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푸블리카 광장 (피렌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푸블리카 광장(Piazza della Repubblica)은 이탈리아 피렌체에 위치한 광장으로, 고대 로마 시대의 포럼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중세 시대에는 시장과 유대인 게토가 형성되었으며, 19세기 말 도시 재개발 계획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광장 주변에는 카페 질리, 파슈코프스키, 카페 레 주베 로세, 사보이 호텔 등 주요 건물들이 있으며, 19세기 건축 양식의 아케이드와 개선문(아르코네)이 특징이다. 과거에는 축제와 행렬이 열렸으나,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 중단되었고, 현재는 거리 예술과 문화 활동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레푸블리카 광장 (피렌체)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광장 (Piazza) |
로마자 표기 | Piattsa della Repubblika |
위치 | 피렌체, 이탈리아 |
역사 | |
이전 이름 | 포로 (Foro) 메르카토 베키오 (Mercato Vecchio) |
주요 변경 | 1885-1895년 |
특징 | |
콜론나 델로스탄차 | 콜론나 델로스탄차 |
아르코 | 아르코 |
관련 | |
인접 광장 | 두오모 광장 |
2. 역사
피렌체의 레푸블리카 광장은 도시의 오랜 역사를 간직한 장소이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도시의 중심지인 포럼이 위치했던 곳으로, 주요 도로인 카르도와 데쿠마누스 막시무스가 교차하는 지점이었다.[1] 중세 시대에는 이 지역이 인구 밀집 지역이자 중요한 시장(Mercato Vecchio|메르카토 베키오it, 구 시장)으로 발전했으며, 유대인 게토가 형성되기도 했다.[2] 이 시기에 세워진 풍요의 기둥(Colonna dell'Abbondanza)은 광장의 오랜 역사를 증명하는 상징물로 남아있다.
19세기 말, 피렌체가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가 된 이후 대대적인 도시 재정비 사업(Risanamento|리사나멘토it)이 시행되면서 광장 일대의 모습은 크게 변모했다. 중세 시대의 복잡한 건물과 거리들이 철거되고, 현대적인 광장과 주변 건물들이 들어서면서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역사적 건축물이 사라졌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당시 광장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를 기리기 위해 '피아차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로 명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광장의 이름은 현재의 '레푸블리카 광장'(Piazza della Repubblica|피아차 델라 레푸블리카it, 공화국 광장)으로 변경되었다. 오늘날 광장은 피렌체의 주요 만남의 장소이자 거리 예술가들의 공연 및 전시 공간으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2. 1. 로마 시대 포룸
레푸블리카 광장은 로마 도시의 중심지였던 포럼이 있던 자리에 해당한다. 현재 ''콜론나 델라본단자''가 서 있는 정확한 지점은 고대 로마 도로인 ''카르도''(현재의 로마 거리와 칼리말라 거리)와 ''데쿠마누스 막시무스''(현재의 스트로치 거리, 스페치알리 거리, 코르소 거리)가 교차하던 곳이다. 19세기에 이곳을 차지하고 있던 중세 시대의 복잡한 거리들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광장 남쪽에서 테르메(공중목욕탕) 단지와 종교 건물의 기초 유적이 발견되었다. 캄피돌리오 거리와 테르메 거리는 이러한 고고학적 발견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연대기 작가 조반니 빌라니는 이 지역이나 그 근처에 마르스 신전이 있었다는 구전 설화를 기록했다. 전설에 따르면 마르스는 피렌체의 수호신이었으며, 이는 도시의 호전적인 성격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빌라니는 중세 시대에 마르스 조각상이 베키오 다리의 전신이었던 다리 위에 놓여 있었으나, 1333년 홍수로 인해 다리와 함께 떠내려갔다고 기록했다.[1]
2. 2. 중세 시대 시장과 게토
중세 초기에 이 포럼 지역은 인구가 밀집된 곳이었다. 도시 성벽의 다섯 번째 원이 완성되기 전부터, 연대기 기록에 따르면 도시에는 더 이상 정원이나 목초지가 남아있지 않았다고 한다. 도시의 혼잡함은 주택들이 점점 더 높게 지어지도록 만들었고, 이는 ''카세-토리''(탑 건물)의 등장을 가져왔다.1000년 이후에도 이 지역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이자 시장으로서의 기능을 계속 유지했다. 다른 이탈리아 도시들처럼 피렌체 역시 상업을 위한 공공 공간을 명확히 구분하기 시작했다. 이 시장 광장은 종교 행사를 위한 피렌체 대성당 광장, 정치 및 시민 행사를 위한 코무네 광장(현재의 시뇨리아 광장)과 같은 다른 중요한 공간들과 인접해 있었다. 16세기에 베키오 다리 근처에 누오보 시장 로지아가 건설되면서, 이곳의 시장은 ''베키오 시장''(Mercato Vecchio|메르카토 베키오it, 구 시장)으로 불리게 되었다. 실제 시장 건물은 길고 낮은 직사각형 형태로, 양쪽에 늘어선 노점과 고객들을 보호하기 위한 지붕이 있었다. 광장 자체에도 다른 상점과 노점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시장이 열리는 것 외에도 이 지역은 좁은 거리와 건물들이 미로처럼 얽혀 있는 곳이었다. 베키오 시장에는 수많은 성소와 교회가 있었으나, 18세기 중반에 철거되었다.[2] 메르카토 광장에는 산 토마소 교회와 산타 마리아 인 캄피돌리오 교회가 있었다. 또한 오르산미켈레 뒤편, 라나 예술 궁전 북쪽 모퉁이에 재건된 산타 마리아 델라 트롬바 성소도 있었다. 코시모 1세가 강제로 설치한 유대인 게토는 도시의 유대인들을 이 지역의 일부로 모았다. 게토 안에는 이탈리아식 회당과 스페인 또는 레반트식 회당이 모두 존재했다.
