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즈메리 래드퍼드 류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즈메리 래드퍼드 류터는 2022년 사망한 미국의 페미니스트 신학자이자 작가이다. 그녀는 1936년 미네소타주에서 태어나 시민권 운동에 참여했으며, 하워드 대학교 종교학과 학과장, 개릿-복음 신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류터는 36권의 책과 600편 이상의 논문을 저술했으며, 특히 페미니스트 신학 분야에서 여성의 경험을 신학적 관점에 포함시키고 가부장적 기독교를 비판하는 등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저서로는 《자기 자신에 맞서는 교회》, 《성차별과 신에 대한 담론》 등이 있으며, 1975년에는 《믿음과 형제 살해》로 전미도서상 후보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태여성주의자 - 페트라 켈리
독일 녹색당 창립 멤버이자 환경 운동가였던 페트라 켈리는 평화 정책, 인권, 소수자 배려를 옹호하며 독일 연방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고, 생태주의, 평화주의, 여성주의를 융합한 사회 운동을 펼치다 동거인에 의해 살해당했다. - 생태여성주의자 - 후아나 이네스 데 라 크루스
후아나 이네스 데 라 크루스는 17세기 누에바 에스파냐의 수녀, 시인, 극작가, 사상가로, 뛰어난 지적 능력과 선구적인 페미니즘 사상으로 스페인 황금세기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라틴 아메리카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멕시코 문화의 아이콘이다. - 연합신학 대학원 - 김흡영
대한민국의 신학자 김흡영은 대한항공 기술자, 대우그룹 기획실 근무 후 신학을 공부하여 아시아 구성 신학, 종교 간 대화 등을 연구했으며, 기독교 신학과 동아시아 지혜를 융합한 '도의 신학'을 창시했다. - 연합신학 대학원 - 미국 웨스트 침례교신학교
미국 웨스트 침례교신학교는 1919년 시작되어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침례교 신학 교육을 제공했으며, 합병과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는 버클리 신학대학으로 다양한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대학원 신학 연합과 협력하고 있다. - 미국의 여성 작가 - 샨 헤이더
미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인 샨 헤이더는 단편 영화 데뷔 후 TV 시리즈 작가로 피보디상을 수상하고, 영화 《코다》로 아카데미 각색상 등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여성 서사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는 작품을 만들고 있다. - 미국의 여성 작가 - 수잔 포드 베일스
수잔 포드 베일스는 미국의 사진작가이자 소설가이며, 제럴드 포드 전 대통령과 베티 포드의 딸로서 사진기자, 베티 포드 센터 회장, 소설 집필, USS 제럴드 R. 포드 항공모함 후원자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 로즈메리 래드퍼드 류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로즈메리 래드퍼드 류터 |
| 원어 이름 | Rosemary Radford Ruether |
| 출생일 | 1936년 11월 2일 |
| 출생지 |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폴 |
| 사망일 | 2022년 5월 21일 |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모나 |
| 배우자 | 허먼 류터(1957년 결혼) |
| 학력 | |
| 모교 | 스크립스 칼리지, 클레어몬트 대학원 |
| 학위 논문 제목 | 그레고리 오브 나지안주스 |
| 박사 지도교수 | (정보 없음) |
| 학문적 조언자 | (정보 없음) |
| 경력 | |
| 직장 | 하워드 대학교, 태평양 신학 대학원, 개럿-복음주의 신학대학원 |
| 박사 과정 학생 | 지나 메시나 다이서트 |
