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랄레 안데르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랄레 안데르센은 독일의 가수이자 배우로, 1905년 브레머하펜에서 태어나 1972년 빈에서 사망했다. 1930년대 베를린 카바레에서 활동하며 예명 '라라 안데르센'을 사용했고, 1939년 녹음한 '릴리 마를렌'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인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전쟁 후에는 스위스 작곡가 아르투르 보일과 재혼하여 가수로 복귀했으며, 유럽, 미국 등지에서 콘서트 투어를 가졌다. 196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서독 대표로 참가했고, 1969년과 1972년에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레머하펜 출신 - 아돌프 부테난트
    아돌프 부테난트는 여성 성호르몬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나치 정권과의 연루 논란을 겪었고 막스 플랑크 연구소 소장과 막스 플랑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 브레머하펜 출신 - 하이노 페르히
    하이노 페르히는 1963년 브레머하펜에서 태어난 독일 배우로, 연극, 영화, TV에서 활약하며 《롤라 런》, 《몰락》 등의 영화와 《마다가스카의 펭귄》, 《코코》 같은 애니메이션 더빙에 참여했다.
  • 독일의 여자 싱어송라이터 - 니나 하겐
    니나 하겐은 1955년 동베를린에서 태어나 '니나 하겐 밴드'를 통해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고 펑크, 록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실험적인 음악과 독특한 무대 매너로 유명한 독일의 가수, 배우, 퍼포먼스 아티스트이다.
  • 독일의 여자 싱어송라이터 - 야니네 바이겔
    야니네 바이겔은 태국계 독일인 가수이자 배우, 모델로, 태국과 독일에서 성장하며 여러 언어에 능통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독일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 - 슈테판 라브
    슈테판 라브는 독일의 엔터테이너이자 텔레비전 진행자, 음악 프로듀서, 작곡가, 쇼 제작자로, 《TV 토탈》 진행,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관련 프로젝트 참여, 레나 마이어-란드루트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 기여 등의 활동을 했으며 2024년 방송 복귀를 앞두고 있다.
  • 독일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 - 코르넬리아 프로뵈스
    코르넬리아 프로뵈스는 독일의 배우이자 가수로, 196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독일 대표 참가, 영화 출연, 다수 연극 활동, '작은 코르넬리아' 예명으로 히트곡 발표, 골데네 샬플라테 등 수상,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 회원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랄레 안데르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1년경, 정원에 있는 안데르센
본명엘리자베트 칼로타 헬레나 베르타 분넨베르크
다른 이름리젤로테 빌케
니콜라 빌케
출생일1905년 3월 23일
출생지독일 제국 브레머하펜 레헤
사망일1972년 8월 29일
사망지오스트리아
안장지독일 니더작센주, 동프리지아 제도, 랑에오크
국적결혼 전 독일인, 결혼 후 스위스인
직업샹트외즈
레코딩 아티스트
작사가
음악 작가
배우
결혼
배우자파울 에른스트 빌케(1922년-1931년, 이혼)
아르투어 보이엘(1949년)
참고
주석"Lili Marleen An Allen Fronten" discogs
"Enlightening – "Lili Marlene": the song that united Allied and Axis troops" The Economist

2. 생애

라라 안데르센은 1905년 독일 북부의 항구 도시 브레머하펜에서 태어났다. 17세에 화가 파울 에른스트 빌케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으나, 막내가 태어나자마자 결혼 생활이 파탄났다. 1929년, 아이들을 가족에게 맡기고 베를린으로 가 배우 양성 학교에 다녔다. 1931년 이혼 후 베를린의 카바레 등에서 '리제로트 빌케'라는 예명으로 활동했다.

