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옥실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옥실산은 카보닐기를 가진 알데히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물과 반응하여 수화물 또는 이량체 형태로 존재하며, 헨리의 법칙 상수를 가진다. 과거에는 옥살산의 전기합성 또는 글리옥살의 산화, 말레산의 오존 분해를 통해 제조되었다. 생물학적으로는 글리옥실산 회로의 대사 중간 생성물로, 지방산을 탄수화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하며, 광호흡 경로에도 관여한다. 제2형 당뇨병의 조기 지표, 신장 결석증의 원인인 고옥살산뇨증과 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반응을 통해 헤테로고리 화합물, 페놀 유도체, 홉킨스-콜 반응 시약으로 사용된다. 또한, 환경 화학 및 헤어 스트레이트너 시술에 사용되나, 과다 노출 시 급성 신장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데하이드산 - 알라이신
- 알데하이드산 - 엘레놀산
엘레놀산은 정치적 입장, 사회적 영향, 한국 관련 정보 등이 보고된 바 없는 물질이다. - 공액 알데하이드 - 글리옥살
글리옥살은 화학식 (CHO)2를 갖는 가장 간단한 디알데히드 유기 화합물로, 코팅지, 섬유 마감의 가교제, 유기 합성 구성 요소 등으로 사용되며, 최종 당화 생성물 및 DNA 손상과 관련되어 있고, 변이원성을 가지므로 취급 시 주의해야 한다. - 공액 알데하이드 - 시트랄
시트랄은 여러 식물 기름에서 발견되는 강한 레몬 향의 성분으로, 향료 및 식품 첨가물, 비타민 A와 이오논 합성에 사용되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유기 화합물 - 아세트산
아세트산(CH₃COOH)은 식초의 주성분인 카르복실산으로, 다양한 화학적 합성법과 발효법으로 대량 생산되며, 산업 및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고농도에서는 부식성이 강해 주의해야 한다. - 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유기 화합물 - 아세틸렌
아세틸렌은 두 개의 탄소 원자가 삼중 결합으로 연결된 가장 간단한 알킨으로, 높은 연소 온도 덕분에 용접과 절단에 사용되지만 폭발 위험성 때문에 아세톤에 용해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되며, 화학 물질의 전구체나 생물학적, 천문학적 환경에서도 발견된다.
글리옥실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IUPAC 명명법 | 옥소에탄산 |
다른 이름 | 글리옥실산 2-옥소아세트산 포르밀포름산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298-12-4 |
PubChem CID | 760 |
베일슈타인 레지스트리 번호 | 741891 |
ChEBI | 16891 |
ChEMBL | 1162545 |
ChemSpider ID | 740 |
DrugBank | DB04343 |
EINECS | 206-058-5 |
Gmelin | 25752 |
KEGG | C00048 |
UNII | JQ39C92HH6 |
InChI | 1/C2H2O3/c3-1-2(4)5/h1H,(H,4,5) |
InChIKey | HHLFWLYXYJOTON-UHFFFAOYAU |
표준 InChI | 1S/C2H2O3/c3-1-2(4)5/h1H,(H,4,5) |
표준 InChIKey | HHLFWLYXYJOTON-UHFFFAOYSA-N |
SMILES | C(=O)C(=O)O |
특성 | |
분자식 | C₂H₂O₃ |
몰 질량 | 74.04 g mol⁻¹ |
녹는점 | 80 °C |
끓는점 | 111 °C |
밀도 | 1.384 g/mL |
pKa | 3.18, 3.32 |
관련 화합물 | |
관련 음이온 | 글리옥실산염 |
관련 작용기 | 카복실산 |
관련 화합물 | 포름산 아세트산 글리콜산 옥살산 프로피온산 피루브산 |
기타 화합물 | 아세트알데하이드 글리옥살 글리콜알데하이드 |