| 주목할 만한 학생 | (정보 없음) |
| 사상 및 학문적 배경 | |
| 학문 분야 | 신학 |
| 하위 분야 | (정보 없음) |
| 학파 | 기독교 페미니즘, 로마 가톨릭 |
| 영향 | (정보 없음) |
| 주요 관심사 | 신학적 페미니즘, 생태-페미니스트 신학, 초국적 페미니즘 |
| 주목할 만한 저서 | 성차별주의와 신의 이야기(Sexism and God-Talk) (1983), 가이아와 신(Gaia and God) (1994) |
|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 (정보 없음) |
| 영향을 준 인물 | 베벌리 윌덩 해리슨, 폴리 머리 |
| 수상 | |
| 수상 내역 | (정보 없음) |
| 기타 정보 | |
| 서명 | (정보 없음) |
| 서명 대체 텍스트 | (정보 없음) |
2. 생애
류터는 1936년 11월 2일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가톨릭 신자인 어머니와 성공회 신자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자유로운 사고와 인문주의적인 분위기에서 성장했다.[28] 아버지는 류터가 12살 때 돌아가셨고, 이후 류터와 어머니는 캘리포니아로 이사했다. 류터는 세인트루이스에서 프로비던스 자매들이 근무하는 몇몇 가톨릭 학교에 다녔으며, 어머니의 친구들과 함께 류터에게 강력한 페미니스트적이고 활동가적인 기반을 제공했다.[29]
1954년부터 1958년까지 스크립스 칼리지에서 대학 교육을 받았다. 예술을 공부하려 했으나, 로버트 팔머 교수의 영향으로 고전학으로 전향하여 그리스 로마 고전 문화의 철학과 역사를 공부했다. 클레어몬트 대학원에서 고전과 로마 역사 석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고전과 교부학 박사학위를 받았다.[30]
1960년대 미시시피주와 워싱턴 D.C.에서 민권 운동에 참여했다. 미시시피 델타부에서 일하면서 흑인 사회의 투쟁과 인종차별을 경험했고, 하워드 대학교 종교학교에서 가르치면서 흑인 해방 신학에 몰두했다. 워싱턴 D.C.에서 평화 운동에 참여하여 행진과 시위로 인해 다른 급진 가톨릭 신자들과 개신교 신자들과 함께 감옥에 자주 갔다.
이러한 급진적인 활동에도 불구하고, 류터는 가톨릭 교회에 남아 있었다. 첫 저서 《그 자신에 반대하는 교회》(1967년)는 교회의 교리와 섹슈얼리티 및 재생산에 대한 견해를 비판한다.[30]
정치학자 헤르만 류터와 결혼하여[27] 세 자녀를 낳고 캘리포니아에서 살았다.[31]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과 클레어몬트 대학원에서 종교와 페미니스트 신학을 강의했다. 1965년부터 1975년까지 워싱턴 D.C.의 하워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고,[32] 태평양 종교 대학원과 연합신학 대학원의 페미니스트 신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개릿 신학교에서 조지아 하크니스 응용 신학 교수로 장기간 가르치다 물러났다.[33] 36권이 넘는 책과 600편이 넘는 논문을 저술했다.[34]
1977년 여성 언론자유연구소(WIFP) 부연구원이 되었다.[35] 2000년 스웨덴 웁살라 대학교 신학부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고,[36] 2012년 휘티어 칼리지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7]
류터의 연구는 페미니스트 신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38][39] 베벌리 와일덩 해리슨(Beverly Wildung Harrison)[40] 및 폴리 머리(Pauli Murray)와 같은 학자에게 영향을 주었다.[4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36년 11월 2일,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로즈메리 래드퍼드(Rosemary Radford)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7] 아버지 로버트 래드퍼드는 성공회 신자였으며 토목기술자로 일했고, 어머니 레베카 크레셉 래드퍼드(née 오드)는 가톨릭 신자였으며 비서로 일했다.[5][7] 류터는 세 자매 중 막내였다. 류터는 자신의 어린 시절을 억압적이지 않고 자유로운 사고와 인문주의적인 분위기였다고 회고했다.[28]류터의 아버지는 그녀가 12세 때 세상을 떠났고, 이후 류터와 어머니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로 이주했다.[5] 류터는 인디애나주 세인트 메리 오브 더 우즈의 성 프러비던스 수녀회(Sisters of Providence of Saint Mary-of-the-Woods)가 운영하는 여러 가톨릭 학교에 다녔다. 이 수녀회는 류터의 어머니 친구들과 함께 류터에게 강력한 페미니스트적이고 활동적인 기반을 제공하여 훗날 그녀의 연구에 영향을 주었다.[5]