1933년부터 1937년까지 취리히 극장에 출연하면서 작곡가 롤프 리버만을 만나 평생 친구가 되었다. 1938년 이후 뮌헨의 카바레와 소극장에서 활동하며 독일 민요, 샹송, 유행가를 불렀고, '라라 안데르센'이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1937년 하이델베르크에서 피아니스트 카를 프리드리히 파셰를 만나 6년간 피아노 반주를 맡겼으나, 1943년 파셰가 출정한 후 그를 대신할 피아니스트를 찾지 못했다.[11]

2. 1. 초기 생애 (1905-1931)

안데르센은 1905년 독일 제국 레헤에서 태어났으며, 엘리자베트 칼로타 헬레나 베르타 부넨베르크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3] 친구와 가족들은 그녀를 "리제-로테"라는 애칭으로 불렀으며, 첫 번째 결혼 후에는 "리제로테 빌케"로 알려졌다.

1922년, 17세의 나이에 독일 인상파 화가 Paul Ernst Wilke|파울 에른스트 빌케de(1894–1971)와 결혼하여[6] 비외른, 카르멘-리타, Michael Wilke|미하엘 빌케de(1929–2017) 세 자녀를 두었다. 미하엘 빌케는 훗날 독일 음악계에서 활동했다. 막내가 태어난 직후 결혼 생활은 끝났고, 안데르센은 1929년 10월 자녀들을 테클라와 헬무트 형제에게 맡기고 베를린으로 갔다.[4] 베를린에서 그녀는 독일 극장의 Schauspielschule에서 연기를 공부했다고 한다.[5]

1931년 이혼 후, 안데르센은 리제로테 빌케라는 이름으로 베를린의 여러 카바레 무대에 서기 시작했다.[7]

2. 2. 릴리 마를렌과 전쟁 (1932-1945)

1939년, 뮌헨의 카바레에서 공연하던 중 랄레 안데르센은 한스 라이프의 시에 노르베르트 슐체가 곡을 붙인 노래 "릴리 마를렌"을 만났다. 그녀는 이 노래를 녹음했지만, 초기에는 약 700장이 발매되어 60장밖에 팔리지 않았다.[18] 그러나 1941년 가을, 나치 독일 점령 하의 베오그라드 라디오 방송국(솔다텐젠더 벨그라드(Soldatensender Belgrad))에서 독일군 전선 위문용 레코드 중 2장을 몰래 넣은 것을 계기로 방송에서 반복적으로 흘러나오면서 인기를 얻었다.[18]

솔다텐젠더 벨그라드(Soldatensender Belgrad)의 송신탑은 유럽과 지중해 전역에서 수신될 만큼 강력했으며, "릴리 마를렌"은 전선의 독일군뿐만 아니라 연합군 병사들에게도 곧 인기를 얻었다.[6] 매일 밤 9시 57분이 되면, 전장에서는 독일군과 연합군 모두 라디오를 켜고 이 노래를 들었다.

하지만 연인들의 이별을 노래한 음울한 가사가 사기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한 나치 선전장관 요제프 괴벨스는 이 노래를 혐오하여 라디오 방송을 금지했다.[18] 그럼에도 병사들의 인기는 식지 않았고, 문의가 쇄도하자 베오그라드 라디오는 방송 종료 직전인 매일 밤 9시 57분에 "릴리 마를렌"을 틀기로 결정했다.

안데르센은 "릴리 마를렌"의 판매량이 100만 장을 돌파하여 골든 디스크를 수여받았다.[10] 그러나 "릴리 마를렌"을 취재하고 취리히에서 친해진 롤프 리베르만을 비롯한 많은 음악가들이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랄레는 가수 활동을 금지당하고 자살을 시도했지만 미수에 그쳤다.[11]

9개월 후, 가수 활동 재개는 허가되었지만, 제국문화원의 감시를 받으며 "릴리 마를렌" 공연은 금지되었다.[5] 요제프 괴벨스의 지시로 "웅장한 드럼 반주를 붙인 군가 버전"의 "릴리 마를렌"을 새로 제작했고,[12] 종전까지 선전 관련 활동에만 동원되었다.[12]

2. 3. 전후 활동 (1946-1972)

종전 직전, 랄레 안데르센은 북해의 동프리슬란트 제도에 있는 랑게오크 섬으로 이주했다.[5] 1949년, 그녀는 스위스 작곡가 아르투르 보일(Artur Beul)과 재혼했다.[13] 1952년, 랄레는 자신이 직접 가사를 쓴 "Die blaue Nacht am Hafen"이라는 곡으로 가수 활동을 재개했다.[14] 1959년에는 멜리나 메르쿠리(Melina Mercouri)가 그리스어로 부른 "Ein Schiff wird kommen..."라는 곡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15] 이 곡은 서독에서 골든 앨범을 수상했다.

