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열대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대병은 주로 개발도상국과 내전 지역에서 만연하지만, 국제적인 관심과 지원 부족으로 적절한 치료나 예방이 어려운 질병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일부 열대병은 에볼라, 라사열, 마버그 바이러스와 같이 갑작스러운 유행을 일으킬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소외 열대 질환 연구 및 훈련 특별 프로그램(TDR)을 통해 샤가스병, 뎅기열, 말라리아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연구를 지원한다. 기후 변화는 열대병의 확산을 가속화시키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열대병과 매개체가 고지대나 고위도로 확산될 수 있다. 열대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유전자 변형 모기 개발, 살충제 살포, 모기장 사용, 경제적 지원 및 교육 캠페인, 위생 시설 개선, 백신 개발, 약물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대병 - 회충증
    회충증은 회충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회충 알이 섞인 음식 섭취를 통해 감염되며 장폐색, 내장 손상, 폐렴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대변 검사로 진단하고 위생 시설 개선과 구충제 사용으로 치료 및 예방한다.
  • 열대병 - 에볼라 출혈열
    에볼라 출혈열은 에볼라바이러스속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출혈 질환으로, 독감 유사 증상으로 시작하여 구토, 설사, 출혈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지만,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치료는 증상 완화에 집중하며 감염 예방을 위한 격리 및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감염병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감염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열대병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정의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유행하거나 독특한 질병
원인
감염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비감염영양 결핍
독성 물질
영향
사회적 영향경제 개발 저해
예방
방법위생 개선
모기 박멸
백신 접종
주요 열대 질병
감염성 질환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황열
샤가스병
아프리카 수면병
리슈마니아증
주혈흡충증
사상충증
온코세르카증
나병
결핵
콜레라
장티푸스
A형 간염
폴리오
영양 관련 질환콰시오르코르
마라스무스
비타민 결핍증
기타뱀 물림
열사병
참고 문헌
도서Farrar, Jeremy; Hotez, Peter J; Junghanss, Thomas; Kang, Gagandeep; Lalloo, David; White, Nicholas (2013). Manson's tropical diseases. Philadelphia: Saunders [Imprint]. ISBN 9780702051012.
Farley, John (2003). Bilharzia : a history of imperial tropical medicine. [S.l.]: Cambridge Univ Press. ISBN 0521530601.
웹사이트Deforestation Boosts Malaria Rates, Study Finds (npr.org)
BBC News - Tropical diseases 'out of control'
학술 논문von Csefalvay, Chris (2023). “Host-vector and multihost systems”. Computational Modeling of Infectious Disease. Elsevier. pp. 121–149. doi:10.1016/b978-0-32-395389-4.00013-x. ISBN 978-0-323-95389-4.

2. 顧みられない熱帯病 (소외 열대 질환)

소외 열대 질환(Neglected Tropical Diseases, NTDs)은 주로 개발도상국이나 내전 지역에서 만연하지만, 국제적인 관심과 지원이 부족하여 적절한 치료나 예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질병군을 의미한다.

일부 열대병은 매우 드물지만, 에볼라 출혈열, 라사열 및 마버그 바이러스와 같이 갑작스러운 유행으로 발생할 수 있다. 덜 알려지거나 드문 수백 가지의 열대병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중 보건에 중요하다.

열대병 유행 지역에 있는 개발도상국이나 내전 지역에서는 질병이 유행해도 시설이나 물자가 충분하지 않아, 이러한 상황 개선의 전망이 보이지 않는다. 또한 치료약이나 치료법이 없는 질병에 대해서는 환자의 대부분이 빈곤층이기 때문에 치료약 등의 개발을 위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질병은 소외 열대 질환이라고 불린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1975년부터 아프리카, 아시아,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 소외 열대병 연구 및 훈련 특별 프로그램(Special Programme for Research and Training in Tropical Diseases, TDR)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TDR 대상이 되고 있는 질병은 다음과 같다.



