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누스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사랑, 미, 풍요를 관장하는 여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아프로디테와 동일시된다. 어원은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사랑, 매력'을 뜻하는 라틴어 venus에서 파생된 단어들이 있다. 베누스는 기원 신화가 불분명했으나, 아프로디테와 동일시되면서 하늘의 우라노스의 생식기에서 태어났다는 신화가 생겼다.
베누스는 다양한 칭호와 숭배 양상을 가지며, 로마의 여러 축제에서 숭배되었다. 베누스에게 바쳐진 신전은 삼니움 전쟁 중 세워졌으며, 로마 공화국 말기에는 개인적으로 숭배되기도 했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예술에서 누드 여성을 묘사하는 모든 작품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현대 문화에서도 여성의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존재로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머니의 신 - 베스
베스는 고대 이집트의 가정 수호신으로 출산과 아이들을 보호하고 악령을 물리치는 역할을 했으며, 고양이 모습에서 난쟁이 모습으로 의인화되어 음악, 춤과도 관련되었고 해외로도 전파되었다. - 행성의 여신 - 아나히타
아나히타는 고대 이란의 물의 여신으로, '축축한', '강력한', '순수한'의 의미를 가지며, 원시 인도-이란 종교 기원을 거쳐 다산, 전쟁, 금성의 여신으로 숭배되었고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세상의 모든 물의 근원으로 묘사되었다. - 행성의 여신 - 이슈타르
이슈타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숭배받던 강력한 여신으로, 수메르 문명에서는 이난나로 불렸으며 사랑, 풍요, 전쟁, 정의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고 금성과 동일시되었으며, 여덟 개의 뾰족한 별, 로제트 매듭, 사자 등으로 상징된다. - 사랑의 여신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 사랑의 여신 - 이슈타르
이슈타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숭배받던 강력한 여신으로, 수메르 문명에서는 이난나로 불렸으며 사랑, 풍요, 전쟁, 정의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고 금성과 동일시되었으며, 여덟 개의 뾰족한 별, 로제트 매듭, 사자 등으로 상징된다.
베누스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웨누스 비너스 |
소속 | 디 콘센테스 |
숭배 대상 | 사랑, 아름다움, 욕망, 성, 풍요, 번영, 매춘, 승리의 여신 |
상징 | 장미 도금양 |
배우자 | 마르스 불카누스 |
부모 | 카엘루스 |
요일 | 금요일 (dies Veneris) |
행성 | 금성 |
자녀 | 쿠피도 (후대) 아이네아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안키세스와의 사이에서 낳음) |
그리스 신화 대응 | 아프로디테 |
축제 | 베네랄리아 비날리아 루스티카 비날리아 우르바나 |
2. 어원
Venusla라는 이름은 라틴어 명사 'venusla'('사랑, 매력')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 ''*wenh₁-os'' ('욕망')와 관련이 있다.[2] 'venusla'에서 파생된 단어로는 'venustusla'('매력적인'), 'venerārela'('숭배하다, 존경하다') 등이 있다. 이는 라틴어 'veniala'('호의, 허락')와도 관련이 있으며, 공통 어근 ''*wenh₁-'' ('추구하다, 바라다, 욕망하다, 사랑하다')를 통해 연결된다.[3]
베누스는 "로마 판테온의 가장 독창적인 창조물"로 묘사되며,[5] "정의가 불분명하고 동화적인" 토착 여신으로, "이상하고 이국적인 아프로디테"와 결합되었다.[5][6] 그녀의 숭배는 필멸자들에 의한 신성한 매력과 유혹을 종교적으로 정당화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7] 그녀의 설득력 있는 기능의 양면성은 뿌리 '*wenos-*'와 라틴어 파생어 ''venenum''(‘독’)의 관계에서 "매력, 마법의 필터"라는 의미로 인식되었다.
