2O3-SiO2)의 IEP는 초기에 4.5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표면의 전기역학적 거동을 지배하는 표면 Si-OH 종 때문으로 설명된다.[24] 다른 연구에서는 3Al2O3-2SiO2에 대해 6~8 사이의 더 높은 IEP 값이 보고되기도 했다.[20] 티탄산 바륨(BaTiO3)의 IEP는 5–6 범위로 보고되었지만,[20] 다른 연구에서는 3의 값을 얻었다.[25] 이산화 티타늄(TiO2)과 지르코니아(ZrO2) 혼합물은 %(ZrO2)에 따라 5.3–6.9 사이에서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등전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26] 혼합 산화물의 표면 전하는 산도와 관련이 있는데, 티타니아 함량이 높을수록 루이스 산도가 증가하고, 지르코니아 함량이 높은 산화물은 브뢴스테드 산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산도 유형의 차이는 이온 흡착 속도와 용량 차이를 유발했다.

4. 영전하점과의 비교

등전점(IEP)과 영전하점(PZC)은 흔히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구분하는 것이 유용하다.

H+/OH-가 계면 전위 결정 이온인 시스템에서 영전하점은 pH로 표시된다. 표면의 순 전기 전하가 중성인 pH는 표면의 영전하점이다. 전기 운동 현상에서는 보통 제타 전위를 측정하는데, 제타 전위가 0이면 전단면에서 순 전하가 0인 지점으로 해석된다. 이를 등전점이라고 한다.[27] 따라서 등전점은 콜로이드 입자가 전기장 안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pH 값이다. 등전점은 입자 표면의 영전하점과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위 순수한 표면, 즉 특정 흡착된 양전하 또는 음전하가 없는 표면의 경우에는 그 차이가 무시되기도 한다.[15] 여기서 특정 흡착은 스턴 층 또는 화학 흡착에서 일어나는 흡착을 뜻한다. 그러므로 표면에 특정 흡착이 없다면 표면의 영전하점은 등전점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졸리베(Jolivet)에 따르면,[28] 양전하 또는 음전하가 없을 때는 표면을 영전하점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양전하와 음전하가 모두 같은 양으로 존재한다면, 이것이 바로 등전점이다. 즉, PZC는 표면에 전하가 없는 상태를, IEP는 순 표면 전하가 중성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 둘의 차이는 순 전하가 0인 지점에서 하전된 부위의 양이다. 졸리베는 고유 표면 평형 상수 p''K''-와 p''K''+를 사용하여 두 조건을 하전된 부위의 상대적 수로 정의한다.

: \mathrm{p}K^- - \mathrm{p}K^+ = \Delta \mathrm{p}K = \log {\frac{\left[\mathrm{MOH}\right]^2}{\left[\mathrm{MOH}{_2^+}\right]\left[\mathrm{MO}^-\right]}}

졸리베에 따르면, Δp''K'' 값이 큰 경우(>4)에는 주된 종이 MOH이며 하전된 종은 상대적으로 적어 PZC가 관련된다. 반면 Δp''K'' 값이 작다면, 대략 같은 수의 많은 하전된 종이 존재하므로 IEP를 고려해야 한다.

참조

[1] 문서
[2] 간행물 isoelectric point in electrophoresis
[3] 논문 Protein Separation Techniques http://www.meatscien[...] 1983
[4] 문서
[5] 논문 On the Number of Water Molecules Necessary To Stabilize the Glycine Zwitterion https://pubs.acs.org[...] 1995-08
[6] 논문 The focusing positions of polypeptides in immobilized pH gradients can be predicted from their amino acid sequences 1993-10-01
[7] 논문 A versatile peptide pI calculator for phosphorylated and N-terminal acetylated peptides experimentally tested using peptide isoelectric focusing 2008-12-01
[8] 논문 ExPASy: the proteomics server for in-depth protein knowledge and analysis 2003-07-01
[9] 논문 Calculation of the isoelectric point of tryptic peptides in the pH 3.5–4.5 range based on adjacent amino acid effects 2008-07-01
[10] 논문 Isoelectric point optimization using peptide descriptors and support vector machines 2012-04-03
[11] 논문 IPC - Isoelectric Point Calculator.
[12] 논문 SWISS-2DPAGE, ten years later.
[13] 논문 PIP-DB: the Protein Isoelectric Point database.
[14] 논문 Proteome-pI: proteome isoelectric point database.
[15] 논문 The effects of carboxylic acids on the aqueous dispersion and electrophoretic deposition of ZrO2
[16] 논문 Nanoparticulate Gold Catalysts for Low-Temperature CO Oxidation
[17] 간행물 Preparation of Catalysts by Metallic Complex Adsorption on Mineral Oxides http://www.iupac.org[...] Pure and Applied Chemistry 1978
[18] 특허 U.S. Patent 5,165,996
[19] 논문 Anodic Aqueous Electrophoretic Deposition of Titanium Dioxide Using Carboxylic Acids as Dispersing Agents https://arxiv.org/ft[...] 2011
[20] 논문 Colloidal Processing of Ceramics
[21] 논문 Electrochemistry of cytochrome c: influence of coulombic attraction with indium tin oxide electrode
[22] 논문 Point of zero charge/isoelectric point of exotic oxides: Tl2O3
[23] 서적 Chemical Properties of Material Surfaces Marcel Dekker
[24] 논문 Studies of the surface charge of amorphous aluminosilicates using surface complexation models
[25] 논문 Controlled structure copolymers for the dispersion of high-performance ceramics in aqueous media
[26] 논문 Template Synthesis and Adsorption Properties of Hierarchically Porous Zirconium Titanium Oxides
[27] 서적 Physical Chemistry of Surfaces John Wiley and Sons
[28] 서적 Metal Oxide Chemistry and Synthesis. From Solution to Solid State John Wiley & Sons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