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LBT)은 스위스의 철도 터널로, 스위스 도로 네트워크의 트럭 교통량 완화와 증가하는 북-남 유럽 축의 교통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999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2007년 6월에 개통되었으며, 당시 세계 최장의 육상 터널로 기록되었다. 총 건설 비용은 43억 스위스 프랑이었으나, NRLA 프로젝트의 예산 증가로 인해 부분적으로 미완성 상태로 남았다. 현재는 2개의 터널 중 일부 구간만 복선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전체 완공을 위한 추가 단계가 계획되어 있다. LBT는 BLS NETZ AG에 의해 운영되며, 여객 및 화물 열차 운행에 사용된다. 2020년 침수 사고로 운행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으며, 터널에서 배출되는 따뜻한 지하수는 프로티겐 열대 온실 난방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스 터널 - 체네리 베이스 터널
체네리 베이스 터널은 스위스 티치노주에 위치한 알프스 횡단 철도의 일부로, 카모리노와 베치아를 연결하여 스위스 북부와 이탈리아 북부 간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철도 터널이다. - 베이스 터널 - 제머링 베이스 터널
제머링 베이스 터널은 젬머링 철도의 수송량 증가와 기존 노선의 한계로 인해 건설 중인 오스트리아의 복선 철도 터널로, 빈과 그라츠 간 이동 시간 단축 및 물류 시스템 효율 증대를 목표로 한다. - 베른주의 교통 - 벵에른알프
벵에른알프는 스위스의 관광 명소로, 자동차 진입이 불가능하며 벵에른알프 철도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한 알프스 산맥의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지역이다. - 베른주의 교통 - 툰호선
툰호선은 스위스 툰역과 인터라켄 동역을 잇는 27.9km의 철도 노선으로, 뵈델리 철도로 시작해 툰 호수 철도를 거쳐 현재 BLS AG에 이르렀으며, 표준궤, 전철화된 복선 및 단선 구간으로 구성되어 뢰치베르크선의 교통량도 처리하는 중요한 노선이다. - 알프스산맥의 터널 - 심플론 터널
심플론 터널은 스위스와 이탈리아를 연결하는 알프스 산맥 횡단 철도 터널로, 1906년과 1922년에 개통된 두 개의 터널로 이루어져 알프스 횡단의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안전 문제 개선과 교통 효율 증대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문화적 상징성도 지닌다. - 알프스산맥의 터널 - 체네리 베이스 터널
체네리 베이스 터널은 스위스 티치노주에 위치한 알프스 횡단 철도의 일부로, 카모리노와 베치아를 연결하여 스위스 북부와 이탈리아 북부 간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철도 터널이다.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
공식 이름 | Lötschberg Basis Tunnel (독일어) |
노선 | 뢰치베르크 선 |
위치 | 베른 알프스 관통, 스위스 |
시작점 | 프루티겐, 베른주, 해발 |
종점 | 라론, 발레주, 해발 |
운영 | BLS, SBB CFF FFS |
운영사 | BLS NETZ AG |
운영 주체 | BLS |
교통 | 철도 |
성격 | 여객, 화물 |
착공 | 1999년 7월 5일 |
개통 | 2007년 6월 14일 |
폐쇄 | 해당 없음 |
선로 길이 | 해당 없음 |
궤도 수 | 단선 튜브 (20km), 복선 튜브 (14km) |
궤간 | (표준궤) |
전철화 | 15 kV 16.7 Hz |
속도 | 최대: 운영 (여객): |
최저 지점 | (남쪽 입구) |
높이 | 해당 없음 |
경사 | 3–13 ‰ |
![]() | |
추가 정보 | |
비고 | 20km 단선, 14km 복선 구간 존재 |
2. 건설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LBT)은 스위스의 도로 교통량을 줄이고 유럽의 남북을 잇는 주요 교통축의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건설되었다.[1] 이 터널은 독일에서 이탈리아로 향하는 화물 트럭들이 철도를 통해 스위스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롤링 하이웨이 방식 등), 도로 정체를 완화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또한, 독일 관광객들이 스위스 스키 리조트로 이동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발레주와 베른 간의 이동 시간을 절반으로 줄여 통근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기대되었다.[1] 이 터널은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과 함께 스위스의 새로운 알프스 횡단 철도 계획(NRLA)의 핵심적인 두 축을 이룬다.[1][8]