3. 기원 및 특징
베누스는 그리스 신화의 아프로디테와 연관되기 전까지는 기원 신화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베누스-아프로디테는 이미 성인 형태의 모습으로, 하늘-우라노스의 잘린 생식기에서 생성된 바다 거품(그리스어 αφρός, ''aphros'')에서 나타났다.[8] 로마 신학은 베누스를 삶의 생성과 균형에 필수적인 순종적이고 물 같은 여성적 원리로 제시한다. 로마 판테온에서 그녀의 남성 상대는 불카누스와 마르스이며, 이는 활동적이고 불타는 듯한 존재이다. 베누스는 남성의 본질을 흡수하고 조절하며, 상호적인 애정 속에서 남성과 여성의 반대되는 것을 통합한다. 그녀는 본질적으로 동화적이고 자비로우며, 그렇지 않으면 상당히 이질적인 여러 기능을 포괄한다. 그녀는 군사적 승리, 성적 성공, 행운과 번영을 줄 수 있다. 어떤 맥락에서는 매춘부의 여신이고, 또 다른 맥락에서는 남녀의 마음을 성적 악에서 덕으로 돌린다. 바로의 신학은 베누스를 여성적 원리의 측면으로 물과 동일시한다. 생명을 생성하기 위해 자궁의 물과 같은 매트릭스는 불의 활기찬 따뜻함을 필요로 한다.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과 불의 균형이 필요하며, 어느 한쪽의 과도함이나 상호 대립은 비생산적이거나 파괴적이다.[36]
미래의 신부들은 베누스에게 "결혼 전에" 선물을 바쳤다.[9] 결혼식 자체와 합법적인 결혼의 상태는 유노에 속했다. 베누스와 유노는 의식의 "책갈피"일 가능성이 높다. 베누스는 신부를 "결혼의 행복"과 합법적인 결혼 내에서의 출산 기대에 대비시킨다. 일부 로마 자료는 성인이 된 소녀들이 장난감을 베누스에게 바친다고 말하며, 다른 사람들은 이 선물이 라레스에게 바쳐진다고 말한다.[9] 로마인들에게 인기 있는 오락거리인 너클본을 이용한 주사위 게임에서, 가장 운이 좋고 최고의 굴림은 "베누스"로 알려졌다.[10]
다른 주요 로마 신들과 마찬가지로, 베누스는 그녀의 다양한 숭배 양상, 역할, 그리고 다른 신들과의 기능적 유사성을 나타내는 많은 칭호(epithet)를 부여받았다.[70]
4. 숭배 및 신전
다른 주요 로마 신들과 마찬가지로, 베누스는 여신의 다양한 숭배 양상, 역할, 그리고 다른 신들과의 기능적 유사성을 나타내는 많은 칭호(epithet)를 부여받았다.[70] 베누스의 칭호는 로마인들의 민간 어원학에 대한 애정과, '이름은 운명을 부른다(nomen-omen)'는 종교적 관념에서 비롯되었다.[70][11]
- '''베누스 아키달리아(Venus Acidalia)'''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등장한다. 세르비우스는 이 칭호가 그라티에가 목욕했다는 "아키달리아의 샘(Fons Acidalia)"에서 유래했다고 추측했지만,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사랑의 화살"과 사랑의 쓰라린 "고통과 괴로움"과도 연결시켰다.[12]
- '''베누스 아나디오메네(Venus Anadyomene)'''는 그리스 예술가 아펠레스가 그린 바다 거품에서 아프로디테가 태어나는 모습을 그린 그림에서 유래했다. 산드로 보티첼리는 그의 비너스의 탄생에서 이 유형을 사용했다.[13]
- '''베누스 바르바타(Venus Barbata)'''는 세르비우스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대한 주석에서 언급했다.[14] 마크로비우스의 사투르날리아는 키프로스에 있는 베누스 조각상을 묘사하는데, 남성적인 옷차림과 모습으로, 수염을 기르고 남성 생식기를 가지고 있다. 그녀의 숭배자들은 성전환을 했다.[15]