류터는 1954년부터 1958년까지 스크립스 칼리지에서 학부 과정을 밟았다. 원래 예술을 공부하려 했으나, 로버트 팔머 교수의 영향으로 고전학으로 전향했다. 팔머 교수의 그리스 로마 고전 문화에 대한 열정은 류터가 그 시대의 철학과 역사를 공부하도록 이끌었다.[30]
이후 류터는 스크립스 칼리지에서 철학 및 종교 학사 학위(1958년)를, 클레어몬트 대학원(Claremont Graduate School)(캘리포니아주 클레어몬트)에서 고대사 석사 학위(1960년)를, 클레어몬트 대학원에서 고전학 및 교부학(patristics) 박사 학위(1965년)를 받았다.[8] 그녀는 교부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바탕으로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에 관한 박사 논문을 썼다.[4]
2. 2. 학문 및 사회 활동
류터는 1960년대 미시시피주와 워싱턴 D.C.에서 민권 운동에 참여했다.[4] 미시시피주에서 델타 미니스트리에서 일하면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의 투쟁과 인종차별의 현실에 직면했다. 하워드 대학교 종교학과에서 가르치는 동안 흑인 해방 신학 문헌에 몰두했다. 워싱턴 D.C.에서 평화 운동에 시간을 바쳤고, 행진과 시위에 참여한 탓에 다른 급진적인 가톨릭교도들과 개신교도들과 함께 경찰에 체포되어 감옥에 수감되었다.[4]1965년부터 1976년까지 워싱턴 D.C.의 하워드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으며,[9] 하워드 대학교 재직 시절, 종교학과 학과장을 역임했다.[7]
하버드 신학대학원에서 잠시 방문 교수로 재직한 후, 류터는 일리노이주 에반스턴의 가렛-복음 신학교와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직책을 수락했다.[7] 1976년부터 2002년까지 거의 30년 동안 조지아 하크니스 응용 신학 교수로 가렛-복음 신학교에서 가르쳤다. 가렛-복음 신학교에서 은퇴한 후, 류터는 태평양 신학교와 대학원 신학 연합의 카펜터 페미니스트 신학 교수가 되었다.[9]
학문적 활동 외에도, 류터는 정의, 페미니즘, 기독교가 교차하는 여러 단체에 참여했다. 1977년, 류터는 여성과의 소통을 증진하고 대중을 여성 기반 미디어와 연결하는 미국 비영리 출판 단체인 여성 언론 자유 연구소(WIFP)의 동료가 되었다.[10] 또한, 낙태 권리 옹호 단체인 가톨릭을 위한 선택의 이사회 멤버로 활동했고, 『내셔널 가톨릭 리포터]』와 『
2. 3. 결혼과 가족
류터는 대학 졸업반 때 정치학자 헤르만 J. 류터와 결혼했다.[27][30] 슬하에 두 딸과 한 아들을 두었다.[7][31] 2002년, 부부는 『요나의 분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종교적 민족주의의 위기』(The Wrath of Jonah: The Crisis of Religious Nationalism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를 공동 집필했다.[21]2. 4. 건강 악화와 죽음
류터는 2016년 뇌졸중으로 쓰러졌다.[13] 이후 캘리포니아주 클레어몬트의 고령자 공동체인 필그림 플레이스에서 거주했다.[5]2022년 5월 21일, 캘리포니아주 포모나의 한 병원에서 장기간의 투병 끝에 8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7][14] 슬하에 세 자녀와 두 명의 손주를 두었다.[7]
3. 페미니스트 신학
류터는 신학계와 지도자 직책에서 여성이 배제되어 남성 중심적인 태도와 신념이 확산되었다고 비판했다.[15] 여성의 경험이 신학적 신념과 전통에서 간과되어,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생각이 영속화된다고 보았다.