1994년 초기 시추 작업을 시작으로 1999년에 본격적인 건설에 착수하여, 2007년 6월 공식 개통되었다.[1][9][11][12][13] 총 건설 비용은 43억스위스 프랑(2007년 기준, 1998년 물가 적용)이 소요되었으며, 이는 당초 예산을 약 8.4억달러 초과한 금액이다.[1][8] 건설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 문제로 인해 자금이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로 일부 재분배되면서,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은 전체 계획 중 일부만 완료된 상태로 개통되었다.[15] 이로 인해 터널의 일부 구간은 단선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터널의 전체 수용 능력을 제한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1][19]
BLS NETZ AG는 이 터널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현대적인 철도 터널 중 하나로 소개하지만,[1] 단선 구간으로 인한 운영상의 어려움과 병목 현상을 지적하며 완전한 복선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19] 약 21km에 달하는 단선 구간은 열차 운행을 복잡하게 만들며, 특히 지연 발생 시 연쇄적인 운행 차질을 유발할 수 있다.[1] 터널 운영은 슈피츠(Spiez)의 통제 센터에서 이루어지며, 비상 상황에 대비한 다양한 안전 설비가 갖추어져 있다.[1]
2020년 3월, 터널 일부 구간에서 물과 모래가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운영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긴급 복구 작업을 통해 같은 해 4월 말 운행이 재개되었다.[20][21] 장기적인 해결책 마련과 함께, 단선 구간의 완전 복선화를 위한 계획이 추진되어 2024년 초 최종 결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터널의 용량 증대와 운영 효율성 개선이 기대된다.[3][18]
2. 1. 초기 건설
1994년, 터널 건설 예정 지역에 대한 사전 시추 작업이 이루어졌다.[26][1] 이후 1999년부터 본격적인 터널 건설이 시작되었다.[26][27][1][9]터널 굴착은 주로 드릴링과 발파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전체 구간의 약 80%가 이 방식으로 건설되었다.[26][1] 나머지 20% 구간은 터널 굴착기 (TBM)를 사용하여 굴착했다.[26][1] 굴착 작업은 터널의 북쪽과 남쪽 입구 양쪽에서 동시에 진행되었다.[1]
2005년 4월, 마침내 터널이 관통되는 순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으며, 이 자리에는 약 1,000명의 내빈이 참석했다.[28][10] 전체 굴착 과정에서는 약 약 14514.96kg의 폭발물이 사용되었고, 파낸 암석과 흙의 양은 총 길이 4000km의 화물 열차를 가득 채울 수 있는 정도였다.[26][1] 터널 관통 이후 약 1년 동안은 선로 부설을 포함한 각종 운영 시스템 설치 작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26][1]
2006년 7월, 터널 내 선로 부설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발표되었다.[1] 이후 유럽 열차 제어 시스템 (ETCS) 레벨 2 시스템의 안정적인 작동을 검증하는 데 중점을 두고 1,000회가 넘는 시험 운행을 포함한 광범위한 테스트가 수행되었다.[1] 모든 시스템의 안전성과 성능이 확인된 후, 2007년 6월에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의 공식 개통식이 열렸다. 이 행사에서 터널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긴 육상 터널로 공인받았다.[29][30][31][11][12][13]
총 건설 비용은 43억스위스 프랑 (2007년 기준, 1998년 물가 적용)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당초 예상했던 예산을 약 8.4억달러 초과한 금액이다.[26][1]
2007년 12월 9일부터 터널의 상업 운행이 시작되었다.[32][14] 운행 초기에는 정기 화물 서비스와 슈피츠(Spiez)와 브리크(Brig) 사이를 무정차로 운행하는 일부 국제선 및 인터시티 여객 열차만이 터널을 이용했다.[14]
2. 2. 추가 단계
전체 알프스 횡단 철도 계획(NRLA) 프로젝트의 비용이 급증하면서, 자금을 이 터널에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여겨진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건설에 우선 투입하기로 결정되었다.[15] 이로 인해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은 상당 기간 부분적으로만 완공된 상태로 남게 되었다. 원래 계획은 약 300m 간격으로 두 개의 단선 철도 터널을 나란히 건설하고, 교차 통로로 연결하여 비상시 다른 터널을 탈출 경로로 사용하는 것이었다.[33][15]현재 터널의 구조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다음과 같다.[1]
- 터널의 첫 약 40% 구간은 복선으로 운영된다.