- '''베누스 카엘레스티스(Venus Caelestis)'''는 서기 2세기부터 융합된 최고 여신의 한 측면으로 베누스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베누스 카엘레스티스''는 타우로볼리움을 받은 가장 초기의 로마인으로 알려져 있다. 여신의 이러한 형태는 "시리아 여신"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아스타르테 또는 로마의 마그나 마테르와 같은 후기의 등가물로 이해된다.[18]
- '''베누스 칼바(Venus Calva)'''는 베누스의 전설적인 형태로, 로마의 포위 기간 동안 로마의 귀부인들이 활시위를 만들기 위해 자신의 머리카락을 기증한 미덕을 기념하는 것이다. 다른 설에는 안쿠스 마르키우스 왕의 아내와 다른 로마 여성들이 전염병으로 머리카락을 잃었고, 그것을 되찾기를 바라며 감염되지 않은 여성들이 자신의 머리카락을 베누스에게 바쳤다고 한다.[5][19]
- '''베누스 클로아키나(Venus Cloacina)'''는 베누스와 에트루리아의 물의 여신 클로아키나의 융합으로, 클로아키나(클로아카 막시마)의 배출구 위에 고대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신전에서 거행된 의식은 도랑의 오염된 물과 유해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70][21]
- '''베누스 에리치나(Venus Erycina)'''는 에릭스의 베누스로, 푸니 신상인 아스타르테가 에보카티오되어 시칠리아로 옮겨졌다. 카피톨리노 언덕에 있는 신전에서 숭배했다. 포르타 콜리나와 로마의 성스러운 경계 밖에 있는 신전은 그녀의 숭배의 에리치나적 특징을 보존했을 수 있다. 그것은 "평범한 소녀들"과 매춘부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여겨졌다.[23][24][25]
- '''베누스 유플로이아(Venus Euploia)'''는 '''베누스 폰티아(Venus Pontia)'''로도 알려져 있는데, 그녀는 항해하는 사람들을 위해 파도를 잔잔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녀는 프락시텔레스가 만든 아프로디테의 영향력 있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다.[26][13]
- '''베누스 펠릭스(Venus Felix)'''는 베누스와 포르투나의 측면을 결합한 전통적인 칭호로, 그녀의 도상학은 배의 키를 포함하며, 폼페이의 제왕적인 ''베누스 피시카''의 예에서 발견된다.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비아 사크라에 ''베누스 펠릭스 에트 로마 에테르나'' 신전을 지었다. 동일한 칭호는 바티칸 미술관에 있는 특정 조각상에도 사용된다.
- '''베누스 게네트릭스(Venus Genetrix)'''는 어머니와 가정의 여신으로서 9월 26일에 축제를 열었고, 율리우스 가문의 개인 조상, 그리고 더 넓게는 로마 국민의 신성한 조상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46년에 베누스 게네트릭스 신전을 봉헌했다.[30]
- '''베누스 헬리오폴리타나(Venus Heliopolitana)'''는 바알베크에 있는 로마-시리아 형태의 베누스로, 아스타르트, 데아 시리아, 아타르가티스와 다양하게 동일시된다.[31]
- '''베누스 리베르티나(Venus Libertina)'''는 ''리베르티나''( "자유로운 여성")와 ''루벤티나''(아마도 "유쾌한" 또는 "열정적인" 의미) 사이의 의미론적 유사성과 문화적 연관성을 통해 발생했을 것이다. 베누스 리비티나는 베누스를 장례식 및 장의사의 수호 여신인 리비티나와 연결시키는데, 리비티나는 또한 죽음과 동의어가 되었다. 신전은 에스퀼린 언덕에 있는 리비티나 숲에 베누스 리비티나에게 헌정되었다.[70][33]
