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도, 카르타고의 여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도, 카르타고의 여왕》은 고대 카르타고의 여왕 디도와 트로이의 영웅 아이네이아스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이 작품은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스》를 바탕으로 크리스토퍼 말로가 쓴 희곡으로, 신들의 갈등과 인간의 운명을 다룬다. 아이네이아스는 신의 명령에 따라 이탈리아로 떠나야 했고, 디도는 아이네이아스를 잊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작품은 반(反) 제국주의적 시각과 여성 캐릭터를 부각하는 특징을 보인다. 1594년 출판되었으며, 말로와 토머스 내시의 공동 저작 여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18세기에는 오페라로 각색되었고, 2009년에는 한국어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리스토퍼 말로의 희곡 - 몰타의 유대인
    《몰타의 유대인》은 크리스토퍼 말로의 희곡으로, 유대인 상인 바라바스가 몰타 총독의 재산 몰수에 복수하며 배신과 파멸을 겪는 비극을 다루며, 종교적 회의주의와 반유대주의적 시각을 담고 있다.
  • 크리스토퍼 말로의 희곡 - 탬벌레인 대왕
    크리스토퍼 말로의 2부작 연극 '탬벌레인 대왕'은 페르시아 정복자 탬벌레인의 삶을 통해 권력욕과 인간의 야망을 그린 작품으로, 1부에서는 권력 장악과 세력 확장, 2부에서는 정복 전쟁과 죽음을 다루며 르네상스 시대 인간 중심주의와 권력 갈망을 표현하고 식민주의 및 제국주의 관점에서 재해석되기도 한다.
  • 유럽 신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 - 빌헬름 텔 (오페라)
    조아키노 로시니가 작곡한 오페라 빌헬름 텔은 14세기 스위스를 배경으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압제에 저항하는 빌헬름 텔의 전설을 그린 작품이며, 긴 상연 시간과 높은 음역대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랜드 오페라의 대표작이자 서곡이 독립적으로 자주 연주되는 작품이다.
  • 유럽 신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 - 인투 더 우즈
    《인투 더 우즈》는 스티븐 손드하임 작곡, 제임스 라파인 대본의 뮤지컬로, 그림 형제와 샤를 페로의 동화를 바탕으로 신데렐라, 잭, 빨간 모자, 라푼젤 등 동화 속 주인공들이 숲에서 겪는 모험과 결과를 통해 성장, 가족 관계, 책임감, 욕망의 양면성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는 작품이다.
디도, 카르타고의 여왕
기본 정보
디도, 카르타고 여왕 초판본 제목 페이지
《디도, 카르타고의 여왕》 초판본 제목 페이지
원제Dido, Queen of Carthage
장르비극
소재아이네이스에 나오는 디도와 아이네이아스의 이야기
창작 정보
작가크리스토퍼 말로, 토머스 내시
원어영어
공연 정보
초연1593년경
장소런던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디도
아이네이아스
이야르바스
아카테스
배경
시간적 배경신화 시대
공간적 배경카르타고

2. 등장인물


  • 디도 - 고대 카르타고의 여왕
  • 아이네이아스 - 트로이의 왕족 영웅이자, 안키세스와 비너스 여신의 아들
  • 아스카니우스 - 아이네이아스의 아들
  • 이아르바스 - 디도를 사랑하는 가이툴리아의 왕
  • 아카테스 - 아이네이아스의 친구
  • 일리오네우스 - 그리스 노예
  • 클로안투스
  • 세르게스투스 - 5개 군대의 사령관
  • 안나 - 디도의 여동생
  • 유피테르
  • 가니메데
  • 큐피드
  • 메르쿠리우스
  • 비너스
  • 유노
  • 영주
  • 유모 - 디도의 과부 노인 유모
  • 그 외 트로이 인과 카르타고 인
  • 하인 및 시종

3. 줄거리

유노의 질투로 목성이 가니메데를 학대한다는 가니메데의 말에 목성은 그를 어루만진다. 비너스가 나타나 목성이 트로이 패배 후 생존자들과 함께 떠난 아들 아이네이아스를 소홀히 한다고 불평한다. 아이네이아스는 이탈리아로 가던 중 폭풍에 휩쓸려 길을 잃는다. 목성은 비너스에게 걱정하지 말라며 폭풍을 잠재운다. 비너스는 리비아에서 인간으로 변장해 아이네이아스를 만나고, 카르타고 여왕 디도에게 이미 환대받은 일리오네우스, 세르게스투스, 클로안테스 등 다른 트로이 생존자들을 만나도록 돕는다. 디도는 아이네아스를 만나 배를 공급해주겠다고 약속하고, 트로이 함락에 대한 진실한 이야기를 요청한다. 아이네이아스는 프리아모스의 죽음, 아내의 죽음, 아들 아스카니우스와 함께 탈출하는 모습을 자세히 묘사한다.

