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카 수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카 수열은 두 정수 P와 Q에 대한 두 종류의 수열, 제1종 뤼카 수열 Un(P, Q)와 제2종 뤼카 수열 Vn(P, Q)을 지칭하며, 점화식으로 정의된다. 뤼카 수열은 여러 가지 성질을 가지며, 일반항, 생성 함수, 행렬 표현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펠 방정식, 피보나치 수, 뤼카 수, 메르센 수 등과 연관되며, 뤼카 유사 소수 검사, 공개 키 암호 시스템(LUC)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뤼카 수열은 프랑스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점화식 - 마스터 정리
마스터 정리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 분석 도구로서, 점화식을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재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정렬 및 일반 알고리즘 분석에 활용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적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점화식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뤼카 수열 |
---|
2. 정의
두 정수 에 대한 '''제1종 뤼카 수열'''(Lucas sequence of the first kind|영어)은 다음과 같이 점화식으로 정의된다.
뤼카 수열은 이차 방정식의 해를 이용하여 일반항을 나타낼 수 있고, 생성 함수를 통해 표현할 수도 있다.[8] 뤼카 수열과 관련된 여러 등식이 존재하며,[8] 주요 등식은 다음과 같다.
:
:
:
두 정수 에 대한 '''제2종 뤼카 수열'''(Lucas sequence of the second kind|영어)은 다음과 같이 점화식으로 정의된다.
:
:
: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함을 쉽게 보일 수 있다.
:
:
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행렬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
:
:
3. 성질
''n''이 양의 정수일 때, 을 정의하고, 과 을 으로 표현할 수 있다.
뤼카 수열은 다음과 같은 정수 나누기 성질을 갖는다.
''P''와 ''Q''가 상호 소이면, 과 사이의 관계, 그리고 최대공약수에 대한 성질도 성립한다.
대부분의 뤼카 수열 항은 원시 소인수를 가지며, 카마이클의 정리에 의해 예외적인 경우도 알려져 있다. 다음은 이 원시 약수를 갖지 않는 경우이다.[13]
n | |
---|---|
5 | U5(1, -1)=5, U5(1, 2)=-1, U5(2, 11)=5, U5(1, 3)=1, U5(1, 4)=7, U5(12, 55)=1, U5(12, -1364)=1 |
7 | U7(1, 2)=1, U7(1, 5)=1 |
8 | U8(2, 7)=-40, U8(1, 2)=-3 |
10 | U10(2, 3)=-22, U10(5, 7)=-3725, U10(5, 18)=10025 |
12 | U12(1, -1)=144, U12(1, 2)=-45, U12(1, 3)=160, U12(1, 4)=-231, U12(1, 5)=-3024, U12(2, 15)=-23452 |
13 | U13(1, 2)=-1 |
18 | U18(1, 2)=85 |
30 | U30(1, 2)=-24475 |
3. 1. 일반항
이차 방정식 의 두 해를 각각:
:
라고 할 때, 뤼카 수열의 일반항은 다음과 같다.
:
:
일 때, ''a''와 ''b''는 서로 다르며, 다음이 성립한다.
:
:
따라서 뤼카 수열의 항들은 ''a''와 ''b''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인 경우, 어떤 정수 ''S''에 대해 및 이므로 일 때 발생한다. 이 경우 다음과 같다.
:
:
3. 2. 생성 함수
뤼카 수열의 일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8]:
:
3. 3. 점화 관계 (영어 문서)
두 정수 매개변수 와 에 대해, 첫 번째 종류의 뤼카 수열 와 두 번째 종류의 뤼카 수열 는 다음과 같은 점화 관계로 정의된다.:
: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위의 관계는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
:
:
3. 4. 펠 방정식 (영어 문서)
일 때, 뤼카 수열 와 는 특정 펠 방정식을 만족한다.[8]:
:
:
3. 5. 다른 매개변수를 가진 수열과의 관계 (영어 문서)
임의의 수 ''c''에 대해, 수열 과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8]:
:
이때, 와 는 동일한 판별식을 갖는다.
:
또한,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8]
:
:
뤼카 수열 와 에 대해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8]
''n''이 양의 정수일 때,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μ는 뫼비우스 함수, ζ''n''는 1의 원시 ''n''승근, 오일러의 파이 함수, Φ''n''는 1의 원시 ''n''승근에 관한 원분 다항식이다. 은 정수이며, 다음이 성립한다.