TDR의 대상이 되지 않는 소외 열대 질환으로는 다음이 있다.[9]

질병병원체비고
구충증십이지장충 및 아메리카 구충
편충증편충
트레포네마증Treponema pallidum pertenue, Treponema pallidum endemicum, Treponema pallidum carateum, Treponema pallidum pallidum
부룰리 궤양마이코박테리움 궤양균
메디나충증Dracunculus medinensis
렙토스피라증렙토스피라
분선충증분선충
식품 매개 흡충증흡충
신경낭미충증갈고리촌충
옴 진드기
플라비바이러스 감염황열 바이러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뎅기열 바이러스,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 지카 바이러스


2. 1. WHO의 열대병 연구 및 훈련 특별 프로그램 (TDR)

1975년, 세계 보건 기구(WHO)는 열대 지역의 빈곤층과 소외 계층에게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소외 열대 질환에 대응하기 위해 열대병 연구 및 훈련 특별 프로그램(TDR)을 설립했다. TDR은 질병 발생 국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효과적인 글로벌 연구 노력을 육성하고, 새로운 치료 도구 및 전략 개발과 질병 발생 국가의 연구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TDR은 유니세프, 유엔개발계획, 세계은행, WHO의 공동 후원을 받으며, 스위스 제네바에 사무국을 두고 전 세계적인 파트너십과 재정 지원을 통해 사업을 수행한다.

TDR은 온코세르카증(강가 실명증)에 대한 이버멕틴과 같은 질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 지원, 말라리아에 대한 아르테미시닌 복합 치료(ACT) 사용을 개선할 수 있는 포장 방법 제시, 모기 물림과 말라리아를 예방하는 침대 그물의 효과 입증, 지역 사회 기반 및 지역 사회 주도 프로그램이 여러 치료법의 보급을 증가시키는 방법 문서화 등의 사업을 진행해왔다.

TDR의 질병 포트폴리오에는 말라리아, 주혈흡충증, 림프 사상충증, 사상충증, 샤가스병, 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 리슈만편모충증, 나병, 뎅기열, 결핵, 결핵-HIV 중복 감염, 성병 등이 포함된다.

2. 2. TDR의 주요 활동 및 성과

세계 보건 기구(WHO)가 1975년부터 아프리카, 아시아,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 진행하고 있는 TDR 프로젝트는 여러 주요 활동 및 성과를 보였다. 온코세르카증(강변 실명증) 치료제인 이버멕틴 개발을 지원하였고, 말라리아 치료제인 아르테미시닌 복합 요법(ACT) 사용 개선을 위한 포장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모기 물림과 말라리아 예방을 위한 침대 그물(모기장)의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지역 사회 기반 프로그램이 여러 치료법의 보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문서화했다.

2. 3. TDR 대상 질병

세계 보건 기구(WHO)가 1975년부터 아프리카, 아시아,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Special Programme for Research and Training in Tropical Diseases, TDR)에서 다루는 질병은 다음과 같다.

TDR 질병 포트폴리오
질병추가된 시기병원체주요 매개체주요 토착 지역빈도연간 사망자합병증
말라리아1975열대열 말라리아 원충 및 다른 4종의 말라리아 원충 원생동물얼룩날개모기 모기열대 지역 전체2억 2800만 명 (2018년)405,000명 (2018년)발열, 피로, 구토, 두통황달, 간질 발작, 혼수, 사망
주혈흡충증1975주혈흡충 편충류담수 달팽이열대 지역 전체2억 5200만 명 (2015년)4,400–200,000명복통, 설사, 혈변, 혈뇨. 어린이의 경우, 발육 부진과 학습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간 손상, 신부전, 불임, 방광암
림프 사상충증1975Wuchereria bancrofti, Brugia malayi,Brugia timori 사상충류모기열대 지역 전체3850만 명 (2015년)극소수림프부종, 코끼리병, 음낭수종
사상충증 (강가 실명증)1975Onchocerca volvulus 사상충류Simuliidae 먹파리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1550만 명 (2015년)0명가려움증, 구진부종, 림프절병증, 시력 손상, 실명
샤가스병 (아메리카 트리파노소마증)1975Trypanosoma cruzi 원생동물Triatominae 키스 버그남아메리카620만 명 (2017년)7,900명 (2017년)발열, 부은 림프절, 두통심부전, 거대 식도, 거대 결장
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 (수면병)1975Trypanosoma brucei gambienseT. b. rhodesiense 원생동물Glossina 체체파리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11,000명 (2015년)3,500명 (2015년)첫 번째 단계: 발열, 두통, 가려움증, 관절통빈혈, 내분비 질환, 심부전, 신부전, 혼수, 사망
리슈만편모충증1975Leishmania 원생동물Phlebotominae 모래파리열대 지역 전체4–1200만 명24,200명 (2015년)피부 궤양발열, 빈혈, 간 비대, 비장 비대, 사망
나병 (한센병)1975Mycobacterium lepraeM. lepromatosis 미코박테리아광범위한 접촉 (아마도 공기 매개 질병)열대 지역 전체209,000명 (2018년)극소수병변, 무감각증피부, 신경, 사지 및 눈의 영구적인 손상
뎅기열1999뎅기 바이러스Aedes aegypti 및 기타 Aedes 모기열대 아시아3억 9천만 명 (2020년)40,000명발열, 두통, 근육통관절통, 발진, 구토, 설사혈소판 감소증, 저혈압, 출혈, 쇼크
결핵 (TB, 소모성 질환)1999결핵균 미코박테리아공기 매개 질병전 세계1000만 명 (활동성, 2018년),150만 명 (2018년)만성 기침, 발열, 객혈, 악액질사망
결핵-HIV 중복 감염1999HIV + 결핵균성적 접촉 + 공기 매개 질병아프리카120만 명 (2015년)251,000명 (2018년)
성병 (특히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트리코모나스증, B형 간염, HSV, HIV, 및 HPV)2000세균, 기생충, 바이러스성적 접촉전 세계다양함다양함


