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아카이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지털 아카이브는 개인 또는 공동의 노력으로 구축되며,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지식 유통 방식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하이퍼텍스트 연결을 통해 확장되며, 유동적인 특성을 갖는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물리적 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데이터 단위로 축적되며, 클라우드 컴퓨팅과 데이터센터를 통해 운영된다. 이러한 디지털 아카이브는 평가, 식별, 완전성, 특성 평가, 지속 가능성, 진정성, 접근성, 보존 메타데이터 등의 기본 원리를 따른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보존에는 리프레싱, 마이그레이션, 복제, 에뮬레이션, 캡슐화, 메타데이터 첨부 등의 전략이 사용되며, TRAC, DRAMBORA, nestor, ISO 16363 등의 평가 및 인증 프레임워크가 존재한다. 이메일, 비디오 게임, 과학 연구 데이터 등 다양한 디지털 자료의 보존을 위한 모범 사례와 이니셔티브가 추진되고 있으며, 디지털 보존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지털 보존 - 디지털화
디지털화는 아날로그 신호나 자료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접근성 향상 및 보존성 강화, 디지털 환경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 디지털 보존 - 비디오 게임 보존
비디오 게임 보존은 노후화된 게임 시스템, 디지털 유통 변화, 저작권 문제로 손실될 위기에 놓인 비디오 게임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관련 자료들을 보존하고 접근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주, 에뮬레이션, 어밴던웨어 복원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고 역사 연구 및 개발 아이디어 획득에 기여하며, 다양한 기관 및 단체에서 진행된다. - 기록 관리 - 정보 아키텍처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시스템 및 정보 기술 분야에서 공유 정보 환경의 구조적 설계를 의미하며, 웹사이트, 소프트웨어 등의 구성과 레이블링을 포함하여 검색 용이성과 사용성을 지원하고, 도서관정보학에 기원을 두고 있다. - 기록 관리 - 파일 호스팅 서비스
파일 호스팅 서비스는 사용자가 파일을 온라인 서버에 저장하고 접근하도록 지원하며, 이동식 미디어 대체, 백업, 파일 전송, 공유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 데이터 관리 - 데이터 센터
데이터센터는 컴퓨터 시스템 및 관련 장비와 지원 인프라를 수용하는 시설로, 기술 발전에 따라 규모와 중요성이 확대되었으며, 에너지 효율과 보안을 고려하여 설계 및 운영되고, TIA-942 표준에 따른 티어 분류와 친환경 기술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 데이터 관리 - 정보 아키텍처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시스템 및 정보 기술 분야에서 공유 정보 환경의 구조적 설계를 의미하며, 웹사이트, 소프트웨어 등의 구성과 레이블링을 포함하여 검색 용이성과 사용성을 지원하고, 도서관정보학에 기원을 두고 있다.
디지털 아카이브 | |
---|---|
정의 | |
설명 | 디지털 보존은 필요한 기간 동안 디지털 정보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관리 활동을 의미한다. |
유형 | |
디지털 아카이브 (digital archive) | 디지털 자산을 장기간 보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 또는 조직이다. |
디지털 저장소 (digital repository) | 특정 기간 동안 디지털 자산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또는 서비스이다. 디지털 저장소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
기관 저장소 (institutional repository) | 기관의 지적 생산물을 수집, 보존 및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디지털 저장소이다. |
목표 | |
주요 목표 | 기술 변화에 관계없이 디지털 자산의 무결성과 접근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
접근성 | 시간이 지남에 따라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한다. |
인증 | 디지털 자산의 진위성과 무결성을 보장한다. |
지속성 | 장기간에 걸쳐 디지털 자산을 보존한다. |
과제 | |
기술적 노후화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빠른 변화로 인해 디지털 자산에 접근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
파일 형식 | 특정 파일 형식이 더 이상 지원되지 않아 디지털 자산에 접근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
저장 매체 | 저장 매체의 물리적 손상으로 인해 디지털 자산이 손실될 수 있다. |
지적 재산권 | 디지털 자산의 사용 및 배포에 대한 제한이 있을 수 있다. |
자금 조달 | 디지털 보존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자금 조달이 어려울 수 있다. |
전략 | |
마이그레이션 (migration) | 디지털 자산을 새로운 파일 형식이나 저장 매체로 변환한다. |
에뮬레이션 (emulation) | 오래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에뮬레이션하여 디지털 자산에 접근한다. |
보존 (preservation) | 디지털 자산을 원래 형식으로 유지한다. |
레플리케이션 (replication) | 디지털 자산의 여러 복사본을 만들어 데이터 손실을 방지한다. |
표준 및 모범 사례 | |
OAIS (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 |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참조 모델이다. |
PREMIS (Preservation Metadata: Implementation Strategies) |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존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데이터 사전이다. |
TRAC (Trustworthy Repositories Audit & Certification) | 디지털 저장소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감사 및 인증 체크리스트이다. |
참고 문헌 | |
관련 자료 | Digital Preservation Coalition - Definitions and Concepts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 Definitions of Digital Preservation |
2. 사적 아카이브와 공적 아카이브
디지털 아카이브는 개인의 노력으로 구성되는 사적 아카이브와 공동의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공적 아카이브로 구성된다. 디지털 아카이브가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되면 새로운 모양으로 전환된다. 링크로 연결된 디지털 아카이브는 고립된 아카이브와 달리 상호 연결을 통해 양적 축적을 질적 변환으로 이끈다. 아카이브가 살아있는 생명력을 가지려면 종류가 다른 새로운 창조물들과 접속해야 하고 새로운 링크를 만들어야 하며, 하나의 부분이 기꺼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야 한다.
물리적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데이터 단위로 축적된다는 특징으로 인해, 디지털 아카이브는 장소의 소멸과 공간의 통일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전지구화된 디지털 아카이브를 가능하게 만드는 동시에 장소의 물리적 저항을 무마시킨다. 또한, 디지털 아카이브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물리적 장소의 의미에서 벗어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최종 종착지인 데이터센터라는 물리적 장소에 도달함으로써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299]
디지털 아카이브에 축적되는 데이터는 플랫폼을 거쳐간다고 할 수 있다. 플랫폼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이용자들의 집합적 활동과 협업의 결과물을 클라우드 소싱이라고 하는 틀로 자동 축적한다. 이는 개체의 활동 시간을 나누어 물질적인 시간을 기계의 시간으로 바꾸어 저장한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정보는 그 시간성이 과거와 현재, 미래의 흐름에 모두 적용된다.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정보와 실시간으로 조회되어 재현되는 축적된 정보는 항상 현시적이다. 또한 아카이브에 저장된 정보는 물질 아카이브와 다르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멸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즉, 언제 어느 때라도 조회한다면 다시 살아날 예비 동면 상태로 남아 창조와 동시에 축적되는 것이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개인의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사적 아카이브와 공동의 노력으로 구성되는 공적 아카이브로 나뉜다. 이러한 디지털 아카이브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새로운 형태로 변화한다. 링크로 연결된 디지털 아카이브는 고립된 아카이브와는 달리 상호 연결을 통해 양적인 축적이 질적인 변환으로 이어진다. 아카이브가 살아있는 생명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종류가 다른 새로운 창조물들과 연결되어 새로운 링크를 생성해야 하며, 하나의 부분이 다른 부분과 기꺼이 연결되어야 한다.[299]
디지털 아카이브는 개인 또는 공동의 노력으로 만들어지며,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단순한 양적 축적을 넘어 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낸다. 살아있는 아카이브는 서로 다른 창조물들과 접속하고 연결되어야 한다.
3. 특징
4. 디지털 아카이브의 축적
디지털 아카이브는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된 내용물 또한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여 저장한다. 현실을 구성하는 사물들은 미디어를 통해 변환되고, 이후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다시 한번 매개된다. 이러한 재매개 과정을 통해 디지털화된 내용물은 축적되고, 사용자들의 활동 결과와 함께 누적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확장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호 연결과 복제를 거듭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스스로를 확장한다. 미러링, 퍼가기, 따붙이기 등의 행위들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이는 디지털 아카이브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설명한다.[300]
5. 디지털 아카이브의 연결성과 의미
인터넷은 지식 유통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지식 전달의 즉각성, 개방성, 전 지구화를 통한 공간 단축, 디지털 복제를 통한 정보 공유는 지식 유통 체계를 바꾸었다. 지식을 저장하고 보관하던 전통적인 아카이브가 디지털 아카이브로 전환되면서 지식 유통 속도는 더욱 빨라졌고, 지식을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299]
디지털 아카이브는 하이퍼텍스트를 통해 연결과 얽힘을 만들어낸다. 네트워크 속 아카이브는 하이퍼텍스트 연결을 통해 시작과 끝이 없는 과정으로 얽히면서 수많은 아카이브의 집합체로 확대된다. 타인에 의해 다시 배열되고 활용될 수 있다는 엄청난 가능성은 디지털 아카이브를 완성되지 않은, 계속 진행 중인 과정으로 만든다. 따라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유동적이며, 닫혀 있지 않고 열려 있다. 다른 아카이브에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열린 가능성을 지닌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다른 사람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변형되고 확장되는 실마리를 제공하며, 타인에 의해 완성되는 관계의 연속이자 지속이다.[299]
이러한 특성 때문에 디지털 아카이브에서는 지식과 정보의 완결성이 약화된다. 네트워크에서는 무수한 타인의 개입과 변형으로 인해 정보와 지식 자체의 완결성이 과거에 비해 덜 중요해진다. 개인의 창의력과 집중력에 의존하는 체계적인 저작물은 쇠퇴하고, 공동 작업이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부분적인 중간 결과물들이 많아진다. 과거에는 초고가 개인적인 차원에서 미완성된 원고를 의미했지만, 이제 온라인 버전은 다른 사람들의 비판과 개입을 기다리는 열려 있는 지적 과정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299]
물리적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데이터 단위로 축적된다는 특징으로 인해, 디지털 아카이브는 장소의 소멸과 공간의 통일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전 지구화된 디지털 아카이브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장소의 물리적 저항을 무력화시킨다. 또한, 디지털 아카이브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물리적 장소의 의미에서 벗어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최종 종착지인 데이터 센터라는 물리적 장소에 도달함으로써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299]
디지털 아카이브에 축적되는 데이터는 플랫폼을 거쳐 간다고 할 수 있다. 플랫폼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이용자들의 집합적 활동과 협업의 결과물을 클라우드 소싱이라는 형태로 자동 축적한다. 이는 개체의 활동 시간을 나누어 물질적인 시간을 기계의 시간으로 바꾸어 저장한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정보는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시간 흐름에 적용된다.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정보와 실시간으로 조회되어 재현되는 축적된 정보는 항상 현재성을 띤다. 또한 아카이브에 저장된 정보는 물질 아카이브와 달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멸하지 않는다. 즉, 언제 어느 때라도 조회하면 다시 살아날 수 있는 예비 동면 상태로 남아 창조와 동시에 축적되는 것이다.[300]
디지털 아카이브는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된 내용물 또한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여 저장한다. 현실을 구성하는 사물들은 미디어를 통해 변환되고, 이후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다시 한번 매개된다. 이러한 재매개 과정을 통해 디지털화된 내용물은 축적되고, 사용자들의 활동 결과와 함께 누적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확장된다. 또한 이러한 상호 연결과 복제를 거듭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스스로를 확장한다. 미러링, 퍼가기, 따붙이기 등의 행위들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디지털 아카이브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설명한다.[300]
디지털 아카이브에 누적되는 정보들은 다양한 관계 속에서 서로 연결되고 링크되기 때문에, 물리적인 장소에 상관없이 전 지구적 공간에 존재한다. 서로에 대한 상호 연관, 호명 체제로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정보들은 이러한 연결과 집합체만으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낸다. 한곳에 모이거나 서로 연결하는 행위에서 더 나아가 의도적인 협업과 집단행동이 이루어지면서 생각과 행동을 집합적으로 할 수 있게 된 것이다.[301]
디지털 아카이브는 현실적인 물질을 보관하는 아카이브와 달리 사물의 디지털화된 재현을 바탕으로 한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문서, 소리,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원본을 재현한다. 디지털 아카이브에서는 사물이 디지털로 전환되어 보관된다. 이러한 디지털 정보들은 수많은 사람의 용도에 따라 사용된다. 그렇기에 디지털 아카이브는 기존 아카이브와는 다르게 보관보다는 사용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공간적인 접근의 한계를 뛰어넘는 것, 시간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 등의 특성들이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결국 디지털 정보의 장점인 검색과 활용의 용이, 원본 변형의 용이와 복사의 특성을 그대로 가져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아카이브는 다양한 참여자들의 참여에 의해 이루어지는, 열린 체계를 갖고 있기에 그 공공성을 강하게 가져간다고 할 수 있다.[301]
6. 기본 원리
인터넷은 지식 유통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지식 전달의 즉각성, 개방성, 전 지구화, 디지털 복제를 통한 정보 공유는 지식 유통 체계를 바꾸었다. 전통적인 아카이브가 디지털 아카이브로 전환되면서 지식 유통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실시간 이용이 가능해졌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하이퍼텍스트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 아카이브는 하이퍼텍스트 연결을 통해 시작과 끝이 없는 과정으로 얽히며, 수많은 아카이브의 집합체로 확대된다. 다른 사람에 의해 다시 배열되고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은 디지털 아카이브를 미완성의 과정에 놓이게 한다. 즉, 디지털 아카이브는 유동적이며 열려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지식과 정보의 완결성은 약화된다. 네트워크에서는 수많은 타인의 개입과 변형으로 정보와 지식 자체의 완결성이 과거보다 덜 중요해진다. 개인의 창의력에 의존하는 체계적인 저작물은 쇠퇴하고, 공동 작업이나 현실에 기동성 있게 대응하는 부분적인 중간 결과물들이 많아진다. 온라인 버전은 다른 사람들의 비판과 개입을 기다리는 열린 지적 과정으로서의 성격을 띤다.[300]
디지털 아카이브는 물리적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데이터 단위로 축적되므로, 장소 소멸과 공간 통일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전 지구화된 디지털 아카이브를 가능하게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최종 종착지인 데이터 센터라는 물리적 장소에 도달하는 이중적인 모습도 보인다.[299]
디지털 아카이브에 축적되는 데이터는 플랫폼을 거친다. 플랫폼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이용자들의 집합적 활동과 협업 결과물을 크라우드소싱으로 자동 축적한다. 이는 개체의 활동 시간을 나누어 물질적인 시간을 기계의 시간으로 저장한다.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정보와 조회되어 재현되는 축적된 정보는 항상 현재성을 가진다. 아카이브에 저장된 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멸하지 않고, 언제든 다시 살아날 수 있는 예비 동면 상태로 남아 창조와 동시에 축적된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된 내용물 또한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여 저장한다. 현실의 사물들은 미디어를 통해 변환되고,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다시 한번 매개된다. 이러한 재매개 과정을 통해 디지털화된 내용물은 축적되고, 사용자들의 활동 결과와 함께 누적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확장된다. 또한 상호 연결과 복제(미러링, 퍼가기, 따붙이기 등)를 통해 스스로를 확장한다.[300]
디지털 아카이브에 누적되는 정보들은 다양한 관계 속에서 서로 연결되어 물리적인 장소에 상관없이 전지구적 공간에 존재한다. 상호 연관, 호명의 체제로 연결된 디지털 정보들은 연결과 집합체만으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한다. 한곳에 모이거나 서로 연결하는 행위에서 더 나아가 의도적인 협업과 집단 행동이 이루어지면서 생각과 행동을 집합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301]
디지털 아카이브는 현실의 물질을 보관하는 아카이브와 달리 사물의 디지털화된 재현을 바탕으로 한다. 문서, 소리,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원본을 재현하며, 디지털 정보는 수많은 사람의 용도에 따라 사용된다. 따라서 보관보다는 사용에 목적을 두며, 공간적 접근의 한계를 넘고 시간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이 이를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정보의 장점인 검색과 활용의 용이성, 원본 변형의 용이성과 복사의 특성을 그대로 가지며, 다양한 참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열린 체계를 갖기에 공공성을 강하게 띤다.[301]
디지털 자료의 특성화는 파일의 종류와 기술적 특징을 식별하고 설명하는 것이다.[20] 이는 기술 메타데이터를 통해 캡처되는 경우가 많으며, 생성 또는 제작 환경과 같은 기술 속성을 기록한다.[21]
6. 1. 평가 선별
기록물 평가(또는 선택[6])는 기록물 및 기타 자료의 영구적인 가치를 결정하여 보존할 대상을 식별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결정을 내릴 때 일반적으로 여러 요인이 고려된다.[7] 남은 선택된 기록물이 해당 기록물 집합 또는 퐁에 대한 연구자의 이해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는 어렵고 중요한 과정이다. 평가는 InterPARES 2 프로젝트에서 생성된 보존 체인(Chain of Preservation, COP) 모델 내에서 A4.2로 식별된다.[8][9] 기록물 평가는 공정 시장 가치를 결정하는 금전적 평가와는 다르다.