- 다음 약 40% 구간은 동쪽 터널만 단선으로 운영되며, 서쪽 터널은 굴착은 완료되었으나 선로 등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 나머지 약 20% 구간은 동쪽 터널만 단선으로 운영되며, 서쪽 터널은 굴착되지 않았고 대신 비상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평행 탐사 수평 갱도가 있다.
사용되지 않는 서쪽 터널의 굴착된 부분과 1990년대 초반에 건설된 인접 탐사 갱도는 유지보수 인력의 접근 통로 등으로 활용된다.[26][1]
터널 건설은 총 3단계로 계획되었으며, 현재 1단계만 완료된 상태이다.[26][1]
- '''1단계''': 주 터널의 동쪽 터널 전체와 서쪽 터널 길이의 약 75% 굴착, 엥슈틀리게 터널, 론강을 가로지르는 다리 2개, 슈테크(Steg) 지역의 분기 터널 건설 완료. 선로는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동쪽 터널 전체와 엥슈틀리게 터널 동쪽 터널, 그리고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서쪽 터널의 남쪽부터 약 12km 구간에 부설되었다.
- '''2단계''':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서쪽 터널 중 굴착은 되었으나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과 엥슈틀리게 터널 서쪽 터널에 선로를 부설하는 단계이다.
- '''3단계''':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 서쪽 터널의 나머지 미굴착 구간(약 8km)을 건설하고, 슈테크 분기 터널에 선로를 부설하여 브리크-로잔 간 본선(로잔 방향)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2단계와 3단계는 동시에 또는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26] 터널 완전 개통을 위한 추가 비용은 당초 약 10억스위스 프랑으로 추산되었다.[26][1] 2016년, 스위스 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인 IG Valbt가 2단계와 3단계 완공을 위한 계획 수립 계약을 체결했으며,[34][16] 이 계획은 2019년 초 검토를 위해 제출되었다.[35][17] 당시에는 2021년 또는 2022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8년 말까지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6][24]
2023년에는 2단계만 우선 진행할지, 아니면 2단계와 3단계를 동시에 진행할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2단계만 진행하는 안은 비용이 저렴하고 공사 기간도 2년 단축되지만, 완공 후에도 터널 용량이 크게 제한되고 공사 기간 중 8개월간 노선 전면 폐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3] 결국 2024년 초, 터널 전체를 복선화하는 옵션(2단계와 3단계 동시 진행)을 채택하기로 최종 결정되었으며, 이에 따른 예상 비용은 17억스위스 프랑으로 증가했다.[18]
3. 운용
BLS NETZ AG는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LBT)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현대적이며 기술적으로 복잡한 철도 터널 중 하나로 소개한다.[1][26] 회사는 터널의 혼잡 원인으로 여객 및 화물 교통량의 급증과 전체 수용 능력을 심각하게 제한하는 단선 구간의 존재를 지적하며, 복선 운행의 구현을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19][36] LBT의 운영은 전체 스위스 철도 네트워크의 시간표 신뢰성과 유연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운송하는 화물 교통을 통해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데 기여한다.[19][36]
통과선이 없는 21km의 단선 구간은 운영을 크게 복잡하게 만들며, 비교적 최근에 완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LBT는 이미 알프스를 횡단하는 철도 화물의 주요 병목 지점이 되었다.[1] 일반적으로 LBT를 이용하는 열차는 긴 간격을 두고 양방향으로 운행하는 일괄 처리 방식으로 편성된다. 7분 이상 지연된 열차는 기존 노선을 경유하거나, LBT 내에서 해당 방향의 다음 이용 가능한 시간표 슬롯을 기다려야 하며, 두 경우 모두 더 긴 지연이 발생한다.[1]