오래된 메르카토 광장에서 유일하게 현재까지 남아있는 증인은 계단식 기단 위에 서 있는 ''콜론나 델라 도비지아'' 또는 ''콜론나 델라 아본단자''(Colonna dell'Abbondanza|콜론나 델라본단차it, 풍요의 기둥)이다. 이 기둥은 1956년에 현재 위치로 재배치되었다. 한때 도시의 중심지로 여겨졌던 이 기둥은 고대 로마 도시의 주요 도로인 카르도와 데쿠마누스 막시무스가 교차하는 지점에 세워졌다. 현재의 기둥은 1431년에 만들어졌으며, 꼭대기에는 조반 바티스타 포지니가 제작한 도비지아(또는 아본단자) 여신상이 회색 사암으로 조각되어 있다. 이 조각상은 원래 도나텔로가 만든 것이었으나, 1721년에 심하게 침식되어 포지니의 작품으로 교체되었다. 오늘날 포지니가 만든 원본 조각상은 비아 델 오리우올로에 있는 ''카사 디 리스파르미오'' 궁전에 보관되어 있으며, 기둥 위에는 1956년에 만들어진 복제품이 놓여 있다.
2. 3. 19세기 말 재개발 (리사나멘토)
광장의 현재 모습은 피렌체가 이탈리아의 수도였던 시기(1865–1871) 이후 발표되고 시행된 도시 계획의 결과이다. 특히 1885년부터 1895년 사이에 이 광장에서 집중적인 재개발 활동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19세기 당시에는 Risanamento|리사나멘토ita(재건)라는 기념적인 용어로 불렸으나, 도시 중심부의 상당 부분이 철거되었기 때문에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sventramento|스벤트라멘토ita(파괴 또는 황폐화)라고도 불린다.광장을 넓히기로 한 결정은 중세 시대의 탑, 교회, 아르티(길드)의 본부 건물, 일부 귀족 가문의 궁전, 장인의 상점과 거주지 등 중요한 역사적 건물들을 철거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철거는 표면적으로는 해당 지역의 비위생적인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제시되었지만, 실제로는 건물 투기를 통한 이익 추구와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부상한 중산층의 의지를 관철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는 비판이 있다.
이 재개발로 인해 도시는 막대한 문화적 손실을 입었다. 바사리의 로지아 델 페셰와 같은 일부 기념물은 해체된 후 피아차 데이 치옴피에 재조립되어 복원되었지만, 이는 전체적인 손실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었다. 19세기 철거 이전 광장의 모습은 비아 델오리우올로에 있는 무세오 디 피렌체 콤에라에 소장된 판화, 그림, 드로잉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철거 과정에서 나온 수많은 예술 작품과 건축 조각들은 골동품 시장으로 흘러 들어갔으며, 그중 일부만이 산 마르코 국립 박물관에 보존되었다. 일부는 기증을 통해 바르디니 박물관과 호른 박물관 설립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텔레마코 시뇨리니와 같은 예술가들은 사라져가는 옛 도시의 모습을 애수 어린 시선으로 화폭에 담았다.
1888년, 메르카토(시장) 중심부의 낡은 건물들이 철거된 후, 로지아, 콜론나 델라본단차, 산 토마소 교회가 있던 옛 피아차 델 메르카토 베키오(구 시장 광장)가 잠시 모습을 드러냈으나, 개발론자들은 더 급진적인 철거를 강행했다.
