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토는 특정 집단을 강제 격리하거나 차별하는 구역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중세 유럽의 유대인 게토, 나치 독일의 게토, 덴마크의 취약 주거 지역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다. 최초의 '게토'는 베네치아 게토였으며, 나치 독일은 유대인 절멸을 위해 게토를 활용했다. 게토는 롬인, 프랑스, 영국, 미국, 자메이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상하이에도 유대인 게토가 있었다. 게토는 영화, 음악 등 대중문화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하며, 한국 사회에도 시사점을 던져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족 집단거주지구 - 슈테틀
    슈테틀은 19세기 동유럽 러시아 제국 내 유대인 거주 지역에 있던 작은 마을로, 전통적인 유대인 생활 방식과 하시디즘, 이디시어, 탈무드 학문 등의 문화를 나타내지만, 홀로코스트로 파괴되고 일부만 보존되었다.
  • 민족 집단거주지구 - 리틀스페인
    리틀 스페인은 20세기 초 뉴욕에 정착한 스페인 이민자들이 스페인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킨 중심지였으나, 도시 재개발과 경제 불황 등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흔적만 남아있는 지역이다.
  • 도심 황폐화 -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소한 무질서가 방치되면 더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으로, 1982년 제시되었으며, 뉴욕시 치안 정책에 반영되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했으나, 과잉 단속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도심 황폐화 - 슬럼
    슬럼은 열악한 주거 환경과 빈곤이 연관된 밀집 주거 지역으로, 낮은 주택 품질, 부족한 기반 시설, 불안정한 토지 소유권 등의 특징을 가지며, 사회 문제들을 야기하여 다양한 해결 전략이 제시되지만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 없이는 해결이 어렵다.
게토
사회
개요
정의일반적으로 소수 집단이 거주하는 빈곤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
역사적 기원원래는 베네치아의 유대인 거주 지역을 지칭
현대적 의미인종, 민족, 종교, 경제적 이유 등으로 인해 차별받고 고립된 지역 사회
특징높은 빈곤율
열악한 주거 환경
높은 범죄율
낮은 교육 수준
제한된 기회
사회적 문제사회적 불평등 심화
사회 통합 저해
세대 간 빈곤 대물림
역사
기원1516년 베네치아에서 유대인을 격리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에서 유래
'게토(ghetto)'라는 단어는 베네치아의 유대인 거주 지역인 '게토 누오보(Ghetto Nuovo)'에서 파생
유대인 게토중세 시대부터 유럽 각지에 존재
유대인들은 법적으로 특정 지역에만 거주하도록 강제됨
게토는 종종 벽이나 울타리로 둘러싸여 외부 세계와 단절
나치 게토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점령한 유럽 지역에 설치
유대인들을 강제로 이주시킨 후, 열악한 환경 속에서 생활하도록 강요
게토는 유대인 학살의 전 단계로 이용됨
현대의 게토인종, 민족, 종교, 경제적 이유 등으로 형성
미국, 유럽 등 다양한 국가에서 발견
도시 빈민 지역, 이민자 거주 지역 등이 게토의 형태를 띨 수 있음
어원
이탈리아어 기원'게토(ghetto)'는 이탈리아어 '게토(getto)'에서 유래
'게토(getto)'는 '주조하다', '녹이다'라는 뜻의 동사 '게타레(gettare)'의 과거 분사형
베네치아의 유대인 거주 지역이 과거 구리 주조 공장이 있던 곳에 위치한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음
한국어 '게토'의 사용
의미 확장원래의 유대인 거주 지역이라는 의미에서 확장되어, 소외된 계층이 모여 사는 지역을 비유적으로 지칭
특정 집단이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고립된 생활을 하는 상황을 의미하기도 함
부정적 함의'게토'라는 용어는 종종 부정적인 함의를 내포
빈곤, 범죄, 차별 등의 문제와 연관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사용 주의'게토'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는 그 함의와 역사적 배경을 고려해야 함
특정 지역이나 집단을 비하하거나 차별하는 의도로 사용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같이 보기
관련 용어빈민가
슬럼
할렘
게토화

2. 역사적 배경

게토는 본래 중세 유럽에서 유대인들을 법률에 따라 강제로 거주하게 만든 시가지 지구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는 단순한 차별과 배제의 역사를 넘어, 억압에 맞선 저항의 역사이기도 하다.[72]

게토는 주로 다음 세 가지 문맥에서 사용된다.

2. 1. 중세 유럽의 유대인 게토

중세 유럽에서 유대인은 종교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이질적인 존재로 여겨졌으며, 이는 강제 격리 정책으로 이어졌다. 1096년 제1차 십자군 원정 이후, 유럽에서는 십자군 원정 때마다 유대인 박해가 심화되었고, 사회 불안이 높아질 때마다 유대인은 박해의 대상이 되었다.[72] 13세기 후반 이후, 먼저 독일에서 유대인 강제 격리가 실시되었다.[72] 유대인 강제 격리 거주 구역은 주변이 벽으로 둘러싸이고 출입이 제한되었으며, 유대인임을 나타내는 노란색 표식을 부착하게 하는 등 다양한 제한이 가해졌다.[72]

14세기 흑사병 대유행으로 흑사병을 옮겼다고 여겨진 유대인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면서 유럽 전역에서 유대인 격리 정책이 시행되었고, 유대인 격리 거주 구역은 교회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72] 이 시기에 만들어진 유대인 격리 거주 구역으로는 프랑크푸르트의 유덴가세와 프라하의 요제포프가 특히 유명하다. 다만 이것들은 창설 당시 게토라고 불리지 않았다.[72]

