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프 콘체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프 콘체비치는 1930년 소비에트 연방에서 태어난 러시아의 한국어학 권위자이다. 모스크바동방학대학을 졸업하고 소련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연구소에서 학위를 받은 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훈민정음을 세계 최초로 러시아어로 번역하고, 한국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콘체비치 체계를 고안했다. 그는 한국 문학 번역 및 편집에도 기여했으며, 1991년부터 1995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객원 교수로 재직했고, 1999년 한국어학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2012년 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저명한 수학자 막심 콘체비치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탐보프 출신 - 레프 쿨레쇼프
레프 쿨레쇼프는 몽타주 이론과 쿨레쇼프 효과를 통해 영화 편집의 중요성을 강조한 러시아의 영화 감독이자 이론가이며, 《볼셰비키의 땅에서 미스터 웨스트의 특별한 모험》 등의 작품을 감독하고 게라시모프 영화 학교에서 후진을 양성했다. - 탐보프 출신 - 마리야 스피리도노바
마리야 스피리도노바는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사회혁명당에 가입하여 장군 암살 후 시베리아로 유배되었지만 혁명으로 석방, 좌익 사회혁명당 지도자가 되어 볼셰비키와 협력했으나 정책에 반대하며 봉기를 주도하다 실패 후 처형, 복권되었다. - 소련의 동양학자 - 바실리 바르톨트
바실리 바르톨트는 러시아의 동양학자로, 중앙아시아, 투르키스탄, 이슬람 세계의 역사 연구, 특히 몽골 제국 시대 연구에 공헌했으며, 소비에트 동양학 확립에 기여한 중앙아시아사 연구의 선구자이다. - 소련의 동양학자 -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는 (본문 내용 부족으로 추가 정보 필요) 인물이다. - 러시아의 동양학자 - 안드레이 란코프
안드레이 란코프는 러시아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 유학 후 현재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북한의 정치, 사회, 역사, 특히 권력 구조와 주민 생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NK News, 코리아타임스 등 여러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Korea Risk Group의 이사로 활동하는 등 북한 관련 연구 및 대중 활동을 활발히 이어가는 북한학 전문가이다. - 러시아의 동양학자 - 바실리 바르톨트
바실리 바르톨트는 러시아의 동양학자로, 중앙아시아, 투르키스탄, 이슬람 세계의 역사 연구, 특히 몽골 제국 시대 연구에 공헌했으며, 소비에트 동양학 확립에 기여한 중앙아시아사 연구의 선구자이다.
레프 콘체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 이름 | 레프 라파일로비치 콘체비치 |
로마자 표기 | Lev Rafailovich Kontsevich |
한글 | 레프 라파일로비치 콘체비치 |
러시아어 | Лев Рафаи́лович Конце́вич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30년 9월 3일 |
출생지 | 탐보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
국적 | 러시아 |
학문 분야 및 경력 | |
분야 | 한국학, 동양학 |
직장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 연구소 |
모교 | 모스크바 동방학 연구소 |
기타 정보 | |
수상 내역 | |
수상 | 은관문화훈장 (2012년) |
2. 생애
레프 콘체비치는 1930년 9월 3일 소비에트 연방 탐보프에서 태어났다.[6] 모스크바동방학대학을 졸업하고 소련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연구소(현재의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6][2] 그는 러시아의 저명한 한국어학자로, 1973년 훈민정음을 세계 최초로 러시아어로 번역했으며[6], 한국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콘체비치 체계를 고안했다.[6] 이 체계는 러시아 등 구소련권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4] 1991년부터 1995년까지 대한민국에서 방문 교수로 활동했으며[6][3], 이후 모스크바 대학교 등에서 연구를 이어갔다.[3] 현재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4] 한국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12년 한글날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6][5] 그는 저명한 수학자 막심 콘체비치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2. 1. 초기 생애 및 학업
레프 콘체비치는 1930년 9월 3일 소비에트 연방 탐보프에서 라파일 스타니슬라보비치 콘체비치와 소피야 니콜라예브나 포포바의 아들로 태어났다.[6] 그는 모스크바동방학대학을 졸업하고[6], 소련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연구소(현재의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연구소)에서 학위를 받은 후 그곳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6][2] 1958년부터 1974년까지 그는 문화어언학과장이자 학술지 ''아시아 및 아프리카 민족''의 편집장을 역임했다.[2] 이 시기인 1965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했다.[2] 1973년, 그는 논문을 통과하여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2. 2. 학술 활동 및 방북