:
특히, 은 의 약수이며, ''p''가 소수일 때 가 된다.
뤼카 수열의 정수 나누기 성질은 다음과 같다.
- 이면, 이다.
- ''n''이 ''m''의 홀수 배수이면, 이다.
- ''N''이 2''Q''와 상호 소인 정수이고, 이 되는 최소의 ''r''이 존재할 때, 이 되는 ''n'' 전체는 ''r''의 배수 전체와 일치한다.
''P'', ''Q'' 값에 따른 , 의 짝홀성은 다음과 같다.
- ''P'', ''Q''가 짝수이면, , 은 을 제외하고 항상 짝수이다.
- ''P''가 짝수이고, ''Q''가 홀수이면, 의 짝/홀수는 ''n''의 짝/홀수와 일치하며, 은 항상 짝수이다.
- ''P''가 홀수이고, ''Q''가 짝수이면, , 은 항상 홀수이다.
- ''P'', ''Q''가 홀수이면, , 은 ''n''이 3의 배수일 때 짝수이고, 그렇지 않을 때 홀수이다.
홀소수 ''p''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는 제곱 잉여 기호)
- ''p''가 ''P'', ''Q''를 나누어 떨어뜨리면, ''p''는 을 제외한 모든 을 나눈다.
- ''p''가 ''P''를 나누어 떨어뜨리고 ''Q''를 나누어 떨어뜨리지 않으면, ''p''가 을 나누어 떨어뜨리는 것은 ''n''이 짝수인 것과 동치이다.
- ''p''가 ''P''를 나누어 떨어뜨리지 않고 ''Q''를 나누어 떨어뜨리면, ''p''는 절대로 을 나누어 떨어뜨리지 않는다.
- ''p''가 ''PQ''를 나누어 떨어뜨리지 않고, ''D''를 나누어 떨어뜨리면, ''p''가 을 나누어 떨어뜨리는 것은 ''n''이 ''p''의 배수인 것과 동치이다.
- ''p''를 ''PQD''를 나누어 떨어뜨리지 않는 홀소수라고 하고 라고 하면, ''p''는 을 나눈다.
마지막 정리는 페르마의 소정리의 일반화이다. ''p''를 ''PQD''를 나누어 떨어뜨리지 않는 홀소수라고 하고, 라고 할 때, ''p''가 의 원시 약수이면 ''n''은 ''l''을 나눈다. 특히, 이 성립한다.
페르마의 소정리의 역이 성립하지 않는 것처럼, 위 정리의 역도 성립하지 않는다. ''D''와 서로 소인 합성수 ''n''이 ()을 나누어 떨어뜨리는 경우가 존재하며, 이러한 ''n''을 '''뤼카 유사 소수''' (''Lucas pseudoprime'')라고 한다. 비퇴화 수열에 대응하는 뤼카 유사 소수는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9]
''P''와 ''Q''가 상호 소이면,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
- 과 ''Q''는 서로 소이며, 과 ''Q''도 서로 소이다.
- 과 은 서로 소이거나, 최대공약수는 2이다.
- 라고 한다. 가 모두 홀수이면 이다.