2. 2. 베네치아 게토: '게토'의 기원

1516년 베네치아 공화국은 칸나레조 지역에 유대인 강제 거주 구역인 베네치아 게토를 설치했는데,[6] 이것이 '게토'라는 용어의 기원이 되었다. 베네치아 게토는 대포 주조소(베네치아 방언으로 "Gheto")가 있던 지역에 설치되었으며,[72] 이는 게토라는 명칭의 유래 중 하나로 여겨진다.[72]

'게토'라는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른 설도 있다.[7]

1555년 교황 바오로 4세는 베네치아 게토를 본떠 로마 게토를 설치했고, 이후 '게토'는 유대인 강제 거주 구역을 지칭하는 공식 용어가 되었다.[75]

2. 3. 나폴레옹 시대의 게토 해방과 그 이후

프랑스 혁명 이후, 18세기 말부터 서유럽 국가에서는 프랑스 혁명과 당시의 자유주의 운동을 등에 업은 나폴레옹이 유대인 해방과 함께 각지의 게토를 해방시켰다.[1] 1870년경에는 로마의 게토가 유럽에 남아있는, 법문으로 규정된 마지막 게토가 되었다.[1] 그러나 나폴레옹 실각 후 다시 유대인들의 생활에는 제한이 가해지기 시작했고, 많은 유대인들이 차별과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이주했다.[1]

2. 4. 나치 독일의 게토 부활과 홀로코스트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동유럽의 여러 도시에 유대인과 롬인을 가두기 위한 강제 수용소와 같은 게토를 새로 설립했다. 나치는 문서와 표지판에서 이 지역을 "유대인 지구"라고 불렀다.[10] 1939년 이후, 나치는 폴란드 내 유대인을 큰 도시의 특정 지역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했고, 1940년 10월에는 점령 하 최대 규모의 바르샤바 게토가 설치되는 등 많은 게토가 1940년부터 1941년에 걸쳐 만들어졌다. 1943년 6월 21일, 하인리히 힘러는 동부의 모든 게토를 해체하고 나치 강제 수용소로 이송하거나 몰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0]

바르샤바 게토 봉기, 1943년


이후 게토는 홀로코스트에서 사실상의 강제 수용소가 되었다. 게토의 생활은 매우 열악하여 전염병과 기아 등으로 인해 수많은 유대인이 목숨을 잃었다. 1942년, 나치는 홀로코스트의 절멸 수용소로 강제 이송을 시작했다. 유럽 각지의 유대인이 동유럽 게토 혹은 직접 절멸 수용소로 이송되었고, 바르샤바 게토에서만 52일 동안 30만 명이나 트레블링카 절멸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바르샤바 게토 봉기를 비롯하여, 몇몇 게토에서는 무장 봉기가 일어났으나 모두 실패로 끝나고, 게토의 유대인은 거의 학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1940년 이후, 나치 독일동유럽 국가에 침공하여 점령지에 게토를 설치하고 현지 유대인을 강제 이주시켰다. 특히 폴란드를 침공하여 병합한 후, 바르샤바 유대인에게 거주를 강제한 게토는 바르샤바 게토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바르샤바 게토는 38만 명의 주민을 수용한 나치 점령 하 유럽 최대의 게토였다.

게토는 출입이 금지되었고, 유대인들은 다윗의 별을 팔 등에 붙이도록 강요받았다. 1942년 이송과 1943년 친위대 소장 위르겐 슈트롭에 의한 게토 소탕으로 트레블링카나 아우슈비츠 등의 유대인 강제 수용소로 이송될 때까지 그곳에 살았다. 감시가 엄격하여 밖은 높고 두꺼운 벽과 탈출 방지용 전선과 철조망이 쳐져 있었고, 도망치는 유대인은 모두 사살되었다.

게토 안은 비참했다. 바르샤바에서는 인구의 30%가 시역의 2.4%에 살았으며, 평균적으로 한 방에 9.2명이 사는 밀집 상태였다. 한때 5가족이 생활하던 공간에 700명이 사는 게토도 있었다. 바르샤바에서 배급되는 식량은 폴란드인 1인당 669kcal, 독일인 1인당 2613kcal였던 것에 반해, 유대인 1인당 253kcal였다. 그러나 외출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식량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하수 시설 등은 거의 없고, 밀집된 생활 환경과 극심한 식량 부족으로 인해 전염병 유행과 기아로 수십만 명이 죽음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에 있던 유대인들은 학교나 진료소를 설립하거나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게토 밖에서는 비유대계 폴란드인들에 의해 "제고타"라는 암호로 불리는 비밀 조직 "유대인 구제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그들은 게토의 유대인들을 지원했다. 이레나 센들러와, 1990년대에 폴란드의 외상이 되는 젊은 시절의 브와디스와프 바르토셰프스키도 제고타의 중심 멤버로 활동했다.

독일 측 지배자는 유대인이 게토에서 행하는 활동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지만, 사람들이 모이는 사회적인 활동을 "안전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여 참여한 유대인을 구속 및 살해하는 것을 꺼리지 않았다. 지배자는 일반적으로 아이들에 대한 교육 활동을 금지했지만, 주민이 비밀리에 학교를 여는 일도 있었다.