2. 3. 1. 주요 질병 목록

세계 보건 기구(WHO)가 1975년부터 아프리카, 아시아,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Special Programme for Research and Training in Tropical Diseases, TDR)에서 다루는 질병은 다음과 같다.

TDR의 대상이 되지 않는 소외 열대 질환은 다음과 같다.

2. 3. 2. 질병별 상세 정보

세계 보건 기구(WHO)가 1975년부터 아프리카, 아시아,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Special Programme for Research and Training in Tropical Diseases, TDR)로 대응이 진행되고 있는 질병은 다음과 같다.

TDR의 대상이 되지 않는 소외 열대 질환은 다음과 같다.

2. 4. 기타 소외 열대 질환

세계 보건 기구(WHO)의 TDR 대상 질병 외에도 여러 소외 열대 질환들이 존재한다.[9] 구충증은 십이지장충 및 아메리카 구충에 의해, 편충증은 편충에 의해 발생한다.[9] 트레포네마증은 ''Treponema pallidum pertenue'', ''Treponema pallidum endemicum'', ''Treponema pallidum carateum'', ''Treponema pallidum pallidum''에 의해 유발된다.[9] 부룰리 궤양은 마이코박테리움 궤양균에 의해, 메디나충증은 Dracunculus medinensis에 의해 발생한다.[9] 렙토스피라증, 분선충증, 흡충 감염증, 신경낭미충증, ,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등도 소외 열대 질환에 포함된다.[9] 특히,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에는 황열 바이러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뎅기열 바이러스,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 지카 바이러스 등이 있다.

3. 열대병과 기후의 관계

열대 지역의 "이국적인" 질병은 여행자, 탐험가, 의사들에 의해 오랫동안 주목받아 왔다. 일년 내내 존재하는 더운 기후와 더 많은 강우량은 번식지 형성, 더 많은 수와 다양한 자연 숙주 및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동물 질병(인수공통감염증), 그리고 더 많은 곤충 매개체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더 높은 온도가 생물체 내부와 외부에서 병원성 물질의 복제를 촉진할 수도 있다. 사회 경제적 요인도 작용할 수 있는데,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대부분이 열대 지역에 있기 때문이다. 브라질과 같이 사회 경제적 상황을 개선하고 위생, 공중 보건 및 전염병 퇴치에 투자한 열대 국가들은 자국 내 많은 토착성 열대 질병의 제거 또는 감소와 관련하여 극적인 결과를 달성했다.

열대병은 유럽에서는 옛날부터 "이국병"(exotic disease)이라고도 불리며, 의료 관계자뿐만 아니라 여행자들 사이에서도 알려져 있었다. 열대 지방은 평균 기온이 높고 강수량도 많기 때문에, 인수공통감염병의 병력지가 환경 속에 많이 존재하며, 또한 병원체의 매개체인 곤충도 많다. 게다가 고온 다습한 기후가 병원체의 숙주 체내 및 체외에서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열대 지방에는 개발도상국이 많고, 앞서 언급한 사회 경제적인 요인도 있다.