1890년 9월 20일, 광장 주변의 새로운 건물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기마상이 제막되었다. 이 기념물로 인해 광장은 한때 '피아차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제막식 당시 사진을 보면 광장 주변 건물이 아직 미완성 상태였고, 임시 가림막으로 덮여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기마상은 기념비적이지만 다소 과장된 표현 방식으로 피렌체 시민들의 호응을 얻지 못했으며, 시인 밤바는 "에마누엘레 아 코르포 스치올토(훌훌 벗은 에마누엘레)"라는 신랄한 소네트로 이를 조롱하기도 했다. 현재 이 조각상은 파르코 델레 카시네의 광장으로 이전되었다.
새로운 광장에 들어선 건물들은 당시 유행하던 절충주의 양식을 따랐으며, 빈첸초 미켈리, 루이지 부오나미치, 주세페 보치니 등 당대의 유명 건축가들이 설계했다. 이러한 변화를 거치며 광장은 도시의 "응접실"과 같은 공간으로 변모했다. 주변에는 화려한 궁전, 고급 호텔, 백화점, 그리고 우아한 카페들이 들어섰는데, 특히 유명한 카페 델레 주베 로세는 당대의 학자들과 예술가들이 모여 토론을 벌이는 명소가 되었다.
Arcone|아르코네ita라고 불리는 개선문이 있는 포르티코(주랑 현관)는 미켈리가 설계했으며, 피렌체 르네상스 건축 양식에서 영감을 받았다고는 하나, 세부적인 스타일은 본래의 고전 양식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개선문 위에는 광장의 변화를 상징하는 웅장한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이시도로 델 룬고나 다른 문학가의 글에서 인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L'ANTICO CENTRO DELLA CITTÀ
DA SECOLARE SQUALLORE
A VITA NUOVA RESTITUITO
(도시의 오래된 중심지가
수 세기의 누추함에서
새로운 생명으로 복원되다)
아르코네 꼭대기에는 원래 이탈리아, 예술, 과학을 상징하는 세 여성의 석고 조각상이 있었다. 그러나 피렌체 시민들은 이 조각상에 당시 유명했던 매춘부 세 명(라 스타르노티, 라 치피스치오니, 라 트라티엥기)의 별명을 붙여 조롱했다. 결국 상태가 악화된 이 조각상들은 1904년에 철거되었다.
2. 4. 20세기 이후
1932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동상이 철거되어 카시네 공원으로 옮겨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대에 광장의 이름은 '피아차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에서 현재의 Piazza della Repubblica|피아차 델라 레푸블리카ita(공화국 광장)로 변경되었다. 1956년에는 Colonna dell'Abbondanza|콜론나 델라본단자ita(풍요의 기둥)가 다시 세워졌다. 오늘날 이 광장은 거리 예술가들과 즉흥적인 전시가 열리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3. 주요 건물 및 시설
레푸블리카 광장 주변에는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여러 건물과 시설들이 자리 잡고 있다. 광장의 각 면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장소들이 위치한다.
- 북쪽 면: 약 75m 길이의 단일 건물 1층에 카페 질리와 카페 파슈코프스키가 나란히 있다.
- 남쪽 면: 긴 건물 안에 카페 주베 로세가 위치한다. 이 세 카페는 광장의 대표적인 만남의 장소이다.
- 동쪽 면: 스페치알리 거리(via degli Spezialiita)를 사이에 두고 두 건물이 있으며, 그중 하나가 사보이 호텔이다. 이 호텔은 절충주의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주변 건물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다.
- 서쪽 면: 광장의 상징적인 개선문인 아르코네가 있다. 아르코네는 광장 확장 기념물로 세워졌으며, 아치와 연결된 건물 중 하나로 팔라초 델레 포스테(중앙 우체국)가 있다. 아르코네 아래로는 비아 데글리 스트로치(via degli Strozziita)가 광장으로 이어진다.