어린이 권리 조약의 근원이 된 "어린이 권리"의 제창자 야누시 코르차크와 그의 고아원 아이들도 이곳에서 트레블링카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

3. 유럽의 다양한 게토

고대 알렉산드리아로마 등에는 이미 유대교도의 큰 거주 구역이 있었다. 중세 유럽 초기나 이슬람권에서도 유대교도 거주 구역은 존재했다. 그러나 이것들은 강제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유대인이 스스로 모여서 생긴 거주 구역이었으며, 어떤 제한도 없었다.[72]

그러나 1096년 제1차 십자군 원정 이후, 유럽에서는 십자군 원정 때마다 유대인은 박해를 받았으며, 사회 불안이 높아질 때마다 유대인은 박해의 대상이 되었다. 13세기 후반 이후, 독일에서 먼저 유대인의 강제 격리가 실시되었다.[72] 이렇게 만들어진 유대인의 강제 격리 거주 구역은 주변이 벽으로 둘러싸이고 출입이 제한되었으며, 노란색 표시 등 유대인임을 나타내는 표식을 부착하게 하는 등 다양한 제한이 가해졌다.[72]

14세기의 흑사병 대유행으로 흑사병을 옮겼다고 여겨진 유대인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면서 유럽 전역에서 유대인 격리 정책이 시행되었고, 유대인 격리 거주 구역은 교회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72] 이 시기에 만들어진 유대인 격리 거주 구역으로는 프랑크푸르트의 유덴가세와 프라하의 요제포프가 특히 유명하다. 다만 이것들은 처음 만들어질 당시에는 게토라고 불리지 않았다.[72]

3. 1. 유대인 게토

유럽의 유대인 게토는 종교, 언어, 인종에 대한 차별 때문에 존재했으며, 유대인들은 엄격한 규제와 제약 속에서 살아야 했다.[9] 베네치아 게토처럼 비교적 부유한 인구가 거주하는 유대인 지구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게토는 끔찍한 빈곤의 장소였다. 인구 증가 기간 동안 로마 게토와 같은 게토는 좁은 거리와 높고 혼잡한 집을 가지고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는 유대인과 롬인을 제한된 구역에 가두기 위한 일종의 강제 수용소로서 동유럽의 여러 도시에 새로운 게토를 설립했다. 나치는 문서와 입구의 표지판에서 이러한 지역을 "유대인 지구"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많았다.[10] 이러한 나치 수용소는 때때로 전통적인 유대인 게토 및 유대인 구역과 일치하기도 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다.

나치 게토는 최종 해결의 일부였다. 즉, 각 도시의 유대인들을 쉽게 접근하고 통제할 수 있는 한 곳에 먼저 가두고, 게토를 "청산"한 다음 유대인들을 절멸 수용소로 보내는 과도기적 단계로 의도되었다.

3. 2. 롬인 게토

슬로바키아 코시체 근처의 롬인 정착촌 루니크 IX


유럽 연합에는 많은 롬인 게토가 있다.[11][12][13] 체코 정부는 체코에 약 830개의 롬인 게토가 있는 것으로 추산한다.[14]

3. 3. 덴마크의 "취약 주거 지역"

2010년부터 2021년까지[15] 덴마크 정부는 "게토"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덴마크의 특정 취약 사회 주택 지역을 지정했다.[16][17] 이러한 지정은 거주자의 소득 수준, 고용 상태, 교육 수준, 범죄 전과, 비서구 이민자와 그 후손의 비율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18][19][20]

2010년, 덴마크 교통 건설 및 주택부는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취약 사회 주택 지구의 공식 목록을 도입했으며, 이 목록은 비공식적으로, 때로는 공식적으로 ''게토리스트''('게토 목록')라고 불렸다. 이 목록은 2010년 이후 매년 갱신되었으며, 2013년, 2018년, 2021년에는 정의 및/또는 용어가 변경되었다.[15]

2018년,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총리가 이끄는 덴마크 정부는 2030년까지 병행 사회와 게토를 없애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20][21]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의 어린이들을 위한 주당 25시간 의무 보육 또는 이에 상응하는 부모 감독, 거주자에 대한 사회 복지 감소, 실업 감소를 위한 인센티브, 특정 임대 건물의 철거 및 재건, 집주인의 범죄자 주택 거부 권리 등 사회 통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조치가 도입되었다.[21][22][17][19]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법 앞의 평등' 원칙을 훼손하고, 특히 무슬림 이민자를 부정적으로 묘사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8][23]

"게토"라는 용어는 사용 기간 동안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거주자들은 이 용어 때문에 낙인이 찍혔다고 느꼈고,[24] 연구자들은 해당 지역이 일반적으로 20~40개의 서로 다른 민족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있어 원래 게토의 민족적 동질성과 정반대되므로, '다민족 주거 지역'이 더 적절한 용어라고 지적했다.[25][26]

2019년 6월, 덴마크에 새로운 사회민주당 정부가 구성되었고, 카레 디브바드가 주택부 장관이 되었다. 그는 새 정부가 취약 주택 지역에 대해 "게토"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는 부정확하고 경멸적인 표현이기 때문이다.[27] 2021년 개혁에서 덴마크 의회는 법률에서 이 용어를 최종 삭제하고, "병행 사회"라는 새로운 범주를 도입했다.[15]

4. 미국 게토

게토는 일반적으로 인종이나 민족이 같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지역을 말한다. 미국의 게토는 빈곤이 만연하고, 다른 지역과 분리되어 사회적 기회와 불평등이 반복되는 특징을 가진다.[38]