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는 온실 효과로 인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지구 온도 상승은 열대 질병과 매개체가 산악 지역의 더 높은 고도로, 그리고 이전에 영향을 받지 않았던 남부 미국, 지중해 지역 등 더 높은 위도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10][11] 예를 들어, 코스타리카몬테베르데 구름 숲에서 지구 온난화는 열대 질병인 키트리디마이코시스가 번성하도록 하여 몬테베르데 할리퀸 개구리 개체수를 감소시켰다.[12] 여기에서 지구 온난화는 지형성 구름 형성이 일어나는 고도를 높여 관련 병원체인 B. dendrobatidis의 최적의 성장 조건을 촉진하는 구름 덮개를 생성했다.

3. 1. 기후 변화와 열대병 확산

온실 효과에 의한 지구 온난화로 인해 열대병과 그 감염 지역이 고지대나 산악 지대, 또는 과거에 감염 사례가 있는 고위도 지역 (미국 남부, 지중해 연안)에서 증가하고 있다.[23][24] 코스타리카몬테베르데 (몬테베르데/Monteverde영어)에서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형에 의해 생기는 구름이 더 두꺼워짐으로써 곰팡이병의 병원체인 ''B. dendrobatidis''가 증가하여, 이것이 개구리의 일종인 몬테베르데 할리퀸 개구리의 개체수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25]

3. 1. 1. 코스타리카 몬테베르데 사례

온실 효과에 의한 지구 온난화로 인해 열대병과 그 감염 지역이 고지대나 산악 지대, 또는 과거에 감염 사례가 있는 고위도 지역 (미국 남부, 지중해 연안)에서 증가하고 있다.[23][24] 코스타리카몬테베르데 (en)에서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형에 의해 생기는 구름이 더 두꺼워짐으로써 곰팡이병의 병원체인 ''B. dendrobatidis''가 증가하여, 이것이 개구리의 일종인 몬테베르데 할리퀸 개구리의 개체수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25]

4. 열대병 예방 및 치료

인구 10만 명당 열대병으로 인한 장애보정 생존 연수. 여기에는 트리파노소마증, 샤가스병, 주혈흡충증, 리슈만편모충증, 림프사상충증, 사상충증이 포함된다.


벡터는 인간 사이 또는 동물에서 인간에게 질병을 옮기는 살아있는 유기체이다. 가장 많은 질병을 옮기는 벡터는 모기이며, 이는 열대병인 뎅기열말라리아의 원인이 된다.[13]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식이 취해졌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자금 지원을 받은 연구를 통해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을 옮길 수 없는 유전자 변형 모기가 개발되었다.[14] 이 접근 방식의 문제점은 유전자 공학 기술에 대한 전 세계적인 접근성이다. 이 분야의 과학자 중 약 50%는 유전자 변형 모기 임상 시험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없다.[15]

다른 예방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곤충 및 기타 벡터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습지를 배수하거나 벡터의 천적을 도입한다.[13]
  • 의류, 피부, 건물, 곤충 서식지 및 모기장과 같은 전략적 표면에 살충제 및/또는 방충제를 살포한다.[13]
  • 밤에 주로 활동하는 특정 열대 모기 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야간 전파를 줄이기 위해 침대 위에 모기장을 사용한다(일명 "침대 그물").[13]


지역 사회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여 열대병 예방 및 치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소액 대출은 지역 사회가 효과적인 질병 치료 및 예방 기술을 갖춘 보건 프로그램에 투자할 수 있도록 돕는다.[16]

교육 캠페인을 통해 질병 전파 방식과 예방 방법을 알리는 것은 저렴한 비용으로 상당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이다.[17]

안전한 식수 공급을 위해 우물 사용, 정수, 정수기 사용, 또는 물 정화에 사용되는 물 정제 알약 사용등을 통해 기생충이 없는 식수를 생산한다.위생 시설 개선을 통해 인체 배설물로 인한 전염을 예방한다. 질병 면역을 증진시키기 위한 백신 개발 및 사용한다. 약물 치료를 통해 감염 또는 침입 후 질병을 치료한다.

4. 1. 매개체 질환

벡터는 인간 사이 또는 동물에서 인간에게 질병을 옮기는 살아있는 유기체이다. 가장 많은 질병을 옮기는 벡터는 모기이며, 이는 열대병인 뎅기열말라리아의 원인이 된다.[13]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식이 취해졌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자금 지원을 받은 연구를 통해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을 옮길 수 없는 유전자 변형 모기가 개발되었다.[14] 이 접근 방식의 문제점은 유전자 공학 기술에 대한 전 세계적인 접근성이다. 이 분야의 과학자 중 약 50%는 유전자 변형 모기 임상 시험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없다.[15]

다른 예방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곤충 및 기타 벡터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습지를 배수하거나 벡터의 천적을 도입한다.
  • 의류, 피부, 건물, 곤충 서식지 및 모기장과 같은 전략적 표면에 살충제 및/또는 방충제를 살포한다.
  • 밤에 주로 활동하는 특정 열대 모기 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야간 전파를 줄이기 위해 침대 위에 모기장을 사용한다(일명 "침대 그물").