기록물 평가는 한 번 또는 인수 및 처리의 다양한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록물을 인수하기 전에도 어떤 기록물을 인수할지 결정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기록물 기능 분석인 매크로 평가[10]가 수행될 수 있다. 기록물 처리 중에는 더 자세하고 반복적인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평가는 디지털뿐만 아니라 모든 기록물 자료에 대해 수행된다. 디지털 환경에서는 아날로그 기록물 평가 후 전통적으로 보존해 온 것보다 더 많은 기록물을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는 주로 스토리지 비용 감소와 연구자가 정보 밀도가 낮은 기록물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교한 검색 도구의 가용성이 결합된 데 기인한다.[11][12] 아날로그 환경에서는 이러한 기록물을 폐기하거나 대표적인 샘플만 보관했을 수 있다. 그러나 자료의 선택, 평가 및 우선순위 지정은 조직이 이러한 자료 전체를 책임감 있게 관리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하여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도서관은 종종, 그리고 덜하지만, 기록 보관소는 동일한 자료를 여러 가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식으로 제공받는다. 이들은 콘텐츠의 장기 보존에 가장 큰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형식을 선택하는 것을 선호한다. 미국 의회 도서관은 장기 보존을 위해 권장되는 형식 세트를 만들었다.[13] 예를 들어, 도서관이 출판사로부터 직접 저작권 예치 자료를 제공받는 경우에 사용될 것이다.
6. 2. 식별
디지털 보존 및 소장품 관리에서 객체의 발견 및 식별은 할당된 식별자와 정확한 설명 메타데이터의 사용으로 지원된다. 식별자는 객체 또는 기록을 참조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레이블로, 일반적으로 숫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문자열로 나타난다. 메타데이터의 중요한 요소로서 데이터베이스 기록이나 목록에 포함되며, 다른 설명 메타데이터와 함께 사용하여 객체와 해당 객체의 다양한 인스턴스를 구별한다.[14]
설명 메타데이터는 제목, 제작자, 주제, 날짜 등 객체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14] 객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요소의 결정은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디지털 객체에 대한 광범위한 설명 메타데이터는 디지털 객체가 접근 불가능해질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15]
또 다른 일반적인 파일 식별 유형은 파일 이름이다. 파일 명명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것은 소장품 내 객체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효율적인 발견 및 검색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아날로그 미디어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특히 적용된다. 8.3 파일 이름 또는 Warez 표준 명명과 같은 파일 명명 규칙을 사용하면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고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설명적(설명 단어와 숫자를 포함) 및 비설명적(종종 임의로 생성된 숫자) 파일 이름 중에서 결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주어진 소장품의 크기와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16] 그러나 파일 이름은 시맨틱 식별에 적합하지 않은데, 이는 시스템의 특정 위치에 대한 영구적이지 않은 레이블이며 디지털 파일의 비트 수준 프로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수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자료의 특성 평가는 대상 파일이 어떤 것인지, 그리고 기술적 특성[161], 즉 기술 메타데이터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식별하고 기술하는 것이다. 기술 메타데이터에는 생성 또는 제작 환경과 같은 기술적 속성이 기록된다.[162]
표시・생성 가능성(렌더링 가능성)은 디지털 객체가 본래 가진 주요 특성을 유지한 채 지속적으로 이용・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6. 3. 완전성
데이터 무결성은 디지털 보존의 초석으로, 데이터가 모든 필수 측면에서 완전하고 변경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결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은 "데이터가 의도한 대로 정확하게 기록되도록 보장하고, 나중에 검색할 때 데이터가 원래 기록되었을 때와 동일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7]
데이터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변경은 피해야 하며, 이를 감지하고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책임감 있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그러나 디지털 보존 노력은 책임감 있게 개발된 절차와 잘 문서화된 정책을 통해 콘텐츠 또는 메타데이터를 수정해야 할 수 있다. 조직이나 개인은 콘텐츠의 원본, 무결성 검사 버전 및/또는 적절한 보존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수정된 버전을 유지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무결성 관행은 수정된 버전에도 적용되며, 수정된 버전의 캡처 상태는 유지되어야 하고 의도하지 않은 수정에 저항해야 한다.
기록의 무결성은 비트 수준 보존, 고정성 검사 및 기록에 대해 수행된 모든 보존 작업의 전체 감사 추적 캡처를 통해 보존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무단 또는 우발적인 변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18]
6. 4. 특성 평가
파일 포맷의 구식화는 새로운 부호화 포맷이 채택됨에 따라 기존 포맷이 이용되지 않거나, 관련 표시 도구를 쉽게 이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170]。
파일 포맷에 대한 노력은 보존 기관에 따라 다양하겠지만, 장기적인 이용을 실현하고자 한다면, 선택되는 파일 포맷이 "오픈되고 표준적이며, 독점적이지 않고, 충분히 확립된 것"이 바람직하다고 이 분야에서는 대체로 생각된다[171]。 지속 가능한 파일 포맷을 선택할 때 우선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정보 공개, 보급 상황, 투명성, 관련 문서의 정비 상황, 외부 의존성, 특허의 영향, 기술적 보호 수단 등이 있다[172]。 지속 가능한 파일 포맷을 선택하는 데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점으로는 "포맷의 수명·성숙도, 전문가 커뮤니티에서의 채택 상황, 관련 표준에서의 언급, 열람 소프트웨어의 장기적인 이용 가능성" 등이 있다[171]。 예를 들어 스미소니언 협회 아카이브에서는 무손실 압축의 TIFF가 "기술적으로 성숙하고,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문서화도 충분히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본 디지털 이미지 및 디지털화된 이미지의 보존 포맷으로 적합하다"고 간주된다[171]。
어떤 소프트웨어 벤더 고유의 독점적인 포맷은 구식화되기 쉽다. 유니코드나 JPEG와 같이 널리 사용되는 표준은 미래에도 읽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6. 5. 지속 가능성
디지털 형식 정보의 지속 가능성은 디지털 정보의 수명과 관련된 여러 문제와 우려를 포함한다. 기존의 일시적인 전략이나 영구적인 해결책과는 달리, 디지털 지속 가능성은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프로세스여야 한다[163]。 상호 운용성, 지속적인 유지 관리 및 개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며, 유연한 인프라 구축과 유연한 접근 방식이 중요하게 여겨진다[164]。 미래의 접근성과 사용 가능성을 촉진하는 활동을 현재 시점에 포함한다[165][166]。
디지털 보존에 필요한 지속적인 관리 작업은 수 세기 동안 지역 사회가 유지해 온 애프턴의 백마(힐 피겨)[167]나 이세 신궁[168]과 같은 성공 사례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디지털 객체의 주요 특성을 적절히 이해하는 것은 디지털 보존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는 접근 방식을 확립하는 데 중요하다. 평가 및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보존 메타데이터 개발이나 다양한 보존 전략의 평가에도 유용하며, 보존 커뮤니티에서 공통 표준을 앞으로 수립해 나가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174]
6. 5. 1. 표시/생성 가능성
렌더러빌리티(Renderability)는 디지털 객체의 고유한 중요한 속성을 유지하면서 해당 객체를 계속 사용하고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28] 디지털 형식의 정보가 지속 가능한지에 대한 논점에는 디지털 정보의 수명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와 우려가 포함된다. 기존의 일시적인 전략이나 보다 영구적인 해결책과 달리, 디지털 지속 가능성은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프로세스여야 함을 의미한다.[163] 이러한 의미에서의 디지털 지속 가능성은 솔루션이나 기술보다는 상호 운용성, 지속적인 유지 관리 및 개발에 관심이 쏠리며, 유연한 인프라 구축과 유연한 접근 방식이 중요하게 여겨진다.[164] 디지털 지속 가능성 개념에서는 미래의 접근성과 사용 가능성을 촉진하는 활동을 현재 시점에 포함시킨다.[165][166] 디지털 보존에 필요한 지속적인 관리 작업은 수 세기 동안 지역 사회가 유지해 온 애프턴의 백마(힐 피겨)[167]나 이세 신궁[168]과 같은 성공 사례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아날로그 형식이든 디지털 형식이든, 아카이브에서는 원래 수령한 것을 신뢰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할 수 있도록 기록을 유지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진정성이란 "기록으로서의 기록의 신뢰성, 즉, 기록의 내용 그대로이며, 위조되지 않고 손상되지 않았다는 기록의 품질"로 정의되어 왔다.[175] 진정성을 정확성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176] 아카이브에서는, 부정확한 기록을 수용하면서 그 진정성을 유지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럴 경우, 그 부정확한 기록의 내용 및 의미에는 변경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정책 수립, 보안 대책, 문서화 등의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아카이브에서 관리되는 기간 동안, 대상이 되는 기록의 의미에 변경이 가해지지 않았음을 보증하고, 또한 그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6. 5. 2. 물리적 매체 노후화
물리적 매체 노후화는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해 더 이상 제조, 유지 관리 또는 지원되지 않는 외부 종속성이 필요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외부 종속성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물리적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T 테이프는 백업 및 데이터 보존에 사용되었지만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299]
6. 5. 3. 포맷 노후화
파일 형식의 노후화는 새로운 인코딩 형식의 채택으로 기존 형식의 사용이 대체되거나, 관련 프리젠테이션 도구를 더 이상 쉽게 사용할 수 없을 때 발생할 수 있다.[29]
장기적인 보존을 위해 선택된 파일 형식은 개방적이고, 표준적이며, 비독점적이고, 잘 확립된 것이어야 한다.[30] 지속 가능한 파일 형식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에는 공개, 채택, 투명성, 자체 문서화, 외부 종속성, 특허의 영향, 기술적 보호 메커니즘 등이 있다.[31] 고려해야 할 사항에는 형식의 수명과 성숙도, 관련 전문 커뮤니티에서의 적응, 통합된 정보 표준, 필요한 모든 뷰어 소프트웨어의 장기적인 접근성 등이 있다.[30] 예를 들어, 스미소니언 협회 기록 보관소는 압축되지 않은 TIFF를 디지털로 생성되거나 디지털화된 정지 이미지에 적합한 보존 형식으로 간주한다.[30]
특정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에 독점적인 형식은 형식의 노후화에 더 영향을 받기 쉽다. 유니코드, JPEG과 같이 널리 사용되는 표준은 미래에도 읽을 수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
6. 5. 4. 주요 속성
물리적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데이터 단위로 축적되는 특징을 가지는 디지털 아카이브는 장소의 소멸과 공간의 통일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전 지구화된 디지털 아카이브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장소의 물리적 저항을 무마시킨다. 또한, 디지털 아카이브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물리적 장소의 의미에서 벗어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최종 종착지인 데이터 센터라는 물리적 장소에 도달함으로써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299]
디지털 아카이브에 축적되는 데이터는 플랫폼을 거쳐간다. 플랫폼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이용자들의 집합적 활동과 협업 결과물을 크라우드소싱이라는 틀로 자동 축적한다. 이는 개체의 활동 시간을 나누어 물질적인 시간을 기계의 시간으로 바꾸어 저장한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정보는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 흐름에 모두 적용된다.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정보와 실시간으로 조회되어 재현되는 축적된 정보는 항상 현시적이다. 또한 아카이브에 저장된 정보는 물질 아카이브와 다르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멸하지 않는다. 즉, 언제 어느 때라도 조회하면 다시 살아날 예비 동면 상태로 남아 창조와 동시에 축적되는 것이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된 내용물 또한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여 저장한다. 현실을 구성하는 사물들은 미디어를 통해 변환되고, 이후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다시 한번 매개된다. 이러한 재매개 과정을 통해 디지털화된 내용물은 축적되고, 사용자들의 활동 결과와 함께 누적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확장된다. 또한 이러한 상호 연결과 복제를 거듭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스스로를 확장한다. 미러링, 퍼가기, 따붙이기 등의 행위를 통해 확장되며, 이는 디지털 아카이브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설명한다.[300]
디지털 객체의 "외관, 동작, 품질 및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필수 속성"은 "디지털 객체가 접근 가능하고 의미를 유지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존되어야 하는" 속성을 의미한다.[32]
"디지털 객체의 중요한 속성에 대한 적절한 이해는 디지털 보존에 대한 최상의 실천 방법을 수립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는 디지털 객체의 어떤 중요한 속성을 보존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는 평가 및 선택을 지원하며, 보존 메타데이터 개발, 다양한 보존 전략의 평가를 돕고, 보존 커뮤니티 전반에 걸쳐 공통 표준을 개발하는 향후 작업에 정보를 제공한다."[33]
디지털 형식 정보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논점에는 디지털 정보 수명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와 우려가 포함된다. 기존의 일시적인 전략이나 보다 영구적인 해결책과 달리, 디지털 지속 가능성은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프로세스여야 함을 의미한다.[163] 이러한 의미에서 디지털 지속 가능성은 솔루션이나 기술보다는 상호 운용성, 지속적인 유지 관리 및 개발에 관심이 쏠리며, 유연한 인프라 구축과 유연한 접근 방식이 중요하게 여겨진다.[164] 디지털 지속 가능성 개념에서는 미래의 접근성과 사용 가능성을 촉진하는 활동을 현재 시점에 포함시킨다.[165][166] 디지털 보존에 필요한 지속적인 관리 작업은 수 세기 동안 지역 사회가 유지해 온 애프턴의 백마(힐 피겨)[167]나 이세 신궁[168]과 같은 성공 사례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6. 6. 진정성
기록 보관소는 아날로그든 디지털이든 원래 수신된 내용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표현으로 기록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진정성은 "기록으로서 기록의 신뢰성, 즉 기록이 의도한 바이며 조작이나 손상으로부터 자유로운 품질"로 정의되어 왔다.[34] 진정성은 정확성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35] 부정확한 기록이라도 기록 보관소에서 획득하여 진정성을 보존할 수 있으며, 그 부정확한 기록의 내용과 의미는 변하지 않고 유지될 것이다.