1974년 5월, 시카고 사우스 사이드의 시카고 게토


1950년대와 1960년대 시민권 운동 이후에도 미국은 여전히 흑인과 백인이 서로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미국의 주거 분리 사회로 남아있다.[40][41] 1914년부터 1970년까지 100만 명 이상의[42]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남부의 인종 차별을 피해 북부와 서부 도시로 이주하는 대이동이 일어났지만, 이들은 새로운 도시에서 다른 이민자들과 경쟁해야 했고, 종종 가난한 지역에 정착해야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경쟁으로 인해 여러 도시에서 흑인에 대한 백인의 인종 폭력이 발생했다.[43] 1919년은 붉은 여름이라고 불릴 정도로 인종 갈등이 심각했다.

산업 구조 변화와 중산층의 교외 이동은 인종 및 계급 간 분리를 심화시켰다. 1967년부터 1987년 사이 제조업 일자리가 감소하고, 서비스 및 금융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변화하면서, 흑인들은 실업이나 저임금 노동에 시달리게 되었다.[38]

노동 경제학적 관점에서 흑인과 유럽 이민자 간 차이를 비교하면, 흑인은 차별로 인해 노동 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남부에서 흑인들은 참정권을 잃고 정치적 권력을 빼앗겼기 때문에, 북부로 이주한 후에도 사회적 이동에 어려움을 겪었다.[4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백인 도주 현상이 나타나면서 많은 백인들이 도시를 떠나 교외로 이주했다.[45][46] 이는 흑인들의 도시 유입에 대한 반응이었으며, 차별적인 정책으로 인해 흑인들은 교외로 이주하기 어려웠다. 반면, 연방 정부는 백인들에게 주택 담보 대출을 지원하여 교외 확장을 가속화했다.[47]

1970년대와 1980년대 "도시 위기"는 소득과 인종에 따른 지역 분열을 심화시켰다.[49] 은행, 보험 회사 등은 흑인 밀집 지역에 서비스 제공을 거부하거나 비용을 인상하는 레드라이닝을 시행했고,[50][51][52] 이는 모기지 차별로 이어졌다. 1936년 FHA의 "인종적" 조항은 소수 민족이 특정 지역에서만 주택 담보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주거 인종 차별과 도시 쇠퇴를 심화시켰다.[45][54][55]

시민권 운동 이후 공정 주택법이 통과되어 주택 차별이 금지되자, 흑인 중산층은 게토를 떠나기 시작했다. 이를 흑인 도주라고 부르며, 흑인 노동 계층도 뒤따라 이주하면서 게토는 주로 빈곤층이 거주하는 지역이 되었다.[58][59]

미국에서는 뉴욕이나 샌프란시스코 등 대도시에 게토라고 불리는 지역이 존재한다. 거주자는 빈곤층에 속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할렘 등)이나 푸에르토리코인, 라틴 아메리카인, 아시아계 미국인 사람들이다.

4. 1. 초기 이민자 게토

19세기 중반부터 아일랜드계독일계 이민자들이 미국 도시에 민족 앙클레이브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1880년부터 1920년 사이에는 이탈리아계, 폴란드계 등 남부 및 동유럽 출신 이민자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유대인 이민자들은 초기 독일 이민 물결에 포함되었으며, 당시 러시아 제국에서 온 많은 이민자들도 유대인이었다.[36]

이러한 민족별 거주 지역, 즉 게토에는 뉴욕 맨해튼의 로어 이스트 사이드 (주로 유대인 거주, 이후 중국인과 라틴 아메리카인 거주), 이스트 할렘 (주로 이탈리아인 거주, 1950년대 이후 푸에르토리코인 공동체 형성), 브루클린의 브라이튼 비치 (20세기 후반 소련 출신 유대계 러시아인 및 우크라이나인 이민자 거주) 등이 있었다.[37] 시카고의 필젠, 피츠버그의 폴리시 힐 등에도 폴란드계 이민자들이 주로 정착했다.

4. 2. 흑인 게토의 형성과 발전

20세기 초, 대이동(1914~1970)으로 100만 명 이상의[42]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남부의 인종 차별을 피해 북부와 서부 도시로 이주하면서 흑인 게토가 형성되기 시작했다.[42] 이들은 뉴욕, 디트로이트, 클리블랜드, 시카고, 피츠버그, 로스앤젤레스, 오클랜드, 포틀랜드, 시애틀 등 산업 도시에서 일자리를 찾고 더 나은 삶을 추구했다.[42] 그러나 흑인들은 북부 및 중서부 도시에서 백인, 특히 유럽 이민자들과 경쟁해야 했고, 종종 가난한 주택 지역에 제한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참전 용사들이 돌아오면서 사회 혼란과 경제적 경쟁으로 인해 시카고, 오마하, 워싱턴 D.C. 등 많은 북부 도시에서 흑인에 대한 백인의 인종 폭력이 발생했다.[43] 남부 산업 도시도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인종 차별적 공격은 극도로 폭력적이었고, 흑인들의 집을 불태우거나 폭탄 테러하는 행위도 포함되었다.[43] 1919년은 광범위한 인종적 발발과 흑인에 대한 백인들의 공격으로 인해 붉은 여름이라고 불렸다.

