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하이드로아미노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하이드로아미노산은 아미노산의 유도체로, 일반적으로 디하이드로알라닌이 대표적이며 단백질과 펩타이드의 잔기로 존재한다.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등으로부터 탈수 반응 또는 황화 수소 제거 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일반적인 아미노산과 달리 친핵체에 대해 반응성이 있으며, 시스테인, 리신 등과 반응하여 공유 결합을 형성한다. 디하이드로글리신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없는 특이한 형태이며, 글리옥실산의 이민 형태이거나 티로신의 라디칼 유도 분해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N-아실화 유도체는 비대칭적 수소화 반응을 위한 프로카이랄 기질로 사용되며, L-도파 합성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미노산 - 시스테인
    시스테인은 설프하이드릴기를 가진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단백질 구성 성분이며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고 식품, 제약,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활용된다.
  • 아미노산 - 필수 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은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며,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고 결핍 시 건강 문제를 일으키며, 식품의 단백질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디하이드로아미노산
일반 정보
이름디하이드로아미노산
약칭Dha
구조
기본 구조α,β-불포화 아미노산
특징α-탄소와 β-탄소 사이에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음.
단백질과 펩타이드에서 발견되는 비표준 아미노산
화학적 특성
반응성마이클 부가 반응에 참여 가능
다양한 친핵체와 반응하여 새로운 아미노산 유도체 형성 가능
활용펩타이드 및 단백질의 화학적 변형에 사용
약물 개발 및 생체 활성 분자 합성
종류
주요 종류디하이드로알라닌 (Dha)
디하이드로페닐알라닌 (Dhp)
디하이드로류신
합성
합성 방법세린 또는 트레오닌 유도체의 제거 반응
아미노산의 탈수소화 반응
생물학적 역할
역할특정 펩타이드 항생 물질의 구성 성분
단백질의 구조적 및 기능적 다양성에 기여
추가 정보
참고 자료Bogart, Jonathan W.; Bowers, Albert A. (2019). "Dehydroamino Acids: Chemical Multi-Tools for Late-Stage Diversification". Organic & Biomolecular Chemistry. 17 (15): 3653–3669. doi:10.1039/c8ob03155j

2. 예

일반적인 디하이드로아미노산의 예로는 디하이드로알라닌과 디하이드로뷰티린 등이 있다. 디하이드로알라닌 잔기는 주로 단백질이나 펩타이드 내에서 세린의 탈수 반응 또는 시스테인으로부터 황화 수소(H2S) 제거를 통해 생성된다. 디하이드로뷰티린은 트레오닌의 탈수 반응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디하이드로아미노산 잔기는 일반 아미노산 잔기와 달리 친핵체와 반응하여 공유 결합가교를 형성하기도 한다.[10][2][6]

특이한 예로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 대신 이민 구조를 가지는 디하이드로글리신이 있다. 이는 티로신의 라디칼 유도 분해 과정에서 생성된다.[11][3][7]

2. 1. 디하이드로알라닌

디하이드로알라닌은 일반적인 디하이드로아미노산 중 하나이며, 주로 단백질이나 펩타이드 내의 잔기 형태로만 존재한다. 이 잔기는 세린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에서 물 분자가 빠져나가는 탈수 반응을 통해 생성되거나, 시스테인 잔기에서 황화 수소(H2S)가 제거되면서 만들어진다.

일반적인 아미노산 잔기들은 친핵체에 대해 반응성이 낮지만, 디하이드로알라닌 잔기는 예외적으로 반응성이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테인이나 리신과 같은 친핵성 아미노산 잔기와 반응하여 공유 결합가교를 형성할 수 있다.[6]

란티오닌은 시스테인 잔기가 디하이드로알라닌 잔기에 첨가되어 형성된 가교 구조의 예이다.

2. 2. 디하이드로뷰티린

데히드로부티린은 디하이드로아미노산의 한 종류이다. 아미노산인 트레오닌의 탈수 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2. 3. 디하이드로글리신

디하이드로글리신(Dehydroglycine, DHG)은 다른 디하이드로아미노산과는 달리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특이한 경우이다.[7] 대신 글리옥실산이민 형태를 띤다. 디하이드로글리신은 티로신이 라디칼 유도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7][3][11]

3. ''N''-아실화 유도체

디하이드로아미노산 자체는 아미노-알켄 작용기를 가지지 않지만, 이에 해당하는 ''N''-아실화 유도체는 알려져 있다.[12][13][4][5][8][9] ''N''-아실아미노 아크릴레이트라고도 불리는 이 유도체들은 비대칭적 수소화 반응을 위한 프로키랄 기질로 사용된다.[12][13][4][5][8][9]

3. 1. 비대칭 수소화 반응과 L-도파 합성

디하이드로아미노산 자체는 아미노-알켄 작용기를 가지지 않지만, 이들의 ''N''-아실화 유도체는 잘 알려져 있다. ''N''-아실아미노 아크릴레이트라고도 불리는 이 유도체들은 비대칭적 수소화 반응을 위한 프로키랄 기질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로, 윌리엄 스탠디시 놀스는 ''N''-아실아크릴레이트로부터 L-도파(L-DOPA)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이 업적으로 200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12][13][4][5][8][9]

C2-대칭 다이포스핀을 사용한 수소화 반응을 통한 L-도파 합성

참조

[1] 논문 Dehydroamino Acids: Chemical Multi-Tools for Late-Stage Diversification
[2] 논문 α,β-Dehydroamino Acids in Naturally Occurring Peptides
[3] 논문 Radical S-Adenosylmethionine Enzymes
[4] 논문 Asymmetric hydrogenation
[5] 논문 Application of organometallic catalysis to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L-DOPA 1986-03
[6] 논문 α,β-Dehydroamino Acids in Naturally Occurring Peptides
[7] 논문 Radical S-Adenosylmethionine Enzymes
[8] 논문 Asymmetric hydrogenation
[9] 논문 Application of organometallic catalysis to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L-DOPA 1986-03
[10] 논문 α,β-Dehydroamino Acids in Naturally Occurring Peptides
[11] 논문 Radical S-Adenosylmethionine Enzymes
[12] 논문 Asymmetric hydrogenation
[13] 논문 Application of organometallic catalysis to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L-DOPA 198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