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력포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력포구역은 평양직할시의 남쪽에 위치하며, 대동강 남안에 있는 구역이다. 1960년 설치되었으며, 6개의 동과 6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명왕릉, 온달 장군과 평강 공주의 묘, 평양 대현동 동굴 유적 등 여러 유적이 있으며, 평부선, 락랑선, 평덕선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력포구역 - 동명왕릉
    동명왕릉은 고구려 시조 동명왕의 무덤으로 평양 천도와 함께 옮겨진 것으로 추정되며 북한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 벽화와 정릉사 유적을 통해 고구려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1960년 설치 - 창녕읍
    창녕읍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속하는 읍으로, 신라 시대 비사벌로 불리다가 1960년에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17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여러 교육 기관과 문화재, 화왕산, 창녕읍 시장 등이 위치해 있다.
  • 1960년 설치 - 모란봉구역
    모란봉구역은 평양직할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1960년 신설된 구역으로, 모란봉을 중심으로 여러 구역과 경계를 이루고 김일성경기장, 천리마 동상, 평양개선문 등 주요 시설과 공원, 방송국, 대사관 등이 있으며 지하철 천리마선, 혁신선과 릉라도 다리가 지난다.
  • 평양시의 구역 - 중구역
    중구역은 평양직할시 중심부에 위치하여 김일성광장, 대중학습당, 조선노동당 본부 등 주요 건물과 시설이 집중된 구역으로, 고구려 평양성 외성 지역이었으나 한국 전쟁 이후 재건되었으며 국보급 유적과 주요 교통 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 평양시의 구역 - 만경대구역
    만경대구역은 평양직할시에 설치된 구역으로, 대동강 북안에 위치하며, 26개의 동과 2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고, 평남선 철도, 평양 지하철 혁신선 광복역 등의 교통 시설과 만경대혁명사적관 등의 관광 시설이 있다.
력포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력포구역의 위치 (평양 내)
기본 정보
유형구역 (guyŏk)
한국어 이름력포구역
한자 표기力浦區域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Ryeokpoguyeok
로마자 표기 (McCune-Reischauer)Ryŏkp'o-guyŏk
행정 구역
국가북한
행정 구역 단위직할시
상위 행정 구역평양직할시
하위 행정 구역6개의 동
6개의 리
지리
면적122.6 km²
인구 통계
인구 (2008년)82,548명
인구 밀도673명/km²

2. 지리

평양직할시의 남쪽, 대동강의 남안에 위치한다. 동북쪽으로 사동구역, 북쪽으로 선교구역, 서쪽으로 락랑구역과 접하고 남쪽은 황해북도 중화군과 접한다.

3. 역사

해방 전에는 평안남도 대동군 율리면에 속했다.[3] 1960년 10월 평양직할시락랑구역 류현리, 소신리, 장진리, 양음리 및 력포리 일부, 승호구역 대현리, 석정리, 추당리, 당정리를 관할로 '''력포구역'''을 설치하였다.(3동 6리)[3] 이때 장진리, 력포리, 대현리가 각각 동으로 승격되었다.[3]

1965년 중화군 무진리를 편입하고, 장진동 일부를 분리하여 소삼정리를 신설하였으며, 석정리 일부를 사동구역 장천리와 합병하여 사동구역 장천동을 설치하였다. (3동 8리) 1967년에는 소신리와 소삼정리 일부를 합병하여 소신동을, 력포동 일부를 당정리에 편입하고, 당정리 일부를 분리하여 릉금동을 설치하였다. 또한 당정리 잔여 부분과 류현리 일부를 합병하여 새물리를 설치하였다. (5동 7리)

1972년 장진동 일부를 분리하여 장진2동을 설치하고, 장진동 일부와 선교구역 무진1동 일부를 합병하여 장진1동을 설치하였으며, 남은 장진동은 선교구역 무진1동에 편입시켰다. (6동 7리) 1989년에는 무진리가 룡산리로 개칭되었고(6동 7리), 1994년에는 석정리 일부를 분리하여 사동구역 석정동을 설치하고, 남은 석정리는 대현동에 편입하였다. (6동 6리)

4. 행정 구역

2004년 기준 6동 6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 소신동 (小新洞)
  • 장진 1동 (將進 1洞)
  • 장진 2동 (將進 2洞)
  • 력포동 (力浦洞)
  • 대현동 (大峴洞)
  • 능금동
  • 세우물리
  • 류현리 (柳絃里)
  • 소삼정리 (小三亭里)
  • 양음리 (陽陰里)
  • 추당리 (楸唐里)
  • 룡산리 (龍山里)


력포구역은 6개 동, 6개 리를 관할한다.

  • 능금동
  • 대현동
  • 력포동
  • 소신동
  • 장진 1동
  • 장진 2동
  • 룡산리
  • 류현리
  • 세우물리
  • 소삼정리
  • 양음리
  • 추당리


4. 1. 동 (洞)

2004년 기준 6동 6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 소신동 (小新洞)
  • 장진 1동 (將進 1洞)
  • 장진 2동 (將進 2洞)
  • 력포동 (力浦洞)
  • 대현동 (大峴洞)
  • 능금동
  • 세우물리
  • 류현리 (柳絃里)
  • 소삼정리 (小三亭里)
  • 양음리 (陽陰里)
  • 추당리 (楸唐里)
  • 룡산리 (龍山里)


4. 2. 리 (里)

력포구역은 6개 동, 6개 리를 관할한다.

  • 능금동
  • 대현동
  • 력포동
  • 소신동
  • 장진 1동
  • 장진 2동
  • 룡산리
  • 류현리
  • 세우물리
  • 소삼정리
  • 양음리
  • 추당리

5. 관광

력포구역에는 고구려의 시조 동명왕릉을 비롯하여 온달 장군과 평강 공주의 묘, 장군 고흘의 무덤, 평양 대현동 동굴 유적 등 여러 유적이 있다. 진파리 고분군을 포함한 고구려 고분군도 력포구역에 위치해 있다.

6. 교통

평부선락랑선이 이 지역을 통과하며, 력포역이 있다. 평덕선 또한 이 지역을 지나가며, 동평양역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1-09-12
[3] 웹사이트 평양시 역포구역 역사 http://www.cybernk.n[...]
[4]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s://dprkorea.un.[...]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