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바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바족은 5세기경부터 현재 콩고민주공화국 지역의 우펨바 분지에 정착하여 발달된 철기 시대를 이룬 민족이다. 15세기에는 루바 왕국을 건국했고, 이후 카사이 루바, 샤바 루바, 헨바 루바의 3개 그룹으로 나뉘었다. 루바족은 농업, 어업, 목축을 하며, 금속 가공 기술과 예술적 재능을 발휘했다. 19세기에는 노예 무역의 영향을 받았고, 벨기에 식민 통치 하에서 구리와 보석 광산에서 일하도록 강요받았다. 루바족은 루바어(치르바, 키르바)를 사용하며, 전통 종교 신앙과 함께 기독교, 이슬람교를 믿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루바족 | |
---|---|
기본 정보 | |
민족명 | 루바족 |
자체 명칭 | Mulubà (단수) Balubà (복수) |
언어 | 루바어군 킬루바어 칠루바어 스와힐리어 프랑스어 |
주요 거주 지역 | 콩고 민주 공화국 |
인구 | 약 2,880만 명 |
종교 | 기독교 이슬람교 아프리카 전통 종교 반투 신화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다른 반투족 |
2. 역사
루바족은 1500년경, 혹은 그 이전부터 하나의 통일된 국가로 통합되기 시작했는데, 역사학자들은 이를 루바 왕국 또는 루바 제국이라고 부른다.[3] 왕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여 18세기부터 19세기 사이에 최고조에 달했다.[3][9] 19세기 벨기에와 티푸 팁 및 므시리와 같은 아랍-스와힐리족 족장들에 의한 노예 및 상아 무역이 발전하면서, 토마스 리프(Thomas Reefe)는 “국제 무역의 확장하는 최전선으로의 통합은 제국을 분열시켰다”고 주장한다.[9][10]
루바 제국은 ''발롭웨''(세습 군주제)와 왕족이나 장로들의 평의회라는 두 계층의 권력을 채택했다. 이는 사망 등의 원인으로 인한 계승 분쟁 발생 시 상호 균형을 통해 정부의 안정성을 제공했으며, 이웃 루다족과 다른 민족 집단도 이 제도를 채택했다.[6]
루바 제국의 발전과 진화, 그리고 루바족의 삶은 구전 전통 문화였기 때문에 불분명하다.[10][11] 지식과 기록은 문자가 없이 구전으로 전해졌고, ''키루바''라고 불리는 루바어의 정서법은 19세기에 발명되었기 때문에 루바 제국에 대한 초기 정보는 외국 문서에서 얻어졌다.[11] 후대의 기록에 따르면 루바족은 선과 악에 대한 개념을 중심으로 정교한 문학적 전통을 발전시켰고, 이러한 개념과 종교적 사상을 도덕성과 권력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전설에 통합했다.[12] 예를 들어, 붉은 왕 ''응콩골로 음밤바''와 검은 왕 ''일룬가 음비디 킬루웨''라는 두 왕에 관한 전설이 전해진다.
16세기와 17세기에 루바족은 지역 족장들에게 위임을 통해 ''발롭웨''가 통치하는 큰 국가의 일부였다.[13] 18세기에는 남쪽의 소금과 철광산을 장악하려는 경쟁자들의 욕망에 의해 제국이 크게 통합되었다.[15] 루바 제국은 남동쪽의 룬다 왕국에 의해 포르투갈과 다른 식민지 세력으로부터 보호받았는데, 이는 데이비드 리빙스턴의 여행 회고록에서 언급되었다.[16] 19세기 초, 루바족과 카뇨크족의 구전 전통은 상호 약탈로 이어지는 주요 분쟁을 시사하는데, 이 분쟁은 왕 일룬가 순구가 새로운 영토로 진출하여 결혼 동맹을 맺으면서 루바 제국의 성장에 도움이 되었다.[16] 1810년 그가 사망했을 때, 그의 왕궁터는 그의 영혼이 숭배되는 ''키텐타''(왕실 성지 마을)가 되었다.[17]
일룬가 순구 사후, 쿰윔베 응곰베가 권력을 잡고 동아프리카 상인들과 접촉하며 남동쪽으로 확장했다. 정복된 족장과 통치자들은 루바 지배 가문의 자매 또는 딸과 결혼하여 루바 제국 수도와의 관계와 충성심을 맺어야 했다.[18] 19세기 중반까지 루바 제국의 동쪽에서는 상아와 노예 무역이 성장했다. 1840년 쿰윔베 응곰베가 사망한 후, 일룽가 카발레 왕이 1870년 사망할 때까지 루바족을 통치했다. 그 무렵, 루바족과 그들의 제국은 현재 콩고 민주 공화국 남동부의 대부분을 덮고 있었다.[19]
