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제시 고파쿠마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제시 고파쿠마르는 인도의 끈 이론 학자이다. 1967년 콜카타에서 태어나 IIT-JEE 입학시험에서 인도 전체 1위를 차지했으며, IIT 칸푸르에서 물리학 석사 학위를,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리시-찬드라 연구소(HRI) 교수로 재직 중이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객원 연구원을 역임했다. 고파쿠마르는 데이비드 그로스와 함께 대 N 게이지 이론, 앤드류 스트로밍어, 시라즈 민왈라와 함께 비가환 게이지 이론, 쿰룬 바파와 함께 위상 끈 이론 및 게이지/기하학 대응 연구를 진행했으며, 고파쿠마르-바파 이중성 및 고파쿠마르-바파 불변량 제안으로 알려져 있다. AdS/CFT 대응성 유도 시도, 최소 모형 홀로그래피 연구, 고차 스핀 이론과 끈 이론과의 연관성에 기여했으며, 컨포멀 부트스트랩 연구도 진행했다. 그는 B.M. 빌라 과학상, ICTP상, 샨티 스와루프 바트나가르상, TWAS상 등을 수상했으며, 세계 젊은 과학자 아카데미, 인도 국립 과학 아카데미, 인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공과대학교 칸푸르 동문 - 나라야나 무르티
나라야나 무르티는 인도의 기업가이자 인포시스의 공동 창립자로, 인도 IT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혁신적인 경영을 통해 직원들에게 스톡옵션을 제공했으며, 다수의 훈장을 수상하고 저서를 출판했으며 그의 딸은 영국 총리와 결혼했다. - 인도 공과대학교 칸푸르 동문 - 아르빈드 크리슈나
아르빈드 크리슈나는 인도 출신의 엔지니어이자 기업인으로, 2020년부터 IBM의 CEO를 맡고 있으며, 인도 공과대학교와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전기 공학 학위를 취득한 후 1990년 IBM에 입사하여 클라우드 및 인지 소프트웨어 사업을 이끌고 레드햇 인수를 주도했다. - 인도의 물리학자 -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는 양자역학, 특히 입자 통계 분야에 기여한 인도의 물리학자로,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개념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정수 스핀을 가진 기본 입자는 보손이라 명명되었다. - 인도의 물리학자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는 인도 출신의 미국 천체물리학자이며, 백색 왜성의 질량 한계를 계산한 공로로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항성 구조, 블랙홀 이론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 끈이론학자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끈이론학자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그로스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1973년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하고 양자색역학 공식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라제시 고파쿠마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라제시 고파쿠마르 |
로마자 표기 | Rajesh Gopakumar |
출생 | 1967년 12월 14일 |
출생지 | 인도 콜카타 |
국적 | 인도 |
배우자 | 루크미니 데이 |
연구 분야 | |
학문 분야 | 끈 이론, 이론물리학 |
근무지 | 국제 이론 과학 센터 하리시찬드라 연구소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모교 | 인도 공과대학교 칸푸르(이학사, 이학 석사) 프린스턴 대학교(철학박사) |
박사 지도 교수 | 데이비드 그로스 |
주요 업적 | 고파쿠마르-바파 불변량 |
수상 | 샨티 스와루프 바트나가르 상, ICTP 상 |
2. 생애 및 학력
고파쿠마르는 1967년 콜카타에서 자이쉬리와 G. 고파쿠마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남인도 케랄라 주 출신이다.[2] 1987년 IIT-JEE 시험에서 인도 전체 1위를 차지했다.[3]
고파쿠마르는 끈 이론 학자이다. 그는 경력 초기에 데이비드 그로스와 함께 대 N 게이지 이론, 앤드류 스트로밍어 및 시라즈 민왈라와 함께 비가환 게이지 이론, 쿰룬 바파와 함께 위상 끈 이론 및 게이지/기하학 대응 연구에 주력했다.[6] 이후 AdS/CFT 대응성 유도 시도와 마티아스 가버디엘과 함께 최소 모형 홀로그래피에 집중했으며, 최근에는 고차 스핀 이론과 끈 이론과의 연관성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또한 컨포멀 부트스트랩 연구도 진행했다.