디도의 구혼자 이아르바스는 결혼을 강요하지만, 비너스는 큐피드를 아스카니우스로 변장시켜 디도에게 화살을 쏘게 한다. 디도는 아이네이아스와 사랑에 빠져 이아르바스를 거부한다. 이아르바스를 사랑하는 디도의 여동생 안나는 디도가 아이네이아스를 따르도록 격려한다. 디도와 아이네이아스는 동굴에서 사랑을 고백하고, 이아르바스는 복수를 맹세한다. 비너스와 유노는 아이네아스를 두고 다툰다.

아이네이아스의 추종자들은 이탈리아에서 운명을 다하기 위해 리비아를 떠나야 한다고 말한다. 아이네아스는 동의하는 듯 떠날 준비를 하지만, 디도는 안나를 보내 아이네이아스를 데려오게 한다. 아이네아스는 떠날 의도가 없다고 부인하지만, 디도는 예방책으로 배에서 돛과 밧줄을 제거하고 아스카니우스를 간호사에게 맡긴다. 그러나 "아스카니우스"는 변장한 큐피드였다. 디도는 아이네이아스가 카르타고 왕이 될 것이며 반대하는 자는 처형될 것이라고 말한다. 아이네아스는 이에 동의하고 트로이에 필적하는 새 도시를 건설하고 그리스인들에게 반격할 계획을 세운다.

머큐리가 진짜 아스카니우스(큐피드)와 나타나 아이네이아스에게 이탈리아가 운명이며 목성의 명령에 따라 떠나야 한다고 알린다. 아이네이아스는 마지못해 따르고, 이아르바스는 아이네이아스에게 부족한 장비를 공급하며 기회를 노린다. 아이네아스는 디도에게 떠나야 한다고 말하고, 디도는 목성의 명령을 무시해달라고 간청하지만 거부당한다. 디도는 절망 속에 아이네이아스를 떠올리게 하는 모든 것을 태울 장작더미를 준비하고 아이네이아스 자손을 저주한 뒤 불길에 몸을 던진다. 이아르바스는 경악하며 자신도 죽고, 안나 역시 이아르바스의 죽음에 자살한다.

3. 1. 1막: 신들의 갈등과 아이네이아스의 도착

유피테르가 가니메데를 총애하자, 그의 아내 유노는 질투심에 사로잡힌다.[1] 비너스는 아들 아이네이아스가 폭풍으로 인해 항해에 어려움을 겪는 것에 대해 유피테르에게 불평한다.[1] 유피테르는 비너스를 안심시키고 폭풍을 잠재운다.[1] 비너스는 인간으로 변장하여 아이네이아스를 만나고, 그를 카르타고의 여왕 디도에게 인도한다.[1] 디도는 아이네이아스와 트로이 생존자들을 환대한다.[1]

3. 2. 2막: 디도의 사랑과 갈등

디도는 아이네이아스에게 트로이 함락에 대한 이야기를 요청했고, 그의 이야기에 매료된다.[2] 이아르바스는 디도에게 청혼하지만, 비너스의 계략으로 디도는 아이네이아스에게 빠져든다.[2] 큐피드는 아스카니우스로 변장하여 디도에게 사랑의 화살을 쏜다.[2] 디도와 아이네이아스는 동굴에서 사랑을 나누고, 이아르바스는 복수를 다짐한다.[2]

3. 3. 3막: 이별과 비극

아이네이아스는 신들의 뜻에 따라 이탈리아로 가야 하는 운명 때문에 갈등한다. 디도는 아이네이아스가 떠나는 것을 막으려 하지만, 아이네아스는 결국 떠난다. 머큐리가 나타나 아이네이아스에게 그의 운명은 이탈리아에 있으며 목성의 명령에 따라 떠나야 한다고 알린다. 아이네이아스는 마지못해 신의 명령을 따른다. 이아르바스는 그의 정적(政敵)을 제거할 기회를 보고 아이네이아스에게 부족한 장비를 공급하는 데 동의한다. 아이네아스는 디도에게 떠나야 한다고 말한다. 디도는 목성의 명령을 무시해 달라고 간청하지만, 그는 그렇게 하는 것을 거부한다.