2. 구조 및 명명법
글리옥실산은 알데하이드 작용기와 카복실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유기 화합물이다. 구조식 상으로는 알데하이드 형태를 나타내지만, 실제 존재하는 환경, 특히 수용액 상태에서는 단순한 알데하이드 형태 외에도 수화물이나 고리형 이량체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5][7] 또한, 분리된 상태에서는 분자 내 수소 결합을 통해 특정 배좌 이성질체를 형성하기도 한다.[8] 이러한 다양한 구조적 형태와 평형 관계는 글리옥실산의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글리옥실산의 용해도와 관련된 헨리 법칙 상수 값도 알려져 있다.[9]
2. 1. 수화물 및 이량체
글리옥실산의 구조는 카보닐(알데하이드 작용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알데하이드는 일부 상황에서만 주된 형태의 일부 성분일 뿐이다. 대신 글리옥실산은 종종 수화물 또는 고리형 이량체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물이 존재하면 카보닐기는 젬다이올(이를 "일수화물"이라고 함)로 빠르게 전환된다. 실온에서 '''디히드록시아세트산''' 형성의 평형 상수(''K'')는 300이다.[5] 디히드록시아세트산의 구조는 X선 결정학을 통해 밝혀졌다.[6]
수용액에서 이 일수화물은 헤미아실알 이량체 형태와 평형을 이룬다.[7]

분리된 상태에서 알데하이드 구조는 알데하이드 카보닐이 카복실 수소와 가까이 위치하며 고리형 수소 결합 구조를 이루는 배좌 이성질체가 주요 형태이다.[8]

글리옥실산의 헨리 법칙 상수는 KH = 1.09 × 104 × exp[(40.0 × 103/R) × (1/T − 1/298)]이다.[9]
2. 2. 고리형 구조
글리옥실산의 구조는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가진 것으로 설명되지만, 알데하이드 형태는 특정 조건에서만 존재하는 일부 성분일 뿐이다. 대신 글리옥실산은 종종 수화물이나 고리형 이량체 형태로 존재한다.[41][5]물이 있는 환경에서는 카보닐기가 빠르게 젬다이올 구조로 전환되는데, 이를 '일수화물' 또는 '''디히드록시아세트산'''이라고 부른다. 실온에서 디히드록시아세트산이 형성되는 반응의 평형 상수(''K'')는 300이다.[41][5] 이 디히드록시아세트산의 구조는 X선 결정학을 통해 밝혀졌다.[6]
수용액 상태에서 이 일수화물(디히드록시아세트산)은 다시 헤미아세탈(또는 헤미아실알) 형태의 이량체와 평형 상태를 이룬다.[42][7]
한편, 글리옥실산 분자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알데하이드의 카보닐기와 카복실기의 수소 원자가 서로 가까이 위치하며 분자 내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고리형 구조가 주요 형태이성질체(또는 배좌 이성질체)로 존재한다.[43][8]
글리옥실산의 헨리의 법칙 상수는 KH = 1.09 × 104 × exp[(40.0 × 103/R) × (1/T − 1/298)]이다.[44][9]
3. 제조
글리옥실산은 옥살산의 전기합성, 글리옥살의 산화, 말레산의 오존 분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3. 1. 옥살산의 전기합성

과거에 글리옥실산은 옥살산으로부터 전기합성적으로 제조되었다.[45][46] 유기 합성에서는 황산 전해질에서 이산화 납 음극을 사용하여 옥살산으로부터 글리옥실산을 만들었다.[47]
3. 2. 글리옥살의 산화
뜨거운 질산은 글리옥살을 글리옥실산으로 산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반응은 매우 발열적이며 열 폭주가 일어나기 쉽고, 옥살산이 주요 부산물로 생성된다.3. 3. 말레산의 오존분해
또한, 오존 분해에 의한 말레산의 분해도 효과적인 글리옥실산 제조 방법이다.[42][7]4. 생물학적 역할
글리옥실산은 여러 중요한 생물학적 경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대사 중간생성물이다.