2019년 기준으로, 하루 약 110개의 열차가 LBT를 이용했으며, 추가로 66개의 열차는 주로 베이스 터널의 현재 수용 능력 제약으로 인해 기존 산악 터널을 계속 사용했다. LBT 이용 열차 110개 중 30개는 여객 열차였고, 80개는 복합 운송 및 장거리 중량 화물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화물을 운송했다. 최대 약 3628740.00kg의 중량과 최대 1500m의 길이를 가진 중량 화물 열차는 기존 산악 선로의 최대 게이지를 초과하기 때문에 LBT를 사용해야 한다. 2017년까지 LBT는 3,570만 톤의 철도 화물 운송을 지원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26]
LBT는 인근 슈피츠(Spiez)에 위치한 전용 통제 센터에서 운영 및 모니터링된다.[1][26] 터널에는 비상 상황 처리를 위한 다양한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비상 상황 시 사용하기 위해, 한 쌍의 중간 접근 터널이 일련의 지하 비상 정류장에서 주요 갱도와 연결된다. 열차는 또한 터널 길이를 따라 분산된 여러 개의 교차 연결 통로를 통해 두 갱도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1][26]
3. 1. 2020년 침수 사고
2020년 2월 6일, 터널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 다음 날인 2월 7일에 터널 중 하나가 운행을 재개했고, 나머지 터널도 2월 20일에 운행을 재개했다.[25]그러나 2020년 3월 13일, 보수 작업 중 동쪽 터널(두 번째 갱도)에서 물과 모래가 유입되는 문제가 다시 발견되어[20] 3월 14일부터 해당 터널의 모든 교통이 중단되었다.[25]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은 서쪽 터널은 다음 날 운행이 재개되었지만, 대규모 침수가 발생한 동쪽 터널은 6주 동안 폐쇄되었다.[25] 침수된 구간은 물이 잘 스며드는 석회암 지대를 통과하고 있으며, 산 내부의 물 균형 변화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이 원인으로 지적되었다.[25]
복구 작업에는 터널 내부 청소, 흡입 방식을 이용한 모래 및 과도한 물 제거, 배수 시스템 세척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임시 강철 탱크가 설치되었고, 해당 문제 구간에 대한 정기 검사가 강화되었다.[1][25] 장기적인 재발 방지책으로는 감시 카메라 설치, 정기 검사 강화, 그리고 열차 운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침수와 토사 유입을 처리할 수 있는 대형 배수 탱크 설치 등이 계획되었다.[25] 이러한 장기 해결책은 2020년 후반 연방 교통청의 승인을 받아 추진될 예정이었다.[1]
동쪽 터널은 2020년 4월 24일 17시에 운행을 재개했으며,[25] 4월 27일에는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LBT)의 완전한 운행 재개가 발표되었다.[21]
4. 운행 속도
5. 지열 에너지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LBT)에서는 따뜻한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배출된다. 터널에서 흘러나오는 이 물의 온기는 이국적인 과일, 철갑상어 고기, 캐비어를 생산하는 열대 온실인 트로펜하우스 프루티겐을 난방하는 데 사용된다.[22]
참조
[1]
간행물
Atlas, High-Speed Rail 2021
https://uic.org/spip[...]
[2]
웹사이트
Lötschberg base tunnel officially opens
https://www.swissinf[...]
2007-06-15
[3]
웹사이트
Lötschberg Base Tunnel Upgrade Enters Next Stage
https://railway-news[...]
2020-08-12
[4]
웹사이트
BLS erhält Plangenehmigungsverfügung für den Teilausbau des Lötschberg-Basistunnels – 13.06.2022 – BLS AG
https://www.bls.ch/e[...]
2016-10-18
[5]
웹사이트
BLS is upgrading the Lötschberg Base Tunnel – BLS Ltd
https://www.bls.ch/e[...]