''D''를 나누어 떨어뜨리지 않는 소수 ''p''가 의 원시 약수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p''가 ''n''을 나누어 떨어뜨리지 않는 것이다.[10]
''P'', ''Q''가 서로 소이고 이 비퇴화라고 하자. ''D'' > 0일 때, ''n'' ≠ 1, 2, 6이면 은 를 제외하고 원시 약수를 갖는다는 것은 이미 카마이클에 의해 증명되었다.[11] ''D'' < 0일 때는, ''n'' > 30이면 은 원시 약수를 갖는다.[12] ''n'' ≤ 30에서, 이 원시 약수를 갖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13] (''P''가 양수인 경우만 표시. ''P''가 음수인 경우는 (-1)''n'' 배)
n | |
---|---|
5 | , , , , , , |
7 | , |
8 | , |
10 | , , |
12 | , , , , , |
13 | |
18 | |
30 |
3. 6. 기타 관계 (영어 문서)
뤼카 수열의 항들은 피보나치 수 $F_n = U_n(1, -1)$과 뤼카 수 $L_n = V_n(1, -1)$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한 관계를 만족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8]:일반적인 경우 | (P, Q) = (1, -1) |
---|---|
$(P^2 - 4Q)U_n = V_{n+1} - QV_{n-1} = 2V_{n+1} - PV_n$ | $5F_n = L_{n+1} + L_{n-1} = 2L_{n+1} - L_n$ |
$V_n = U_{n+1} - QU_{n-1} = 2U_{n+1} - PU_n$ | $L_n = F_{n+1} + F_{n-1} = 2F_{n+1} - F_n$ |
$U_{2n} = U_nV_n$ | $F_{2n} = F_nL_n$ |
$V_{2n} = V_n^2 - 2Q^n$ | $L_{2n} = L_n^2 - 2(-1)^n$ |
$U_{m+n} = U_nU_{m+1} - QU_mU_{n-1} = \frac{U_mV_n + U_nV_m}{2}$ | $F_{m+n} = F_nF_{m+1} + F_mF_{n-1} = \frac{F_mL_n + F_nL_m}{2}$ |
$V_{m+n} = V_mV_n - Q^nV_{m-n} = DU_mU_n + Q^nV_{m-n}$ | $L_{m+n} = L_mL_n - (-1)^nL_{m-n} = 5F_mF_n + (-1)^nL_{m-n}$ |
$V_n^2 - DU_n^2 = 4Q^n$ | $L_n^2 - 5F_n^2 = 4(-1)^n$ |
$U_n^2 - U_{n-1}U_{n+1} = Q^{n-1}$ | $F_n^2 - F_{n-1}F_{n+1} = (-1)^{n-1}$ |
$V_n^2 - V_{n-1}V_{n+1} = DQ^{n-1}$ | $L_n^2 - L_{n-1}L_{n+1} = 5(-1)^{n-1}$ |
$DU_n = V_{n+1} - QV_{n-1}$ | $F_n = \frac{L_{n+1} + L_{n-1}}{5}$ |
$V_{m+n} = \frac{V_mV_n + DU_mU_n}{2}$ | $L_{m+n} = \frac{L_mL_n + 5F_mF_n}{2}$ |
$U_{m+n} = U_mV_n - Q^nU_{m-n}$ | $F_{n+m} = F_mL_n - (-1)^nF_{m-n}$ |
$2^{n-1}U_n = {n \choose 1}P^{n-1} + {n \choose 3}P^{n-3}D + \cdots$ | $2^{n-1}F_n = {n \choose 1} + 5{n \choose 3} + \cdots$ |
$2^{n-1}V_n = P^n + {n \choose 2}P^{n-2}D + {n \choose 4}P^{n-4}D^2 + \cdots$ | $2^{n-1}L_n = 1 + 5{n \choose 2} + 5^2{n \choose 4} + \cdots$ |
3. 7. 정수 나누기 성질 (일본어, 영어 문서)
은 나눗셈 수열이며, 특히 는 의 배수이다.[1] 따라서 가 소수가 되려면 ''n''이 소수여야 한다. 만약 이면, 은 강한 나눗셈 수열이다.뤼카 수열의 정수 나누기 성질은 다음과 같다.[1]
- 이고 이 홀수이면, 은 을 나눈다.
- ''N''을 2''Q''와 서로소인 정수로 할 때, ''N''이 을 나누는 가장 작은 양의 정수 ''r''이 존재하면, ''N''이 을 나누는 ''n''의 집합은 정확히 ''r''의 배수의 집합이다.
- ''P''와 ''Q''가 짝수이면, 은 을 제외하고 항상 짝수이다.
- ''P''가 짝수이고 ''Q''가 홀수이면, 의 패리티는 ''n''과 같고 은 항상 짝수이다.
- ''P''가 홀수이고 ''Q''가 짝수이면, 은 에 대해 항상 홀수이다.
- ''P''와 ''Q''가 홀수이면, 은 ''n''이 3의 배수일 때에만 짝수이다.
- ''p''가 홀수 소수이면, (르장드르 기호 참조).
- ''p''가 홀수 소수이고 ''P''와 ''Q''를 나누면, ''p''는 모든 에 대해 을 나눈다.
- ''p''가 홀수 소수이고 ''P''는 나누지만 ''Q''는 나누지 않으면, ''p''는 ''n''이 짝수일 경우에만 을 나눈다.