- '''베누스 무르시아(Venus Murcia)'''는 베누스를 잘 알려지지 않은 신인 무르시아와 융합한다. 무르시아는 로마의 몬스 무르시아(아벤티노 언덕의 작은 높이)와 관련이 있으며, 키르쿠스 막시무스에 신전이 있었다. 일부 자료는 그녀를 도금양 나무와 연관시킨다.[34]
- '''베누스 옵세퀀스(Venus Obsequens)'''는 베누스의 첫 번째 증명된 로마 칭호이다. 그것은 295 BC의 제3차 삼니움 전쟁 동안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구르게스에 의해 8월 19일에 아벤티노 언덕과 키르쿠스 막시무스 근처에 그녀의 첫 번째 로마 신전 헌정에 사용되었다. 그것은 비날리아 루스티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것은 간음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여성들에게 부과된 벌금으로 자금을 조달했다고 한다.[36]
- '''베누스 피시카(Venus Physica)''', 물질 세계에 정보를 제공하는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창조력으로서의 베누스. 그녀는 루크레티우스가 그의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의 도입부에서 "알마 베누스"( "어머니 베누스")로 지칭된다.[37]
- '''베누스 피시카 폼페이아나(Venus Physica Pompeiana)'''는 폼페이의 수호 여신이었다. 베누스는 또한 '''베누스 페스카트리체(Venus Pescatrice)'''와 같은 독특하고 지역적인 형태로 바다의 여신이자 무역의 여신이었다.[38][39]
- '''베누스 우라니아(Venus Urania)'''는 바실리우스 폰 람도르, 폼페오 마르체시의 부조, 크리스티안 그리펜케르의 그림의 제목으로 사용되었다.
- '''베누스 베르티코르디아(Venus Verticordia)'''는 베네랄리아에서 기념되었다.
- '''베누스 빅트릭스(Venus Victrix)'''는 그리스인들이 동방에서 물려받은 무장한 아프로디테의 로마화된 측면으로, 그곳에서 여신 이슈타르는 "전쟁의 여신으로 남아 있었고, 베누스는 술라나 카이사르에게 승리를 가져다줄 수 있었다."[43] 폼페이우스는 기원전 55년, 캠퍼스 마르티우스에 있는 그의 극장 꼭대기에 그녀를 위한 신전을 봉헌했다. 그녀는 카피톨리노 언덕에 신전을 가지고 있었고, 8월 12일과 10월 9일에 축제를 열었다.
베누스에게 바쳐진 최초의 알려진 신전은 서약에 의해 ''베누스 옵세켄스''(Venus Obsequens)에게 Q. 파비우스 구르게스에 의해 삼니움 전쟁의 열기 속에서 세워졌다. 기원전 295년에 아벤티노 언덕 근처에 봉헌되었으며, 로마 여성들이 저지른 성적 비행에 대한 벌금으로 자금이 조달되었다고 한다.[70]
기원전 217년, 제2차 포에니 전쟁 초기에 로마는 트라시메노 호 전투에서 참혹한 패배를 겪었다. 시빌린 신탁은 카르타고의 시칠리아 동맹의 수호 여신인 에릭스의 베누스(Venus Erycina|베누스 에리키나la)가 충성을 바꾸도록 설득할 수 있다면 카르타고를 물리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로마는 에릭스를 포위하고 그 여신에게 배신에 대한 보상으로 웅장한 신전을 약속했다. 그들은 그녀의 조각상을 획득하여 로마로 가져와 카피톨리노 언덕에 있는 신전에 설치하여 로마의 열두 dii consentes 중 하나로 만들었다. 이 "외국 베누스"는 로마의 ''베누스 게네트릭스''(“어머니 베누스”)가 되었다.[25][44][45]
로마의 신성한 경계 바로 바깥, 콜리나 문 근처의 전통적인 평민 지역에 불임의 여신으로서 ''베누스 에리키나''에 대한 별도의 숭배가 기원전 181년에 설립되었다.