1961년, 랄레 안데르센은 "Einmal sehen wir uns wieder"라는 곡으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서독 대표로 참가했으나, 3점을 얻어 13위에 머물렀다. 당시 56세였던 그녀는 2008년 크로아티아의 75세 가수 75 센츠(75 Cents)가 경신하기 전까지 45년 이상 유로비전 사상 최고령 참가자 기록을 보유했다.[5]

1960년대에 걸쳐 랄레는 유럽, 미국, 캐나다를 순회 공연했고, 1967년 "Goodbye memories"라는 고별 투어를 마쳤다. 1969년에는 ''"Wie werde ich Haifisch? – Ein heiterer Ratgeber für alle, die Schlager singen, texten oder komponieren wollen"'' (''나는 어떻게 상어가 될 수 있을까? – 히트곡을 부르고, 가사를 쓰고, 작곡하기를 원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유쾌한 안내서'')라는 책을 출간했고, 1972년에는 자서전 ''"Der Himmel hat viele Farben"'' (''하늘은 많은 색깔을 가지고 있다'')를 출간하여 서독 잡지 데어 슈피겔(Der Spiegel)의 베스트셀러 목록 1위에 올랐다.[5]

2. 4. 사망

안데르센은 1972년 8월 29일 에서 67세의 나이로 간암으로 사망했다.[16] 그녀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한 여성 중 최초로, 독일어권 출신 참가자 중 최초로 사망한 사람이었으며, 자크 필스, 장-폴 모리크에 이어 세 번째 사망자였다. 장-폴 모리크는 1961년 유로비전에 출연하기도 했다.

3. 유산

"릴리 마를렌"은 제2차 세계 대전을 상징하는 노래 중 하나로, 전쟁의 비극과 애수를 담은 가사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았다.[18] 1939년 랄레 안데르센이 녹음한 이 노래는 처음에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지만,[18] 1941년 독일군 라디오 방송국인 솔다텐젠더 벨그라드(Soldatensender Belgrad)에서 방송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6] 방송은 유럽과 지중해 전역에서 수신될 만큼 강력했고, 노래는 곧 연합군 병사들에게도 인기를 얻었다.[6]

나치 독일의 선전장관 요제프 괴벨스는 이 노래의 가사가 사기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여겨 방송을 금지했지만,[18] 전선의 병사들은 "릴리 마를렌"을 계속 듣고 싶어했다.[18] 결국 베오그라드 라디오는 매일 밤 9시 57분에 이 노래를 틀기로 결정했고, 독일군과 연합군 병사들은 모두 라디오를 켜고 이 노래를 들었다.[18]

마를레네 디트리히를 비롯한 많은 가수들이 "릴리 마를렌"을 불렀으며,[18] 1981년에는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감독이 이 노래를 소재로 한 영화 "릴리 마를렌"을 제작하기도 했다.[18] 이 영화는 주인공 가수 빌리(Willi)가 전쟁에 휘말리는 비극을 그렸지만, 랄레 안데르센으로 추정되는 주인공을 비롯한 등장인물의 배경에는 사실과 다른 점이 많다.[18]

안데르센은 나치 정권 하에서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지키며 활동한 예술가로 평가받는다. 그녀는 "릴리 마를렌"의 판매량 100만 장을 돌파하여 골든 디스크를 받았다.[10]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안데르센을 전쟁의 아픔을 노래하고 평화를 염원한 예술가로 높이 평가한다.