기록 보관소의 보관 중에 기록의 의미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하고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정책, 보안 절차 및 문서화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6. 7. 접근
디지털 아카이브는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연결과 얽힘을 만들어 놓는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아카이브는 하이퍼텍스트 연결을 통해 시작과 끝이 없는 과정으로 얽히면서 수많은 아카이브의 집합체로 확대된다. 타인에 의해 다시 배열되고 활용될 수 있다는 엄청난 가능성은 디지털 아카이브를 완성되지 않는 과정 중에 위치하도록 만든다. 그래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유동적이며, 닫혀 있지 않고 열려 있다. 다른 아카이브에 연결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열려 있는 가능성이며, 다른 사람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변형되고 확장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그것은 타인에 의해 완성되는 관계의 연속이자 지속이다.[300]
이러한 특성 때문에 지식과 정보의 완결성은 약화된다. 네트워크에서는 무수한 타인의 개입과 변형으로 정보와 지식의 자체 완결성이 과거에 비해 중요하지 않게 된다. 개인의 창의력과 집중에 의존하는 체계적인 저작물은 쇠퇴하고, 공동 작업이나 기동성 있게 현실에 대응하는 부분적 중간 결과물들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과거에는 초고가 개인적인 차원에서 미완성된 원고를 뜻했지만, 이제 온라인 버전이란 다른 사람들의 비판과 개입을 기다리는 열려 있는 지적 과정으로서 성격을 갖는다.[300]
디지털 아카이브에 누적되는 정보들은 다양한 관계 속에서 서로 연결되고 링크되기 때문에, 물리적인 장소에 상관없이 전지구적 공간에 거주하고 있다. 서로에 대한 상호 연관, 호명의 체제로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정보들은 이러한 연결과 집합체만으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낸다. 한곳에 모이거나 서로 연결하는 행위에서 더 나아가 의도적인 협업과 집단 행동이 이루어지면서 생각과 행동을 집합적으로 할 수 있게 된 것이다.[301]
디지털 아카이브는 현실적인 물질을 보관하는 아카이브와 달리 사물의 디지털화된 재현을 바탕으로 한다. 문서, 소리,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원본을 재현하며, 사물이 디지털로 전환되어 보관된다. 이러한 디지털 정보들은 수많은 사람의 용도에 따라 사용된다. 그렇기에 기존 아카이브와는 다르게 보관보다는 사용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공간적인 접근의 한계를 뛰어넘는 것, 시간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 등의 특성들이 이를 가능케 한 것이다. 결국 디지털 정보의 장점인 검색과 활용의 용이, 원본 변형의 용이와 복사의 특성을 그대로 가져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참여자들의 참여에 의해 이루어지는, 열린 체계를 갖고 있기에 그 공공성을 강하게 가져간다고 할 수 있다.[301]
6. 8. 보존 메타데이터
보존 메타데이터는 디지털 보존의 핵심 요소이며, 디지털 객체에 대한 기술 정보, 디지털 객체의 구성 요소 및 컴퓨팅 환경에 대한 정보, 보존 프로세스 및 기본 권리 기반을 문서화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조직이나 개인이 소유권 변경 기록을 이해할 수 있다. (PREMIS)는 대부분의 저장소 및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구현 가능한 핵심 보존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사실상의 표준이다. 여기에는 사용 지침 및 권장 사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공유된 커뮤니티 어휘가 개발되었다.
7. 지적 기반
디지털 아카이브는 개인 또는 공동의 노력으로 만들어지며,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새로운 형태로 발전한다. 링크로 연결된 디지털 아카이브는 상호 연결을 통해 양적인 축적을 넘어 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낸다. 이는 살아있는 생명력을 가진 아카이브가 다른 창조물들과 접속하고 새로운 링크를 만들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야 함을 의미한다.[301]
인터넷은 지식 유통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지식 전달의 즉각성, 개방성, 전 지구화를 통한 공간 단축, 그리고 디지털 복제를 통한 정보 공유는 지식 유통 체계를 바꾸었다. 전통적인 아카이브가 디지털 아카이브로 전환되면서 지식 유통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실시간 이용이 가능해졌다.[301]
디지털 아카이브는 하이퍼텍스트를 통해 연결과 얽힘을 만들어낸다. 네트워크 아카이브는 하이퍼텍스트 연결을 통해 시작과 끝이 없는 과정으로 얽히며 수많은 아카이브의 집합체로 확대된다. 이는 타인에 의해 다시 배열되고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하며, 디지털 아카이브를 유동적이고 열린 상태로 만든다. 즉, 다른 아카이브와 연결될 가능성을 열어두고, 타인의 필요에 따라 변형 및 확장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301]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지식과 정보의 완결성은 약화된다. 네트워크에서는 무수한 타인의 개입과 변형으로 정보와 지식 자체의 완결성보다는 공동 작업이나 부분적 중간 결과물이 중요해진다. 과거에는 초고가 개인적인 미완성 원고를 의미했지만, 온라인 버전은 다른 사람들의 비판과 개입을 기다리는 열린 지적 과정으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301]
디지털 아카이브에 누적되는 정보들은 다양한 관계 속에서 서로 연결되어 전 지구적 공간에 존재한다. 이러한 상호 연결과 집합은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며, 의도적인 협업과 집단행동을 통해 생각과 행동을 집합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301]
디지털 아카이브는 현실의 물질을 보관하는 대신, 문서, 소리,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원본을 디지털화하여 재현한다. 이는 보관보다는 사용에 목적을 두며, 공간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간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검색과 활용, 원본 변형, 복사가 용이하며, 다양한 참여자들의 참여를 통해 열린 체계를 갖추고 공공성을 강화한다.[301]
7. 1. ''Preserving Digital Information'' (1996)
디지털 정보의 장기 보존에 대한 과제는 수년 동안 기록 보존 업계에서 인식되어 왔다.[38] 1994년 12월, 연구 도서관 그룹(RLG)과 보존 및 접근 위원회(CPA)는 디지털 기록의 장기 보존과 지속적인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조사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디지털 정보 아카이빙 태스크 포스(Task Force)를 구성했다. 태스크 포스에서 발표한 최종 보고서(Garrett, J. and Waters, D., ed. (1996). "Preserving digital information: Report of the task force on archiving of digital information."[39])는 주요 개념, 요구 사항 및 과제를 제시하는 데 기여한 디지털 보존 분야의 기본 문서가 되었다.[38][40]태스크 포스는 디지털 정보의 장기 저장 및 접근에 대한 책임을 질 국가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개발을 제안했으며,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장소(trusted digital repositories)의 개념을 도입하고 역할과 책임을 정의했다. 또한 디지털 정보 무결성(content, fixity, reference, provenance, and context)의 다섯 가지 특징을 식별했으며, 이는 이후 개방형 아카이브 정보 시스템 참조 모델(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 Reference Model)의 보존 설명 정보(Preserv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정의에 통합되었다. 또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중요한 기능으로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을 정의했다. 보고서에 요약된 개념과 권고 사항은 이후 연구 및 디지털 보존 이니셔티브의 기반을 마련했다.[41][42]
7. 2. OAIS 참조 모델
오픈 아카이브 정보 시스템(OAIS) 참조 모델은 디지털 보존 관행을 표준화하고 보존 프로그램 구현을 위한 일련의 권장 사항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어 2012년에 출판되었다. OAIS는 디지털 객체의 수명 주기 전체의 기술적인 측면, 즉 섭취, 보관, 데이터 관리, 관리, 접근 및 보존 계획과 관련이 있다.[43] 이 모델은 또한 메타데이터 문제를 다루며, 디지털 객체에 참조(식별) 정보, 출처(보존 이력 포함), 컨텍스트, 수정(진위 지표) 및 표현(서식, 파일 구조 및 "객체의 비트 스트림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의 다섯 가지 유형의 메타데이터를 첨부할 것을 권장한다.[44]7. 3.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장소 모델
연구 도서관 그룹(RLG)과 온라인 컴퓨터 도서관 센터(OCLC)는 2002년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장소: 속성 및 책임"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개방형 아카이브 정보 시스템(OAIS)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장소(TDR)를 "현재와 미래에 지정된 커뮤니티에 관리되는 디지털 리소스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장기적 접근을 제공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는 저장소"로 정의했다.[45] TDR은 다음 일곱 가지 속성을 가져야 한다.- OAIS 참조 모델 준수
- 관리 책임
- 조직 생존 가능성
- 재정적 지속 가능성
- 기술 및 절차적 적합성
- 시스템 보안
- 절차적 책임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장소 모델은 이러한 속성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 보고서는 또한 지적 재산권과 관련하여 디지털 저장소 인증, 협력 네트워크 모델 개발, 연구 및 정보 공유를 권장했다.[45]
7. 4. InterPARES
국제 전자 기록 영구 진본성 연구(InterPARES)는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가 주도하는 협력 연구 프로젝트로, 진본 디지털 기록의 장기 보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 연구는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호주의 여러 기관이 참여하며, 디지털 기록의 신뢰성, 신빙성 및 정확성을 장기간 보장하는 데 필요한 전략, 표준, 정책 및 절차의 기반을 제공하는 이론과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7]루치아나 두란티 기록학 교수의 지휘 아래, 이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되었다.
- InterPARES 1 (1999-2001): 정부 기관의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및 문서 관리 시스템에서 비활성 기록의 진본성 요구 사항 확립.[48]
- InterPARES 2 (2002-2007): 기록의 전체 수명 주기 동안 신뢰성, 정확성, 진본성 문제에 집중. 예술, 과학 및 온라인 정부 활동 과정에서 생성된 기록 조사.[49]
- InterPARES 3 (2007년 시작): 중소 규모 기록 보존 기관을 위한 진본 기록의 장기 보존 지침, 실행 계획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InterPARES 및 기타 보존 연구 프로젝트의 이론적, 방법론적 지식 활용.[50]
8. 당면 과제
디지털 아카이브는 개인이나 공동의 노력으로 만들어지며, 네트워크로 연결될 때 새로운 형태로 발전한다. 링크로 연결된 디지털 아카이브는 상호 연결을 통해 양적인 축적을 질적인 변화로 이끌어낸다. 인터넷은 지식 유통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디지털 아카이브는 하이퍼텍스트를 통해 연결과 얽힘을 만들어내며, 이는 지식과 정보의 완결성을 약화시킨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물리적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데이터 단위로 축적되므로 장소의 소멸과 공간의 통일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전 지구화된 디지털 아카이브를 가능하게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데이터 센터라는 물리적 장소에 도달하는 이중적인 모습도 보인다.[299] 디지털 아카이브에 누적되는 정보들은 상호 연결되어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며, 집단적인 생각과 행동을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디지털화된 재현을 바탕으로 하며, 보관보다는 사용에 목적을 둔다. 검색과 활용의 용이성, 원본 변형의 용이성, 복사의 특성, 그리고 다양한 참여자들의 참여로 인한 공공성을 특징으로 한다.[301]
하지만 디지털 미디어는 콘텐츠를 쉽게 만들고 유지할 수 있게 해주지만, 동시에 보존에는 여러 과제가 따른다. 전통적인 아날로그 객체와 달리 디지털 객체는 소프트웨어 환경이 필요하며, 이는 빠르게 변화하여 접근성을 위협한다.[52] 물리적 저장 매체, 데이터 형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노후화는 콘텐츠의 생존을 위협하는 디지털 노후화를 야기한다.[3]
디지털 원본 콘텐츠의 방대한 양과 급변하는 기술은 디지털 보존에 어려움을 더한다. 디지털 콘텐츠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특성(예: 대화형 웹 페이지,[53] 가상 현실 및 비디오 게임 환경,[123] 학습 객체, 소셜 미디어 사이트[54])은 진정성, 파일 고정성 및 무결성 유지에 어려움을 준다.[2][55]
소프트웨어 보존의 경우, 상용 소프트웨어는 소스 코드 없이 이진 파일로 배포되므로 에뮬레이션이 필요하며, 저작권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인터넷 아카이브는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의 면제를 받아 빈티지 소프트웨어를 보존하고 있으며,[56][57] GitHub 아카이브 프로그램은 QR 코드로 코드를 저장하여 북극 세계 아카이브에 보관한다.[140]
디지털 콘텐츠 보존은 확장성 문제에도 직면한다. "형식 유형의 확산"[2]과 방대한 양의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는 저장소 구축을 어렵게 한다. 예를 들어, 미국 의회 도서관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1,700억 개의 트윗 (트위터)을 축적했다.[60][61]
디지털 보존에는 경제적인 어려움도 크다. 보존 프로그램은 초기 투자와 지속적인 비용이 필요하지만, 혜택은 주로 미래 세대에 돌아간다.[63]
8. 1. 아카이빙 계층
다양한 보안 수준은 세 개의 계층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핫" 계층 (접근 가능한 온라인 보관소)과 "웜" 계층 (예: 인터넷 아카이브)은 모두 전자 장치에 기반을 둔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두 계층 모두 강력했던 19세기 지자기 폭풍인 캐링턴 사건과 같은 사건이 반복될 경우 소멸될 수 있다.[140][208] 북극 세계 아카이브는 500년 이상의 수명을 가진 할로겐화 은으로 코팅된 특수 개발된 필름에 저장되어 있으며, 5년 간격으로 스냅샷을 획득하여 더 안전한 데이터 스냅샷을 제공한다.[140][208]9. 전략
디지털 아카이브는 물리적인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데이터 단위로 축적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장소의 소멸과 공간의 통일을 가져오며, 전 세계적인 디지털 아카이브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장소에 대한 물리적 저항을 약화시킨다.[299] 디지털 아카이브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물리적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최종 저장소인 데이터센터라는 물리적 장소에 의존하는 이중적인 면모를 보인다.[299]
디지털 아카이브에 축적되는 데이터는 플랫폼을 거치며, 플랫폼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이용자들의 집합적 활동과 협업의 결과물을 클라우드 소싱 형태로 자동 축적한다. 이는 개인의 활동 시간을 세분화하여 물질적인 시간을 기계의 시간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정보는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시간대에 적용된다.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정보와 실시간으로 조회되어 재현되는 축적된 정보는 항상 현재성을 가진다. 또한 아카이브에 저장된 정보는 물리적 아카이브와 달리 시간이 흘러도 소멸되지 않는다. 즉, 언제든지 조회하면 다시 활성화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남아 창조와 동시에 축적된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된 콘텐츠 또한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여 저장한다. 현실의 사물들은 미디어를 통해 변환되고, 이후 디지털화되면서 다시 한번 매개된다. 이러한 재매개 과정을 통해 디지털화된 콘텐츠는 축적되고, 사용자들의 활동 결과와 함께 누적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확장된다. 또한 이러한 상호 연결과 복제를 거듭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스스로를 확장한다. 미러링, 퍼가기, 따붙이기 등의 행위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디지털 아카이브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300]
2006년, 온라인 컴퓨터 라이브러리 센터(OCLC)는 디지털 객체의 장기적인 보존을 위한 4가지 전략을 개발했다.[64],[209]
전략 | 내용 |
---|---|
위험 평가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독점 파일 형식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기술 변수로 인해 콘텐츠가 손실될 위험 평가 |
객체 평가 | 형식 변환 또는 기타 보존 조치를 적용해야 하는 유형과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 객체 평가 |