로마 공화국 말기에 일부 주요 로마인들은 베누스의 호의를 개인적으로 주장했다. 장군이자 로마 독재관 술라는 ''베누스 펠릭스''에 대한 그의 빚을 인정하면서 성으로 ''펠릭스''("행운")를 채택했다.[50] 그의 제자 폼페이우스는 베누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경쟁했고, 55 BC년에 그의 폼페이우스 극장의 일부로 ''베누스 빅트릭스''에게 거대한 신전을 봉헌했다.[46]
폼페이우스의 옛 친구이자 동맹자였고 나중에는 반대자가 된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베누스 빅트릭스''의 호의를 주장했고, ''베누스 게네트릭스''를 개인적인 신성한 조상으로 주장했다. 카이사르가 암살당했을 때 그의 상속자인 아우구스투스는 두 가지 주장을 모두 채택했다.[51]
비트루비우스는 베누스를 위한 새로운 신전은 에트루리아 문명 점술가가 정한 규칙에 따라 도시의 "문 근처"에 위치하여 "여자와 젊은이들이 정욕의 영향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적다"고 권장한다.[52]
135 AD에 황제 하드리아누스는 로마의 벨리안 언덕에 베누스와 ''로마 에테르나''(영원한 로마)에게 신전을 헌납하여 로마와 그 속주 간의 제국의 통일성을 강조하고 베누스를 전체 로마 국가, 그 백성 및 재산의 보호 ''게네트릭스''로 만들었다. 그것은 고대 로마에서 가장 큰 신전이었다.[54][25]
5. 축제
베누스는 로마 달력의 여러 축제에서 공식적으로 숭배되었다. 베누스의 신성한 달은 4월(라틴어로 ''Mensis Aprilis'')이었는데, 로마 어원학자들은 이 단어가 나무와 꽃이 피는 봄을 의미하는 ''aperire''(''열다'')에서 유래했다고 생각했다.[55]
'''베네랄리아'''(4월 1일)는 비너스 베르티코르디아(마음을 변화시키는 비너스)와 포르투나 비릴리스(강한 행운)를 기리기 위해 열렸다. 비너스 베르티코르디아는 포에니 전쟁 중 시빌린 신탁의 조언에 따라 기원전 220년에 만들어졌다.[36] 당시 로마인들 사이에서 발생한 성적 위반에 대한 신의 불쾌함을 나타내는 여러 기이한 현상들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비너스 베르티코르디아의 조상은 로마에서 가장 성적으로 순결하다고 여겨지는 젊은 여성에 의해 헌정되었다. 처음에는 포르투나 비릴리스 사원에 보관되었으나, 기원전 114년에 비너스 베르티코르디아는 그녀만의 사원을 받았다.[56] 그녀는 모든 성별과 계층의 로마인들이 전통적인 성적 예절과 도덕성을 따르도록 설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의식 동안, 여성 시종들은 비너스 상을 남자 목욕탕으로 옮겨 씻기고 도금양으로 장식했다. 여성과 남성은 마음, 성, 약혼, 결혼 문제에 대해 비너스 베르티코르디아의 도움을 요청했다. 오비디우스는 비너스가 이 별칭과 책임을 받아들인 것이 여신 자신의 마음의 변화를 나타낸다고 보았다.[57]
'''비날리아 우르바나'''(4월 23일)는 비너스와 유피테르가 함께하는 와인 축제였다. 비너스는 인간이 사용하는 "세속적인" 와인의 후원자였고, 유피테르는 가장 강하고 순수한 희생용 와인의 후원자였으며 포도 수확에 영향을 주는 날씨를 통제했다. 이 축제에서 남녀 모두 비너스를 기리기 위해 작년 비날리아 루스티카에서 압착된 와인을 마셨다. 상류층 여성들은 비너스의 카피톨린 사원에 모여 작년 빈티지 와인을 유피테르에게 바치는 제물을 근처 도랑에 부었다.[58] 일반 소녀들과 매춘부들은 콜린 문 바깥의 비너스 사원에 모여 장미 묶음에 숨겨진 도금양, 민트, 갈대를 바치고 "아름다움과 대중의 호의", "매력적이고 재치있게" 만들어지기를 요청했다.[36]