루바족은 아프리카 동부와 서부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비교적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에 거주했기 때문에 상대적인 고립 속에서 성공과 부를 이루었다.[20] 그러나 1850년대부터 노예 사냥꾼들이 루바족의 땅에 침입하기 시작했다. 서구 세계에서 노예 무역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랍-스와힐리 노예 및 상아 무역상들이 루바 제국의 동부와 북동부 지역으로 진입했다.[20][22]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루바족이 총을 담뱃대로 생각했다고 기록했다.[23][24]
므시리는 잔지바르 술탄에게 상아와 노예를 공급하는 탄자니아 사업가로, 루바족의 남동부 샤바 지역을 습격하고 장악했다.[20] 1860년대부터 1880년대 사이에 더 잘 장비된 군대에 의한 모든 방면의 돌파는 루바 제국을 빠르게 약화시켰고, 몰락을 가속화했다.[20] 1870년 루바 왕 일룽가 카발레가 사망했을 때 계승과 전략에 대한 내분이 일어났다.[20]
1868년, 사이드 빈 하빕 엘-아피피는 루바족을 습격하여 약 4762.72kg의 구리를 강탈했다.[25] 1874년, 티푸 팁과 같은 아랍-스와힐리족의 루바족 땅 습격은 냐므웨지 부하와 노예 군대를 동원하여 조직되었다.[27][28] 이러한 외부인들의 습격은 루바족 인구에 천연두를 유입시켰다.[1]
1885년 벨기에 레오폴드 2세는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이 된 영토에 대한 권리를 유럽으로부터 인정받았다. 1891년, 최초의 벨기에 원정대가 루바족 지역에 도착했다.[20] 벨기에 국왕은 티푸 팁에게 루바족 영토를 포함한 지역의 총독직을 임명했다.[29]
벨기에 통치 기간 동안 루바족은 카탕가 주의 구리와 보석 광산에서 일하도록 강요받았고, 많은 광산 관련 사망자가 발생했다. 루바족은 1895년과 1905년부터 1917년까지 반란을 일으켰으나, 군사 개입으로 진압되었다.[1]
1960년, 벨기에령 콩고 민주 공화국은 독립을 허용했다. 같은 해, 카탕가 주는 무이스 촘베 지도하에 카탕가 주로서 분리 독립을 시도했다.[30] 루바족은 분리 독립 지지파와 중앙 정부 지지파로 나뉘었다. 콩고에 파견된 유엔 평화유지군(ONUC) 부대는 루바족과 충돌했고, 1960년 11월 8일 니엠바 매복 사건이 발생했다. 촘베의 분리 독립 정권이 1965년 붕괴되자 키술라 응고예는 루바족과 중앙 정부 간의 연락 책임자가 되었다.[1]
2. 1. 초기 역사 (5세기 ~ 15세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루바족(Baluba)은 5세기경부터 우펨바 분지 주변의 호수와 습지에 정착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4] 여러 유적지에서 발견된 증거들은 발달된 철기 시대 사회의 존재를 시사한다. '카밀람비안(Kamilambian)', '키살리안(Kisalian)', '카밤비안(Kabambian)' 계열의 유적들은 5세기부터 14세기까지의 것으로 추정되며, 수세기에 걸쳐 안정적인 루바 문화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4][7] 이 중 키살리안 시대(8세기~11세기)의 토기와 도구들이 발견되었다.[7] 현대적인 연대 측정 방법으로 8세기 이전의 유물은 철기구나 토기이며, 그 이후로는 구리 유물이 나타난다.[7]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루바족은 중앙아프리카 우펨바 분지의 많은 개울과 호숫가에 갈대와 엮은 흙벽돌(wattle and daub)로 지은 집에서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7] 이 분지는 역사적으로 카탕가 주 남부의 샤바 고지에서 흘러내리는 빗물로 일 년 중 일부가 범람했고, 파피루스 섬과 떠다니는 수초로 가득 찬 수역이었으며, 비가 그친 후에는 건조해졌다. 루바족은 공동체로서 긴 건조기에 농업과 어업을 개선하기 위해 진흙, 파피루스, 기타 식물을 이용하여 최대 약 1.83m~약 2.44m 높이의 둑과 제방을 건설했다.[4]