메타데이터 결정 | 각 객체 유형에 필요한 적절한 메타데이터와 객체와의 연관 방식을 결정 |
접근성 제공 |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 제공 |
개인과 조직은 디지털 정보 손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위 전략 외에도 다양한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9. 1. 리프레싱
리프레싱은 동일한 유형의 두 저장 매체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비트 부식이나 데이터 변경이 발생하지 않는다.[44] 예를 들어, 오래된 보존용 CD에서 새로운 CD로 인구 조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 전략은 데이터를 읽는 데 필요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거나 데이터 형식을 이해할 수 없는 경우 마이그레이션과 결합해야 할 수 있다. 물리적 매체의 노후화로 인해 리프레싱은 항상 필요할 것이다.리프레싱이란 비트열 수준에서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즉 데이터에 어떠한 변경도 가하지 않으면서 두 개의 동일한 기록 매체 간에 데이터를 이전하는 것을 의미한다.[210] 예를 들어, 오래된 저장용 CD에 저장된 인구 조사 데이터를 새로운 CD로 이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데이터의 읽기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거나, 데이터 형식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 전략과 마이그레이션을 결합한 대응이 필요할 수 있다. 물리적 매체의 열화 때문에 항상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9. 2. 마이그레이션
마이그레이션은 데이터를 최신 시스템 환경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300] 여기에는 한 파일 형식에서 다른 형식으로 리소스를 변환(예: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를 PDF 또는 OpenDocument로 변환)하거나, 한 운영 체제에서 다른 운영 체제로 변환(예: 윈도우에서 리눅스로)하는 것이 포함되어 리소스가 완전히 접근 가능하고 기능적으로 유지된다.[2] 장기적인 디지털 보존 방법으로서 마이그레이션은 두 가지 중요한 문제에 직면한다. 디지털 객체가 거의 지속적인 변화 상태에 놓여 있다는 사실 때문에, 마이그레이션은 진본성과 관련하여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끊임없는 모니터링과 개입이 필요한 이질적인 객체의 대규모 컬렉션"에 대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입증되었다.[211] 마이그레이션은 외부 저장 매체(예: CD,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3.5인치 플로피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사용에 권장되지 않으며, 미디어 및 하드웨어의 노후화 또는 저하로 인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게 될 수 있다.[65],9. 3. 복제
디지털 아카이브에 축적되는 데이터는 플랫폼을 거쳐간다고 할 수 있다. 플랫폼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이용자들의 집합적 활동과 협업의 결과물을 클라우드 소싱이라는 틀로 자동 축적한다. 이는 개체의 활동 시간을 나누어 물질적인 시간을 기계의 시간으로 바꾸어 저장한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정보는 그 시간성이 과거와 현재, 미래의 흐름에 모두 적용된다.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정보와 실시간으로 조회되어 재현되는 축적된 정보는 항상 현시적이다. 또한 아카이브에 저장된 정보는 물질 아카이브와 다르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멸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즉, 언제 어느 때라도 조회한다면 다시 살아날 예비 동면 상태로 남아 창조와 동시에 축적되는 것이다.디지털 아카이브는 대중매체를 통해 형성된 내용물 또한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여 저장한다. 현실을 구성하는 사물들은 미디어를 통해 변환되고, 이후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다시 한번 매개된다. 이러한 재매개 과정을 통해 디지털화된 내용물은 축적되고, 사용자들의 활동 결과와 함께 누적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확장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호 연결과 복제를 거듭하면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스스로를 확장한다. 미러링, 퍼가기, 따붙이기 등의 행위들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이는 디지털 아카이브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설명한다.[300]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시스템에 중복하여 복사하는 것을 복제라고 한다. 단일 사본으로 한 위치에만 존재하는 데이터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오류, 의도적이거나 우발적인 변경, 화재, 홍수 등과 같은 환경 재해에 매우 취약하다. 디지털 데이터는 여러 위치에 복제될 경우 생존할 가능성이 더 높다. 복제된 데이터는 데이터가 여러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갱신, 마이그레이션, 버전 관리 및 접근 통제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디지털 보존을 이해한다는 것은 디지털 정보가 어떻게 생성되고 재생산되는지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정보(예: 파일)는 비트 수준까지 정확하게 복제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데이터 복사본을 생성할 수 있다. 정확한 복제본을 통해 기록 보관소와 도서관은 여러 시스템 및/또는 환경에서 동일한 데이터 복사본을 관리,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시스템에 데이터 복제본을 생성하는 것을 복제라고 한다. 단일 사본으로 한 곳에만 존재하는 데이터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장애, 의도적이거나 우발적인 변경, 화재·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에 매우 취약하다. 디지털 데이터는 여러 곳에서 복제될수록 생존 가능성이 높아진다. 복제된 데이터는 여러 위치에 배치되므로, 새로 고침, 마이그레이션, 버전 관리, 접근 통제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
디지털 보존을 이해한다는 것은 디지털 정보가 어떻게 생성되고 재생산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정보(예: 특정 파일)는 비트열 수준에서 정확하게 복제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동일한 복사본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확한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록 보관소와 도서관은 여러 시스템 및/또는 환경에 걸쳐 데이터의 동일한 복사본을 관리·보존·제공할 수 있게 된다.
9. 4. 에뮬레이션
에뮬레이션은 구식 시스템의 기능을 복제하는 것이다. 반 데르 후벤에 따르면, "에뮬레이션은 디지털 객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객체가 렌더링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디지털 객체가 원래 생성된 환경을 (재)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66] 예를 들어, 다른 운영 체제를 복제하거나 모방하는 기능이 있다.[67] 예시로는 아타리 2600을 윈도우 시스템에서 에뮬레이션하거나, 워드퍼펙트 1.0을 매킨토시에서 에뮬레이션하는 것이 있다. 에뮬레이터는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 또는 하드웨어 플랫폼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에뮬레이션은 MAME 프로젝트와 같이 오래된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 인기 있는 전략이었다. 에뮬레이션이 만능 해결책으로서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학계에서 벌어졌다.(Granger, 2000)레이먼드 A. 로리는 범용 가상 컴퓨터(UVC)를 사용하여 아직 알려지지 않은 플랫폼에서 미래에 모든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68] UVC 전략은 에뮬레이션과 마이그레이션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UVC 전략은 디지털 보존 커뮤니티에서 아직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
도서관의 디지털 보존을 위한 에뮬레이션의 주요 지지자인 제프 로텐버그는 Koninklijke Bibliotheek 및 Nationaal Archief와 협력하여 MS-DOS, 워드퍼펙트 5.1, DOS 게임 등을 실행하는 데 성공한 모듈형 에뮬레이터인 Dioscuri라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69]
디지털 보존 형태로서의 에뮬레이션의 또 다른 예는 에모리 대학교와 살만 루슈디의 서류에서 볼 수 있다. 루슈디는 오래된 컴퓨터를 에모리 대학교 도서관에 기증했는데, 너무 오래되어 도서관에서 하드 드라이브에서 서류를 추출할 수 없었다. 서류를 확보하기 위해 도서관은 오래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에뮬레이션하여 그의 오래된 컴퓨터에서 서류를 가져올 수 있었다.[70]
9. 5. 캡슐화
디지털 아카이브에 보존된 객체는 자체 설명적이어야 하며, "콘텐츠를 해독하고 이해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와 연결"[2]되어야 한다. 디지털 객체와 관련된 파일에는 기계 판독 가능한 사양을 통해 에뮬레이터, 뷰어 또는 변환기의 향후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 또는 "래퍼"라고 하는 논리적 구조를 사용하여 모든 정보 구성 요소[71] 간의 관계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객체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된다.[72] 캡슐화 방법은 일반적으로 장기간 사용되지 않을 컬렉션에 적용된다.[72]9. 6. 영구 아카이브 개념
디지털 아카이브는 물리적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데이터 단위로 축적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장소의 소멸과 공간의 통일이라는 특징을 가지며, 전 지구화된 디지털 아카이브를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장소의 물리적 저항을 무마시킨다. 또한, 디지털 아카이브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물리적 장소의 의미에서 벗어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최종 종착지인 데이터센터라는 물리적 장소에 도달함으로써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299]샌디에이고 슈퍼컴퓨터 센터에서 개발하고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의 자금 지원을 받은 이 방법은 "컬렉션을 구성하는 객체뿐만 아니라 컬렉션의 구성을 보존하고, 플랫폼에 독립적인 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인프라 개발을 필요로 한다.[2] 영구 아카이브에는 디지털 객체를 구성하는 데이터와 디지털 실체의 출처, 진위 및 구조를 정의하는 컨텍스트가 모두 포함된다.[73] 이를 통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보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교체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가상 데이터 그리드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OAIS 정보 모델(특히 보관 정보 패키지)과 유사하다.
9. 7. 메타데이터 첨부
메타데이터는 생성, 접근 권한, 제한, 보존 이력 및 권리 관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파일 관련 데이터이다.[74][223] 디지털 파일에 첨부된 메타데이터는 파일 형식의 노후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아스키는 유니코드와 함께 사용될 때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하위 호환이 가능하며, 숫자 코드가 아닌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를 사용하므로 메타데이터에 가장 내구성이 있는 형식으로 간주된다.[75][224] 아스키는 정보를 유지하지만, 정보 제시 구조 정보는 유지하지 않는다. 더 높은 기능을 위해서는 SGML 또는 XML을 사용해야 한다. 두 마크업 언어 모두 아스키 형식으로 저장되지만 구조와 형식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한다.10. 보존 저장소 평가 및 인증
디지털 보존 저장소 평가 및 인증을 위한 몇 가지 주요 프레임워크가 있다. 더 자세한 목록은 미국 연구 도서관 센터에서 관리한다.[76][225] 이러한 프레임워크들은 디지털 자료의 장기적인 보존과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0. 1. 특정 도구 및 방법론
디지털 아카이브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인증하기 위한 다양한 도구와 방법론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도구들은 디지털 자산의 장기 보존, 이전, 접근성을 보장하고, 디지털 저장소의 위험을 평가하며, 관련 표준을 준수하도록 돕는다.- TRAC (Trustworthy Repositories Audit & Certification): 2007년 CRL과 OCLC가 발표한 TRAC은 조직 인프라, 디지털 객체 관리, 기술 인프라 및 보안 등 세 가지 섹션으로 구성된 84개의 기준을 통해 디지털 저장소를 평가한다.[77] TRAC은 감사, 평가 및 인증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고, 감사 문서 요구 사항을 설정하며, 인증 프로세스를 명시한다.[78]
- DRAMBORA (Digital Repository Risk Assessment Based Audit Methodology): 디지털 큐레이션 센터(DCC)와 DigitalPreservationEurope(DPE)가 개발한 DRAMBORA는 디지털 저장소의 위험 평가를 위한 방법론과 도구를 제공한다.[79] 6단계로 구성된 DRAMBORA 프로세스는 역할 정의, 자산 특성화, 위험 식별 및 평가에 중점을 둔다.[80]
- 유럽 디지털 저장소 감사 및 인증 프레임워크: 2010년 CCSDS, DSA 위원회, 독일 표준 협회(DIN) 간의 양해 각서에 정의된 이 프레임워크는 기본 인증, 확장 인증, 공식 인증의 세 가지 평가 단계를 제공한다.[230]
- ''nestor'' 기준 목록: 독일의 ''nestor''는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보존소에 대한 기준 목록을 개발했다.[82] 이 목록은 OAIS 참조 모델 용어를 따르며, 조직적 프레임워크, 객체 관리, 인프라 및 보안과 관련된 세 가지 섹션으로 구성된다.[83]
- PLANETS 프로젝트: EU의 PLANETS 프로젝트는 디지털 문화 및 과학 자산에 대한 장기적인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실용적인 서비스와 도구를 구축했다.[84]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Open Preservation Foundation(이전 Open Planets Foundation)에서 유지 관리하고 있다.[84][85][86]
- PLATTER (Planning Tool for Trusted Electronic Repositories): DigitalPreservationEurope(DPE)에서 출시한 PLATTER는 DRAMBORA, NESTOR, TRAC의 보완 도구로, 저장소가 신뢰를 얻기 위한 목표와 우선 순위를 식별하도록 돕는다.[87]
- ISO 16363: 우주 데이터 시스템 자문 위원회(CCSDS)가 개발하고 2012년 ISO 표준으로 발표된 ISO 16363은 OAIS 참조 모델을 확장하고 TRAC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한다.[89][90] CCSDS는 ISO 16363에 따른 감사 및 인증 기관의 운영 요구 사항을 정의하는 ISO 16919 표준도 개발했다.[91][92]
10. 1. 1. TRAC
2007년, CRL과 OCLC는 디지털 자산의 보존, 이전, 접근성을 신뢰성 있게 제공하는지 평가할 수 있는 문서인 '신뢰할 수 있는 저장소 감사 및 인증: 기준 및 체크리스트'(TRAC)를 발표했다. TRAC은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장소에 대한 기존 표준 및 모범 사례를 기반으로 하며, 조직 인프라, 디지털 객체 관리, 기술, 기술 인프라 및 보안의 세 가지 섹션으로 구성된 84개의 감사 및 인증 기준을 포함한다.[77]TRAC은 "디지털 저장소의 감사, 평가 및 잠재적 인증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고, 감사에 필요한 문서 요구 사항을 설정하며, 인증 프로세스를 명시하고, 디지털 저장소의 건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론을 수립한다"라고 설명한다.[78]
10. 1. 2. DRAMBORA
디지털 큐레이션 센터(Digital Curation Centre, DCC)와 DigitalPreservationEurope (DPE)는 2007년에 디지털 리포지토리 위험 평가 기반 감사 방법론(DRAMBORA)을 도입했다. DRAMBORA는 디지털 리포지토리 위험 평가를 위한 방법론과 도구를 제공한다.[79] 이 도구를 통해 리포지토리는 자체 평가(자가 평가)를 수행하거나, 외부 위탁할 수 있다.DRAMBORA 프로세스는 6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할 정의, 자산 기반 특성화, 위험 식별, 위험 발생 가능성 및 리포지토리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평가에 집중한다. 감사는 이러한 활동 및 자산과 관련된 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정의하기 위해 리포지토리의 역할, 목표, 정책, 활동 및 자산을 설명하고 문서화해야 한다.[80]
10. 1. 3. 유럽 디지털 저장소 감사 및 인증 프레임워크
https://web.archive.org/web/20121115012739/http://www.trusteddigitalrepository.eu/Site/Trusted%20Digital%20Repository.html 디지털 저장소 감사 및 인증을 위한 유럽 프레임워크는 2010년 7월 우주 데이터 시스템 자문 위원회(CCSDS), Data Seal of Approval(DSA) 위원회, 독일 표준 협회(DIN) "신뢰할 수 있는 아카이브 – 인증" 실무 그룹 간의 양해 각서에 정의되었다.이 프레임워크는 조직이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장소로 적절한 인증을 획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며, 세 가지의 평가 단계를 설정한다.[230]