세균,[48][13] 균류, 식물[49][14] 등에서 지방산을 탄수화물로 전환하는 글리옥실산 회로의 핵심 대사 중간생성물이다. 이 회로는 생물이 저장된 지방을 에너지원이나 다른 생합성 경로의 전구체로 활용할 수 있게 하며, 특히 식물에서는 곰팡이 감염에 대한 방어 기작 유도에도 관여한다.[50][15]
또한, 글리옥실산은 식물의 광호흡 경로에서도 중요한 중간체이다. 광호흡은 루비스코(RuBisCO)가 CO2 대신 O2와 반응할 때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독성 부산물인 포스포글리콜산을 처리하고 탄소를 회수하는 데 글리옥실산이 관여한다.[19][20]
글리옥실산은 주로 퍼옥시좀에서 글리콜산의 산화나 미토콘드리아에서 하이드록시프롤린의 이화대사를 통해 생성된다.[52][17] 생성된 글리옥실산은 세포 내 다양한 효소 반응을 거쳐 글리신, 옥살산, 글리콜산 등으로 전환되어 세포 대사에 이용된다.[53][18]
4. 1. 글리옥실산 회로
글리옥실산은 글리옥실산 회로의 대사 중간생성물이다.[48][13] 이 회로는 세균, 균류(곰팡이), 식물[49][14]과 같은 생물이 지방산을 탄수화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글리옥실산 회로는 곰팡이에 대한 식물의 방어 기작 유도에도 중요하다.[50][15] 글리옥실산 회로는 아이소시트르산을 글리옥실산과 석신산으로 전환시키는 아이소시트르산 분해효소의 활성을 통해 시작된다. 현재 석신산 생합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이 경로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51][16]4. 2. 사람에서의 대사
AGT1 및 AGT2: 알라닌-글리옥실산 아미노기 전이효소 1 및 2GO: 글리콜산 산화효소
GR: 글리옥실산 환원효소
HKGA: 4-하이드록시-2-케토글루타르산 분해효소
LDH: 젖산 탈수소효소]]
글리옥실산은 크게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생성된다. 하나는 퍼옥시좀에서 글리콜산의 산화를 통해 생성되고, 다른 하나는 미토콘드리아에서 하이드록시프롤린의 이화대사를 통해 생성된다.[52]
생성된 글리옥실산은 다음과 같이 대사된다.
- 퍼옥시좀: AGT1(알라닌:글리옥실산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1)에 의해 글리신으로 전환되거나, 글리콜산 산화효소(GO)에 의해 옥살산으로 전환된다.
- 미토콘드리아: AGT2(알라닌:글리옥실산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 2)에 의해 글리신으로 전환되거나, 글리옥실산 환원효소(GR)에 의해 글리콜산으로 전환된다.
- 세포질: 소량의 글리옥실산은 젖산 탈수소효소(LDH)에 의해 옥살산으로 전환된다.[53]
4. 3. 식물에서의 광호흡
GGAT: 글리옥실산:글루탐산 아미노전이효소, GLYK: 글리세르산 키나아제, GO: 글리콜산 산화효소, HPR: 하이드록시피루브산 환원효소, PGLP: 포스포글리콜산 포스파타아제, Rubisco: 리불로스-1,5-비스인산 카복실레이스/옥시제네이스, SGAT: 세린:글리옥실산 아미노전이효소, SHM: 세린 하이드록시메틸전이효소]]글리옥실산은 글리옥실산 회로의 대사 중간생성물일 뿐만 아니라 광호흡 경로의 중요한 대사 중간생성물이기도 하다. 광호흡은 루비스코(RuBisCO)가 CO2 대신 O2와 반응할 때 일어나는 부반응의 결과이다. 광호흡은 처음에는 에너지와 자원의 낭비로 여겨졌으나, 이후 연구를 통해 탄소와 CO2를 재생성하고, 독성을 가지는 포스포글리콜산을 제거하며, 식물의 방어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9][20]
광호흡 과정에서 글리옥실산은 퍼옥시좀 내에서 글리콜산 산화효소의 작용을 통해 글리콜산으로부터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글리옥실산은 SGAT(세린:글리옥실산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와 GGAT(글루탐산:글리옥실산 아미노트랜스퍼레이스)의 작용을 통해 글리신으로 전환된 후, 미토콘드리아로 운반된다.[21][20] 또한,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가 글리콜산 및 글리옥실산 대사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22]
5. 질병과의 관련성
글리옥실산은 인체 내에서 특정 질병의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제2형 당뇨병의 잠재적인 초기 지표로 주목받고 있으며[60][25], 신장 결석의 주요 원인인 고수산뇨증의 발달 과정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17]
5. 1. 제2형 당뇨병