류터는 페미니스트 신학이 차별적인 신학 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여성의 경험을 인정하고 체계화할 뿐만 아니라, 경험과 인간성에 대한 이해 자체를 재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
류터는 단일하고 지배적인 신학적 접근 방식보다는 다원성을 중시했다.[7] 1983년 저서 ''성차별과 신에 대한 담론(Sexism and God-Talk)''에서 "남성 구세주가 여성을 구원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새로운 그리스도론적 가능성을 열었다.[11]
류터는 평생 동안 가톨릭 교회에 남아 교회의 입장과 정책에 도전했다. 1985년 ''크리스천 센추리(The Christian Century)'' 기사에서 "가톨릭 교회가 피임에 대해 잘못될 수 있다면, 무엇이든 잘못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16]
류터의 페미니스트 신학은 베벌리 윌던 해리슨(Beverly Wildung Harrison),[19] 폴리 머레이(Pauli Murray),[20] 곽보란[2] 등 여러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17][18]
4. 주요 저서
- 《자기 자신에 맞서는 교회 (The Church Against Itself)》 (1967)
-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Gregory of Nazianzus)》 (1969)
- 《급진적인 왕국, 메시아적 희망에 대한 서구의 경험 (The Radical Kingdom, The Western Experience of Messianic Hope)》 (1970)
- 《믿음과 형제 살해: 반유대주의의 신학적 뿌리 (Faith and Fratricide: The Theological Roots of Anti-Semitism)》 (1974)
- 〈용기: 그리스도교 미덕으로서 (Courage as a Christian Virtue)〉 (1983)
- 《성차별과 신에 대한 담론: 페미니스트 신학을 향하여 (Sexism and God-Talk: Toward a Feminist Theology)》 (1983)[26]
- 《가이아와 신: 지구 치유의 생태여성주의 신학 (Gaia and God: An Ecofeminist Theology of Earth Healing)》 (1992)
- 《우리 자신의 목소리로: 4세기 동안의 미국 여성 종교 저술 (In Our Own Voices: Four Centuries of American Women's Religious Writing)》 (1995) - 로즈메리 스키너 켈러와 공편
- 《여성이 치유하는 지구: 생태학, 페미니즘, 종교에 대한 제3세계 여성들 (Women Healing Earth: Third World Women on Ecology, Feminism, and Religion)》 (1996)
- 《기독교 페미니즘에서 구원 소개하기 (Introducing Redemption in Christian Feminism)》 (1998)
- 《기독교와 생태학(Christianity and Ecology)》 (2000) - 디터 T. 헤셀과 공편
- 《기독교와 현대 가족의 형성 (Christianity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Family)》 (2001)
- 《요나의 분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종교적 민족주의의 위기 (The Wrath of Jonah: The Crisis of Religious Nationalism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2002)
- 《우리 아버지들의 신앙 변혁: 미국 종교를 바꾼 여성들 (Transforming the Faiths of our Fathers: Women who Changed American Religion)》 (2004) - 5장
- 《생태여성주의, 세계화, 세계 종교 통합 (Integrating Ecofeminism Globalization and World Religions)》 (2005)
- 《여신들과 신성한 여성성: 서구 종교사 (Goddesses and the Divine Feminine: A Western Religious History)》 (2005)
- 《아메리카, 아메리카: 선출된 민족과 제국주의적 폭력 (America, Amerikkka: Elect Nation & Imperial Violence)》 (2007)
- 《여성과 구원: 신학적 역사 (Women and Redemption: A Theological History)》 (2012)
- 《희망과 의미에 대한 나의 탐구: 자서전 (My Quests for Hope and Meaning: An Autobiography)》 (2013)
- 《21세기 페미니즘과 종교: 기술, 대화, 그리고 확장되는 경계 (Feminism and Religion in the 21st Century: Technology, Dialogue, and Expanding Borders)》 (2014) - 지나 메시나-디서트와 공편
5. 수상 및 명예
1975년, 류터의 저서 ''믿음과 형제 살해: 반유대주의의 신학적 뿌리''는 전미도서상 철학 및 종교 부문 후보에 올랐다.[22] 1977년, 류터는 개릿 신학교의 조지아 하크니스 응용신학 교수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이 신학교에서 최초의 여성 종신 교수 임용이었다.[23]
2012년에는 류터의 75세 생일을 기념하여 기념논문집 ''여성 해방의 목소리: 로즈메리 래드퍼드 류터를 기리는 글''이 출판되었다.[5]
류터는 여러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참조
[1]
논문
Rosemary Radford Ruether : themes from a feminist liberation story
https://scriptura.jo[...]
2008
[2]
뉴스
Rosemary Radford Ruether, a founding mother of feminist theology, has died at age 85
https://www.npr.org/[...]
2022-06-21
[3]
서적
The greening of theology: the ecological models of Rosemary Radford Ruether, Joseph Sittler, and Juergen Moltmann
https://www.worldcat[...]
Scholars Press
1995
[4]
웹사이트
Boston Collaborative Encyclopedia of Western Theology: Rosemary Radford Ruether
http://people.bu.edu[...]
2020-11-28
[5]
웹사이트
The life of 'scholar activist' Rosemary Radford Ruether
https://www.ncronlin[...]
2023-07-09
[6]
웹사이트
As Catholic Bishops Punish Dissent, Rosemary Radford Ruether's Life and Legacy Show the Way Forward
https://religiondisp[...]