# 기본 인증: Data Seal of Approval(DSA)의 16개 기준을 사용한 자체 평가.
# 확장 인증: 기본 인증과 ISO 16363 또는 DIN 31644 요구 사항에 대한 외부 검토를 거친 추가 자체 감사.
# 공식 인증: ISO 16363 또는 DIN 31644를 기반으로 한 제3자 공식 감사를 통한 자체 인증의 유효성 검사.
10. 1. 4. ''nestor'' 기준 목록
독일의 이니셔티브인 [http://www.langzeitarchivierung.de/Subsites/nestor/DE/Home/home_node.html ''nestor''] (디지털 자원의 장기 보존에 관한 전문 지식 네트워크)는 2004년 독일 교육 연구부의 후원으로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보존소에 대한 기준 목록을 개발했다. 2008년에는 이 문서의 두 번째 버전이 출판되었다. 이 목록은 주로 독일의 문화 유산 및 고등 교육 기관을 대상으로 하며, 신뢰할 수 있는 장기 디지털 보존소의 계획, 구현 및 자체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82]''nestor'' 기준 목록은 OAIS 참조 모델 용어에 부합하며, 조직적 프레임워크, 객체 관리, 인프라 및 보안과 관련된 세 가지 섹션으로 구성된다.[83]
10. 1. 5. PLANETS 프로젝트
2002년, EU 연구 및 기술 개발 프레임워크 프로그램 6의 일부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보존 및 장기 접근'(PLANETS, Preservation and Long-term Access through Networked Services|Preservation and Long-term Access through Networked Services영어) 프로젝트는 핵심적인 디지털 보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PLANETS의 주요 목표는 디지털 문화 및 과학 자산에 대한 장기적인 접근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서비스와 도구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PLANETS 프로젝트는 2010년 5월 31일에 종료되었다.[84]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후속 조직인 Open Planets Foundation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84][85] 2014년 10월 7일, Open Planets Foundation은 조직의 현재 방향에 맞춰 Open Preservation Foundation으로 이름을 변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6]10. 1. 6. PLATTER
신뢰할 수 있는 전자 저장소를 위한 계획 도구(PLATTER)는 디지털 저장소가 이해 관계자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해 자체적으로 정의한 목표와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DigitalPreservationEurope(DPE)에서 출시한 도구이다.[87]PLATTER는 DRAMBORA, NESTOR 및 TRAC에 대한 보완 도구로 사용될 예정이다. 신뢰할 수 있는 저장소에 대한 10가지 핵심 원칙을 기반으로 하며, 콘텐츠의 수집, 보존 및 배포, 재정, 인력, 승계 계획, 기술 인프라,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사양, 재해 계획과 같은 영역을 다루는 9가지 전략적 목표 계획을 정의한다. 이 도구는 저장소가 감사를 위해 필요한 문서를 개발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88]
10. 1. 7. ISO 16363
우주 데이터 시스템 자문 위원회(CCSDS)가 개발한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장소의 감사 및 인증" 시스템은 2012년 2월 15일 ISO 표준 16363으로 발표되었다.[89] 이 표준은 OAIS 참조 모델을 확장하고 TRAC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하며, 모든 유형의 디지털 저장소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디지털 저장소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상세 기준을 제공한다.[90]CCSDS 저장소 감사 및 인증 워킹 그룹은 ISO 16363에 따른 저장소 감사 및 인증을 제공하는 기관의 운영 요구 사항을 정의하는 두 번째 표준(ISO 16919)을 개발하여 2014년 11월 1일에 발표하였다.[91][92]
11. 모범 사례
디지털 자료 보존 전략은 자료 유형과 기관에 따라 다르지만, 국가 및 국제적으로 인정된 표준과 관행을 준수하는 것은 디지털 보존 활동의 중요한 부분이다. 모범 사례 또는 권장 관행은 조직이 기존 표준을 구현하거나 공식적인 표준이 개발되지 않은 분야에서 지침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93]
디지털 보존의 모범 사례는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자료 수집 전후에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모범 사례는 아날로그 자료의 디지털화 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기술, 관리, 권리 메타데이터 등 특수 메타데이터 생성도 포함한다. 또한 장기 보존이나 접근성 향상을 위한 형식 변환도 포함될 수 있다.[94]
장기적으로 디지털 자료의 접근성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 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 기관은 없다. 따라서 공유 도구 저장소 유지가 필요하다. 미국 의회 도서관은 수년 동안 이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95] 커뮤니티 소유 디지털 보존 도구 등록소가 그 역할을 승계했다.[96]
11. 1. 오디오 보존
디지털 오디오 보존을 위한 다양한 모범 사례와 지침이 개발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제 음향 및 시청각 아카이브 협회(IASA)의 ''디지털 오디오 객체의 제작 및 보존에 대한 지침 IASA-TC 04''(2009)는 다양한 오디오 소스 자료에서 최적의 오디오 신호 추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오디오 보존을 위한 대상 형식에 대한 국제 표준을 설정한다.[97]
- ''디지털 보존을 위한 아날로그 사운드 캡처: 아날로그 디스크 및 테이프 전송을 위한 모범 사례 원탁 토론 보고서''(2006)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사운드를 재형식화하는 절차를 정의하고 디지털 보존을 위한 모범 사례에 대한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98]
- 공동 디지털화 프로그램 디지털 오디오 실무 그룹의 ''디지털 오디오 모범 사례''(2006)는 기존 아날로그 콘텐츠를 디지털화하고 새로운 디지털 오디오 리소스를 생성하는 것에 대한 모범 사례와 지침을 제공한다.[99]
- 사운드 디렉션 프로젝트의 ''사운드 디렉션: 오디오 보존을 위한 모범 사례''(2007)는 오디오 보존 워크플로우와 권장 모범 사례를 설명하고 다른 프로젝트 및 이니셔티브의 기반으로 사용된다.[93][100][101]
- 국제 음향 및 시청각 아카이브 협회(IASA), 유럽 방송 연합(EBU), 미국 의회 도서관, 디지털 도서관 연맹(DLF)에서 개발한 문서가 있다.
오디오 공학 협회(AES)는 아카이브 오디오 콘텐츠 및 기술 메타데이터 생성과 관련된 다양한 표준 및 지침을 발표한다.[102]
11. 2. 동영상 보존
"동영상"이라는 용어는 아날로그 필름 및 비디오와 이들의 디지털 형태인 디지털 비디오, 디지털 영화 자료, 디지털 시네마를 모두 포함한다. 아날로그 비디오 테이프와 필름이 구식이 되면서 디지털화는 중요한 보존 전략이 되었지만, 많은 아카이브는 여전히 필름 재고의 광화학적 보존을 수행하고 있다.[103][104]"디지털 보존"은 시청각 컬렉션에 대해 이중적인 의미를 갖는다. 아날로그 원본은 디지털 재형식을 통해 보존되고, 그 결과 만들어진 디지털 파일이 보존되며, 디지털 콘텐츠는 수집된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는 대부분 독점적인 형식이어서 미래의 디지털 보존에 문제를 일으킨다.
현재 아날로그 동영상에 대해 널리 받아들여지는 표준 대상 디지털 보존 형식은 없다.[105] 디지털 비디오의 복잡성뿐만 아니라 아카이브 기관의 다양한 요구 사항과 기능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기록(예: 워드 프로세싱을 PDF/A 또는 이미지의 TIFF로 변환)과 같이 장기 보존을 위한 "만능" 형식 표준이 디지털 비디오에 존재하지 않는 이유이다.[106][107]
미국 의회 도서관과 뉴욕 대학교와 같은 도서관 및 아카이브 기관은 동영상 보존을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비디오 보존을 위한 전국적인 움직임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108] 시청각 자료의 보존은 "단순히 물건을 냉장 보관하는 것 이상을 필요로 한다".[108] 동영상 매체는 투사 및 재생되고, 이동 및 표시되어야 한다. 디지털 자료도 이와 유사한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한다.[108]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재형식화 및 디지털 시청각 콘텐츠 보존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미국 의회 도서관은 동영상을 포함한 디지털 형식의 지속 가능성을 추적한다.[109]
- ''디지털 딜레마 2: 독립 영화 제작자, 다큐멘터리 제작자 및 비영리 시청각 아카이브의 관점 (2012)''[105] 비영리 아카이브에 대한 섹션에서는 디지털 재형식화, 메타데이터 및 저장에 대한 일반적인 관행을 검토한다. 4가지 사례 연구가 있다.
- [http://www.digitizationguidelines.gov/about/ 연방 기관 디지털화 가이드라인 이니셔티브 (FADGI)]. 2007년에 시작된 이 이니셔티브는 역사적 콘텐츠의 디지털화를 위한 공통 지침, 방법 및 관행을 정의하기 위한 연방 기관의 공동 노력이다. 이의 일환으로 두 개의 실무 그룹이 스틸 이미지 및 시청각의 두 가지 주요 영역과 관련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110]
- PrestoCenter는 유럽 수준에서 일반적인 시청각 정보 및 조언을 게시한다. 온라인 라이브러리에는 디지털 보존 비용 및 형식에 대한 연구 및 백서가 있다.[111]
- 동영상 아카이브 협회(AMIA)는 디지털을 포함한 동영상 보존의 모든 측면에 대한 컨퍼런스, 심포지엄 및 이벤트를 후원한다. [http://www.amiatechreview.com/ ''AMIA 기술 검토'']에는 아카이브 담당자의 관점에서 현재의 생각과 관행을 반영하는 기사가 포함되어 있다. ''밀레니엄을 위한 비디오 보존 (2012)''은 ''AMIA 기술 검토''에 게재되었으며 비디오 보존의 현재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전략과 아이디어를 자세히 설명한다.[112]
- 호주 국립 기록 보관소는 국립 디지털화 계획에 따라 제작된 디지털화 출력에 대한 기술 요구 사항을 명시한 보존 디지털화 표준을 제작했다. 여기에는 비디오 및 오디오 형식뿐만 아니라 비 시청각 형식도 포함된다.[113]
- 스미소니언 협회 기록 보관소는 전자 기록의 장기 보존에 사용되는 파일 형식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으며, 이는 개방형, 표준, 비독점적이며 잘 확립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 지침은 비디오 및 오디오 형식과 기타 비 시청각 자료에 사용된다.[30]
11. 2. 1. 코덱 및 컨테이너
움직이는 이미지는 디코딩 과정에 코덱이 필요하므로 코덱을 결정하는 것은 디지털 보존에 필수적이다.[114][115] AudioVisual Preservation Solutions에서 발행한 ''"움직이는 이미지 및 사운드 아카이브를 위한 코덱 입문: 코덱 선택 및 관리에 대한 10가지 권장 사항"''에서는 올바른 코덱 선택이 "디지털 객체의 보존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114][115] 코덱 선택 과정은 "본 디지털 콘텐츠를 다루든, 오래된 콘텐츠를 재구성하든, 아날로그 자료를 변환하든" 간에 중요하다.[114][115] 해당 문서에서 제시하는 코덱 선택 및 관리에 대한 10가지 권장 사항은 다음과 같다: 채택, 공개, 투명성, 외부 종속성, 문서화 및 메타데이터, 사전 계획, 유지 관리, 구식화 모니터링, 원본 유지 관리, 불필요한 트랜스코딩 또는 재인코딩 방지.[114][115]아날로그 비디오의 디지털화 및 디지털 비디오의 장기 보존에 어떤 표준 코덱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현재까지 보존 커뮤니티 내에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디지털 객체에 대한 단일 "올바른" 코덱도 없으므로 각 보존 기관은 "전반적인 보존 전략의 일부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107][114][115][116]
움직이는 이미지에는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 또는 래퍼도 필요하며, 코덱과 마찬가지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116] 2010년에 실시된 영화 및 비디오 재구성 관련 50개 이상의 기관에 대한 국제 조사에 따르면 "보존 제품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선택 사항은 AVI, QuickTime(.MOV) 또는 MXF(Material Exchange Format)"였다.[117] 이들은 컨테이너의 몇 가지 예일 뿐이다.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NARA)은 AVI 파일이 VLC와 같은 수많은 오픈 소스 도구와 호환된다는 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이유로 AVI 래퍼를 표준 컨테이너 형식으로 선택했다.[117]
어떤 형식이 구식이 되거나 미래의 표준이 될지 불확실하기 때문에 하나의 코덱과 하나의 컨테이너를 선택하기 어렵다.[107] 형식 선택은 "최고의 품질 요구 사항과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트레이드오프가 되어야 한다."[107]
11. 2. 2. 콘텐츠 제작자를 위한 고려 사항
콘텐츠 제작자와 아키비스트가 장기적으로 동영상의 접근성과 보존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능하다면 비압축 비디오를 제작한다. 이렇게 하면 파일 크기는 커지지만 품질이 유지된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는 저장 공간을 고려해야 한다.[106][118][107]
- 비압축 비디오 제작이 불가능한 경우, 손실 압축 대신 무손실 압축을 사용한다. 무손실 압축은 압축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지만, 손실 압축은 데이터를 변경하여 품질을 저하시킨다.[106][116][118][107]
- 더 높은 비트 전송률을 사용한다. 이는 이미지 해상도와 파일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106][118]
- 기술적 메타데이터와 설명적 메타데이터를 사용한다.[106][118]
- 아카이브 및 디지털 보존 커뮤니티 내에서 안정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컨테이너와 코덱을 사용한다.[106][117][30][118]
11. 3. 이메일 보존
이메일은 보존에 특별한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메일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는 매우 다양하고, 이메일 메시지에 대한 공통 구조가 없으며, 이메일은 종종 민감한 정보를 전달하고, 개인 이메일 계정에는 업무 및 개인 메시지가 섞여 있을 수 있으며, 다양한 파일 형식의 첨부 문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메일 메시지는 바이러스를 퍼뜨리거나 스팸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메일 전송은 표준화되어 있지만, 이메일 메시지의 장기 보존을 위한 공식적인 표준은 없다.[119]이메일 보존 방법은 보존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업 및 정부 기관의 경우, 이메일 보존은 규정 준수 및 감독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법적 증거 개시를 허용해야 하는 필요성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기업 및 기관의 이메일 보관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메일 아카이브 문서를 참조.) 연구 도서관 및 기록 보관소의 경우, 디지털 자료나 혼합된 기록 보관 컬렉션의 일부인 이메일의 보존은 역사적, 문화적 기록의 일부로서 장기적인 이용 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20]
XML 형식으로 이메일 정규화, 이메일을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로 이전, 이메일 환경 에뮬레이션 등 다양한 보존 전략을 기반으로 이메일 보존을 위한 도구 및 방법론을 개발하는 여러 프로젝트가 수행되었다. [http://mobisocial.stanford.edu/muse/ Memories Using Email](MUSE), [http://siarchives.si.edu/cerp/ Collaborative Electronic Records Project](CERP), [https://web.archive.org/web/20130604154259/http://www.records.ncdcr.gov/EmailPreservation/default.htm E-Mail Collection And Preservation](EMCAP), [http://sourceforge.net/projects/pedalsemailextr/ PeDALS Email Extractor Software](PeDALS), [http://xena.sourceforge.net/ XML Electronic Normalizing of Archives tool](XENA) 등이 있다.
이메일 보존을 위한 몇 가지 모범 사례와 지침은 다음 자료에서 찾을 수 있다.