산업 기업의 재배치와 중상류층 주민들의 교외 이동은 인종과 계급 간의 분리를 심화시키고 현대 게토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1967년과 1987년 사이 경제 구조 조정으로 제조업 일자리가 감소했고, 북부 및 서부 산업 도시들은 서비스 및 금융 직업으로 전환했다. 전후 시대 고속도로와 교외 개발은 중상류층 가정과 사업체를 교외로 끌어들였고, 이주할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내부 도시에 남게 되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받아 실업 또는 불완전 고용 상태가 되었고, 일부 내부 도시 지역에 집중되었다.[38]

노동 경제학에 따르면, 흑인과 유럽 이민자 간 인구 통계 패턴을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럽 이민자와 흑인 모두 민족적 분업의 대상이었지만, 차별 때문에 흑인은 노동 시장에서 가장 불안정한 부문에 제한되었다. 데이비드 워드는 흑인 게토에서 이러한 정체된 위치를 '엘리베이터' 모델이라고 언급하며, 이는 각 이민자 집단이 사회 이동과 교외화 과정에서 교대로 기회를 얻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흑인이 1층에서 움직일 수 없는 것은 인종 차별과 인종 분리 패턴에 달려 있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남부에서 확립되었으며, 대부분의 흑인들은 참정권을 박탈당하고 정치적 권력을 빼앗겼다.

제1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 흑인들의 북부 이주 이후, 그들은 유럽 이민자들과 경쟁해야 했다. 흑인 공동체의 느린 발전 속도는 노동 시장의 경직성, 경쟁 및 갈등을 보여주며, 흑인 게토에서 빈곤과 사회 불안정의 만연에 또 다른 차원을 더한다.[44]

''Children in the Ghetto and the Ice-Cream Man'' - 1909년 시카고 맥스웰 스트리트 엽서


1908년경 시카고 맥스웰 스트리트. "시카고의 게토". 1908년에 인쇄된 시카고 기념 가이드에서 가져옴. 이디시어 '생선 시장' 간판 주목.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백인 미국인들이 도심에서 새로운 교외 지역 사회로 이동하는 백인 도주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흑인이 백인 도시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에 대한 대응으로 발생했으며,[45][46] 차별적인 관행은 흑인들이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도 도심에서 교외로 이주하는 것을 제한했다. 같은 시대에 고속도로 건설과 연방 정부의 주택 담보 대출 지원(재향 군인부, FHA, 주택 소유주 대출 공사)은 주로 백인에게 제공되어 교외 확장을 가속화했다. 이는 백인 가정이 교외에서 새로운 집을 사는 것을 더 쉽게 만들었지만, 도시의 아파트를 임대하는 것은 더 어렵게 만들었다.[47]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화 과정을 통해 경제를 재구조화하면서 기술 발전과 효율성 향상을 추구했다. 1973년의 구조적 변화는 인종적 게토와 노동 시장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샤론 주킨은 노동력에서 흑인으로 지정된 계층이 노동 계급보다도 더 낮은 위치에 놓였다고 언급했다. 저숙련 도시 일자리는 멕시코카리브해에서 온 이민자들에게 주어졌고, 사회 서비스는 축소되었으며 법 집행과 투옥과 같은 사회적 통제가 강화되었다.[48]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도시 위기"로 묘사된 이 전환은 소득 및 인종 차이에 따른 지역 분열을 심화시켰다.[49] 이러한 분리는 민권법, 도시 폭동, 흑인 권력 운동 기간에 발생했다.

게토 내의 누적된 경제적, 사회적 힘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고립과 불평등을 초래했다. 흑인들이 남부에서 유입되자 은행, 보험 회사, 기업들은 특정 지역 주민들에게 은행 업무, 보험, 일자리 접근,[50] 의료 서비스 접근, 슈퍼마켓[51]과 같은 서비스 제공을 거부하거나 비용을 인상하기 시작했다.[52] 레드라이닝의 가장 파괴적인 형태는 모기지 차별이었다. 주택 가격과 통합에 대한 태도에 대한 데이터는 20세기 중반에 분리가 흑인이 아닌 사람들이 흑인을 외부 지역 사회에서 배제하기 위해 취한 집단적 행동의 결과임을 시사한다.[53]

1936년 FHA 언더라이팅 매뉴얼의 "인종적" 조항은 분리 문제를 악화시켰다.[45][54] 이는 소수 민족이 특정 지역에서만 주택 담보 대출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했으며, 미국의 주거 인종 차별과 도시 쇠퇴를 크게 증가시켰다.[55] 일부 고속도로 건설은 흑인 지역 사회를 상품 및 서비스로부터 분리하고 고립시켰으며, 많은 경우 산업 통로 내에서 발생했다. 예를 들어 앨라배마주 버밍햄의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은 1926년 도시의 인종적 구역 설정 법에 의해 설정된 인종적 경계를 유지하려고 시도했다. 도시의 흑인 지역 사회를 통과하는 주간 고속도로 건설은 해당 지역 사회의 상당한 인구 감소로 이어졌으며, 지역 사회의 인종적 분리 증가와 관련이 있다.[56] 백인이 주로 백인 지역에 거주하기 위해 흑인보다 더 많은 돈을 지불하려는 의지가 있었기 때문에 주거 분리는 더욱 영속되었다.[36] 일부 사회 과학자들은 교외화 및 탈중심화의 역사적 과정이 백인 특권의 예시이며, 현대적인 환경 인종 차별 패턴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57]