초기 루바족이 사용했던 금속 가공 기술에는 가느다란 철사를 뽑아내고, 꼬고, 적층하고, 엮어 목걸이, 팔찌, 낚시 바늘, 바느질 바늘 등을 만드는 것이 포함되었다.[8] 이러한 제품들은 먼 곳의 여러 민족에게 관심과 수요를 불러일으켜 루바족에게 무역 기회와 상인들을 만들어냈다. 루바족 마을의 무역과 모든 경제 활동에는 조공 제도가 있어, 사냥감, 물고기 또는 생산물의 일부가 혈족 우두머리나 국경을 지키는 사람들에게 주어졌다. 이들은 우펨바 호수의 물이 만든 것과 같은 자연적인 경계였으며, 통행을 위해서는 수로와 다리가 필요했다. 따라서 루바족의 영토 출입은 통제되고 세금이 부과되었다.[8]
2. 2. 루바 왕국 (15세기 ~ 19세기)
1500년경 혹은 그 이전부터 루바족은 하나의 통일된 국가로 통합되기 시작했는데, 역사학자들은 이를 루바 왕국 또는 루바 제국이라고 부른다.[3] 왕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고 더욱 정교해져 18세기부터 19세기 사이에 최고조에 달했다.[3][9] 토마스 리프(Thomas Reefe)는 “국제 무역의 확장하는 최전선으로의 통합은 제국을 분열시켰다”고 말하며, 이는 19세기 벨기에와 티푸 팁 및 므시리와 같은 아랍-스와힐리족 족장들에 의한 노예 및 상아 무역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졌다고 주장한다.[9][10]루바 제국의 두드러진 사회 정치 제도는 두 계층의 권력, 즉 ''발롭웨''(세습 군주제)와 왕족이나 장로들의 평의회를 채택한 것이었다. 이러한 제도는 사망이나 기타 원인으로 인한 계승 분쟁이 발생할 때 상호 균형을 통해 정부의 안정성을 제공했다. 이러한 사상은 이웃 루다족과 다른 민족 집단에 의해 채택되었다.[6]
루바 제국의 발전과 진화, 그리고 그 안에서 루바족의 삶은 불분명하다.[10][11] 이는 부분적으로 루바족이 전적으로 구전 전통 문화였기 때문이다. 지식과 기록은 문자가 없이 구전으로 전해졌다. ''키루바''라고 불리는 루바어의 정서법은 19세기에 발명되었으므로 루바 제국에 대한 초기 정보는 외국 문서에서 얻어졌다.[11] 후대의 기록들은 루바족이 선과 악에 대한 그들의 개념을 중심으로 정교한 문학적 전통을 발전시켰고, 이러한 개념과 종교적 사상을 도덕성과 권력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전설에 통합했다는 것을 시사한다.[12] 예를 들어, 하나의 전설은 붉은 왕 ''응콩골로 음밤바''와 검은 왕 ''일룬가 음비디 킬루웨''라고 불리는 두 왕과 관련이 있다. 루바족의 구전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루바족은 16세기와 17세기에 지역 족장들에게 위임을 통해 ''발롭웨''가 통치하는 큰 국가의 일부였다.[13] ''이나반자 카타바''의 구전에 따르면, 제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장되었으며, 18세기에 주요 통합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남쪽의 소금과 철광산을 장악하려는 경쟁자들의 욕망에 의해 촉발되었다.[15] 루바 제국은 남동쪽에 있는 룬다 제국에 의해 포르투갈과 다른 식민지 세력으로부터 보호받았다. 이러한 보호는 데이비드 리빙스턴의 여행 회고록에서 언급되었으며, 앙골라 상인들이 루바족과 정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막았을 가능성이 높다.[16] 19세기 초에 루바족과 카뇨크족의 구전 전통은 상호 약탈로 이어지는 주요 분쟁을 시사한다.[16] 이 분쟁은 루바 제국의 성장에 도움이 되었는데, 그 이유는 왕 일룬가 순구가 새로운 영토로 진출하여 결혼 동맹을 맺었기 때문이다.[16] 그가 1810년에 사망했을 때, 루바족 사이에서 그의 명성과 존경심은 최고조에 달했고, 그의 왕궁터는 그의 영혼이 숭배되는 ''키텐타''(왕실 성지 마을)가 되었다.[17]