글리옥실산은 제2형 당뇨병의 잠재적인 초기 지표로 생각된다.[60][25] 당뇨병 발병 과정의 주요 조건 중 하나는 고혈당증으로 인해 최종 당화 산물(AGEs)이 생성되는 것이다.[58][23] 최종 당화 산물은 조직 손상 및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당뇨병의 추가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59][24] 이러한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환원당 및 알파-옥소알데하이드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반응성이 높은 알데하이드로부터 형성된다. 한 연구에서는 나중에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에게서 글리옥실산 수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0][25] 이처럼 상승된 수치는 진단받기 최대 3년 전부터 발견되어, 글리옥실산이 당뇨병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60][25]5. 2. 신장 결석
글리옥실산은 신장 결석(신장 결석증)의 주요 원인인 고수산뇨증 발달에 관여한다. 글리옥실산은 옥살산 수송을 담당하는 유전자인 황산 음이온 수송체-1(sat-1)의 기질이자 유도체로서 작용하여, sat-1 mRNA 발현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세포로부터 옥살산 유출을 촉진한다. 이렇게 증가된 옥살산 방출은 소변 내 수산칼슘 축적을 유발하여 결국 신장 결석을 형성하게 한다.[18]글리옥실산 대사의 교란 또한 고수산뇨증 발달의 추가적인 원인을 제공한다. HOGA1 유전자의 기능 상실 돌연변이는 하이드록시프롤린에서 글리옥실산으로 가는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인 4-하이드록시-2-옥소글루타레이트 알돌라제의 손실로 이어진다. 정상적인 경우, 이 경로에서 생성된 글리옥실산은 세포질에서 옥살산으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장된다. 그러나 이 경로가 교란되면 4-하이드록시-2-옥소글루타레이트가 축적되며, 이는 세포질로 수송되어 다른 알돌라제에 의해 글리옥실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글리옥실산 분자는 옥살산으로 산화되어 그 농도를 증가시키고 고수산뇨증을 유발한다.[17]
6. 반응 및 용도
글리옥실산은 아세트산보다 약 10배 정도 더 강한 산이며, 산 해리 상수는 4.7 × 10−4 (p''K''a = 3.32)이다.
:OCHCO2H ⇄ OCHCO2− + H+
글리옥실산은 다양한 화학 반응에 참여한다. 염기성 조건에서는 불균등화 반응을 통해 하이드록시아세트산과 옥살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요소나 1,2-다이아미노벤젠과 같은 화합물과 축합 반응하여 헤테로고리를 형성한다. 페놀류와는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 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는 아목시실린, 아테놀롤, 바닐린 등 다양한 유기 화합물 합성의 중간 단계로 활용된다.[7][26][27][42][61][62]
글리옥실산은 여러 분야에서 용도로 사용된다. 단백질 분석 시 트립토판 잔기를 검출하는 홉킨스-콜 반응의 시약으로 쓰인다.[28][63] 환경에서는 2차 유기 에어로졸의 주요 성분 중 하나로 발견되며,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에 참여한다.[29][64] 최근에는 포름알데히드의 대체재로서 "브라질리언" 헤어 스트레이트너와 같은 화장품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피부 흡수 시 신장에 수산칼슘 결정을 형성하여 급성 신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30][31][35][36]
6. 1. 불균등화 반응
글리옥실산은 농축된 염기 존재 하에서 불균등화 반응을 일으켜 하이드록시아세트산과 옥살산을 생성한다. 이는 Cannizzaro 반응의 일종이다.:2 OCHCO2H + H2O → HOCH2CO2H + HO2CCO2H
6. 2. 헤테로고리 화합물 합성
글리옥실산은 요소 및 1,2-다이아미노벤젠과의 축합으로 헤테로고리를 생성한다.6. 3. 페놀 유도체 합성
글리옥실산은 일반적으로 페놀과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 반응을 일으키며, 이 반응은 여러 다른 화합물을 합성하는 데 다양하게 사용된다.페놀과의 반응에서 생성되는 주요 중간 생성물은 4-하이드록시만델산이다. 이 화합물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항생제인 아목시실린의 전구체가 되는 하이드록시페닐글리신을 생성한다. 또한, 4-하이드록시만델산을 환원시키면 고혈압 치료제인 아테놀롤의 전구체인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을 얻을 수 있다.