1992년 IIT 칸푸르에서 물리학 M.Sc. 학위를 받았고, 1997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그로스의 지도 아래 Ph.D.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몇 년간 연구 조교로 근무한 후, 2001년 하리시-찬드라 연구소(HRI)에 합류했다. 2001년부터 2004년까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객원 연구원이었다.[4]
3. 연구 업적
3. 1. 고파쿠마르-바파 이중성 및 불변량
1990년대 후반, 쿰룬 바파와 함께 칼라비-야우 다양체에서 끈 이론의 콤팩트화를 연구하며 고파쿠마르-바파 이중성 및 고파쿠마르-바파 불변량을 제안했다.[6] 이 연구는 끈 이론과 게이지 이론 사이의 깊은 관계를 밝혀냈으며, 끈 이론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3. 2. AdS/CFT 대응성 및 최소 모형 홀로그래피
이후 AdS/CFT 대응성 유도 시도와 마티아스 가버디엘과 함께 최소 모형 홀로그래피에 집중했다. 최근 마티아스 가버디엘과 함께 고차 스핀 이론과 끈 이론과의 연관성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또한 최근 컨포멀 부트스트랩 연구를 진행했다.
3. 3. 고차 스핀 이론
최근에는 마티아스 가버디엘과 함께 고차 스핀 이론과 끈 이론과의 연관성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6]
3. 4. 컨포멀 부트스트랩
그는 마티아스 가버디엘과 함께 고차 스핀 이론과 끈 이론과의 연관성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6] 또한 최근 컨포멀 부트스트랩 연구를 진행했다.
4. 수상 경력
고파쿠마르는 뛰어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다음과 같은 상을 수상했다.
5. 기타
이 섹션은 '가족 관계' 하위 섹션과 내용이 완전히 중복되므로 작성하지 않는다.
5. 1. 가족 관계
고파쿠마르는 ICTS-TIFR의 수리물리학 및 기하학 교수인 루크미니 데이와 결혼했다.[5]6. 주요 논문
- 롭베르트 다이크라프, 라제시 고파쿠마르, 오구리 히로시, 쿰룬 바파 (2006). “베이비 유니버스와 끈 이론”. 《국제 현대 물리학 저널 D(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Physics D)》 15 (10): 1581–1586.
- 저스틴 R. 데이비드, 라제시 고파쿠마르 (2007). “시공간에서 세계 면으로: 네 점 상관 관계”. 《고에너지 물리학 저널(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0701: 063.
참조
[1]
웹사이트
Academic Report 2010-2011
http://www.hri.res.i[...]
Harish-Chandra Research Institute
2012-06-13
[2]
뉴스
City scientist chosen for Bhatnagar award
https://timesofindia[...]
2012-06-13
[3]
웹사이트
Where are They Now?
http://www.openthema[...]
[4]
웹사이트
http://www.wildfire.[...]
2011-12
[5]
웹사이트
PEOPLE International Centre for Theoretical Sciences
https://www.icts.res[...]
2015-11-17
[6]
저널
On the Gauge Theory/Geometry Correspondence
https://core.ac.uk/d[...]
[7]
웹사이트
News Update
https://web.archive.[...]
IIT Kanpur Alumni Association
2006-03-07
[8]
웹사이트
The Prize Winners
http://www.ictp.it/a[...]
International Centre for Theoretical Physics
2012-06-13
[9]
웹사이트
Prizes and Awards
http://twas.org/oppo[...]
The World Academy of Sciences
2016
[10]
웹사이트
Members
http://www.globalyou[...]
Global Young Academy
2012-06-13
[11]
웹사이트
GYA member listing
http://www.globalyou[...]
2011-03-23
[12]
저널
On the Gauge Theory/Geometry Correspondence
http://xxx.lanl.gov/[...]
2012-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