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부선은 평양에서 개성, 도라산까지 연결되는 총 187.3km의 철도 노선이다. 1435mm 표준궤에 직류 3000V로 전철화되었으며, 평양역에서 시작하여 26개의 역을 거쳐 도라산역까지 연장된다. 1906년 경의선으로 개통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평양에서 개성 구간을 평부선으로 운영했다. 2000년 남북 공동 선언 이후 남북 철도 연결이 추진되었고, 2007년 문산-개성 구간의 시험 운행이 실시되었다. 화물 운송은 대동강-황주 구간에서 남쪽 방향으로의 수송량이 많고, 사리원청년역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객 수송은 평양과 황해남도 간 일부를 담당하며, 급행 및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2024년 북한의 통일 포기 선언에 따라 개성-도라산 구간은 제도상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성시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황해북도의 철도 교통 - 청년이천선
청년이천선은 북한에서 두 번째로 건설된 동서 횡단 철도 노선으로, 평산역과 세포청년역을 연결하며 평부선과 강원선을 이어주고, 건설에는 청년돌격대와 정치범 수용소 수용자들이 동원되었으며 1962년부터 198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통 및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 황해북도의 철도 교통 - 황해청년선
황해청년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으로, 사리원청년역과 해주청년역을 연결하며, 일제강점기 사설 철도로 개통된 후 해방 후 재건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명되어 주요 화물과 여객 운송을 담당한다. - 평양시의 철도 교통 - 평남선
평남선은 평양역과 평남온천역을 잇는 총 89.3km의 북한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개통되어 해방 후 평안선과 통합되었으며 남포항을 통한 화물 및 여객 운송을 담당하고, 러시아의 지원으로 현대화 사업이 추진되었으나 대북 제재와 경제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평양시의 철도 교통 - 평의선
평의선은 평양역과 신의주청년역을 연결하는 225.1km의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와 전철화, 일부 복선 구간을 갖추고 있으며, 일제강점기 경의선의 일부였으나 한반도 분단 후 평의선으로 변경, 한국 전쟁 후 재건 및 현대화되어 북한의 주요 경제 동맥 역할을 수행한다.
평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중량 철도, 지역 철도 |
운영 상태 | 여객/화물 |
기점 | 평양역 |
종점 | 판문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산역(대한민국) |
위치 | 평양, 황해북도, 황해남도 |
역 수 | 26개 |
운행 상태 | 운행 중 |
개통일 | 1905년 11월 5일 (화물) 1906년 4월 3일 (여객) |
소유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운영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차량기지 | 사리원청년역, 서흥역, 판문역 |
최소 곡선 반지름 | 300m |
최대 경사 | 11‰ |
노선 길이 | 187.3km |
최고 속도 | 100km/h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 직류 3000V 가공 전차선 |
노선도 | |
![]() | |
한국어 이름 | |
한글 | 평부선 |
로마자 표기 | Pyeongbuseon |
매큔-라이샤워: | P'yŏngbusŏn |
역사 | |
개업 | 1905년 11월 5일 1906년 4월 3일 |
노선 정보 (일본어) | |
노선 이름 | 평부선 |
노선 거리 | 187.3 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방식 | 직류3000V |
노선 정보 (한국어) | |
노선 종류 | 간선 철도 |
운행 상태 | 영업 중 |
기점 | 평양역(평양직할시 중구역) |
종점 | 도라산역(경기도 파주시) |
궤간 | 1,435 mm(표준궤) |
선로 | 단선 |
전철화 | 전철 |
신호 | 완목식 |
2. 노선 정보
노면전차 2호선
(黃海黃州)
(沙里院靑年)
(東沙里院)
(東沙里院)
(太白山城)
(太白山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