3. 1. 카페 질리 (Caffè Gilli)
카페 질리(Caffè Gilli|카페 질리ita)는 레푸블리카 광장 북쪽 면에 위치한 역사적인 카페이다. 광장의 북쪽 면은 길이가 약 75m인 하나의 큰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페 질리는 이 건물 1층의 오른쪽에 자리 잡고 있다. 같은 건물 1층 왼쪽에는 카페 파슈코프스키가 있다.3. 2. 카페 파슈코프스키 (Caffè Paszkowski)
Caffè Paszkowski|카페 파슈코프스키ita는 오늘날 레푸블리카 광장에 자리 잡고 있는 세 개의 주요 카페 중 하나이다. 다른 두 곳은 카페 질리와 카페 주베 로세이다.3. 3. 카페 주베 로세 (Caffè delle Giubbe Rosse)
레푸블리카 광장 남쪽 면의 긴 건물 안에는 역사적인 카페인 Caffè delle Giubbe Rosse|카페 델레 주베 로세ita가 자리 잡고 있다. 광장에는 이곳 외에도 Caffè Gilli|카페 질리ita, Caffè Paszkowski|파슈코프스키ita가 있다. 유명한 단골들의 사진, 그림, 기억들로 가득 찬 이 카페는 마리네티를 중심으로 한 밀라노의 미래파와 잡지 ''La Voce|라 보체ita''를 중심으로 한 피렌체 예술가들 간의 논쟁과 충돌이 벌어졌던 역사적인 장소로도 알려져 있다.3. 4. 사보이 호텔 (Savoy Hotel)
광장 동쪽에는 두 개의 건물이 있으며, 그 사이로 스페치알리 거리(via degli Spezialiita)가 광장으로 이어진다. 이 중 왼쪽에 있는 건물이 사보이 호텔(Savoy Hotelita)이다.호텔은 건축가 빈첸초 미켈리(Vincenzo Micheli)가 설계했으며, 처음 지어진 이후 계속 호텔로 사용되고 있다. 건물 외관은 피렌체 건축의 고전적인 특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절충주의 양식으로 꾸며져 있다. 이 호텔 건물은 이후 수십 년에 걸쳐 광장 주변에 세워진 다른 건물들의 건축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모델이 되었다.
3. 5. 팔라초 델레 포스테 (Palazzo delle Poste)
광장 중앙의 개선문인 아르코네 양쪽에는 당시 건축물의 전형적인 디자인으로 아케이드가 덜 조밀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한쪽은 1917년에 지어진 팔라초 델레 포스테에 연결된다.3. 6. 아르코네 (Arcone)
광장 서쪽에는 북쪽의 비아 브루넬레스키와 남쪽의 비아 펠리체리아를 따라 뻗은 두 개의 아케이드가 있다. 이 두 아케이드는 비아 데글리 스페치알리를 마주보는 거대한 개선문, 즉 '아르코네'(Arcone)로 연결된다. 아르코네 아래로는 광장으로 이어지는 비아 데글리 스트로치의 입구가 있다.아르코네와 '포르티코 감브리누스'(Portico Gambrinus)는 건축가 빈첸초 미켈리(Vincenzo Micheli)가 설계하고 건설했다. 포르티코 감브리누스에는 과거 카페 감브리누스와 시네마 감브리누스가 있었는데, 이곳은 19세기와 20세기 피렌체의 중요한 만남의 장소였다.
아르코네는 19세기에 이루어진 광장 확장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비로 설계되었다. 이는 아치 위에 새겨진 비문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이시도로 델 룽고(Isidoro Del Lungo)의 글귀가 인용되어 있다.
중앙 아르코네의 양옆으로는 당시 건축 양식에 따라 아케이드가 덜 조밀하게 이어지며, 그중 한쪽은 1917년에 지어진 팔라초 델레 포스테(Palazzo delle Poste, 중앙 우체국) 건물과 연결된다.
4. 문화
(작성할 내용 없음)
4. 1. 축제
광장의 철거 및 재건으로 인해 이 지역 축제의 연속성은 끊어졌다. 예를 들어, 19세기에 팔리오 데이 바르베리가 중단되었으며, 부활절 당일에 열렸던 두 개의 행렬 또한 중단되었다. 이 행렬은 스초피오 델 카로로 이어졌는데, 하나는 포르타 알 프라토 근처에서 황소가 끄는 브린델로네 행렬이었고, 다른 하나는 성 아포스톨리 교회에서 엄숙하게 불을 붙이는 행렬이었다. 그러나 광장이 도시 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심성은 줄어들지 않았는데, 특히 20세기 초반에는 광장을 마주한 카페들이 예술가와 문인들의 만남의 장소가 되었다.5. 논란
19세기 후반, 피렌체가 이탈리아의 수도였던 시기를 전후하여 단행된 도시 재정비 사업, 이른바 '리사나멘토' 과정에서 레푸블리카 광장 일대는 큰 변화를 겪었다. 이 과정에서 광장 주변의 중세 시대 탑, 교회, 궁전 등 수많은 역사적 건축물이 철거되었는데, 이는 도시 미관 개선과 위생 강화를 명분으로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부동산 투기와 같은 다른 목적이 있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대규모 철거는 '리사나멘토'(Risanamento|리사나멘토ita, 재건)가 아닌 '스벤트라멘토'(sventramento|스벤트라멘토ita, 파괴)라는 비판적 용어로 불리기도 하며, 도시의 역사적 정체성 훼손에 대한 논란을 낳았다. 새롭게 들어선 건축물과 기념물 역시 당시 사회적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5. 1. 역사적 건물 철거 논란
광장의 현재 모습은 피렌체가 이탈리아의 수도였던 시기(1865년–1871년) 이후 발표되고 시행된 도시 계획의 결과이다. 특히 1885년부터 1895년 사이에 집중적인 재정비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공식적으로 '리사나멘토'(Risanamento|리사나멘토ita, 재건)로 불렸지만, 비판자들에게는 도시 중심부의 상당 부분이 철거되었다는 점에서 '스벤트라멘토'(sventramento|스벤트라멘토ita, 파괴 또는 황폐화)라고 불리기도 했다.광장을 넓히는 과정에서 중세 시대의 탑, 교회, 아르티(길드)의 본부, 귀족 가문의 궁전, 장인의 상점과 거주지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물들이 대거 철거되었다. 철거의 명분으로는 해당 지역의 비위생적인 상태 개선이 제시되었지만, 실제로는 건물 투기와 통일 과정에서 부상한 중산층의 이해관계가 더 크게 작용했다는 비판이 있다.