일룬가 순구 사후, 쿰윔베 응곰베가 권력을 잡고 그의 전사들을 이끌고 동아프리카 상인들과 접촉하며 남동쪽으로 확장했다. 그의 승리 후, 루바 전통에 따라 정복된 족장과 통치자들은 루바 지배 가문의 자매 또는 딸과 결혼하여 루바 제국 수도와의 관계와 충성심을 맺어야 했다.[18]
19세기 중반까지 루바 제국의 동쪽에서는 상아와 노예 무역이 성장했다. 상아의 천연 공급이 고갈된 반면 국제 수요는 증가했다. 루바족이 지배하는 지역은 코끼리 떼를 보존했다. 예를 들어, 카니엠보 지역에는 팔 상아가 없었다.[19] 1840년 쿰윔베 응곰베가 노령으로 사망한 후, 일룬가 카발레 왕이 1870년 사망할 때까지 루바족을 통치했다. 그 무렵, 루바족과 그들의 제국이 지배하는 지역은 현재 콩고 민주 공화국 남동부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19세기 초 중심지에서 수백 킬로미터에 걸쳐 확장되었다.[19]
2. 3. 식민지 시대 (19세기 말 ~ 20세기 중반)
19세기 말, 루바족은 노예 무역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초기에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노예 무역의 영향을 덜 받았지만, 1850년대부터 노예 사냥꾼들이 루바족 영토에 침입하기 시작했다.[21] 서구 세계에서 노예 무역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랍-스와힐리 노예 및 상아 무역상들이 동부와 북동부 지역에서 침입해 왔다.[20][22] 이들은 총기와 같은 발전된 무기를 가지고 있었고, 루바족은 이에 맞서기 어려웠다. 데이비드 리빙스턴의 기록에 따르면 루바족은 총을 담뱃대로 착각할 정도로 총기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다.[23][24]므시리는 탄자니아 사업가로, 잔지바르 술탄에게 상아와 노예를 공급하며 루바족의 남동부 샤바 지역을 장악했다.[20] 남서쪽에서는 포르투갈과 협력하는 오빔분두 상아 및 노예 사냥꾼들이 침입했다. 1860년대에서 1880년대 사이에 루바 제국은 크게 약화되었다.[20] 1870년 루바 왕 일룽가 카발레가 사망한 후, 계승 분쟁까지 발생했다.[20]
1868년, 사이드 빈 하빕 엘-아피피는 루바족을 습격하여 많은 양의 구리를 강탈했다.[25] 1874년, 아랍-스와힐리 무역상 주마 빈 살룸 와드 라카드는 루바족 영토에 코끼리 사냥과 상아 무역 기지를 세웠다.[26] 티푸 팁과 같은 아랍-스와힐리족은 냐므웨지 부하와 노예 군대를 동원하여 루바족을 공격했다.[27][28] 이들의 공격은 루바족에게 천연두를 유입시키기도 했다.[1]

1885년, 벨기에 레오폴드 2세는 현재 콩고민주공화국 영토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았다. 1891년, 최초의 벨기에 원정대가 루바족 지역에 도착했다.[20] 벨기에 국왕은 티푸 팁을 이 지역 총독으로 임명하기도 했다.[29]
벨기에 통치 기간 동안, 루바족은 카탕가 주의 구리 및 보석 광산에서 강제 노동에 시달렸고, 많은 이들이 광산에서 사망했다. 루바족은 1895년과 1905년부터 1917년까지 저항했지만, 벨기에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1]
2. 4. 독립 이후 (20세기 후반 ~ 현재)
1960년, 벨기에령 콩고 민주 공화국은 독립 요구와 식민 지배 종식에 직면하여 독립을 허용했다. 같은 해, 상당수의 루바족이 거주하는 카탕가 주는 무이스 촘베 지도하에 카탕가 주로서 분리 독립을 시도했다.[30] 루바족은 나예 에마누엘이 이끄는 분리 독립 지지파와 키술라 응고예가 이끄는 중앙 정부 지지파로 나뉘었다.콩고에 파견된 유엔 평화유지군(ONUC) 부대는 루바족과 충돌했다. 1960년 11월 8일, 아일랜드 군 순찰대는 니엠바 외곽에서 매복 공격을 받았다. 이 전투에서 아일랜드 군인들은 발루바족 25명을 사살했고, 아일랜드 군인 11명 중 9명이 사망했다.