'''비날리아 루스티카'''(8월 19일)는 원래 와인, 채소 성장, 비옥함을 위한 라틴 축제였다. 이 축제는 비너스의 가장 오래된 축제였으며, 그녀의 초기 형태인 ''비너스 옵세크웬스''와 연관되었다. 부엌 정원, 채소 정원, 포도원 등이 그녀에게 헌정되었다.[70] 로마인들은 이 축제가 누구의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달랐는데, 바로는 날씨를 통제하여 포도 숙성을 관리하는 유피테르에게 신성하다고 주장했지만, 희생물인 암양(''아그나'')은 한때 비너스에게만 속했음을 보여준다.[59]
'''비너스 제네트릭스''' 축제 (9월 26일)는 카이사르 포럼에 있는 그녀의 신전에서 기원전 46년부터 국가의 후원 아래 열렸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자신의 신성한 후원자이자 율리아 가문의 조상 여신으로서 비너스에게 개인적인 호의를 주장하며 신전을 헌정했다. 카이사르는 최고 제사장이자 로마의 선임 치안 판사였기에, 이 축제는 개인적, 가족적 숭배가 로마 국가의 것으로 승격되었음을 보여준다. 카이사르의 상속자인 아우구스투스는 황실 여신으로서 비너스와의 이러한 개인적, 가족적 연관성을 활용했다.[60] 축제의 의식은 알려져 있지 않다.
6. 신화 및 문학
로마 신화에서 베누스는 대부분 그리스 신화의 아프로디테에게서 빌려온 것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예외가 있다. 일부 라틴 신화에서 큐피드는 베누스와 마르스의 아들이었다. 다른 신화에서는 베누스가 불카누스의 배우자이거나, 메르쿠리우스가 낳은 "두 번째 큐피드"의 어머니로 묘사되기도 한다.[70] 베르길리우스는 아우구스투스와 율리우스 씨족에게 아첨하며,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자신의 보호자로 삼았던 베누스와 트로이 왕자 아이네아스 사이의 관계를 부각했다. 아이네아스는 트로이 멸망 후 도망친 난민이자 로마인의 조상이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아스가 새벽별(베누스)의 인도로 라티움에 도착했으며, 훗날 베누스가 카이사르의 영혼을 하늘로 들어 올린다고 묘사했다.[61] 오비디우스는 ''축제일''에서 베누스가 "자신의 후손의 도시에서 숭배받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에 로마에 왔다고 기록했다.[70] 베르길리우스는 악티움 해전에서 옥타비아누스가 베누스, 넵투누스, 미네르바와 동맹을 맺어 승리했고, 안토니우스, 클레오파트라 및 이집트인들은 "짖는" 아누비스 등 기괴한 이집트 신들의 도움을 받아 패배했다고 묘사했다.[62]
원래 베누스는 정원을 관장하는 신이었으나, 후에 아프로디테와 동일시되어 사랑과 미의 여신으로 여겨졌다. 주로 반나체 혹은 전라의 미녀로 묘사되며, 로마 신화에서 베누스에게 귀속되는 신화는 대부분 아프로디테의 것이다.
베누스는 불카누스의 아내이지만, 마르스, 메르쿠리우스, 아도니스, 안키세스 등과의 로맨스가 전해진다. 특히 안키세스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네아스는 로마 건국의 시조이자 율리우스 씨족의 시조로 여겨졌다. 카이사르는 베누스를 조상신으로 삼아 신전을 헌납하고, 군신으로도 숭배했다.
그리스에서 아프로디테가 금성을 관장한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라틴어에서도 금성을 베누스라고 부른다. 유럽 여러 언어에서 금성을 베누스에 해당하는 이름으로 부르는 것은 이 때문이다. 라틴어로 금요일은 dies Veneris(베누스의 날)이며, 많은 로망스어군에서 이 요일의 명칭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베누스(비너스)는 여성의 아름다움을 비유하거나, '사랑의 신'의 대명사로 사용된다. 근세 이후에는 여성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마르스가 "전쟁", "무용", "남성", "화성"을 상징한다면, 베누스는 "사랑", "여성", "금성"을 상징한다. 성별 기호에서 여성은 "'''♀'''"로 표기되는데, 이는 베누스를 의미하는 기호이다.