시민권 운동으로 촉발된 주택 및 노동 분야의 차별 금지 정책이 등장한 후, 흑인 중산층은 게토에서 벗어났다. 1968년 공정 주택법이 통과되어 주택 판매 및 임대에서 차별을 금지했다. 공정 주택 및 평등 기회 사무소는 이 법을 관리하고 시행할 책임을 맡았다. 주택 차별이 불법화되면서 흑인 사회에 새로운 주택 기회가 제공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게토를 떠났다. 도시 사회학자들은 이 역사적 사건을 "흑인 중산층 탈출" 또는 흑인 도주라고 명명한다. 엘리야 앤더슨은 20세기 후반에 흑인 중산층 구성원들이 게토 주민들과 사회적, 문화적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하여 "결국 문자 그대로 이사하면서 이러한 거리를 표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58] 이어서 흑인 노동 계급 가족들의 탈출이 이어진다.[59] 그 결과, 게토는 주로 1980년대와 1990년대 사회학자와 언론인들이 흔히 "하층 계급"이라고 칭하는 사람들에 의해 점유된다. 윌리엄 줄리어스 윌슨은 이러한 탈출로 인해 흑인 하층 계급의 고립이 악화되었다고 주장한다.[59]

5. 기타 지역의 게토

미국에서는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 대도시에 게토라고 불리는 빈곤층 밀집 거주 지역이 존재한다. 거주자는 빈곤층에 속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할렘 등), 푸에르토리코인, 라틴 아메리카인, 아시아계 미국인 등이다. 시카고 학파 도시 사회학자 루이스 워스의 연구를 계기로, 이들 이민자 밀집 거주 지역이 "게토"라고 불리게 되었다.

5. 1. 상하이 게토

제2차 세계 대전 전과 그 기간 동안, 많은 유대인들이 독일 점령 유럽에서 상하이로 피신했다. 일본이 중국을 침략한 후, 일본 제국은 홍구 구에 약 2.6km2 면적의 상하이 게토를 설치하고, '무국적 난민의 거주 및 사업 제한에 관한 포고령'에 따라 약 20,000명의 유대인 난민을 이 지역으로 이주시켰다.[71]

5. 2. 프랑스의 방리외

프랑스에서 ''반리외''(bɑ̃ljø|lang프랑스어)는 큰 도시의 교외 지역을 의미한다. 반리외는 자치 행정 구역으로 나뉘며, 도시 자체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리 지역 거주자의 80%는 파리 시 외곽에 거주한다.[28] 도심과 마찬가지로, 교외 지역도 부유층, 중산층 또는 빈곤층이 거주할 수 있다. 베르사유, 르 베지네, 메종-라피트, 뇌이쉬르센파리의 부유한 반리외이며, 클리시수부아, 봉디, 코르베이에손은 그렇지 않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로, 프랑스어에서 ''반리외''는 주로 외국인 이민자와 외국 출신 프랑스인이 주로 거주하는 저소득 주택 프로젝트(HLM)를 의미하게 되었으며, 이는 종종 빈곤의 악순환으로 인식된다.[29]

1980년대 말부터 사회 분열을 선정적으로 보도하는 매스 미디어에 의해 소년들의 대규모 비행 사건 등 치안 문제가 발생한 저가 주택 지역에 게토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77] 미국의 게토와 마찬가지로 지역 주민에는 빈곤층이나 노동자 계급이 포함되지만, 미국의 게토가 40만에서 100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데 반해 프랑스의 게토 규모는 그 10분의 1을 넘는 것이 없다.[77] 또한, 프랑스의 게토는 대체로 도시 구조가 주변과 격리되어 있지 않고, 민족적으로도 다양하다.

5. 3. 영국의 민족 앙클레이브

영국에는 특정 민족이나 종교 집단이 주로 거주하는 민족 앙클레이브가 존재한다. 그레이터 런던의 사우스홀 브로드웨이는 주로 아시아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인구의 12% 미만이 백인 영국인이다. 이 지역은 '게토'의 예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민족 및 종교 집단이 함께 살고 있다.[30][31]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워드 두 곳(모두 버밍엄에 위치)은 특정 비백인 민족 집단이 지역 인구의 2/3 이상을 차지했다. 백인이 지역 인구의 1/3 미만인 곳은 20개 워드였다.[32][33] 2001년까지 뉴엄과 브렌트는 "소수민족 다수" 인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런던의 대부분 지역은 다양한 인구를 가진 경향이 있었다.

역사적으로 런던의 일부 지역은 특정 민족 또는 종교 집단이 우세한 것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예를 들어 골더스 그린과 런던 바넷 구의 다른 지역에는 유대인 공동체가, 노팅힐에는 서인도 제도 공동체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 인구는 더 광범위한 다문화 인구의 일부였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런던의 이스트 엔드는 유대인 인구로 유명했지만, 현재는 영국 방글라데시인 인구가 많다.[34]

북아일랜드의 도시들은 오랫동안 인종, 종교, 정치적 노선에 따라 분리되어 왔다. 북아일랜드의 두 주요 공동체는 아일랜드 민족주의-아일랜드 공화주의 공동체(주로 아일랜드인 또는 가톨릭교회 신자)와 아일랜드의 연합주의-얼스터 충성주의 공동체(주로 영국인 또는 개신교 신자)이다.