- Maureen Pennock의 ''Curating E-Mails: A Life-cycle Approach to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E-mail Messages''(2006).[121]
- Christopher J Prom의 ''Technology Watch Report 11-01: Preserving Email''(2011).[120]
- Jo Maitland의 ''Best Practices: Email Archiving''.[122]
11. 4. 비디오 게임 보존
2007년, EU 프레임워크 프로그램 7의 일환인 Keeping Emulation Environments Portable (KEEP) 프로젝트는 디지털 소프트웨어 객체를 원래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한 도구와 방법론을 개발했다. 비디오 게임과 같은 디지털 소프트웨어 객체는 디지털 노후화와 필요한 레거시 하드웨어 또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의 미가용성으로 인해 손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버려진 소프트웨어라고 한다. 소스 코드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123] 에뮬레이션은 유일한 보존 기회이다. KEEP는 이러한 에뮬레이터 제작을 돕기 위한 에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제공했다. KEEP는 Vincent Joguin이 개발했으며 2009년 2월에 처음 출시되었고 프랑스 국립 도서관의 Elisabeth Freyre가 조정했다.[124]MAME는 아케이드 게임, 콘솔 게임 등을 포함하여 모든 역사적인 컴퓨터 게임을 하드웨어 수준에서 에뮬레이션하여 미래에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커뮤니티 프로젝트이다.
2012년 1월, Jisc가 자금을 지원하는 POCOS 프로젝트는 게임 환경 및 가상 세계 보존에 대한 워크숍을 개최했다.[125][282]
11. 5. 개인 아카이빙
소비자와 예술가들은 개인 소장품을 관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 보존 협회는 오래된 소프트웨어 디스크(주로 게임)를 찾아 미래를 위해 보존할 수 있는 형태로 디스크의 스냅샷을 만드는 데 집중하는 컴퓨터 애호가들의 그룹이다.
- 미국 역사 및 예술 작품 보존 연구소의 "자원 센터: 보물 관리"는 예술가와 소비자가 자신의 작품을 직접 관리하고 보존할 수 있는 간단한 전략을 자세히 설명한다.[126]
미국 의회 도서관은 또한 소셜 미디어, 이메일, 서식 일반 지침(CD 관리 등)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기관의 프로그램 및 지침을 제공하는 자가 보존자를 위한 목록을 호스팅한다.[127] 나열된 프로그램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HTTrack: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월드 와이드 웹 사이트를 로컬 디렉토리로 다운로드하여 모든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구축하고, 서버에서 HTML, 이미지 및 기타 파일을 컴퓨터로 가져올 수 있는 소프트웨어 도구이다.
- Muse (Memories Using Email의 약자)는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운영하며, 사용자의 장기 이메일 보관 파일을 사용하여 기억을 되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다.[128]
11. 6. 과학 연구
2020년, 연구자들은 미출판 논문에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광범위하고 공개적인 아카이브의 부족으로 인해, 전 세계 주요 연구 분야와 지리적 지역을 아울러 176개의 오픈 액세스 학술지가 웹에서 사라졌다"고 보고했으며, 2019년에는 14,068개의 DOAJ에 등재된 학술지 중 약 3분의 1만이 콘텐츠의 장기적인 보존을 보장했다.[129][130][131] 일부 과학 연구 결과는 학술지 웹사이트가 아닌 GitLab과 같은 소스 코드 저장소와 같은 다른 사이트에 위치해 있다. 인터넷 아카이브는 손실된 많은 (전부는 아님) 학술 출판물을 보관하여 웹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132] 인터넷 아카이브의 분석에 따르면 "1945년 이후 모든 오픈 액세스 논문의 18%인 3백만 개 이상이 출판사 자체 외에는 우리나 다른 보존 기관에 의해 독립적으로 보관되지 않고 있다".[132] Sci-Hub는 현대 저작권법의 범위를 벗어나 학술 자료를 보관하며,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가 없는 학술 자료에도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132]11. 7. 디지털 건물 보존
역사적 건물의 3D 모델을 만드는 데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133] 최근 기술 발전으로 가상 공간에서 3D로 렌더링된 건물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비디오 게임의 건물은 코드를 통해 렌더링해야 했으며, 많은 게임 스튜디오에서 매우 상세한 렌더링을 수행했다 (어쌔신 크리드 참조). 그러나 대부분의 보존 전문가들은 전문 코더 팀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학에서 3D 레이저 스캔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시작했다.2009년 국립 타이완 과학기술대학교는 "디지털 보존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역사적 건물인 둔 난관 가옥의 실제 3D 컴퓨터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3D 레이저 스캔 작업을 시도했다.[134] 그들은 10kg의 부피가 큰 카메라로 둔 난관 가옥을 스캔했고, 스캐너가 충분히 상세하지 않은 부분은 약간의 손질을 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2018년 독일 칼프의 한 팀은 레이저 스캔과 포토그래메트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역사적인 성 베드로와 바울 교회를 스캔했다.[135] 현재 교회의 탑은 약 64m 높이며, 건축 양식은 19세기 말의 신고딕 양식이다. 이 교회는 주 본당, 합창단석, 각 측면에 두 개의 측면 본당과 높은 곳에 관람석이 있는 등 다양한 요소와 건축 양식에서 풍부한 역사를 보여준다. 합창단석과 탑 사이의 작은 창문 두 개는 13세기에 제작된 가장 오래된 부분이다. 교회는 30년 전쟁(1618-1648)으로 인한 파괴 이후 16세기(본당 확장)와 17세기(관람석 건설)에 재건 및 확장되었으나, 17세기 말 멜라크 장군 휘하의 프랑스군에 의해 다시 불탔다. 현재의 오르간과 설교단은 이 시대부터 보존되었다. 19세기 말에 교회는 재건되었고, 오래된 웰시 돔은 현재의 신고딕 탑으로 대체되었다. 이 시대의 다른 작품으로는 설교단의 상부, 합창단석, 오르간 케이스가 있다. 합창단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만들어졌으며, 본당의 일부 창문은 20세기 중반에 만들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교회의 제단과 벽과 천장의 일부 그림과 같은 일부 신고딕 요소는 순수 고딕 양식으로 대체되었다.[135] 이처럼 많은 건축적 변화는 높은 해상도를 목표로 하는 넓은 공간에서 다양한 기술을 결합할 수 있는 도전이자 기회를 제공했으며, 결과는 상당히 좋았으며 온라인에서 볼 수 있다.
12. 교육
미국 의회 도서관의 디지털 보존 아웃리치 및 교육(DPOE)은 문화 유산 기관에서 일하는 강사 및 컬렉션 관리 전문가의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보존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이다. 2013년 기준으로 미국 6개 지역에 걸쳐 24명의 활동적인 트레이너를 보유하고 있었다.[136] DPOE는 2010년 평가를 통해 전국의 기록 관리자, 사서 및 기타 정보 전문가들에게 연락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LYRASIS, Educopia Institute, MetaArchive Cooperative,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DigCCurr, 코넬 대학교-ICPSR 디지털 보존 관리 워크숍과 같은 다른 교육 프로그램의 커리큘럼을 참고하여 자체 커리큘럼을 개발했다.[137] 이 커리큘럼의 핵심 원칙은 국립 정보 표준 기구(NISO)의 "양질의 디지털 컬렉션 구축을 위한 지침 프레임워크"에 제시된 원칙을 따른다.[138]
유럽에서는 훔볼트 대학교 베를린과 킹스 칼리지 런던이 디지털 인문학과 장기 큐레이션 기술을 모두 강조하는 디지털 큐레이션 공동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글래스고 대학교의 HATII는 2005년부터 정보 관리 및 보존(디지털) 석사 과정을 운영하며 이 분야의 선구적인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13. 이니셔티브 사례
- 미국 의회 도서관은 국가 디지털 관리 연합(NDSA)을 설립했으며, 현재 디지털 도서관 연맹(DLF)에 소속되어 있다.
- 대영 도서관은 디지털 보존 분야의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디지털 도서관 연맹과 오픈 보존 재단의 창립 멤버이다. 영국 국립 기록 보관소 또한 디지털 보존 분야에서 다양한 선구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인도 전자정보기술부의 후원으로 국가 디지털 보존 프로그램(NDPP)의 주요 프로젝트인 디지털 보존 센터가 푸네의 고성능 컴퓨터 기술 개발 센터(C-DAC)에 설립되었다.
Archivematica, DSpace, Fedora Commons, OPUS, SobekCM, EPrints 등 다양한 오픈 소스 도구가 디지털 보존을 지원한다. Ex Libris의 Rosetta, Preservica의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 OCLC의 CONTENTdm, Digital Commons, Equella, intraLibrary, Open Repository, Vital 등 상용 디지털 보존 소프트웨어도 제공된다.[296]
14. 대규모 이니셔티브
많은 연구 도서관과 기록 보관소에서 대규모 디지털 보존 계획(LSDI)을 시작했거나 시작하려 하고 있다. LSDI의 주요 참여자는 문화 기관, 구글(Google) 및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같은 상업 회사, 오픈 콘텐츠 연합(OCA), 백만 권의 책 프로젝트(MBP), 하티트러스트(HathiTrust)를 포함한 비영리 단체이다. 이러한 단체의 주요 동기는 학술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는 것이다.
12개 기관 협력 위원회(CIC)를 포함하여 약 30개의 문화 단체가 구글 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디지털화 계약을 체결했다. 이들 중 일부는 오픈 콘텐츠 연합과 백만 권의 책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일부 도서관은 하나의 계획에만 참여하고 있으며, 다른 도서관은 여러 계획에 참여하여 디지털화 전략을 다각화했다. 도서관이 LSDI에 참여하는 세 가지 주요 이유는 접근성, 보존 및 연구 개발이다. 도서관은 디지털 보존을 통해 자료가 미래 세대도 계속 이용할 수 있기를 바라며, 자료에 대한 영구적 접근을 보장하고 디지털 자료를 보존할 의무가 있다. 또한 절판, 훼손, 분실 및 손상된 경우를 대비하여 디지털화된 사본을 자료의 백업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14. 1. 북극 세계 기록 보관소
북극 세계 기록 보관소는 오픈 소스 코드를 포함하여 여러 국가의 역사적 및 문화적 데이터를 보존하는 시설이다.[140][297] 할로겐화 은으로 코팅된 특수 필름에 500년 이상 보존 가능하며, 5년 주기로 보관하여 데이터 스냅샷을 제공한다.[140] 이는 전자 장치 기반의 "핫" 계층 (접근 가능한 온라인 보관소)과 "웜" 계층 (예: 인터넷 아카이브)의 약점을 보완한다. "핫" 계층과 "웜" 계층은 19세기 지자기 폭풍인 "캐링턴 사건"과 같은 사건이 반복될 경우 소멸될 수 있다.[140]참조
[1]
웹사이트
Introduction: Definitions and Concepts
http://www.dpconline[...]
York, UK
2012-02-24
[2]
서적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Web content
Springer
[3]
간행물
The Challenges of Digital Preservation
Library of Parliament, Ottawa
2008-12
[4]
뉴스
Definitions of Digital Preservation
http://www.ala.org/a[...]
2018-03-09
[5]
서적
Harrod's librarians' glossary and reference book
Routledge
2016
[6]
웹사이트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lossary - selection
http://www2.archivis[...]
2014-10-08
[7]
웹사이트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lossary - appraisal
http://www2.archivis[...]
2014-10-08
[8]
웹사이트
InterPARES 2 Chain of Preservation Model
http://www.interpare[...]
2014-10-08
[9]
웹사이트
InterPARES 2 Project
http://www.interpare[...]
2014-10-08
[10]
웹사이트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lossary - macro-appraisal
http://www2.archivis[...]
2014-10-08
[11]
논문
A First Look at the Acquisition and Appraisal of the 2010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Fonds: or, SELECT * FROM VANOC_Records AS Archives WHERE Value="true";
http://journals.sfu.[...]
2014-10-08
[12]
웹사이트
Paradigm (Personal Archives Accessible in Digital Media): Appraising digital records: a worthwhile exercise?
http://www.paradigm.[...]
2014-10-08
[13]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Recommended Format Specifications
https://www.loc.gov/[...]
2014-10-08
[14]
문서
Understanding Metadata and Metadata Schemes
http://www.niso.org/[...]
National Information Standards Organization
2005
[15]
논문
Video Preservation and Digital Reformatting: Pain and Possibility.
[16]
문서
Managing
http://www.jiscdigit[...]
Jisc Digital Media
2014-10-08
[17]
웹사이트
Glossary
https://www.cessda.e[...]
2022-03-28
[18]
웹사이트
Digital Preservation Policy
https://www.naa.gov.[...]
2022-03-28
[19]
웹사이트
Preservation Events Concept: fixity check
https://www.loc.gov/[...]
[20]
문서
Testing Software Tools of Potential Interest for Digital Preservation Activities at th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http://www.openplane[...]
[21]
웹사이트
10.0 Best Practices for Technical Metadata
http://www.library.i[...]
[22]
문서
Defining digital sustainability
2007
[23]
문서
Sustainability of Digital Resources
http://www.tasi.ac.u[...]
TASI: Technical Advisory Service for Images
2008
[24]
문서
Towards a Theory of Digital Preservation
http://ijdc.net/ind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2008
[25]
문서
Electronic Archives Preservation Policy
http://wiki.lib.sun.[...]
[26]
서적
Library Beyond the Book
Harvard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Scouring of the White Horse
http://blogs.law.har[...]
Harvard University
2011-04
[28]
웹사이트
Identifying Threats to Successful Digital Preservation: the SPOT Model for Risk Assessment
http://www.dlib.org/[...]
[29]
논문
Defining File Format Obsolescence: A Risky Journey
http://www.ijdc.net/[...]
2008-08-06
[30]
웹사이트
Recommended Preservation Formats for Electronic Records
https://siarchives.s[...]
2019-04-29
[31]
웹사이트
Sustainability Factors
http://www.digitalpr[...]
[32]
웹사이트
The Significant Properties of Digital Objects
http://www.jisc.ac.u[...]
2022-03-28
[33]
논문
Significant Properties of Digital Objects: Definitions, Applications, Implications
http://www.ils.unc.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Schoo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2002
[34]
웹사이트
InterPARES 2 Terminology Database - authenticity
http://www.interpare[...]
2014-10-08
[35]
웹사이트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lossary - accuracy
http://www2.archivis[...]
2014-10-08
[36]
문서
PREMIS Data Dictionary (full document), Version 3.0
https://www.loc.gov/[...]
[37]
서적
Digital Preservation Metadata for Practitioners
2016
[38]
서적
On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rchiving in the Digital Age
[39]
서적
Preserving digital information: Report of the task force on archiving of digital information
http://www.clir.org/[...]
CLIR
2012-11-15
[40]
웹사이트
Principles and Good Practice for Preserving Data. IHSN Working Paper No 003
http://www.surveynet[...]
International Household Survey Network
2009-12
[41]
서적
Preserving Digital Materials
Berlin, K. G. Saur
[42]
간행물
Preservation in the Age of Google: Digitization, Digital Preservation, and Dilemmas
https://deepblue.lib[...]