4. 작품 목록

연도제목비고
1969년상어가 되는 법 – 슬래거를 부르거나 가사를 쓰거나 작곡하고 싶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쾌활한 안내서 (Wie werde ich Haifisch? – Ein heiterer Ratgeber für alle, die Schlager singen, texten oder komponieren wollen|비 베어데 이히 하이피쉬? – 아인 하이테러 라트게버 퓌어 알레, 디 슐라거 징엔, 텍스텐 오더 콤포니에렌 볼렌de)
1972년하늘은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지고 있다 (Der Himmel hat viele Farben|데어 힘멜 하트 필레 파르벤de)


4. 1. 음반

1952년 안데르센은 자신이 직접 가사를 쓴 "Die blaue Nacht am Hafen"으로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14] 1959년에는 멜리나 메르쿠리가 그리스어로 부른 Ein Schiff wird kommen...를 커버하여 또 다른 히트를 기록했다.[15] 이 곡들은 서독에서 골드 앨범을 수상했다.

4. 2. 저서


  • 상어가 되는 법 – 슬래거를 부르거나 가사를 쓰거나 작곡하고 싶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쾌활한 안내서 (Wie werde ich Haifisch? – Ein heiterer Ratgeber für alle, die Schlager singen, texten oder komponieren wollen|비 베어데 이히 하이피쉬? – 아인 하이테러 라트게버 퓌어 알레, 디 슐라거 징엔, 텍스텐 오더 콤포니에렌 볼렌de, 1969년)
  • 하늘은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지고 있다 (Der Himmel hat viele Farben|데어 힘멜 하트 필레 파르벤de, 1972년)

참조

[1] 웹사이트 Lili Marleen An Allen Fronten https://www.discogs.[...] discogs 2020-02-28
[2] 뉴스 Enlightening – "Lili Marlene": the song that united Allied and Axis troops https://www.economis[...] 2016-11-11
[3] 서적 Wie einst Lili Marleen—Das Leben der Lale Andersen Henschel Verlag 2002
[4] 뉴스 "Die Lieselott vom Weserdeich": Opulenter Bildband erinnert an die Sängerin Lale Andersen – Dokumentation ist flott geschrieben https://web.archive.[...] Nordsee-Zeitung 2002-08-10
[5] 웹사이트 Lale Andersen http://www.steffi-li[...] 2006-01-16
[6] 웹사이트 Lale Andersen und Lili Marleen – Eine (sic) Erfolgsmärchen mitten im Krieg https://web.archive.[...] 2006-01-16
[7] 웹사이트 Lale Andersen (1905–1972) https://web.archive.[...] 2020-02-28
[8] 웹사이트 Lale Andersen https://web.archive.[...] 2006-01-16
[9] 웹사이트 Lili Marleen https://archive.toda[...] 2006-01-16
[10] 웹사이트 Lili Marleen Gold Disc Goldene Schallplatte 1939 https://web.archive.[...] 2020-02-28
[11] 웹사이트 Lale Andersen: Verfolgung und Auftrittsverbot https://web.archive.[...] 2006-01-16
[12] 웹사이트 Lale Andersen: Englische Propagandalieder https://web.archive.[...] 2006-01-16
[13] 웹사이트 Lale Andersen – Die Chansonette, die "Lili Marleen" sang https://web.archive.[...] 2006-01-16
[14] 웹사이트 Andersen, Lale: Der Wachtposten und das Meer https://web.archive.[...] SWR 4 2005-03-22
[15] 웹사이트 Stadtgeschichte Bremerhavens: Lale Andersen https://web.archive.[...] 2006-01-16
[16] 웹사이트 Lale Andersen Langeoog Ferienhaus "Sonnenhof" https://www.lale-and[...] 2017-08-28
[17] 웹사이트 LEHE im Internet http://www.lehe.de/ 2006-01-16
[18] 서적 毎日ムックシリーズ20世紀の記憶 第2次世界大戦・欧州戦線1939-1945 毎日新聞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