4. 1. 1. 유전자 변형 모기 활용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통해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을 옮길 수 없는 유전자 변형 모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유전자 공학 기술의 전 세계적인 접근성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4. 1. 2. 기타 매개체 통제 방법

곤충 및 기타 벡터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습지를 배수하거나 벡터의 천적을 도입한다.[13] 의류, 피부, 건물, 곤충 서식지 및 모기장과 같은 전략적 표면에 살충제 및/또는 방충제를 살포한다.[13] 밤에 주로 활동하는 특정 열대 모기 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야간 전파를 줄이기 위해 침대 위에 모기장을 사용한다(일명 "침대 그물").[13]

4. 2. 지역 사회 접근법

지역 사회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여 열대병 예방 및 치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소액 대출은 지역 사회가 효과적인 질병 치료 및 예방 기술을 갖춘 보건 프로그램에 투자할 수 있도록 돕는다.[16]

교육 캠페인을 통해 질병 전파 방식과 예방 방법을 알리는 것은 저렴한 비용으로 상당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이다.[17]

4. 3. 기타 접근법

안전한 식수 공급을 위해 우물 사용, 정수, 정수기 사용, 또는 물 정화에 사용되는 물 정제 알약 사용등을 통해 기생충이 없는 식수를 생산한다.위생 시설 개선을 통해 인체 배설물로 인한 전염을 예방한다. 질병 면역을 증진시키기 위한 백신 개발 및 사용한다. 약물 치료를 통해 감염 또는 침입 후 질병을 치료한다.

참조

[1] 서적 Manson's tropical diseases. Saunders [Imprint] 2013
[2] 서적 Bilharzia : a history of imperial tropical medicine. Cambridge Univ Press 2003
[3] 웹사이트 Deforestation Boosts Malaria Rates, Study Finds https://www.npr.org/[...] 2018-05-04
[4] 웹사이트 UK 'faces tropical disease threat' http://news.bbc.co.u[...] 2006-06-15
[5] 간행물 Host-vector and multihost systems https://linkinghub.e[...] Elsevier 2023-03-05
[6] 웹사이트 Disease portfolio http://www.who.int/t[...] 2009-08-01
[7] 웹사이트 Global Partnership to Eliminate Riverblindness http://www.worldbank[...] 2008-03-24
[8] 문서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Fourth Edition McGraw Hill 2004
[9] 학술지 Control of Neglected Tropical Diseases 2007-09
[10] 뉴스 Climate change brings malaria back to Ital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7-01-06
[11] 뉴스 Climate link to African malaria http://news.bbc.co.u[...] BBC 2006-03-20
[12] 문서 Widespread Amphibian Extinctions from Epidemic Deisease Driven by Global Warming. 2006
[13] 웹사이트 Vector-borne diseases https://www.who.int/[...] 2020-05-04
[14] 웹사이트 Engineering malaria resistance in mosquitoes https://www.nih.gov/[...] 2020-05-04
[15] 학술지 Engaging scientists: An online surve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innovative biotechnological approaches to controlling vector-borne diseases 2015-08-10
[16] 웹사이트 WHO Linking health to microfinance to reduce poverty https://www.who.int/[...] 2020-05-04
[17] 학술지 School-Based Health Promotion for Mosquito-Borne Disease Prevention in Children 2009-10
[18] 문서 銃、病原菌、鉄
[19] 뉴스 Deforestation Boosts Malaria Rates, Study Finds http://www.npr.org/t[...]
[20] 뉴스 UK 'faces tropical disease threat' http://news.bbc.co.u[...] BBC News
[21] 웹사이트 Disease portfolio http://www.who.int/t[...] 2009-08-01
[22] 학술지 Control of Neglected Tropical Diseases http://content.nejm.[...] 2008-01-21
[23] 뉴스 Climate change brings malaria back to Italy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7-01-06
[24] 뉴스 Climate link to African malaria http://news.bbc.co.u[...] BBC 2006-03-20
[25] 문서 Widespread Amphibian Extinctions from Epidemic Deisease Driven by Global Warming.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