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란다어는 펀자브어에서 "서부"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언어의 명칭으로, 1890년경 윌리엄 세인트 클레어 티스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학술 용어로 통용된다. 란다어는 펀자브어의 방언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사라이키어, 힌드코어 등 여러 하위 분류를 포함한다. 파키스탄 독립 이후 펀자브어의 지위 강화에 반대하며, 란다어의 독립적인 언어 지위를 주장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란다어는 펀자브어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며, 신드어, 펀자브어와 함께 명확한 경계가 없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북인도아리아어군 - 신드어
신드어는 파키스탄 신드주와 인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아리아어족 언어로, 고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다양한 문자로 기록되고 수피즘 및 아드바이타 베단타 사상과 관련된 문학적 전통을 가지며, 파키스탄 신드주의 공용어이자 인도의 지정 언어 중 하나이다. - 서북인도아리아어군 - 신드어군
신드어군은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 분류로, 라시어, 신드어, 신디빌어, 자드갈리어, 카치어를 포함한다. - 인도이란어파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인도이란어파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란다어 | |
---|---|
개요 | |
이름 | 란다어 |
원어명 | لہندا |
로마자 표기 | Lahnda |
IPA | /ˈlɑːndə/ |
IPA (펀자브어) | /lɛ˦n.d̪äː/ |
지역 | 펀자브 지방 서부 |
민족 | 펀자브인 |
언어 정보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인도이란어파 |
어군 | 인도아리아어군 |
하위 어군 | 북서인도아리아어군 |
언어 분류 | 펀자브어군 |
문자 | 페르시아-아랍 문자 (샤무키 문자) |
ISO 639-2 | lah |
ISO 639-3 | lah |
Glottolog | west2386 |
Glottolog (하위 분류) | hind1274 |
방언 | |
주요 방언 | 남부 힌드코어 북부 힌드코어 자카티어 파하리-포트와리어 사라이키어 케트라니어 |
2. 명칭
'란다어'라는 명칭은 펀자브어에서 "서부"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1890년경 윌리엄 세인트 클레어 티스달이 'Lahindā' 형태로 처음 사용했으며,[7] 이후 조지 에이브러햄 그리슨을 비롯한 여러 언어학자들이 사용하면서 학계 용어로 정착되었다.[7] 이 명칭은 주로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통용된다.
12-13세기 수피 성인 바바 파리드는 란다 방언으로 시를 썼다.[8] 19세기 펀자브 시인 미안 무함마드 바크쉬는 펀자브어의 동부 및 란다 방언을 혼합하여 시를 썼다.[10]
란다어는 미래 시제 '-s-'와 같이 펀자브어와 구별되는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신드어와 마찬가지로, 사라이키어는 유성 유기 자음을 유지하고, 내파음을 발달시켰으며, 성조가 없다. 힌드코어는 '판지스타니' 또는 (모호하게) '파하리'라고도 불리며, 이 점에서 펀자브어와 더 유사하지만, 펀자브어의 낮은 상승조에 해당하는 것이 페샤와르 힌드코어에서는 높은 하강조이다.[9]
란다어는 여러 하위 언어 및 방언으로 구성된다. 주요 하위 언어는 다음과 같다.
3. 역사
1960년대에 표준화된 사라이키어 문어 개발이 시작되었다. 파키스탄의 전국 인구 조사는 1981년부터 사라이키어 사용자를, 2017년부터 힌드코어 사용자를 집계해 왔으며, 그 이전에는 펀자브어로 묶여 집계되었다.
라훈다어라는 이름은 화자가 스스로 부르는 이름이 아니라 조지 에이브러햄 그리슨이 『인도 언어 조사』에서 제창한 것으로, 그전까지 펀자브어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언어 중 서부의 변종을 다른 언어로 하여 이 이름을 붙였다. "라훈다어"는 펀자브어로 "서쪽"을 의미하는 lɛ̃́da|pa에서 유래했다.[13]
펀자브어의 방언이라는 설도 강하며, 그리슨 자신도 펀자브어와 라훈다어의 경계를 긋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다.[14]
파키스탄 독립 이후, 펀자브어의 지위를 높이려는 동부 라호르를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의 움직임에 대항하여, 남서부 사라이키어와 북서부 힌드코어 지역에서는, 자신의 언어를 방언이 아닌 독립된 언어로 취급하려는 운동이 일어났다.[15]
4. 특징
신드어, 란다어 및 펀자브어는 명확한 경계가 없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11]
5. 하위 분류
사라이키어는 물탄 등지, 힌드코어는 페샤와르 등지, 파하리-포트와리어는 라왈핀디 등지에서 사용된다. Ketarani|케트라니어lah 화자는 약 4천 명이며, 자카티어는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되나 화자 수는 불명이다.[1]
5. 1. 사라이키어
물탄 등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파키스탄에서 20,000,000명(2013년), 전 세계에서 20,068,000명이 사용한다. 1960년대부터 표준화된 문어 개발이 시작되었다.
지역 | 사용자 수 |
---|---|
파키스탄 | 20,000,000명 |
전 세계 | 20,068,000명 |
5. 2. 힌드코어
페샤와르 등지에서 사용된다.[1]구분 | 사용자 수 |
---|---|
북부 힌드코어 | 1,880,000명 |
남부 힌드코어 | 625,000명 |
5. 3. 파하리-포트와리어
라왈핀디 등지에서 사용되며, 2007년 기준 약 250만 명의 화자가 있다.[1] ISO 639-3에서는 과거에 미르푸르 펀자브어라는 언어를 정의했지만, 현재는 파하리-포트와리어에 포함되어 있다.[1]5. 4. 케트라니어
Ketarani|케트라니어lah의 화자는 약 4천 명이다.[1]5. 5. 자카티어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되며, 화자 수는 불명이다.5. 6. 서부 펀자브어
Ethnologue는 서부 펀자브어를 란다어에 포함시키고 있지만, Ethnologue가 말하는 서부 펀자브어는 펀자브 지방 서부의 언어가 아니라, 펀자브어 중 파키스탄에서 사용되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에 불과하다.[1]6. 문자
란다어를 사용하는 시크교도들은 페르시아-아랍어 기반의 샤흐무키 문자가 아닌 구르무키 문자를 사용하여 언어를 기록한다.[12]
참조
[1]
OED
Lahnda
[2]
서적
Languages of South Asia: A Guide
Taylor & Francis
[3]
웹사이트
Census-2017 District Wise
https://www.pbs.gov.[...]
2024-11-23
[4]
e26
lah
[5]
웹사이트
Glottolog 5.0 - Western Panjabi
https://glottolog.or[...]
[6]
웹사이트
Glottolog 5.0 - Hindko-Siraiki
https://glottolog.or[...]
[7]
간행물
Lahndā and Lahndī
[8]
서적
Guru Gobind Singh : a multi-faceted personality
https://www.worldcat[...]
M.D. Publications
1999
[9]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Elsevier
[10]
웹사이트
Mian Muhammad Bakhsh – A great Punjabi Sufi Poet
https://nation.com.p[...]
2023-05-03
[11]
e18
lah
[12]
서적
The Lahndi Language
Nauka Publishing House, Central Department of Oriental Literature
[13]
문서
Shackle (2007) p.583
[14]
서적
Sociolinguistic Survey of Northern Pakistan
http://www-01.sil.or[...]
National Institute of Pakistan Studies
[15]
문서
Shackle (2007) p.585
[16]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pmu
http://www-01.sil.or[...]
2015-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