글리옥실산이 페놀의 일종인 구아이아콜과 반응한 후, 산화 및 탈카복실화 과정을 거치면 바닐린을 합성할 수 있다. 이는 순수한 폼일화(포름화) 과정에 해당한다.[42][61][62][7][26][27]
6. 4. 홉킨스-콜 반응
글리옥실산은 단백질에서 트립토판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홉킨스-콜 반응의 구성 요소이다.[63][28]6. 5. 환경 화학
글리옥실산은 케톤 및 알데하이드를 함유한 카복실산 중 하나로, 2차 유기 에어로졸에 풍부하게 존재한다. 물과 햇빛이 있는 조건에서 글리옥실산은 광화학적 산화 과정을 겪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여러 다른 반응 경로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카복실산 및 알데하이드 생성물이 만들어진다.[64][29]6. 6. 스트레이트 파마제
글리옥실산은 "브라질리언" 헤어 스트레이트너 시술에 사용되는 화장품 크림의 성분으로 사용된다. 이는 기존 포름알데히드 성분이 일으킬 수 있는 피부 자극을 피하기 위한 대체 목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글리옥실산 함유 제품 사용 후 신장 내 수산칼슘 결정화로 인해 급성 신장 질환을 앓게 된 사례들이 보고되었다.[30] 생쥐를 이용한 독성 연구에서는 피부를 통해 흡수된 글리옥실산이 글리콜산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수산염을 소변으로 배설하게 만든다는 결과가 나왔다.[31] 2024년에는 이 시술이 원인이 되어 피부로 흡수된 글리옥실산에 의해 급성 신장 손상이 발생했다고 여겨지는 사례가 보고되었다.[35][36]7. 안전
글리옥실산은 쥐에서 LD50이 2500mg/kg으로, 오랫동안 동물 모델에서 그다지 독성이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모발 펴기 제품에 노출된 후 급성 신장 질환이 관찰되면서 독성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0] 경피 흡수 후, 모발 강화 크림 등에 포함된 글리옥실산은 수산 칼슘 신장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글리콜산과 달리 글리옥실산은 소변 내 수산염 배설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31]
글리옥실산은 스트레이트 파마제로 사용되기도 한다.[35] 2024년에는 스트레이트 파마 시술 시 경피 흡수된 글리옥실산이 급성 신장 손상을 유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가 보고되었다.[36]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문서
Merck Index
[3]
웹사이트
Dissociation Constants Of Organic Acids and Bases (600 compounds)
http://zirchrom.com/[...]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research.chem[...]
2010-06-02
[5]
논문
Kinetics and equilibria for the reversible hydration of the aldehyde group in glyoxylic acid.
[6]
논문
Quinoxaline–dihydroxyacetic acid (1/1)
[7]
논문
Glyoxylic Acid
Wiley-VCH, Weinheim
[8]
논문
Vibrational spectra of glyoxylic acid monomers
[9]
논문
Effective Henry's law constants of glyoxal, glyoxylic acid, and glycolic acid
http://repository.us[...]
[10]
논문
Elektrolytische Reduction von Carbonsäuren und Carbonsäureestern in schwefelsaurer Lösung
https://zenodo.org/r[...]
[11]
서적
Practical Organic Chemistry 2nd Ed.
http://www.sciencema[...]
Macmillan and Co. Limited
[12]
서적
Materials Handbook: A Concise Desktop Refer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13]
논문
Control of flux through the citric acid cycle and the glyoxylate bypass in Escherichia coli
[14]
논문
Lipid mobilization and gluconeogenesis in plants: do glyoxylate cycle enzyme activities constitute a real cycle? A hypothesis
[15]
논문
The glyoxylate cycle is involved in pleotropic phenotypes, antagonism and induction of plant defence responses in the fungal biocontrol agent Trichoderma atroviride
2013-09
[16]
논문
Activation of glyoxylate pathway without the activation of its related gene in succinate-producing engineered Escherichia coli
2013-11
[17]
논문
Primary hyperoxaluria type III—a model for studying perturbations in glyoxylate metabolism
2012-12-01
[18]
논문
Glyoxylate is a substrate of the sulfate-oxalate exchanger, sat-1, and increases its expression in HepG2 cells
2011-03
[19]
웹사이트
photorespiration
http://www2.mcdaniel[...]
2017-03-09
[20]
논문
Photorespiration
2010-03-23
[21]
논문
Distinct photorespiratory reactions are preferentially catalyzed by glutamate:glyoxylate and serine:glyoxylate aminotransferases in rice
2015-01
[22]
논문
A possible role for the chloroplast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 in plant glycolate and glyoxylate metabolism
2013-11
[23]
논문
Inflammation in the pathogenesis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 diabetes
2012-12-21
[24]
논문
Glyco-oxidation an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a clinical update
2013-04
[25]
논문
Glyoxylate, a New Marker Metabolite of Type 2 Diabetes
2014
[26]
논문
An Improved Procedure for Synthesis of DL-4-Hydroxy-3-methoxymandelic Acid (DL-"Vanillyl"-mandelic Acid, VMA)
[27]
서적
Manufacture of vanillin and its homologues U.S. Patent 2,640,083
https://docs.google.[...]