2023-02-01
[7]
뉴스
Rosemary Radford Ruether, Feminist Theologian, Dies at 85
https://www.nytimes.[...]
2022-06-13
[8]
웹사이트
In Memoriam: Dr. Rosemary Radford Ruether
https://cst.edu/news[...]
2022-05-25
[9]
웹사이트
Finding Aid for Rosemary Radford Ruether Papers, 1954–2002
https://library.colu[...]
2022-06-21
[10]
웹사이트
Associates The Women's Institute for Freedom of the Press
http://www.wifp.org/[...]
2017-06-21
[11]
웹사이트
Rosemary Radford Ruether's Legacy for LGBTQ Catholics
https://www.newwaysm[...]
2023-07-14
[12]
웹사이트
Reader's Retrospective: Rosemary Radford Ruether
https://www.ncronlin[...]
2023-07-14
[13]
웹사이트
Remembering Rosemary Radford Ruether's voice
https://www.ncronlin[...]
2023-02-04
[14]
웹사이트
Remembering Rosemary Radford Ruether, Carpenter Professor of Feminist Theology
https://www.psr.edu/[...]
2023-02-04
[15]
논문
The Feminist Critique in Religious Studies
https://www.jstor.or[...]
1981
[16]
논문
Catholics and Abortion: Authority vs. Dissent
https://www.religion[...]
Christian Century
2023-07-05
[17]
간행물
Rosemary Radford Ruether
http://www.catholics[...]
Catholics for Choice
2019-02-09
[18]
뉴스
Renowned Professor Improving After Accident
http://um-insight.ne[...]
2019-02-09
[19]
서적
In Justice: Women and Global Economics
https://archive.org/[...]
Fortress Press
[20]
논문
Religion and 'America's Problem Child': Notes on Pauli Murray's Theological Development
[21]
서적
The Wrath of Jonah: The Crisis of Religious Nationalism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02
[22]
웹사이트
Faith and Fratricide: The Theological Roots of Anti-Semitism
https://www.national[...]
2022-10-11
[23]
웹사이트
Remembering Dr. Rosemary Radford Ruether, Pioneering Feminist Theologian, Emerita Professor, and Tomato Grower
https://www.garrett.[...]
2022-06-13
[24]
웹사이트
Honorary Doctors of the Faculty of Theology - Uppsala University, Sweden
https://www.uu.se/en[...]
2022-10-11
[25]
웹사이트
Honorary Degrees Whittier College
https://www.whittier[...]
2023-07-14
[26]
논문
Who's Watching Big Sister?
https://www.jstor.or[...]
1983
[27]
웹인용
Rosemary Radford Ruether
http://go.galegroup.[...]
Gale
2013-06-10
[28]
웹인용
Boston Collaborative Encyclopedia of Western Theology
http://people.bu.edu[...]
[29]
뉴스
The life of 'scholar activist' Rosemary Radford Ruether
https://www.ncronlin[...]
2018-03-29
[30]
웹인용
Boston Collaborative Encyclopedia of Western Theology: Rosemary Radford Ruether
http://people.bu.edu[...]
2018-05-08
[31]
웹인용
Website of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http://www.cst.edu/a[...]
2020-11-07
[32]
웹인용
Finding Aid for Rosemary Radford Ruether Papers, 1954–2002
http://library.colum[...]
2013-03-15
[33]
웹인용
Website of Garrett-Evangelical Theological Seminary
http://www.garrett.e[...]
[34]
웹인용
Finding Aid for Rosemary Radford Ruther papers
http://library.colum[...]
2013-03-15
[35]
웹인용
Associates The Women's Institute for Freedom of the Press
http://www.wifp.org/[...]
2017-06-21
[36]
웹인용
Honorary doctorates - Uppsala University, Sweden
http://www.uu.se/en/[...]
[37]
웹인용
Honorary Degrees Whittier College
https://www.whittier[...]
2019-12-06
[38]
저널
Rosemary Radford Ruether: Themes from a Feminist Liberation Story
[39]
뉴스
Renowned Professor Improving After Accident
http://um-insight.ne[...]
2019-02-09
[40]
서적
In Justice: Women and Global Economics
https://archive.org/[...]
Fortress Press
[41]
저널
Religion and 'America's Problem Child': Notes on Pauli Murray's Theological Development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