[43]
서적
Digital Curation
Neal-Schuman Publishers
[44]
웹사이트
Digital Preservation Management: Implementing Short-term Strategies for Long-term Problems
http://dpworkshop.or[...]
Cornell University Library
2005
[45]
웹사이트
Trusted Digital Repositories: Attributes and Responsibilities
http://www.oclc.org/[...]
Research Libraries Group
2002
[46]
간행물
Trustworthy 100-year digital objects: Evidence after every witness is dead
[47]
학회자료
Principle-based concepts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records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48]
간행물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Authentic Electronic Record
http://www.vldb.org/[...]
2012-09-21
[49]
간행물
InterPARES: The Search for Authenticity in Electronic Records
[50]
간행물
The InterPARES 3 Project: Implementing Digital Records Preservation in a Contemporary Art Gallery and Ethnographic Museum
http://www.interpare[...]
2012-09-21
[51]
간행물
Changing Trains at Wigan: Digital Preservation and the Future of Scholarship
http://www.bl.uk/abo[...]
British Library (National Preservation Office)
[52]
간행물
Systematic planning for digital preservation
[53]
학위논문
Web Archiving Environmental Scan
http://nrs.harvard.e[...]
Harvard Library
2022-03-28
[54]
학회자료
Digital Preservation, an Overview.
[55]
웹사이트
Preservation Storage Criteria, Version 2
https://docs.google.[...]
[56]
웹사이트
The Internet Archive Classic Software Preservation Project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2007-10-21
[57]
웹사이트
Internet Archive Gets DMCA Exemption To Help Archive Vintage Software
https://archive.org/[...]
2007-10-21
[58]
간행물
Exemption to Prohibition on Circumvention of Copyright Protection Systems for Access Control Technologies
http://www.copyright[...]
2009-12-17
[59]
간행물
Exemption to Prohibition on Circumvention of Copyright Protection Systems for Access Control Technologies
http://www.copyright[...]
2006-11-27
[60]
문서
Update on the Twitter Archive At the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61]
간행물
The Twitter Archive at the Library of Congress: Challenges for information practice and information policy
https://firstmonday.[...]
2015-07-06
[62]
웹사이트
Key Twitter and Facebook Metadata Fields Forensic Investigators Need to be Aware of
http://articles.fore[...]
2012-04-25
[63]
웹사이트
Sustainable Economics for a Digital Planet: Ensuring Long-Term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final report
http://brtf.sdsc.edu[...]
La Jolla, Calif.
2012-07-05
[64]
문서
OCLC Digital Archive Preservation Policy and Supporting Documentation
https://wiki.lib.sun[...]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2006
[65]
웹사이트
Long-term Digital Storage: Simple Steps to Get Started
http://www.historyas[...]
2013-09-23
[66]
간행물
Emulation for Digital Preservation in Practice: The Results
http://www.ijdc.net/[...]
2007-12-11
[67]
서적
Avoiding Technological Quicksand: Finding a Viable Technical Foundation for Digital Preservation
http://www.clir.org/[...]
Council on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68]
학회자료
Long Term Preservation of Digital Information
[69]
잡지
Dioscuri: emulator for digital preservation
http://www.dlib.org/[...]
[70]
웹사이트
Salman Rushdie's Digital Life
http://marbl.library[...]
[71]
간행물
Digital Preservation: Planning, Process and Approaches for Libraries
Jaypee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A-10, Sector-62, Noida UP
[72]
웹사이트
SOLUTIONS WALKTHROUGH REPORT
http://www.ifs.tuwie[...]
Department of Information Systems University of Minho 4800-058 Guimarães, Portugal
2016-02-16
[73]
문서
Persistent Archive Research Group
2003-12-25
[74]
웹사이트
A Framework of Guidance for Building Good Digital Collections, 3rd edition
http://www.niso.org/[...]
2008-05-17
[75]
웹사이트
NINCH Guide to Good Practice in the Digital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Materials
http://www.nyu.edu/i[...]
2007-12-08
[76]
웹사이트
Center for Research Libraries – Other Assessment Tools
http://www.crl.edu/a[...]
2012-09-06
[77]
웹사이트
Trustworthy Repository Audit & Certification: Criteria & Checklist
http://www.crl.edu/s[...]
2012-04-16
[78]
웹사이트
Service level agreements for storage and preservation, p.13.
http://www.prestocen[...]
2012-05-01
[79]
간행물
The Digital Repository Audit Method Based on Risk Assessment (DRAMBORA)
http://www.repositor[...]
DigitalPreservationEurope and Digital Curation Centre
[80]
학술지
Bringing Self Assessment Home: Repository Profiling and Key Lines of Enquiry Within DRAMBORA
[81]
보고서
Report on Peer Review of Digital Repositories
http://www.alliancep[...]
2012-10-08
[82]
서적
Research and Advanced Technology for Digital Libraries
Springer Berlin / Heidelberg
[83]
웹사이트
Assessment of Trustworthiness of Digital Archives
http://www.peerproje[...]
2012-10-02
[84]
웹사이트
Welcome to Planets
http://www.planets-p[...]
2022-03-28
[85]
웹사이트
The Open Planets Foundation
http://www.openplane[...]
2011-12-07
[86]
웹사이트
Open Planets Foundation, Becky McGuinness's blog
http://www.openplane[...]
2014-10-08
[87]
웹사이트
DPE Repository Planning Checklist and Guidance DPED3.2
http://www.digitalpr[...]
2012-06-24
[88]
웹사이트
Preservation and Curation in Institutional Repositories (version 1.3)
http://www.dcc.ac.uk[...]
Edinburgh, UK: Digital Curation Centre
2012-06-24
[89]
웹사이트
ISO 16363:2012
http://www.iso.org/i[...]
2016-10-19
[90]
웹사이트
Audit and Certification of Trustworthy Digital Repositories
http://public.ccsds.[...]
CCSDS
2012-10-10
[91]
서적
Aligning National Approaches to Digital Preservation
Atlanta, GA: Educopia Institute
[92]
웹사이트
ISO 16919:2014
http://www.iso.org/i[...]
2016-10-19
[93]
웹사이트
Sound Directions: Best Practices for Audio Preservation
http://www.dlib.indi[...]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and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2012-10-30
[94]
웹사이트
Networking for Digital Preservation: Current Practice in 15 National Libraries
http://www.ifla.org/[...]
K.G. Saur, Munich
2012-10-30
[95]
웹사이트
Tools Showcase - Digital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
http://www.digitalpr[...]
[96]
웹사이트
Community Owned digital Preservation Tool Registry (COPTR)
http://coptr.digipre[...]
[97]
웹사이트
Guidelines on the Production and Preservation of Digital Audio Objects
http://www.iasa-web.[...]
2015-05-01
[98]
웹사이트
Publication 137: Capturing Analog Sound for Digital Preservation: Report of a Roundtable Discussion of Best Practices for Transferring Analog Discs and Tapes
http://www.clir.org/[...]
2012-09-06
[99]
웹사이트
Digital Audio Best Practices (Version 2.1)
http://www.mndigital[...]
Aurora, Colorado
2012-10-30
[100]
웹사이트
Preserving Historic Audio Content: Developing Infrastructures and Practices for Digital Conversion. Final Report to the Andrew W. Mellon Foundation
https://library.colu[...]
2012-10-30
[101]
학술지
Hathi Trust and the Challenge of Digital Audio
http://www.hathitrus[...]
2012-11-05
[102]
웹사이트
Publications
http://www.aes.org/p[...]
2012-11-05
[103]
서적
The Digital Dilemma: Strategic Issues in Archiving and Accessing Digital Motion Picture Material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104]
서적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on the challenges for European film heritage from the analogue and the digital era: Third implementation report of the 2005 EP and Council Recommendation on Film Heritage
http://ec.europa.eu/[...]
[105]
서적
The Digital Dilemma 2: Perspectives from Independent Filmmakers, Documentarians and Nonprofit Audiovisual Archives: Nonprofit Audiovisual Archives section
http://www.oscars.or[...]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the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106]
웹사이트
Digital Video Preservation
https://siarchives.s[...]
2017-04-26
[107]
웹사이트
A short guide to choosing a digital format for video archiving masters {{!}} Scart - a website on audiovisual heritage by packed
https://www.scart.be[...]
2019-05-06
[108]
논문
'Separate but Equal?': Bolstering Audiovisual Preservation.
https://www.degruyte[...]
2014-04
[109]
웹사이트
Moving Images
http://www.digitalpr[...]
[110]
웹사이트
Federal Agencies Digitization Guidelines Initiative
http://www.digitizat[...]
2013-03-05
[111]
웹사이트
PrestoCentre
https://www.prestoce[...]
[112]
논문
Video Preservation for the Millennia
http://www.amiatechr[...]
2012-03-21
[113]
웹사이트
Preservation Digitisation Standards {{!}} naa.gov.au
https://www.naa.gov.[...]
2021-11-10
[114]
웹사이트
A Primer on Codecs for Moving Image and Sound Archives & 10 Recommendations for Codec Selection and Management
https://www.ischool.[...]
2022-03-28
[115]
논문
Codecs primer for archives
2010-04-01
[116]
웹사이트
Choosing a format/codec for digitising audio or video
https://www.records.[...]
2019-05-06
[117]
웹사이트
Video Digital Product Options
https://www.archives[...]
2019-05-06
[118]
웹사이트
Creating and Archiving Born Digital Video Part III. High Level Recommended Practices
http://www.digitizat[...]
2022-03-28
[119]
간행물
Reshaping the Repository: The Challenge of Email Archiving.
http://www.ifs.tuwie[...]
2010
[120]
보고서
Technology Watch Report 11-01: Preserving Email
http://www.dpconline[...]
2013-02-18
[121]
논문
Curating E-Mails: A Life-cycle Approach to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E-mail Messages
http://www.dcc.ac.uk[...]
2013-02-18
[122]
서적
Best Practices: Email Archiving
http://www.usdatavau[...]
Forrester Research, Inc
[123]
웹사이트
Where Games Go To Sleep: The Game Preservation Crisis, Part 1
http://www.gamasutra[...]
2013-01-10
[124]
웹사이트
7th Framework Programm [ICT-2007.4.3 Digital libraries and technology-enhanced learning]
http://cordis.europa[...]
2009-11-30
[125]
서적
Preserving Complex Digital Objects
Facet
[126]
웹사이트
Resource Center: Caring For Your Treasures
http://www.conservat[...]
2013-03-05
[127]
웹사이트
Personal Archiving - Digital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
http://www.digitalpr[...]
[128]
웹사이트
Muse
http://mobisocial.st[...]
2013-03-06
[129]
뉴스
Dozens of scientific journals have vanished from the internet, and no one preserved them
https://www.science.[...]
2020-10-11
[130]
뉴스
More than 100 scientific journals have disappeared from the Internet
https://www.nature.c[...]
2020-10-11
[131]
논문
Open is not forever: A study of vanished open access journals
[132]
웹사이트
Open access journals are vanishing from the web, Internet Archive stands ready to fill in the gaps
https://www.theregis[...]
2020-09-10
[133]
논문
Digital Preservation of Historical Building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2012
[134]
논문
Digital Preservation of a Historical Building - the 3D As-built Scan of Don Nan-Kuan House
2009
[135]
논문
Methodology for Digital Preservation of the Cultural and Patrimonial Heritage: Generation of a 3D Model of the Church St. Peter and Paul (Calw, Germany) by Using Laser Scanning and Digital Photogrammetry
2018
[136]
웹사이트
Digital Preservation Outreach & Education
http://www.digitalpr[...]
Library of Congress
2013-03-06
[137]
웹사이트
Curriculum - Digital Preservation Outreach and Education - Digital Preservation - Library of Congress
http://www.digitalpr[...]
[138]
웹사이트
DPOE - Digital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
http://www.digitalpr[...]
[139]
웹사이트
Open Source versus Commercial Solutions for a Long-term Preservation in Digital Repositories
http://www.knihovna.[...]
University of West Bohemia
2012-10-25
[140]
뉴스
Buried deep in the ice is the GitHub code vault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08-13
[141]
웹사이트
Introduction: Definitions and Concepts
http://www.dpconline[...]
York, UK
2012-02-24
[142]
서적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Web content
Springer
[143]
간행물
The Challenges of Digital Preservation
Library of Parliament, Ottawa
2008-12
[144]
뉴스
Definitions of Digital Preservation
http://www.ala.org/a[...]
2018-03-09
[145]
서적
Harrod's librarians' glossary and reference book
Routledge
2016
[146]
웹사이트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lossary - selection
http://www2.archivis[...]
2014-10-08
[147]
웹사이트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lossary - appraisal
http://www2.archivis[...]
2014-10-08
[148]
웹사이트
InterPARES 2 Project
http://www.interpare[...]
2014-10-08
[149]
웹사이트
InterPARES 2 Chain of Preservation Model
http://www.interpare[...]
2014-10-08
[150]
웹사이트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lossary - macro-appraisal
http://www2.archivis[...]
2014-10-08
[151]
논문
A First Look at the Acquisition and Appraisal of the 2010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Fonds: or, SELECT * FROM VANOC_Records AS Archives WHERE Value="true";
http://journals.sfu.[...]
2014-10-08
[152]
웹사이트
Paradigm (Personal Archives Accessible in Digital Media): Appraising digital records: a worthwhile exercise?
http://www.paradigm.[...]
2014-10-08
[153]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Recommended Format Specifications
https://www.loc.gov/[...]
2014-10-08
[154]
논문
Understanding Metadata and Metadata Schemes
http://www.niso.org/[...]
National Information Standards Organization
2005
[155]
논문
Understanding Metadata and Metadata Schemes
http://www.niso.org/[...]
National Information Standards Organization
2005
[156]
논문
Video Preservation and Digital Reformatting: Pain and Possibility.
[157]
웹사이트
Managing
http://www.jiscdigit[...]
Jisc Digital Media
2014-10-08
[158]
웹사이트
Glossary
https://www.cessda.e[...]
2022-03-28
[159]
웹사이트
Digital Preservation Policy
https://www.naa.gov.[...]
2022-03-28
[160]
웹사이트
Preservation Events Concept: fixity check
https://www.loc.gov/[...]
2024-03-31
[161]
문서
Testing Software Tools of Potential Interest for Digital Preservation Activities at th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http://www.openplane[...]
[162]
웹사이트
10.0 Best Practices for Technical Metadata
http://www.library.i[...]
2024-04-03
[163]
문서
Defining digital sustainability
2007
[164]
웹사이트
Sustainability of Digital Resources
http://www.tasi.ac.u[...]
2008
[165]
웹사이트
Towards a Theory of Digital Preservation
http://ijdc.net/inde[...]
2008
[166]
웹사이트
Electronic Archives Preservation Policy
http://wiki.lib.sun.[...]
[167]
웹사이트
Scouring of the White Horse
http://blogs.law.har[...]
Harvard University
2024-04-03
[168]
서적
Library Beyond the Book
Harvard University Press
[169]
웹사이트
Identifying Threats to Successful Digital Preservation: the SPOT Model for Risk Assessment
http://www.dlib.org/[...]
2024-04-03
[170]
논문
Defining File Format Obsolescence: A Risky Journey
http://www.ijdc.net/[...]
2008-08-06
[171]
웹사이트
Recommended Preservation Formats for Electronic Records
https://siarchives.s[...]