촘베의 분리 독립 정권이 1965년 붕괴되자 키술라 응고예는 루바족과 중앙 정부 간의 연락 책임자가 되었다.[1]
3. 언어
반투어족에서, 루바어(치르바, 키르바)를 매개로 한다. 루바어 계열의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는 룰루아족, 룬다족, 송게족, 야케족 등이 있으며, 콩고에서 큰 언어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콩고어와 함께 루바어는 콩고의 공용어로 채택되고 있다.
4. 사회
루바족은 카사이 루바, 샤바 루바, 헨바 루바의 세 그룹으로 크게 나뉜다. 이들은 15세기경 루바 왕국을 건국했고, 1960년 독립 이후에도 영향력 있는 정치 집단으로 존재감을 보였다.[13] 클랜이나 리니지 단위로 마을을 형성한다. 루바족의 가면은 쿠바족과 함께 아프리카 민족 공예의 대표로 알려져 있으며, 코트디부아르의 바울레족 공예품과 같이 고요하고 기품 있는 특징을 지닌다.[13]
4. 1. 거주 형태
루바족은 한 줄로 이어진 마을에 모여 사는 경향이 있었는데, 길 양쪽에는 밀접한 혈연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사는 직사각형의 초가지붕 집들이 있었다.[13] 이러한 집들은 사바나와 숲에 있었다. 루바족은 사냥을 하고, 근처 풍부한 물에서 고기를 잡고, 야생 과일과 같은 음식을 채집했으며, 농업에도 능숙했다. 현대에는 카사바, 옥수수를 재배하고 가축을 기른다. 일부 루바족은 목재를 조각하여 예술 공예품을 생산한다.[13]4. 2. 경제
루바족은 한 줄로 이어진 마을에 모여 사는 경향이 있었는데, 길 양쪽에는 밀접한 혈연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사는 직사각형의 초가지붕 집들이 있었다.[13] 이러한 집들은 사바나와 숲에 있었다. 루바족은 사냥을 하고, 근처의 풍부한 물에서 고기를 잡고, 야생 과일과 같은 음식을 채집했으며, 농업에도 능숙했다. 현대에는 카사바, 옥수수를 재배하고 가축을 기른다. 일부 루바족은 목재를 조각하여 예술 공예품을 생산한다.[13]카사이 루바, 샤바 루바, 헨바 루바의 3개 그룹으로 크게 분류되며, 15세기경에는 루바 왕국을 건국하였고, 1960년 독립 이후에도 영향력 있는 정치 집단으로 존재감을 보였다. 이들은 열대우림 가장자리에 위치한 사바나 지대에서 옥수수, 기장, 카사바 등을 재배하는 농민이다. 그 외에 목축도 성행하여 염소, 닭, 양 등을 사육한다.
5. 문화
루바족은 주로 클랜이나 리니지 단위로 마을을 형성한다. 가면이나 조각 등 공예 기술이 발달했으며, 루바족의 가면은 쿠바족의 가면과 함께 아프리카 민족 공예의 대표로 손꼽힌다. 이러한 공예품은 코트디부아르에 거주하는 바울레족의 공예품과 유사하게 고요하고 기품 있는 특징을 보인다.[34][35]
5. 1. 예술
루바족 문화에서는 예술이 발달했다. 토기, 철로 만든 도구(예: 도끼, 활, 창), 나무 지팡이와 조각품, 구리판으로 장식된 부품 등이 흔히 만들어졌다. 루바족의 주목할 만한 예술 형태는 남성 조상을 그들의 여성화신인 조상 왕으로 표현한 'Mwadi'이다.[34][35]다니엘 카보지(Daniel Kabozi) 등 학자들에 따르면, 루바족의 정교한 예술 작품 중 일부는 기억 보조 장치이자, 루바족의 역사와 지식을 보존하고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일종의 상징적 부호화된 기록이었다.[21][36]
메리 로버츠(Mary Roberts)에 따르면, 루바족은 "왕실 역사, 왕 목록, 이동 경로, 입문 의식의 비밀, 가계도를 기록하기 위한 아프리카에서 가장 복잡하고 뛰어난 기억 체계"를 발전시켰는데, '루카사 기억판'이 그 예이다.[37][38] 이러한 예술 작품들은 현재 세계 여러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21]
클랜이나 리니지 단위로 마을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면이나 조각 등의 공예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루바족의 가면은 쿠바족과 함께 아프리카의 민족 공예의 대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예품은 코트디부아르에 거주하는 바울레족과 공통적으로 고요하고 기품 있는 특징을 지닌다.