모스크바 동양학 연구소에서 공부하고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 연구소를 졸업한 후, 그곳에서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1958년부터 1974년까지는 문화어언학과장과 학술지 ''아시아 및 아프리카 민족''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이 기간 중인 1965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1973년에는 논문을 통과하여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소련의 붕괴 이후인 1991년부터 1995년까지는 대한민국에서 객원 교수로 활동했다. 이후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모스크바 대학교 국제 한국학 센터의 선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3]
현재 그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 연구소 동양 언어학과의 선임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콘체비치는 동양학에 관한 다수의 연구, 논문, 출판물을 발표했으며, 특히 한국 전통 문학 번역과 편집에 기여했다. 그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한글 텍스트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콘체비치 표기법을 개발한 것이다. 이 표기법은 구소련 국가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다.[4]
그의 한국학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1999년에는 서울 동숭학술재단으로부터 한국어학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2012년 한글날에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문화훈장을 받았다.[5]
2. 3. 대한민국 체류 및 활동
소련의 붕괴 이후인 1991년부터 1995년까지 대한민국에서 방문 교수로 재직했다.[6][3] 1999년에는 서울의 동숭학술재단으로부터 한국어학 공로상을 수상했으며,[5]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는 그의 한국학 발전에 대한 공로를 인정하여 2012년 한글날에 은관문화훈장을 수여하였다.[6][5]2. 4. 러시아 복귀 및 현재
소련의 붕괴 이후인 1991년부터 1995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객원 교수로 활동했다. 이후 러시아로 돌아와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모스크바 대학교 국제 한국학 센터의 선임 연구원으로 일했다.[3]현재 그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 연구소 동양 언어학과의 선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콘체비치는 동양학에 관한 다수의 연구, 논문, 출판물을 저술하고 편집했으며, 특히 한국 전통 문학 번역과 편집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한글 텍스트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콘체비치 표기법을 개발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이 표기법은 구소련 국가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이 사용하고 있다.[4]
그의 한국학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1999년 서울의 동숭학술재단으로부터 한국어학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2012년에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한글날에 문화훈장을 받았다.[5]
그는 저명한 수학자 막심 콘체비치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3. 콘체비치 체계
레프 콘체비치는 한글 텍스트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을 개발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표기법은 그의 이름을 따 콘체비치 체계라고 불린다. 이 시스템은 주로 구소련 국가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이 사용한다.[4]
4. 수상 경력
- 1999년: 서울 동숭학술재단 한국어학 공로상[5]
- 2012년: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훈장 (한글날 수훈)[5]
5. 저서
연도 | 제목 | 출판사/기관 | 비고 |
---|---|---|---|
1972년 | 《한국지명의 러시아어 표기 지침서》 | 소련 정부 산하 측지 및 지도 제작 본부 | |
1973년 | 《한국지명사전》 | 소련 정부 산하 측지 및 지도 제작 본부 | G. E. 티호노바, Y. A. 미로폴스키 공저 |
1979년 | 《훈민정음(訓民正音)》 | GRVL 출판사 | |
2001년 | 《한국학논총(韓國學論總)》 | 무라베이 가이드 출판사 | |
2013년 | 《훈민정음의 세계》 | 러시아학술원 동방학연구소, 모스크바 삼일문화원 | |
2016년 | 《대한민국지명사전》 | 러시아학술원 동방학연구소, 모스크바 삼일문화원 | 오동건 편집, 송지훈 도안[7] |
6. 가족 관계
저명한 수학자 막심 콘체비치의 아버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90th Birthday of Prof. Lev Rafailovich Kontsevich
http://koreanstudies[...]
2020-09-03
[2]
웹사이트
КОНЦЕВИЧ Лев Рафаилович
http://www.rauk.ru/i[...]
2020-10-16
[3]
웹사이트
Лев Рафаилович Концевич
http://www.orientals[...]
2020-10-16
[4]
웹사이트
Лев Рафаилович Концевич
http://www.orientals[...]
2020-10-16
[5]
웹사이트
한글의 세계화에 기여한 인사, 한글 발전 유공자로 포상 훈민정음 해례본을 세계 최초로 러시아어로 번역한 콘체비치 레프 라파일로비치,'한글 1000만 명 운동' 제창한 가네와카 도시유키 등 10명 수상
https://www.mcst.go.[...]
2020-10-16
[6]
URL
http://www.mcst.go.k[...]
[7]
URL
http://book.ivran.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