2019-04-29
[172]
웹사이트
Sustainability Factors
http://www.digitalpr[...]
2024-04-03
[173]
웹사이트
The Significant Properties of Digital Objects
http://www.jisc.ac.u[...]
2022-03-28
[174]
논문
Significant Properties of Digital Objects: Definitions, Applications, Implications
http://www.ils.unc.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Schoo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2002
[175]
웹사이트
InterPARES 2 Terminology Database - authenticity
http://www.interpare[...]
2014-10-08
[176]
웹사이트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lossary - accuracy
http://www2.archivis[...]
2014-10-08
[177]
간행물
PREMIS Data Dictionary (full document), Version 3.0
https://www.loc.gov/[...]
[178]
서적
Digital Preservation Metadata for Practitioners
[179]
서적
On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rchiving in the Digital Age
[180]
서적
Preserving digital information: Report of the task force on archiving of digital information
http://www.clir.org/[...]
CLIR
2012-11-15
[181]
웹사이트
Principles and Good Practice for Preserving Data. IHSN Working Paper No 003
http://www.surveynet[...]
International Household Survey Network
2009-12
[182]
서적
Preserving Digital Materials
Berlin, K. G. Saur
[183]
학술지
Preservation in the Age of Google: Digitization, Digital Preservation, and Dilemmas
https://deepblue.lib[...]
[184]
서적
Digital Curation
Neal-Schuman Publishers
[185]
웹사이트
Digital Preservation Management: Implementing Short-term Strategies for Long-term Problems
http://dpworkshop.or[...]
Cornell University Library
2005
[186]
웹사이트
Trusted Digital Repositories: Attributes and Responsibilities
http://www.oclc.org/[...]
Research Libraries Group
2002
[187]
학술지
Trustworthy 100-year digital objects: Evidence after every witness is dead
[188]
학회자료
Principle-based concepts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records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89]
웹사이트
Resource Center: Caring For Your Treasures
http://www.conservat[...]
2013
[190]
학술지
InterPARES: The Search for Authenticity in Electronic Records
[191]
학술지
The InterPARES 3 Project: Implementing Digital Records Preservation in a Contemporary Art Gallery and Ethnographic Museum
http://www.interpare[...]
[192]
간행물
Changing Trains at Wigan: Digital Preservation and the Future of Scholarship
http://www.bl.uk/abo[...]
British Library (National Preservation Office)
[193]
학술지
Systematic planning for digital preservation
[194]
학위논문
Web Archiving Environmental Scan
http://nrs.harvard.e[...]
Harvard Library
2022-03-28
[195]
웹사이트
Where Games Go To Sleep: The Game Preservation Crisis, Part 1
http://www.gamasutra[...]
2011-01-27
[196]
학회자료
Digital Preservation, an Overview.
[197]
서적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Web content
Springer, Berlin
[198]
웹사이트
Preservation Storage Criteria, Version 2
https://docs.google.[...]
2024-04-03
[199]
웹사이트
Internet Archive Gets DMCA Exemption To Help Archive Vintage Software
https://archive.org/[...]
[200]
웹사이트
The Internet Archive Classic Software Preservation Project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201]
학술지
Exemption to Prohibition on Circumvention of Copyright Protection Systems for Access Control Technologies
http://www.copyright[...]
2006-11-27
[202]
학술지
Exemption to Prohibition on Circumvention of Copyright Protection Systems for Access Control Technologies
http://www.copyright[...]
2009-10-28
[203]
웹사이트
Buried deep in the ice is the GitHub code vault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08-12
[204]
서적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Web content
Springer, Berlin
[205]
간행물
Update on the Twitter Archive At the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6]
웹사이트
Key Twitter and Facebook Metadata Fields Forensic Investigators Need to be Aware of
http://articles.fore[...]
2012-04-25
[207]
웹사이트
Sustainable Economics for a Digital Planet: Ensuring Long-Term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final report
http://brtf.sdsc.edu[...]
La Jolla, Calif.
[208]
웹사이트
Buried deep in the ice is the GitHub code vault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08-12
[209]
간행물
OCLC Digital Archive Preservation Policy and Supporting Documentation
https://wiki.lib.sun[...]
2006
[210]
웹사이트
Digital Preservation Management: Implementing Short-term Strategies for Long-term Problems
http://dpworkshop.or[...]
Cornell University Library
2005
[211]
서적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Web content
Springer, Berlin
2006
[212]
웹사이트
Long-term Digital Storage: Simple Steps to Get Started
http://www.historyas[...]
2013-09-23
[213]
논문
Emulation for Digital Preservation in Practice: The Results
http://www.ijdc.net/[...]
2007-12-11
[214]
서적
Avoiding Technological Quicksand: Finding a Viable Technical Foundation for Digital Preservation
http://www.clir.org/[...]
Council on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215]
간행물
Long Term Preservation of Digital Information
[216]
간행물
Dioscuri: emulator for digital preservation
http://www.dlib.org/[...]
[217]
웹사이트
Salman Rushdie's Digital Life
http://marbl.library[...]
[218]
서적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Web content
Springer, Berlin
2006
[219]
웹사이트
SOLUTIONS WALKTHROUGH REPORT
http://www.ifs.tuwie[...]
Department of Information Systems University of Minho
2016-02-16
[220]
문서
Digital Preservation: Planning, Process and Approaches for Libraries
Jaypee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221]
서적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Web content
Springer, Berlin
2006
[222]
문서
Persistent Archive Research Group
2003-12-25
[223]
웹사이트
A Framework of Guidance for Building Good Digital Collections, 3rd edition
http://www.niso.org/[...]
2007
[224]
웹사이트
NINCH Guide to Good Practice in the Digital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Materials
http://www.nyu.edu/i[...]
2002
[225]
웹사이트
Center for Research Libraries – Other Assessment Tools
http://www.crl.edu/a[...]
2012-09-06
[226]
웹사이트
Trustworthy Repository Audit & Certification: Criteria & Checklist
http://www.crl.edu/s[...]
2012-04-16
[227]
웹사이트
Service level agreements for storage and preservation, p.13.
http://www.prestocen[...]
2012-05-01
[228]
간행물
The Digital Repository Audit Method Based on Risk Assessment (DRAMBORA)
http://www.repositor[...]
DigitalPreservationEurope and Digital Curation Centre
[229]
논문
Bringing Self Assessment Home: Repository Profiling and Key Lines of Enquiry Within DRAMBORA
[230]
간행물
Report on Peer Review of Digital Repositories
http://www.alliancep[...]
2012-10-08
[231]
서적
Research and Advanced Technology for Digital Libraries
Springer Berlin / Heidelberg
[232]
웹사이트
Assessment of Trustworthiness of Digital Archives
http://www.peerproje[...]
2012-10-02
[233]
웹사이트
Welcome to Planets
http://www.planets-p[...]
2022-03-28
[234]
웹사이트
The Open Planets Foundation
http://www.openplane[...]
2011-12-07
[235]
웹사이트
Open Planets Foundation, Becky McGuinness's blog
http://www.openplane[...]
2014-10-08
[236]
웹사이트
DPE Repository Planning Checklist and Guidance DPED3.2
http://www.digitalpr[...]
2012-06-24
[237]
웹사이트
Preservation and Curation in Institutional Repositories (version 1.3)
http://www.dcc.ac.uk[...]
Edinburgh, UK: Digital Curation Centre
2012-06-24
[238]
웹사이트
ISO 16363:2012
http://www.iso.org/i[...]
2016-10-19
[239]
간행물
Audit and Certification of Trustworthy Digital Repositories
http://public.ccsds.[...]
CCSDS
2011-09
[240]
서적
Aligning National Approaches to Digital Preservation
Atlanta, GA: Educopia Institute
[241]
웹사이트
ISO 16919:2014
http://www.iso.org/i[...]
2016-10-19
[242]
웹사이트
Sound Directions: Best Practices for Audio Preservation
http://www.dlib.indi[...]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and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2012-10-30
[243]
웹사이트
Networking for Digital Preservation: Current Practice in 15 National Libraries
http://www.ifla.org/[...]
K.G. Saur, Munich
2012-10-30
[244]
웹사이트
Tools Showcase - Digital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
http://www.digitalpr[...]
2024-04-03
[245]
웹사이트
Community Owned digital Preservation Tool Registry (COPTR)
http://coptr.digipre[...]
2024-04-03
[246]
웹사이트
Guidelines on the Production and Preservation of Digital Audio Objects
http://www.iasa-web.[...]
2015-05-01
[247]
웹사이트
Publication 137: Capturing Analog Sound for Digital Preservation: Report of a Roundtable Discussion of Best Practices for Transferring Analog Discs and Tapes
http://www.clir.org/[...]
2012-09-06
[248]
웹사이트
Digital Audio Best Practices (Version 2.1)
http://www.mndigital[...]
Aurora, Colorado
2012-10-30
[249]
웹사이트
Sound Directions: Best Practices for Audio Preservation
http://www.dlib.indi[...]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and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2012-10-30
[250]
웹사이트
Preserving Historic Audio Content: Developing Infrastructures and Practices for Digital Conversion. Final Report to the Andrew W. Mellon Foundation
https://library.colu[...]
2012-10-30
[251]
논문
Hathi Trust and the Challenge of Digital Audio
http://www.hathitrus[...]
2012-11-05
[252]
웹사이트
Publications
http://www.aes.org/p[...]
2012-11-05
[253]
서적
The Digital Dilemma: Strategic Issues in Archiving and Accessing Digital Motion Picture Material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254]
서적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on the challenges for European film heritage from the analogue and the digital era: Third implementation report of the 2005 EP and Council Recommendation on Film Heritage
http://ec.europa.eu/[...]
[255]
서적
The Digital Dilemma 2: Perspectives from Independent Filmmakers, Documentarians and Nonprofit Audiovisual Archives: Nonprofit Audiovisual Archives section
http://www.oscars.or[...]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the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56]
웹사이트
Digital Video Preservation
https://siarchives.s[...]
2017-04-26
[257]
웹사이트
A short guide to choosing a digital format for video archiving masters {{!}} Scart - a website on audiovisual heritage by packed
https://www.scart.be[...]
2019-05-06
[258]
논문
'Separate but Equal?': Bolstering Audiovisual Preservation.
https://www.degruyte[...]
2014-04
[259]
웹사이트
Moving Images
http://www.digitalpr[...]
2024-04-03
[260]
서적
The Digital Dilemma 2: Perspectives from Independent Filmmakers, Documentarians and Nonprofit Audiovisual Archives: Nonprofit Audiovisual Archives section
http://www.oscars.or[...]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the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61]
웹사이트
PrestoCentre
https://www.prestoce[...]
2024-04-03
[262]
논문
Video Preservation for the Millennia
http://www.amiatechr[...]
2013-03-21
[263]
웹사이트
Preservation Digitisation Standards
https://www.naa.gov.[...]
2021-11-10
[264]
웹사이트
A Primer on Codecs for Moving Image and Sound Archives & 10 Recommendations for Codec Selection and Management
https://www.ischool.[...]
2010-04
[265]
논문
Codecs primer for archives
2010-04-01
[266]
웹사이트
A short guide to choosing a digital format for video archiving masters {{!}} Scart - a website on audiovisual heritage by packed
https://www.scart.be[...]
2019-05-06
[267]
웹사이트
Choosing a format/codec for digitising audio or video
https://www.records.[...]
2015-11-10
[268]
웹사이트
Choosing a format/codec for digitising audio or video
https://www.records.[...]
2015-11-10
[269]
웹사이트
Video Digital Product Options
https://www.archives[...]
2019-05-06
[270]
웹사이트
A short guide to choosing a digital format for video archiving masters {{!}} Scart - a website on audiovisual heritage by packed
https://www.scart.be[...]
2019-05-06
[271]
웹사이트
Digital Video Preservation
https://siarchives.s[...]
2017-04-26
[272]
웹사이트
A short guide to choosing a digital format for video archiving masters {{!}} Scart - a website on audiovisual heritage by packed
https://www.scart.be[...]
2019-05-06
[273]
웹사이트
Creating and Archiving Born Digital Video Part III. High Level Recommended Practices
http://www.digitizat[...]
2014-12-02
[274]
웹사이트
Recommended Preservation Formats for Electronic Records
https://siarchives.s[...]
2017-04-26
[275]
웹사이트
Video Digital Product Options
https://www.archives[...]
2019-05-06
[276]
간행물
Reshaping the Repository: The Challenge of Email Archiving.
http://www.ifs.tuwie[...]
[277]
보고서
Technology Watch Report 11-01: Preserving Email
http://www.dpconline[...]
2013-02-18
[278]
논문
Curating E-Mails: A Life-cycle Approach to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E-mail Messages
http://www.dcc.ac.uk[...]
2013-02-18
[279]
보고서
Technology Watch Report 11-01: Preserving Email
http://www.dpconline[...]
2013-02-18
[280]
서적
Best Practices: Email Archiving
http://www.usdatavau[...]
Forrester Research, Inc
[281]
웹사이트
7th Framework Programm [ICT-2007.4.3 Digital libraries and technology-enhanced learning]
http://cordis.europa[...]
2009-11-30
[282]
서적
Preserving Complex Digital Objects
Facet
[283]
웹사이트
Resource Center: Caring For Your Treasures
http://www.conservat[...]
2013-03-05
[284]
웹사이트
Personal Archiving - Digital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
http://www.digitalpr[...]
2024-04-03
[285]
웹사이트
Muse
http://mobisocial.st[...]
2013-03-06
[286]
뉴스
Dozens of scientific journals have vanished from the internet, and no one preserved them
https://www.science.[...]
2020-10-11
[287]
뉴스
More than 100 scientific journals have disappeared from the Internet
https://www.nature.c[...]
2020-10-11
[288]
간행물
Open is not forever: A study of vanished open access journals
[289]
웹사이트
Open access journals are vanishing from the web, Internet Archive stands ready to fill in the gaps
https://www.theregis[...]
2024-04-03
[290]
간행물
Digital Preservation of Historical Building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291]
간행물
Digital Preservation of a Historical Building - the 3D As-built Scan of Don Nan-Kuan House
[292]
간행물
Methodology for Digital Preservation of the Cultural and Patrimonial Heritage: Generation of a 3D Model of the Church St. Peter and Paul (Calw, Germany) by Using Laser Scanning and Digital Photogrammetry
[293]
웹사이트
Digital Preservation Outreach & Education
http://www.digitalpr[...]
Library of Congress
2013-03-06
[294]
웹사이트
Curriculum - Digital Preservation Outreach and Education - Digital Preservation - Library of Congress
http://www.digitalpr[...]
2024-04-03
[295]
웹사이트
DPOE - Digital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
http://www.digitalpr[...]
2024-04-03
[296]
웹사이트
Open Source versus Commercial Solutions for a Long-term Preservation in Digital Repositories
http://www.knihovna.[...]
University of West Bohemia
2012-10-25
[297]
뉴스
Buried deep in the ice is the GitHub code vault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08-13
[298]
간행물
"빅데이터를 둘러싼 전유 싸움: 디지털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299]
간행물
"빅데이터를 둘러싼 전유 싸움: 디지털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300]
간행물
"빅데이터를 둘러싼 전유 싸움: 디지털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301]
간행물
"빅데이터를 둘러싼 전유 싸움: 디지털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