7. 예술
베누스는 고대 로마와 그리스 예술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특히 프락시텔레스의 크니도스의 아프로디테를 바탕으로 한 누드 조각상이 많이 만들어졌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밀로의 비너스, 카피톨리누스 비너스, 메디치 비너스, 에스퀼린 비너스 등이 있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에도 베누스는 그림과 조각의 인기 있는 주제였다. 산드로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조르조네의 잠자는 비너스,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 등 많은 걸작이 있다.
로마 및 헬레니즘 미술은 여신을 주제로 다양한 변형을 제작했으며, 이는 종종 프락시텔레스의 크니도스의 아프로디테 유형을 기반으로 했다.[74] 이 시기 조각상의 많은 여성 누드는 그 주제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현대 미술사에서는 "비너스"라고 관례적으로 부르는데, 이는 원래 여신 숭배의 숭배상이 아닌 인간 여성을 묘사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작품[74]
- 밀로의 비너스 (기원전 130년)
- 푸디카 비너스
:* 카피톨리누스 비너스
:* 메디치 비너스
- 에스퀼린 비너스
- 펠릭스 비너스
- 아를의 비너스
- 아나디오메네 비너스 (여기에서도 확인 가능)
- 비너스, 판, 에로스
- 게네트릭스 비너스
- 카푸아의 비너스
- 칼리피고스 비너스




르네상스 및 근대 이후 주요 작품[74]
- 비너스의 탄생 (산드로 보티첼리)
- 잠자는 비너스 (조르조네)
- 우르비노의 비너스 (티치아노, 1538년)
- 거울을 든 비너스 (티치아노)
- 로키비 비너스 (1647–1651년)
- 올랭피아 (1863년)
- 비너스의 탄생 (알렉상드르 카바넬, 1863년)
- 비너스의 탄생 (윌리암 부게로, 1879년)
- 알제리 Gsell 박물관의 체르첼의 비너스
- 안토니오 카노바의 승리의 비너스와 비너스 이탈리카

8. 현대 문화
베누스는 여성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비유이거나, '사랑의 신'의 대명사로도 사용된다. 근세 이후에는 여성의 이름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마르스가 "전쟁", "무용", "남성", "화성"을 상징하는 데 반해, 베누스는 "사랑", "여성", "금성"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성별 기호에서 여성은 "'''♀'''"로 표기되는데, 원래는 베누스를 의미하는 기호이다.[75]
조반니 보카치오가 쓴 "여걸전"에 베누스가 등장한다.
그리스에서는 아프로디테가 금성을 관장한다고 여겨졌고, 그 영향으로 라틴어에서도 금성을 베누스라고 부른다. 유럽 여러 언어에서 금성을 베누스에 해당하는 이름으로 부르는 것은 이 때문이다. 또한, 라틴어로 금요일은 dies Veneris (베누스의 날)이며, 많은 로망스어군에서의 이 요일의 명칭은 그것에서 유래한다.
참조
[1]
서적
Religions of Rome: Volume 2, a Sourcebook, illustrat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Walter de Gruyter
[3]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Taylor & Francis
[4]
시각자료
Vénus – figurine
http://collections.m[...]
Museum of Fine Arts of Lyon
2021-02-19
[5]
서적
La religion romaine de Venus depuis les origines jusqu'au temps d' Auguste
Editions E. de Boccard
[6]
학술지
La relation Venus venia
[7]
서적
ibid
[8]
서적
Theogony
[9]
서적
The Roman Wedding: Ritual and Meaning in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John Murray
[11]
서적
Forgotten Paths: Etymology and the allegorical mindset
https://books.google[...]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2]
학술지
The significance of Vergil's Acidalia Mater, and Venus Erycina in Catullus and Ovid
[13]
학술지
From Ishtar to Aphrodite
[14]
서적
ad Aeneiadem
[15]
서적
Saturnalia
[16]
서적
Mapping Gender in Ancient Religious Discourses
Brill
[17]
서적
Experiencing Rome: Culture, Identity, and Power in the Roman Empire
Routledge
[18]
서적
[19]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Description
http://commons.wikim[...]