5. 2. 루카사 기억판
루바족 문화에서는 예술이 발달했다. 토기, 철로 만든 도구(예: 도끼, 활, 창), 나무 지팡이와 조각품, 구리판으로 장식된 부품 등이 흔히 만들어졌다. 루바족의 주목할 만한 예술 형태는 남성 조상을 그들의 여성화신인 조상 왕으로 표현한 'Mwadi'이다.[34][35]다니엘 카보지(Daniel Kabozi) 등 학자들에 따르면, 루바족의 정교한 예술 작품 중 일부는 기억 보조 장치이자, 루바족의 역사와 지식을 보존하고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일종의 상징적 부호화된 기록이었다.[21][36]
메리 로버츠(Mary Roberts)에 따르면, 루바족은 "왕실 역사, 왕 목록, 이동 경로, 입문 의식의 비밀, 가계도를 기록하기 위한 아프리카에서 가장 복잡하고 뛰어난 기억 체계"를 발전시켰는데, 루카사 기억판이 그 예이다.[37][38] 이러한 예술 작품들은 현재 세계 여러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21]
6. 종교
루바족의 전통 종교 신앙은 만물의 창조주 '샤카팡가', 최고신 '레자', 그리고 자연 및 초자연 세계로 구성되었다.[13][31] '엔센가'(사제)는 기도, 노래, 춤, 제물, 통과 의례 등 종교 의식을 중개했고, '응강가'(치유자)는 '루부코'(점복)로 질병을 치료했다.[31] 종교는 윤리적 가치관에도 영향을 미쳤다.[31]
벨기에 식민 통치 시대에 기독교가 전파되었고,[32] 루바 가톨릭 신자들은 미사 루바를 만들어 자이르 전례의 기반이 되었다. 스와힐리족과의 접촉으로 이슬람교도 확산되어, 2011년 기준 루바족 인구의 약 12%가 이슬람교도이다.[33]
탐벨 신부의 『반투 철학』(1946)은 루바족 종교 연구의 대표적 성과로, ヌトゥ와 생명력 개념을 중심으로 한 루바족의 세계관을 설명한다.
6. 1. 전통 신앙
루바족의 전통 종교 신앙에는 만물의 창조주인 '샤카팡가'(Shakapanga), 최고신 '레자'(Leza), 그리고 자연 세계와 초자연 세계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었다.[13][31] 초자연 세계는 '방캄보'(Bankambo, 조상의 영혼)와 '바비디에'(Bavidye, 다른 영혼들)가 사는 곳이었으며, '므위카딜로 무양페'(Mwikadilo Muyampe, 윤리적인 삶)를 살았다면 사후 세계로 가는 곳이었다.[31] 루바 종교는 살아있는 자와 죽은 자 사이의 교감 가능성을 받아들였다.[31]
종교 생활에는 기도, 공동체 노래, 춤, 제물, 통과 의례 의식 및 기원이 포함되었다.[31] 이러한 의식과 예배에는 '엔센가'(Nsengha) 또는 '키토보'(Kitobo, 사제)와 같은 의례 중개자가 있었다. 또한, 불안과 질병을 위해 '응강가'(Nganga) 또는 '므핀치'(Mfwintshi, 치유자)가 '루부코'(Lubuko, 점복)를 수행했다.[31] 종교 사상은 의례에만 국한되지 않고, 좋은 인격, 선한 마음, 타인에 대한 존엄성 및 자존감에 대한 생각도 포함했다. 시민 생활과 선의의 종교적 규범은 루바 사회 생활에 영향을 미쳤다.[31]
루바족의 종교는 아프리카 종교 연구 초기 대상이었으며, 아프리카에서 기독교 전파에 헌신한 탐벨 신부(タンペル神父)가 1946년에 저술한 『반투 철학(バントゥー哲学)』이 대표적인 연구 성과이다.
그들의 종교관은 자연계 만물 창조 요소로서 ヌトゥ를 설정하고, 생명력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세계관을 형성하고 있다.