- ''p''가 홀수 소수이고 ''P''는 나누지 않지만 ''Q''는 나누면, ''p''는 에 대해 을 절대 나누지 않는다.
- ''p''가 홀수 소수이고 ''PQ''는 나누지 않지만 ''D''는 나누면, ''p''는 ''n''이 ''p''의 배수일 경우에만 을 나눈다.
- ''p''가 홀수 소수이고 ''PQD''를 나누지 않으면, ''p''는 인 을 나눈다.
마지막 사실은 페르마의 소정리를 일반화한 것이다. 을 나누는 합성수 ''n'' ()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를 루카스 유사소수라고 부른다.
어떤 항의 소인수가 이전 항들을 나누지 않으면 '''원시적'''이라고 한다. 카마이클의 정리에 따르면, 거의 모든 뤼카 수열의 항은 원시 소인수를 가진다.[2] 카마이클(1913)은 ''D''가 양수이고 ''n''이 1, 2, 6이 아니면 은 원시 소인수를 가진다는 것을 보였다. ''D''가 음수인 경우, ''n'' > 30이면 이 원시 소인수를 가지며, 이 원시 소인수를 갖지 않는 모든 경우가 결정되었다.[3]
''P''와 ''Q''가 상호 소이면,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
- 과 ''Q''는 서로 소이며, 과 ''Q''도 서로 소이다.
- 과 은 서로 소이거나, 최대공약수는 2이다.
- 이고 가 모두 홀수이면
뤼카 수열의 값은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 원시 약수를 갖는다. ''D''를 나누어 떨어뜨리지 않는 소수 ''p''가 ''F''''n''의 원시 약수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p''가 ''n''을 나누어 떨어뜨리지 않는 것이다.[10]
''P'', ''Q''가 서로 소이고 ''U''''n''이 비퇴화라고 할 때, ''D'' > 0 이면, ''n'' ≠ 1, 2, 6 인 경우 를 제외하고 ''U''''n''은 원시 약수를 갖는다.[11] ''D'' < 0 일 때는, ''n'' > 30 이면 ''U''''n''은 원시 약수를 갖는다.[12] ''n'' ≤ 30 에서 ''U''''n''이 원시 약수를 갖지 않는 경우는 모두 알려져 있다.[13] 이 원시 약수를 갖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P''가 양수인 경우).
n | |
---|---|
5 | U5(1, -1)=5, U5(1, 2)=-1, U5(2, 11)=5, U5(1, 3)=1, U5(1, 4)=7, U5(12, 55)=1, U5(12, -1364)=1 |
7 | U7(1, 2)=1, U7(1, 5)=1 |
8 | U8(2, 7)=-40, U8(1, 2)=-3 |
10 | U10(2, 3)=-22, U10(5, 7)=-3725, U10(5, 18)=10025 |
12 | U12(1, -1)=144, U12(1, 2)=-45, U12(1, 3)=160, U12(1, 4)=-231, U12(1, 5)=-3024, U12(2, 15)=-23452 |
13 | U13(1, 2)=-1 |
18 | U18(1, 2)=85 |
30 | U30(1, 2)=-24475 |
4. 예
- ''Un''(1, -1)는 피보나치 수이고, ''Vn''(1, -1)는 뤼카 수이다.
- ''Un''(3, 2)는 메르센 수(2 ''n''-1)이고, ''Vn''(3, 2)는 2 ''n''+1이며, 페르마 수를 포함한다.
- ''Un''(2, -1)는 펠 수이고, ''Vn''(2, -1)는 펠-뤼카 수이다.
4. 1. 값
n | ||
---|---|---|
0 | 0 | 2 |
1 | 1 | P |
2 | P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4. 2. 특수한 경우
뤼카 수열의 몇 가지 특수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1 | -1 | 피보나치 수 | 뤼카 수 |
2 | -1 | 펠 수 | 펠-뤼카 수 |
1 | -2 | 야콥스탈 수 | 야콥스탈-뤼카 수 |
3 | 2 | 메르센 수 | |
-1 | 피보나치 다항식 | 뤼카 다항식 | |
1 | 제2종 체비쇼프 다항식 | 제1종 체비쇼프 다항식의 2배 | |
를 밑으로 하는 렙유니트 수 |
- ''Un''(1, -1)는 피보나치 수, ''Vn''(1, -1)는 뤼카 수이다.