[21]
서적
[22]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www.perseus.[...]
John Murray
[23]
서적
Ab Urbe Condita
[24]
서적
Prostitution, Sexuality, and the Law in Ancient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Religions of Rome: A history, illustrat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essay
https://www.christie[...]
[27]
서적
Frutinal templum Veneris Fruti
[28]
서적
V 3, 5
[29]
학술지
Naissance de la ligue latine. Mythe et culte de fondation
[30]
학술지
Venus Genetrix outside Rome
[31]
학술지
Jupiter, Venus and Mercury of Heliopolis (Baalbek). The images of the 'triad' and its alleged syncretisms
[32]
서적
The Aphrodite of Knidos and Her Successors: A Historical Review of the Female Nude in Greek Ar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3]
서적
Lingua Latina
[34]
서적
|
[35]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36]
서적
From Good Goddess to Vestal Virgins: Sex and category in Roman religion
Routledge
[37]
논문
Lucretius' Venus and Stoic Zeus
[38]
학술지
Myths of Pompeii: reality and legacy
https://ojs.utlib.ee[...]
2011
[39]
학술지
Exploring the sanctuary of Venus and its sacred grove: politics, cult and identity in Roman Pompeii
2010
[40]
서적
The world of Pompeii
Routledge
2007
[41]
서적
The fires of Vesuvius : Pompeii lost and found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42]
서적
Cities of Vesuvius : Pompeii and Herculaneum
Phoenix Press
2005
[43]
서적
Homo Necans
[44]
서적
Ab Urbe Condita
[45]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Blackwell publishing
[46]
서적
The Roman Triumph
The Belknap Press
[47]
서적
Roman Gods: A conceptual approach
Brill
[48]
학술지
Foreign cults in republican Rome: Rethinking the pomerial ru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9]
서적
Typology and Structure of Roman Historical Relief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0]
서적
Life of Sulla
[51]
서적
[52]
서적
De architectura
[53]
서적
De architectura
[54]
서적
Encyclopedia Romana
[55]
사전
April
http://etymonline.co[...]
[56]
학술지
The cognomina of the goddess 'Fortuna'
[57]
서적
Fasti
[58]
학술지
Jupiter, Liber et le vin latin
1988
[59]
서적
Lingua Latina
[60]
논문
The Forum of Julius Caesar and the Temple of Venus Genetrix
[61]
학술지
The Sidus Iulium, the divinity of men, and the Golden Age in Virgil's Aeneid
https://web.archive.[...]
2014-03-23
[62]
서적
Aeneid
[63]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64]
학술지
The significance of Vergil's Acidalia Mater, and Venus Erycina in Catullus and Ovid
[65]
학술지
Amor and Cupid
1975
[66]
학술지
The significance of Vergil's Acidalia Mater, and Venus Erycina in Catullus and Ovid
[67]
서적
Divine Qualities: Cult and Community in Republican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68]
논문
Personal Wealth in Roman Spain
[69]
서적
[70]
학술지
Venus and the Cabbage
[71]
서적
Inconsistencies in Greek and Roman Religion
https://books.google[...]
Brill
[72]
서적
Inconsistencies in Greek and Roman Religion
Brill
1992-04-00
[73]
서적
The Mirror of the Gods, How Renaissance Artists Rediscovered the Pagan Gods
Oxford UP
[74]
서적
Bona Dea : The sources and a description of the cult
E.J. Brill
1997-00-00
[75]
서적
Famous Women
Harvard University Press
[76]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岩波書店
[77]
서적
Aeneid
[78]
백과사전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www.ancientli[...]
[79]
서적
Homo Nec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