U.S. Patent Office
[28]
서적
Question Bank of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New Age International
[29]
논문
Aqueous Photochemistry of Glyoxylic Acid
[30]
논문
Acute kidney injury following exposure to formaldehyde-free hair-straightening products
S. Karger AG
2022-07-11
[31]
논문
Hair-straightening cosmetics containing glyoxylic acid induce crystalline nephropathy
https://linkinghub.e[...]
[32]
논문
実験的蓚酸カルシウム結石症における蓚酸前駆物質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5[...]
日本泌尿器科学会
[33]
논문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al toxicity of ethylene glycol
https://doi.org/10.1[...]
Elsevier
[34]
웹사이트
尿細管間質性腎炎
https://www.msdmanua[...]
MSDマニュアル プロフェッショナル版
[35]
논문
ヒト毛髪におけるグリオキシル酸に対する浸透促進成分の効果の顕微 IR 法による検証
https://doi.org/10.1[...]
高輝度光科学研究センター
2021-02
[36]
논문
Kidney Injury and Hair-Straightening Products Containing Glyoxylic Acid
https://doi.org/10.1[...]
[37]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38]
문서
Merck Index
[39]
웹사이트
Dissociation Constants Of Organic Acids and Bases (600 compounds)
http://zirchrom.com/[...]
[40]
웹인용
Archived copy
http://research.chem[...]
2010-06-02
[41]
저널
Kinetics and equilibria for the reversible hydration of the aldehyde group in glyoxylic acid.
[42]
문서
Glyoxylic Acid
Wiley-VCH, Weinheim
[43]
저널
Vibrational spectra of glyoxylic acid monomers
[44]
저널
Effective Henry's law constants of glyoxal, glyoxylic acid, and glycolic acid
http://repository.us[...]
[45]
저널
Elektrolytische Reduction von Carbonsäuren und Carbonsäureestern in schwefelsaurer Lösung
https://zenodo.org/r[...]
[46]
서적
Practical Organic Chemistry 2nd Ed.
http://www.sciencema[...]
Macmillan and Co. Limited
[47]
서적
Materials Handbook: A Concise Desktop Refer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48]
저널
Control of flux through the citric acid cycle and the glyoxylate bypass in Escherichia coli
[49]
저널
Lipid mobilization and gluconeogenesis in plants: do glyoxylate cycle enzyme activities constitute a real cycle? A hypothesis
[50]
저널
The glyoxylate cycle is involved in pleotropic phenotypes, antagonism and induction of plant defence responses in the fungal biocontrol agent Trichoderma atroviride
2013-09
[51]
저널
Activation of glyoxylate pathway without the activation of its related gene in succinate-producing engineered Escherichia coli
2013-11
[52]
저널
Primary hyperoxaluria type III—a model for studying perturbations in glyoxylate metabolism
2012-12-01
[53]
저널
Glyoxylate is a substrate of the sulfate-oxalate exchanger, sat-1, and increases its expression in HepG2 cells
2011-03
[54]
웹인용
photorespiration
http://www2.mcdaniel[...]
2017-03-09
[55]
저널
Photorespiration
2010-03-23
[56]
저널
Distinct photorespiratory reactions are preferentially catalyzed by glutamate:glyoxylate and serine:glyoxylate aminotransferases in rice
2015-01
[57]
저널
A possible role for the chloroplast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 in plant glycolate and glyoxylate metabolism
2013-11
[58]
저널
Inflammation in the pathogenesis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 diabetes
2012-12-21
[59]
저널
Glyco-oxidation an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a clinical update
2013-04
[60]
저널
Glyoxylate, a New Marker Metabolite of Type 2 Diabetes
2014
[61]
저널
An Improved Procedure for Synthesis of DL-4-Hydroxy-3-methoxymandelic Acid (DL-"Vanillyl"-mandelic Acid, VMA)
[62]
서적
Manufacture of vanillin and its homologues U.S. Patent 2,640,083
https://docs.google.[...]
U.S. Patent Office
[63]
서적
Question Bank of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New Age International
[64]
저널
Aqueous Photochemistry of Glyoxylic Ac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