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심 콘체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심 콘체비치는 소련에서 태어난 수학자이다. 그는 매듭 이론, 양자화, 거울 대칭 등 수리물리학의 기하학적 현상에 대한 연구를 주로 수행했다. 푸아송 다양체에서의 변형 양자화에 대한 수학 정리, 콘체비치 불변량, 안정 사상의 모듈라이 공간 도입 등이 주요 업적이다. 그는 1992년 유럽 수학회상, 1998년 필즈상, 2008년 크라포드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애미 대학교 (플로리다주) 교수 - 자코 파스토리우스
자코 파스토리우스는 프렛리스 베이스 기타 연주의 혁신과 뛰어난 음악성으로 베이스 기타를 솔로 악기로 격상시킨 미국의 재즈 베이시스트이자 작곡가로, 웨더 리포트 활동과 다양한 협업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나 말년에 어려움을 겪다 요절했다. - 마이애미 대학교 (플로리다주) 교수 - 하워드 에이컨
하워드 에이컨은 하버드 마크 I의 주요 설계자이자 미국의 컴퓨터 과학 선구자로서, IBM의 지원을 받아 하버드 마크 시리즈를 개발하고 하버드 대학교에 컴퓨터 과학 석사 과정을 개설하여 컴퓨터 기술 발전과 컴퓨터 과학 교육에 기여했다. - 럿거스 대학교 교수 - 강성모 (공학자)
강성모는 전기 공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 공대 학장,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시드 총장, KAIST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학자이다. - 럿거스 대학교 교수 - 셀먼 에이브러햄 왁스먼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생화학자이자 미생물학자인 셀먼 에이브러햄 왁스먼은 럿거스 대학교 교수로서 스트렙토마이신을 발견하여 결핵 치료에 기여하고 '항생 물질'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해양 세균학 연구에도 공헌하여 195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러시아의 수학자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러시아의 수학자 - 게오르크 칸토어
게오르크 칸토어는 집합론의 기초를 다지고 무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집합의 크기가 다를 수 있음을 증명했으며, 대각선 논법과 초한수 이론을 제시한 독일계 수학자이다.
막심 콘체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막심 리보비치 콘체비치 |
로마자 표기 | Maksim L'vovich Kontsevich |
출생일 | 1964년 8월 25일 |
출생지 | 힘키,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
국적 | 러시아, 프랑스 |
민족 | 러시아 민족 |
학력 및 경력 | |
출신 대학 |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
박사 지도 교수 | 돈 재기어 |
주요 제자 | 세르게이 바라니코프 |
직장 | 고등과학연구소, 마이애미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학문 분야 | 수학, 수리물리학 |
수상 내역 | |
수상 | 유럽 수학회 상(1992년) 오토 한 메달(1992년) 앙리 푸앵카레 상(1997년) 필즈상(1998년) 크라포르드 상(2008년) 쇼 상(2012년) 기초 물리학 분야의 브레이크스루 상(2012년) 수학 분야의 브레이크스루 상(2015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외국인 협력자) (2015) |
2. 생애
막심 콘체비치는 언어학자 레프 콘체비치의 아들로 태어났다. 레프 콘체비치는 콘체비치 체계를 고안한 인물이다.[4] 콘체비치는 소비에트 연방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2위를 수상한 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에 입학했지만, 1985년 모스크바에 있는 정보 전송 문제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일하기 위해 학위 없이 학교를 그만두었다.[4]
연구소에 있는 동안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는 본 막스 플랑크 수학 연구소의 관심을 끌어 3개월간 초청을 받았다. 그곳에서 머무는 기간이 끝나기 직전에 5일간의 국제 회의인 아르바이타궁(Arbeitstagung)에 참석하여 위튼 추측에 대한 증명 개요를 제시하여 마이클 아티야와 다른 수학자들을 놀라게 했고, 그 결과 연구소 초청 기간은 3년으로 연장되었다.[4]
1992년 돈 버나드 자기어의 지도 아래 본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 에드워드 위튼의 두 양자 중력 모델의 동치성에 대한 가설을 증명하였다. 같은 해 콘체비치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수학 정교수로 임명되었고, 1995년 프랑스로 이직하여 뷔르쉬르이베트의 고등과학원의 정회원이 되었다.
그의 연구는 수리물리학의 기하학적 측면, 특히 매듭 이론, 양자화, 거울 대칭에 집중되어 있다. 그의 업적 중 하나는 모든 푸아송 다양체에 적용되는 공식적인 변형 양자화이다. 그는 또한 복잡한 적분으로 정의되는 위상적인 매듭(및 연결)의 불변량인 콘체비치 적분을 도입했는데, 이는 파인만 적분과 유사하며 고전적인 가우스 연결 수를 일반화한다. 위상적 장 이론에서 그는 안정 사상의 모듈라이 공간을 도입했는데, 이는 위상적 현 이론에 대한 파인만 적분의 수학적으로 엄밀한 공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는 또한 딕스미어 추측이 자코비안 추측과 동등함을 증명했다.