아일랜드 독립 전쟁과 함께 발생한 폭동 동안 벨파스트에서 게토가 등장했다. 사람들은 안전을 위해 자신의 공동체가 다수인 지역으로 피신했다. 1969년 폭동과 "분쟁"이 시작된 후 더 많은 게토가 등장했다. 1969년 8월, 영국군이 질서를 회복하고 양측을 분리하기 위해 배치되었고, 정부는 "평화선"이라는 장벽을 건설했다. 많은 게토가 (공화주의) 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과 (충성주의) 얼스터 방위 연합과 같은 준군사조직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게토 중 하나는 프리 데리였다.[35]

5. 4. 자메이카의 게토

자메이카의 수도 킹스턴에는 트렌치타운 등 게토라고 불리는 빈곤층 밀집 지역이 있다.

5. 5. 니제르의 난민 캠프

사하라 사막 이남에서 사하라 사막 이북의 국가를 목표로 하는 경제 난민이 모이는 난민 캠프를 게토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6. 대중문화 속 게토

게토는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분야작품명설명
영화더 월(1982)바르샤바 게토 봉기를 다룬 TV 영화이다.
영화보이즈 앤 후드(1991)로스앤젤레스 크렌쇼 게토에 사는 세 젊은이의 이야기이다.
영화메네스 투 소사이어티(1993)게토에서 벗어나 더 나은 삶을 꿈꾸는 젊은 거리 건달에 관한 영화이다.
영화봉기(2001)1943년 나치에 맞선 바르샤바 게토 유대인들의 봉기를 다룬 TV 영화이다.
영화용감한 아이레나 샌들러의 마음(2009)바르샤바 게토에서 수백 명의 유대인 아이들을 구출한 이레나 센들러에 관한 TV 영화이다.
영화우리가 역사를 쓸 것이다(2018)에마누엘 링겔블룸과 그가 바르샤바 게토에서 만들고 이끌었던 비밀 기록 보관소에 관한 영화이다.
음악"In the Ghetto" (1969)맥 데이비스 작사, 엘비스 프레슬리 노래로, 빈민가 출생과 삶을 다룬다.
음악"The Ghetto" (1970)도니 해더웨이의 소울 곡이다.
음악"Ghetto Life" (1981)릭 제임스의 펑크 곡이다.
음악"The Ghetto" (1990)투 쇼트의 힙합 곡이다.
음악"Ghetto" (2001)P.O.D.의 앨범 Satellite 수록곡이다.
음악"Ghetto" (2004)에이콘의 노래이다.
음악"Ghetto" (2007)켈리 롤랜드의 R&B 곡이다.
음악"Ghetto" (2011)준아이 카덴의 앨범 From Me to You 수록, Mumzy Stranger 피처링 곡이다.
음악"Ghetto" (2014)어거스트 알시나의 R&B 곡이다.


7.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게토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 배제의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이다. 한국 사회 역시 다양한 형태의 차별과 배제가 존재하며, 이는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한국의 진보 진영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 마련에 힘써야 한다.