- ''Un''(2, -1)는 펠 수, ''Vn''(2, -1)는 펠-뤼카 수(펠 수의 짝)이다.
- ''Un''(1, -2)는 야콥스탈 수, ''Vn''(1, -2)는 야콥스탈-뤼카 수이다.
- ''Un''(3, 2)는 메르센 수 (2''n'' − 1), ''Vn''(3, 2)는 2''n'' + 1 형태의 수이며, 여기에는 페르마 수가 포함된다.
- ''Un''(6, 1)는 정사각형 삼각수의 제곱근이다.
- ''Un''(''x'', −1)는 피보나치 다항식, ''Vn''(''x'', −1)는 뤼카 다항식이다.
- ''Un''(2''x'', 1)는 제2종 체비쇼프 다항식, ''Vn''(2''x'', 1)는 제1종 체비쇼프 다항식에 2를 곱한 것이다.
- ''Un''(''x''+1, ''x'')는 ''x''진법의 레피닛 수, ''Vn''(''x''+1, ''x'')는 ''xn'' + 1이다.
5. 용어 (일본어 문서)
(''P'', ''Q'')에 따른 뤼카 수열 ''U''''n'', ''V''''n''에서, ''V''''n''을 동반 뤼카 수열이라고도 한다. α/β가 1의 멱근일 때 ''U''''n'', ''V''''n''을 '''퇴화'''라고 하고, 그렇지 않을 때 '''비퇴화'''라고 한다.
''D''를 나누지 않는 소수 ''p''가 ''U''''n''을 나누지만, ''m'' < ''n''인 ''U''''m''을 나누지 않을 때, ''p''를 ''U''''n''의 '''원시 약수'''라고 한다.
6. 응용 (영어 문서)
뤼카 수열은 확률적 뤼카 유사 소수 검사에 사용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베일리-PSW 소수성 검사의 일부이다.
뤼카 수열은 뤼카-레머-리젤 검사를 포함한 일부 소수판정법과, 브릴하트-레머-셀프리지 1975에서 사용된 N+1 및 하이브리드 N-1/N+1 방법 등에 사용된다.[4]
LUC는 뤼카 수열을 기반으로 하는 공개 키 암호 시스템으로,[5] ElGamal (LUCELG), 디피-헬만 키 교환 (LUCDIF), RSA (LUCRSA)의 유사체를 구현한다. LUC에서 메시지의 암호화는 RSA 또는 디피-헬만에서처럼 모듈러 지수 연산을 사용하는 대신, 특정 뤼카 수열의 항으로 계산된다. 그러나 블라이헨바허 등의 논문에서[6] LUC가 모듈러 지수 연산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 시스템에 비해 갖는다고 여겨지던 많은 보안상의 장점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주장만큼 크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7. 소프트웨어 (영어 문서)
Sagemath는 뤼카 수열 과 을 각각 `lucas_number1()`과 `lucas_number2()`로 구현한다.[7]
8. 역사
참조
[1]
참고문헌
For such relations and divisibility properties
[2]
학술지
A simple proof of Carmichael's theorem on primitive divisors
http://www.fq.math.c[...]
2001
[3]
학술지
Existence of primitive divisors of Lucas and Lehmer numbers
https://hal.inria.fr[...]
[4]
학술지
New Primality Criteria and Factorizations of 2m ± 1
1975-04
[5]
학술지
LUC: A new public key system
[6]
서적
Advances in Cryptology — CRYPT0' 95
[7]
웹사이트
Combinatorial Functions - Combinatorics
https://doc.sagemath[...]
2023-07-13
[8]
학술지
On the numerical factors of the arithmetic forms α''n''±β''n''
[9]
기타
Peter Kiss, On Lucas pseudoprimes which are products of ''s'' primes, ''Fibonacci Numbers and Their Applications'', 1986, 131--139.
[10]
기타
Carmichael, 上記論文, 定理20
[11]
기타
Carmichael, 上記論文, 定理21
[12]
학술지
Existence of primitive divisors of Lucas and Lehmer numbers
http://www.loria.fr/[...]
[13]
학술지
Primitive divisors of Lucas and Lehmer sequences
http://www.loria.fr/[...]
[14]
매스월드
Lucas sequ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