그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64년 | 소비에트 연방(소련)에서 태어남 |
1992년 | 본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 취득 |
1993년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 취임 |
1994년 | 국제 수학자 회의(취리히, 스위스)에서 기조 강연 |
1995년 | 프랑스 고등과학원(IHÉS) 교수 취임 |
2002년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
콘체비치는 한국어를 연구하고 콘체비치 체계를 고안한 언어학자 레프 콘체비치의 아들로 태어났다.[4] 소비에트 연방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2위를 차지한 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에 입학했지만, 1985년 모스크바에 있는 정보 전송 문제 연구소의 연구원이 되기 위해 학위 없이 학교를 그만두었다.[4] 연구소에 있는 동안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는 본 막스 플랑크 수학 연구소의 관심을 끌어 3개월간 초청을 받았다. 그곳에서 머무는 기간이 끝나기 직전에 5일간의 국제 회의인 아르바이타궁(Arbeitstagung)에 참석하여 위튼 추측에 대한 증명 개요를 제시하여 마이클 아티야를 비롯한 여러 수학자들을 놀라게 했고, 그 결과 연구소 초청 기간은 3년으로 연장되었다.[4]
3. 학문적 경력 및 연구
1992년 돈 버나드 자기어(Don Bernard Zagier) 지도하에 본 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수학 정교수로 임명되었다. 1995년 프랑스로 이직하여 뷔르쉬르이베트의 고등과학원의 정회원이 되었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는 두 개의 양자 중력 모델이 동등하다는 에드워드 위튼의 추측을 증명하였다.
그는 또한 딕스미어 추측이 자코비안 추측과 동등함을 증명했다.
3. 1. 변형 양자화
콘체비치의 업적은 주로 수리 물리학의 기하학적 현상에 대한 것들이 많은데, 그중 매듭 이론, 양자화와 거울 대칭이 대표적이다. 가장 유명한 결과 중 하나는 푸아송 다양체(Poisson manifold)에서의 변형 양자화(deformation quantization|디포메이션 퀀타이제이션영어)에 대한 수학 정리이다. 그 외에도 파인먼 도형에 대한 다양한 결과들과 위상 양자장론 등에 대해서도 많은 결과들이 있다.
3. 2. 콘체비치 불변량
콘체비치의 업적은 주로 수리 물리학의 기하학적 현상에 대한 것들이 많은데, 그중 매듭 이론, 양자화와 거울 대칭이 대표적이다. 가장 유명한 결과 중 하나는 푸아송 다양체(Poisson manifold)에서의 변형 양자화(deformation quantization영어)에 대한 수학 정리이다. 그 외에도 파인먼 도형에 대한 다양한 결과들과 위상 양자장론 등에 대해서도 많은 결과들이 있다.
3. 3. 위상적 장 이론
콘체비치의 업적은 주로 수리 물리학의 기하학적 현상에 대한 것들이 많은데, 그중 매듭 이론, 양자화와 거울 대칭이 대표적이다. 가장 유명한 결과 중 하나는 푸아송 다양체(Poisson manifold)에서의 변형 양자화(deformation quantization)에 대한 수학 정리이다. 그 외에도 파인먼 도형에 대한 다양한 결과들과 위상 양자장론 등에 대해서도 많은 결과들이 있다.
4.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수여 기관 | 비고 |
---|---|---|---|
1992년 | 오토 한 메달 | 막스 플랑크 연구소 | |
1992년 | 유럽 수학회상 | 유럽 수학자 회의 | |
1997년 | 푸앵카레상 | 국제 수리물리학회 | |
1998년 | 필즈상 | 국제 수학자 회의 | 대수기하학, 위상수학, 수리물리학에 대한 공헌, 특히 안정 곡선의 모듈라이 공간에서 교차수에 대한 위튼의 추측 증명, 매듭의 보편적인 바실리예프 불변량 구성, 푸아송 다양체의 형식적 양자화[5] |
2008년 | 크라포드상 | 스웨덴 왕립 과학원 | |
2012년 | 쇼상 | 쇼상 재단 | 수학 부문 |
2012년 | 돌파구상 기초물리학상 | 브레이크스루 재단 | 초대 수상자[6][7] |
2014년 | 돌파구상 수학상 | 브레이크스루 재단 |
참조
[1]
웹사이트
Maxim Kontsevich Russian mathematician
https://www.britanni[...]
2020-01-17
[2]
문서
Maxim Kontsevich's Citizenship
[3]
뉴스
The Multimillion-Dollar Minds of 5 Mathematical Masters
https://www.nytimes.[...]
2014-06-23
[4]
웹사이트
A Very Pleasurable Universe
https://www.berkeley[...]
1994-10-12
[5]
간행물
Opening ceremony
https://www.mathunio[...]
[6]
웹아카이브
15 New annual US$3 million Fundamental Physics Prize recognizes transformative advances in the field
https://web.archive.[...]
2012-08-03
[7]
웹사이트
The 2012 Prize in Mathematical Sciences: Maxim Kontsevich
https://www.shawpriz[...]
2020-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