6. 2. 기독교
기독교는 벨기에 식민 통치 시대에 온 식민 개척자들에 의해 루바족에게 전파되었다. 윌리엄 버튼과 같은 일부 선교사들은 루바족을 가르치면서 민족지 연구를 수행했는데, 이는 적극적인 투사적 연구의 시작이었다.[32]후에 루바 가톨릭 신자들은 루바 예술과 표현에 적응시킨 라틴 미사의 한 형태인 미사 루바를 만들어냈다. 이것은 콩고에서 주로 사용되는 (그리고 기본적으로 기반을 둔) 미사의 완전한 의식인 자이르 전례의 기반이 되었다.
6. 3. 이슬람교
2011년 자료에 따르면, 루바족 인구의 약 12%가 이슬람교를 믿는다고 추정된다. 19세기와 20세기에 스와힐리족과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루바족 사이에 이슬람교가 퍼져나갔다.[33]7. 주요 인물
- 헤리타 일룽가 (Herita Ilunga), 축구 선수
- 칼랄라 일룽가 (Kalala Ilunga), 황제
- 알베르 칼론지 (Albert Kalonji), 정치인, 자칭 카사이(Kasai)의 무롭웨(Mulopwe)
- 빌 클린턴 칼론지 (Bill Clinton Kalonji), 음악가
- 그랜드 칼레 (Grand Kalle), 음악가
- 페페 칼레 (Pepe Kalle), 음악가
- 니코 카산다 (Nico Kasanda), 음악가
- 오스카 카샬라 (Oscar Kashala), 정치인
- 에바리스테 킴바 (Évariste Kimba), 언론인이자 정치인
- 가브리엘 큐군구 와 쿰완자 (Gabriel Kyungu wa Kumwanza), 정치인
- 디우도네 카이엠베 엠반다쿨루 (Dieudonné Kayembe Mbandakulu), 콩고민주공화국군 중장
- 츠랄라 무아나 (Tshala Muana), 음악가
- 다예 뮬람바 (Ndaye Mulamba), 축구 선수
- 디켐베 무톰보 (Dikembe Mutombo), 농구 선수
- 장 칼랄라 엔툼바 (Jean Kalala N'Tumba), 축구 선수
- 존 눔비 (John Numbi), 콩고민주공화국 군 장성
- 제이슨 센드웨 (Jason Sendwe), 정치인, 발루바카트(Balubakat) 전 대통령
- 로랑 데지레 카빌라 (Laurent Desire Kabila), 콩고민주공화국 제3대 대통령, 쥬네스 발루바카트(Jeunese Balubakat) 전 대통령
- 조셉 카빌라 카방게 (Joseph Kabila Kabange), 콩고민주공화국 제4대 대통령
- 펠릭스 치세케디 (Félix Tshisekedi), 콩고민주공화국 제5대 대통령
- 에티엔느 치세케디 (자이르 총리)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Africa: An Encyclopedia of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ABC-CLIO
[4]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Kingdoms of the Savanna: The Luba and Lunda Empires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7]
간행물
Luba Roots: The First Complete Iron Age Sequence in Zaire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학술지
Long Distance Trade and the Luba Lomami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간행물
Civil Religion in Traditional Africa
https://www.jstor.or[...]
[13]
웹사이트
Luba people
https://www.britanni[...]
[14]
서적
Luba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15]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서적
Native People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roups, Cultures and Contemporary Issu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2]
서적
Luba–Lunda states, in ''The Encyclopedia of Empire''
John Wiley & Sons
[23]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간행물
The structures of the Slave trade in Central Africa in the 19th century
[25]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서적
The Rainbow and the Kings: A History of the Luba Empire to 18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8]
학술지
Long Distance Trade and the Luba Lomami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29]
서적
Belgium Empire, in ''The Encyclopedia of Empire''
John Wiley & Sons
[30]
서적
Colonialism: An International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31]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Religio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32]
학술지
The Soul of the Luba: W.F.P. Burton, Missionary Ethnography and Belgian Colonial Science
[33]
서적
Ethnic Group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34]
웹사이트
Kingdoms of the Savanna: The Luba and Lunda Empires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35]
서적
Ethnic Ambiguity and the African Past: Materiality, History, and the Shaping of Cultural Ident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36]
논문
Memory: Luba Art and the Making of History
[37]
논문
The Naming Game: Ideologies of Luba Artistic Identity
[38]
서적
Knowledge and Power in Prehistoric Societies: Orality, Memory, and the Transmission of Cul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