2016-08-18
[6]
웹사이트
Nationalrat für Bahnausbau - Bahn frei für den Lötschberg-Vollausbau
https://www.srf.ch/n[...]
2024-02-26
[7]
웹사이트
BLS is upgrading the Lötschberg Base Tunnel
https://www.bls.ch/e[...]
[8]
논문
The Lötschberg railway base tunnel
https://www.scienced[...]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ume 12, Issue 3
1997-07
[9]
논문
Lötschberg Base Tunnel - Start of Construction Work
https://www.research[...]
2000-01
[10]
웹사이트
Tunnel under Alps links north, south Europe
https://www.nbcnews.[...]
NBC News
2005-04-28
[11]
뉴스
Swiss Open World's Longest Land Tunnel
https://www.washingt[...]
2007-06-16
[12]
뉴스
Huge Swiss tunnel opens in Alp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6-15
[13]
문서
[14]
웹사이트
The Lötschberg enters operation
https://www.alptrans[...]
alptransit-portal.ch
2007-12-08
[15]
웹사이트
Gotthard: From Dream to Nightmare
http://www.tsr.ch/ts[...]
Temps Present
2007-05-24
[16]
웹사이트
Planning contract awarded for Lötschberg Base Tunnel track doubling
http://www.railjourn[...]
railjournal.com
2016-02-01
[17]
웹사이트
Lötschberg plans full rail baseline finish
https://www.tunnelta[...]
tunneltalk.com
2019-03-21
[18]
웹사이트
BLS is upgrading the Lötschberg Base Tunnel
https://www.bls.ch/e[...]
[19]
웹사이트
Lötschberg Base Tunnel: a new Alpine rail link to connect Europe
https://www.bls.ch/e[...]
BLS AG
2016-08-18
[20]
웹사이트
Lötschberg Base Tunnel to Open Again Following Water and Sand Ingress
https://railway-news[...]
railway-news.com
2020-04-22
[21]
웹사이트
Lötschberg base tunnel reopened after water ingress mitigated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2020-04-27
[22]
논문
The exploitation of warm tunnel water through the example of the Lötschberg Base Tunnel in Switzerland / Nutzung warmer Tunnelwässer am Beispiel des Lötschberg-Basistunnels in der Schweiz
https://onlinelibrar[...]
Geomechanics and Tunneling
2010-10-01
[23]
URL
http://www.railjourn[...]
[24]
URL
https://www.tunnelta[...]
[25]
웹사이트
Lötschberg base tunnel reopened after water ingress mitigated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20-04-27
[26]
웹인용
The Lötschberg railway base tunnel
https://www.scienced[...]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ume 12, Issue 3
1997-07
[27]
저널
Lötschberg Base Tunnel - Start of Construction Work
https://www.research[...]
2000-01
[28]
웹인용
Tunnel under Alps links north, south Europe
http://www.nbcnews.c[...]
NBC News
2005-04-28
[29]
뉴스
Swiss Open World's Longest Land Tunnel
https://www.washingt[...]
2007-06-16
[30]
뉴스
Huge Swiss tunnel opens in Alp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6-15
[31]
문서
[32]
웹인용
The Lötschberg enters operation
https://www.alptrans[...]
alptransit-portal.ch
2007-12-08
[33]
웹인용
Gotthard: From Dream to Nightmare
http://www.tsr.ch/ts[...]
Temps Present
2007-05-24
[34]
웹인용
Planning contract awarded for Lötschberg Base Tunnel track doubling
http://www.railjourn[...]
railjournal.com
2016-02-01
[35]
웹인용
Lötschberg plans full rail baseline finish
https://www.tunnelta[...]
tunneltalk.com
2022-03-02
[36]
웹인용
Lötschberg Base Tunnel: a new Alpine rail link to connect Europe
https://www.bls.ch/e[...]
BLS AG
2020-05-19
[37]
웹인용
Lötschberg Base Tunnel to Open Again Following Water and Sand Ingress
https://railway-news[...]
railway-news.com
2020-04-22
[38]
웹인용
Lötschberg base tunnel reopened after water ingress mitigated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2020-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