이러한 재개발로 인해 도시는 큰 손실을 입었다. 바사리의 로지아 델 페셰와 같은 일부 기념물은 해체 후 피아차 데이 치옴피에 복원되었지만, 이는 최소한의 보상에 불과했다. 19세기 철거 이전 광장의 모습은 비아 델오리우올로에 있는 무세오 디 피렌체 콤에라의 판화, 그림, 드로잉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철거 과정에서 나온 수많은 예술 작품과 건축 조각품들은 골동품 시장으로 흘러 들어갔으며, 일부만이 산 마르코 국립 박물관에 보존되었다. 일부 기증된 작품들은 바르디니 박물관과 호른 박물관 설립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텔레마코 시뇨리니와 같은 예술가들은 사라져가는 옛 도시의 모습을 애수 어린 시선으로 화폭에 담았다.
1888년, 옛 시장(메르카토 베키오) 중심부의 가건물들이 철거되면서 로지아, 콜론나 델라본단차, 산 토마소 교회가 있던 옛 광장의 모습이 잠시 드러났으나, 개발론자들은 더 급진적인 철거를 강행했다.
1890년 9월 20일, 광장 주변의 새 건물 공사가 아직 진행 중인 가운데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기마상이 제막되었다. 이 기념물로 인해 광장은 한동안 '피아차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로 불렸다. 제막식 당시 사진을 보면 광장 건물이 미완성 상태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기념물은 다소 과장된 형태로 제작되어 피렌체 시민들의 호응을 얻지 못했으며, 밤바는 "에마누엘레 아 코르포 스치올토"라는 신랄한 소네트로 이를 조롱하기도 했다. 현재 이 기마상은 파르코 델레 카시네 공원으로 이전되었다.
새롭게 들어선 건물들은 당시 유행하던 절충주의 양식을 따랐으며, 빈첸초 미켈리, 루이지 부오나미치, 주세페 보치니 등 유명 건축가들이 설계했다. 광장은 고급 호텔, 백화점, 우아한 카페들이 들어서면서 도시의 새로운 사교 중심지, 일종의 "라운지"가 되었다. 특히 유명한 카페 델레 주베 로세는 당대의 학자들과 예술가들이 모여 토론을 벌이는 명소가 되었다.
'아르코네'(Arcone|아르코네ita)라고 불리는 개선문이 있는 포르티코는 미켈리가 설계했으며, 피렌체 르네상스 건축에서 영감을 받았다고는 하지만, 실제 고전 양식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개선문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이 문구는 이시도로 델 룬고나 다른 문학 작품에서 인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도시의 고대 중심지
> 오래된 궁핍함에서
> 새로운 삶으로 복원됨
개선문 꼭대기에는 원래 이탈리아, 예술, 과학을 상징하는 세 여성의 석고 조각상이 있었으나, 당시 피렌체 사람들은 이를 유명 매춘부 세 명(라 스타르노티, 라 치피스치오니, 라 트라티엥기)에 빗대어 부르며 조롱했다. 상태가 악화된 이 조각상들은 1904년에 철거되었다.
참조
[1]
서적 # or 간행물, 적절한 타입으로 변경 필요
[2]
문서 # or 박물관, 기타 등등 적절한 타입으로 변경 필요
Museo di Firenze com'e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