디도는 절망 속에서 아이네이아스를 떠올리게 하는 모든 것을 태울 장작더미를 준비하고, 아이네이아스의 자손을 저주한 후, 불길 속으로 몸을 던진다. 이아르바스는 경악하며 자신도 불길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안나는 이아르바스가 죽은 것을 보고 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4. 작품 분석

크리스토퍼 말로의 첫 극작품으로 알려졌으나, 불분명한 원작자와 창작 시기 등의 이유로 말로의 정전(正典)에서는 크게 인정받지 못하고 학창 시절 습작 정도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이 작품이 말로의 작품 세계와 시대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인종, 젠더, 제국주의 등 현대적 관심사를 논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말로 초기의 전복성과 진보성을 느낄 수 있는 책이다.

이 작품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제4권 ‘여왕의 열정’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한다. 말로는 베르길리우스의 소재와 언어를 일정 정도 사용하지만, 베르길리우스와는 다른 장르, 인물, 장면, 플롯, 세계상을 창조한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제국을 찬양하기 위해 ≪아이네이스≫를 로마 제국의 대서사시로 구상했다. 베르길리우스가 ≪아이네이스≫를 썼던 기원전 1세기 후반 로마는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우스가 옥타비아누스에게 패하여 공화정이 무너지고, 옥타비아누스가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로 황제에 오른 정치적 과도기였다. 베르길리우스는 제정 로마의 권위를 세우기 위해 트로이와 그 문명을 로마 제국의 선조로 내세워 정치적 혼란을 잠재우려 했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여러 왕조들도 왕권 정당성을 위해 이러한 제국 양위 기획을 도입했고, 엘리자베스조 역시 트로이 혈통 브루투스가 영국의 시조이며 런던이 신 트로이라는 제국 신화를 몬머스의 제프리와 웨이스 저작을 통해 계승했다. 16세기 후반 엘리자베스 1세 통치하 영국은 스페인과 경쟁하며 제국주의 건설에 적극적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정황 속에서 이 책의 반(反) 베르길리우스주의, 반제국주의적 사고는 파격적이다.

4. 1. 원작과의 비교: 베르길리우스의 재해석

크리스토퍼 말로와 토머스 내시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4권 '여왕의 열정'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이 작품을 썼다. 말로는 베르길리우스의 소재와 언어를 차용하면서도 장르, 인물, 장면, 플롯, 세계관을 독창적으로 변형하여 새로운 작품을 창조했다. 베르길리우스가 로마 제국의 건국 신화를 찬양하는 서사시를 쓴 반면, 말로는 제국주의적 기획을 비판하고 신과 영웅을 희화화하는 비극을 썼다. 특히 이 작품은 반(反) 베르길리우스적, 반(反) 제국주의적 사고를 보여주며 오비디우스의 영향을 드러낸다.

4. 2. 주제 의식: 사랑, 운명, 제국주의 비판

이 작품은 디도와 아이네이아스의 비극적인 사랑을 통해 개인의 욕망과 정치적, 운명적 책무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 디도의 강렬한 사랑과 주체적인 선택은 당시 가부장적 사회 질서에 대한 도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작품은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영국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비판하며, 권력과 폭력의 문제를 제기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이러한 제국주의 비판적 시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작품의 현대적 의의를 강조한다.

말로의 희곡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제4권에 나오는 ‘여왕의 열정’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하지만, 베르길리우스로마 제국을 찬양하는 것과는 달리 반(反) 베르길리우스주의, 반제국주의적 사고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파격적이다. 신과 영웅은 희화화되고, 제국주의적 기획은 의문시된다.

4. 3. 여성 캐릭터의 부각

디도는 이 작품에서 가장 중심적인 인물로, 강한 의지와 열정을 가진 여성 군주로 묘사된다.[1] 디도는 아이네이아스와의 사랑과 비극적인 죽음을 통해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 정치적 운명과 개인적 욕망 사이의 갈등을 겪는 모습을 보여준다.[1]

디도의 여동생 안나 역시 이아르바스를 향한 사랑과 언니 디도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는 중요한 인물이다.[1]

5. 창작 및 출판

이 희곡은 1594년, 크리스토퍼 말로가 데프퍼드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한 지 1년 후에 책 상인 토머스 우드콕을 위해 오윈 미망인에 의해 폴 교회 마당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표제지에는 이 희곡의 작가가 말로와 토머스 내시로 표기되어 있으며, 채플의 아이들 극단이 공연했다고 명시되어 있다. 소년 배우 극단은 1584년에 정기적인 연극 공연을 중단했지만, 1580년대 후반과 1590년대 초에 적어도 산발적인 공연에 참여한 것으로 보여 학자들은 ''디도''의 초연 시기를 1587년에서 1593년 사이로 추정한다.[3]