특히,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증가하는 이주민, 난민 등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해소하고, 이들이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주거, 교육, 노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별 해소 및 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 마련과 함께,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ghetto http://www.merriam-w[...] 2017-07-05
[2] 웹사이트 Ghettos https://encyclopedia[...] 2023-11-12
[3] 웹사이트 Ghettos. Key Facts http://www.ushmm.org[...]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15-09-28
[4] 웹사이트 The Ghettos | About the Holocaust https://www.yadvashe[...] 2020-07-19
[5] 웹사이트 Segregated From Its History, How 'Ghetto' Lost Its Meaning https://www.npr.org/[...] 2019-12-12
[6] 서적 The Ghetto of Venice M. Evans & Co.
[7] 웹사이트 Segregated From Its History, How 'Ghetto' Lost Its Meaning https://www.npr.org/[...] NPR 2017-11-20
[8] 웹사이트 ghetto (n.) https://www.etymonli[...]
[9] 웹사이트 GHETTO http://kpearson.facu[...]
[10] 서적 Ghetto in Flames
[11] 뉴스 The New Roma Ghettos https://www.vice.com[...] 2013-12-25
[12] 뉴스 No voice, no future? Roma ignored as Europe goes to polls https://www.theguard[...] 2019-05-23
[13] 뉴스 Roma ghettos in the heart of the EU https://elpais.com/e[...] 2019-09-06
[14] 뉴스 Czech Govt report on the state of the Romani minority estimates 830 ghettos with 127, 000 inhabitants in the regions http://www.romea.cz/[...] 2019-10-15
[15] 웹사이트 Ghettolisten eller Parallelsamfundslisterne. https://bl.dk/politi[...] Danmarks Almene Boliger 2022-04-28
[16] 웹사이트 UDSATTE BOLIGOMRÅDER — DE NÆSTE SKRIDT https://www.ft.dk/sa[...] The Immigration and Integration Affairs Committee of the Danish Parliament 2013-05
[17] 뉴스 In Danish 'ghettos', immigrants feel stigmatized and shut out https://www.reuters.[...] 2018-07-04
[18] 뉴스 In Denmark's Plan To Rid Country Of 'Ghettos,' Some Immigrants Hear 'Go Home' https://www.npr.org/[...] 2018-07-04
[19] 뉴스 In Denmark, Harsh New Laws for Immigrant 'Ghettos' https://www.nytimes.[...] 2018-07-04
[20] 뉴스 Danes to double penalty for ghetto crime https://www.bbc.co.u[...] 2018-07-04
[21] 뉴스 Here's what we know about Denmark's 'ghetto plan' https://www.thelocal[...] 2018-07-04
[22] 간행물 What to Know About Denmark's Plan to End Immigrant "Ghettos" https://time.com/532[...] 2018-07-04
[23] 뉴스 "No ghettos in 2030": Denmark's controversial plan to get rid of immigrant neighborhoods https://www.vox.com/[...] 2018-07-04
[24] 뉴스 Ny boligminister vil undgå ordet 'ghetto' https://www.dr.dk/ny[...] DR (broadcaster) 2023-01-28
[25] 뉴스 Ghetto - et ord med betydning https://www.b.dk/kro[...] Berlingske 2023-01-28
[26] 뉴스 Forsker: Udsatte boligområder kan være en fordel for integrationen https://www.kristeli[...] Kristeligt Dagblad 2023-01-28
[27] 웹사이트 Fem debattører: Her er hadeordene, der skal dø sammen med 'ghetto'. https://politiken.dk[...] Politiken
[2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parisbynumber[...] 2013-08-14
[29] 서적 Coeur de banlieue: codes, rites, et langages Odile Jacob
[30] 뉴스 We cant run away from it white flight is here too https://www.thetimes[...] 2010-05-03
[31] 서적 London from Punk to Blair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32] 간행물 Patterns of Ethnic Segregation in London https://www.yumpu.co[...] Greater London Authority 2020-07-19
[33] 웹사이트 About http://www.lse.ac.uk[...] British Society for Population Studies 2020-07-19
[34] 웹사이트 50 Objects: 'London's East End' https://jewishmuseum[...] 2021-10-18
[35] 웹사이트 History Battle of the Bogside http://www.museumoff[...] 2017-04-17
[36] 간행물 "Ghettos: The Changing Consequences of Ethnic Isolation" http://www.bos.frb.o[...] Federal Reserve Bank of Boston 1997
[37] 웹사이트 Changing Face of Brighton Beach https://forward.com/[...] 2012-09-17
[38] 서적 Ghetto Gale Virtual Reference Library 2008
[39] 논문 Creating the Black Ghetto: Black Residential Patterns Before and After the Great Migration PMC
[40] 논문 Inequality and Segregation
[41] 논문 Segregation and Stratification: A Biosocial Perspective
[42] 웹사이트 Retired Site — PBS Programs — PBS https://www.pbs.org/[...] 2017-07-05
[43] 논문 Creating the Black Ghetto http://dx.doi.org/10[...] 2015-06-09
[44] 논문 The Ethnic Ghetto in the United States: Past and Present
[45] 서적 The Suburban Racial Dilemma: Housing and Neighborhoods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46] 논문 Central City White Flight: Racial and Nonracial Causes
[47] 웹사이트 "Racial" Provisions of FHA Underwriting Manual http://www.public.as[...] 2008-12-29
[48] 논문 How 'Bad' Is It?: Institutions and Intentions in the Study of the American Ghetto
[49] 논문 Distinguishing the Geographical Levels and Social Dimensions of U.S. Metropolitan Segregation, 1960–2000
[50] 문서 Racial Discrimination and Redlining in Cities http://www.core.ucl.[...] 2007-11-30
[51] 논문 In poor health: Supermarket redlining and urban nutrition
[52] 서적 How East New York Became a Ghetto
[53] 논문 The Rise and Decline of the American Ghetto http://nrs.harvard.e[...]
[54] 문서 Underwriting Manual: Underwriting and Valuation Procedure Under Title II of the National Housing Act with Revisions to February, 1938 1938
[55] 서적 Crabgrass frontier: The suburbanization of the United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56] 논문 From Racial Zoning to Community Empowerment: The Interstate Highway System and the African American Community in Birmingham, Alabama
[57] 논문 Rethinking Environmental Racism: White Privilege and Urban Development in Southern California
[58] 서적 Streetwise: Race, Class, and Change in an Urban Communit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9] 서적 The Truly Disadvantaged: The Inner City, the Underclass, and Public Policy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0] 문서 Ghetto 2008
[61] 논문 Black Rednecks and White Liberals http://www.capitalis[...] 2015-05-16
[62] 논문 "Black Rednecks and White Liberals", by Thomas Sowell http://www.nationalr[...] 2005-09-09
[63] 논문 Symposium on the ''Ghetto''
[64] 논문 The Presence of Organizational Resources in Poor Urban Neighborhoods: An Analysis of Average and Contextual Effects
[65] 서적 Urban Fortunes : The Political Economy of Pla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6] 서적 Black Talk: Words and Phrases from the Hood to the Amen Corner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Company
[67] 간행물 The Heart of Harlem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68] 서적 The Goshen Dilemma https://books.google[...]
[69] 문서 Geographical Review
[70] 논문 Geographical Record
[71] 웹사이트 Shanghai Jewish History http://www.chinajewi[...] 2006-08-13
[72] 서적 世界大百科事典の「ゲットー」の項目 平凡社事典
[73] 서적 ワース、p.15 ワース
[74] 서적 ディモント、下巻p.53 ディモント
[75] 서적 ジョンソン、上p.406 ジョンソン
[76] 웹사이트 GHETTOS https://encyclopedia[...] 2024-07-15
[77] 서적 貧困の基本形態:社会的紐帯の社会学 新泉社 2016
[78] 뉴스 サハラ砂漠に92人の遺体、行き倒れたニジェール難民 http://topics.jp.msn[...] 프랑스통신사 2013-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