5. 1. 창작 시기 및 저자 논란

이 희곡은 1594년, 크리스토퍼 말로가 데프퍼드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한 지 1년 후에 출판되었다.[3] 표지에는 말로와 토머스 내시가 공동 저자로 명시되어 있으며, 채플의 아이들 극단이 공연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3] 초연 시기는 1587년에서 1593년 사이로 추정된다.[3]

19세기 학자 프레데릭 가드 플리는 텍스트 분석을 통해 공동 저자 여부와 각자의 기여도를 추정하려 했다. 그는 내시가 1막 1장(122행 이후), 3막 1, 2, 4장, 4막 1, 2, 5장을 썼고, 나머지는 말로가 썼다고 주장했다.[4] 그러나 이후 비평가들은 이 평가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특히 크누토프스키, R.B. 매케로, 터커 브룩의 연구에서는 내시의 기여를 거의 찾지 못했다.[5] 프레데릭 S. 보아스는 내시의 출판물에서 몇 가지 유사한 세부 사항과 말로가 사용하지 않은 단어 및 의미를 발견했지만, "이러한 구절과 문구가 나타나는 장면은 전체적으로 말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라고 인정했다.[5]

일부 비평가들은 내시의 참여를 무시했지만, 공동 저자의 존재는 이 작품이 말로의 일반적인 극작법에서 벗어나는 점, 즉 강한 여성 주인공과 이성애적 열정을 중심으로 극이 전개되는 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6] 그러나 최근 대런 프리버리-존스와 마커스 달,[7] 루스 루니와 휴 크레이그의 연구에서는 내시의 참여 증거를 찾지 못했다.[8]

6. 각색 및 영향

스티븐 스토레이스는 18세기 영국의 작곡가로, 오페라 ''디도, 카르타고의 여왕''(1794)을 작곡했다. 그의 누이 안나 (낸시) 스토레이스는 이 오페라가 자신의 최고의 작품이라고 주장했으며, 그녀를 위해 타이틀 역할을 썼다. 이 작품은 주로 말로우의 희곡을 음악으로 구성했으며, 스토레이스의 작품 중 유일하게 대사 없이 전체가 노래로 불린 작품이기도 했다. 하지만 스토레이스의 흥행주 리처드 브린슬리 셰리던이 이 작품의 제작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고 싶어했기 때문에 이 작품은 출판되지 않았다. 복제품이 다른 곳에서 나타나는 것을 막기 위해 단 한 부만 드루리 레인 극장에 보관되었으며, 이 오페라는 1809년 드루리 레인 극장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1993년 5월 30일, 말로우 사망 400주년을 기념하여 BBC 라디오 3에서 이 희곡을 각색한 라디오 드라마가 ''파리의 학살''과 함께 방송되었다.[9] 앨런 드러리와 마이클 얼리가 연출하고, 샐리 덱스터가 디도 역, 티모시 워커가 아이네이아스 역, 제러미 블레이크가 이아르바스 역, 벤 토마스가 아카테스 역, 테레사 갤러거가 안나/유노 역, 앤드루 윈코트가 큐피드 역을 맡았다.[9]

7. 한국어 번역 및 연구

2009년 임이연 번역으로 한국어판이 출간되었다. 이 작품은 인종, 젠더, 제국주의 등 다양한 현대적 관심사를 논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을 제공하며, 말로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이 작품의 반제국주의적 성격을 주목하며,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역사적 경험을 성찰하는 데 유의미한 텍스트로 평가받고 있다.

참조

[1] 논문 Versions of Imitation in the Renaissance https://resolver.cal[...] 1980-03-01
[2] 논문 Marlowe's Travesty of Virgil: Dido and Elizabethan Dreams of Empire 2000-01-01
[3] 문서 Logan and Smith, pp. 24–6
[4] 문서 Chambers, Vol. 3, p. 426
[5] 서적 Christopher Marlowe: A biographical and critical study Clarendon Press 1940-01-01
[6] 문서 Sara Munson Deats, in Cheney, p. 194
[7] 논문 Searching for Thomas Nashe in Dido, Queen of Carthage https://academic.oup[...] 2020-06-01
[8] 논문 Who Wrote Dido, Queen of Carthage? https://journals.shu[...] 2020-09-16
[9] 웹사이트 Broadcast – BBC Programme Index https://genome.ch.bb[...] 1993-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