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마 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마 수는 1637년 피에르 드 페르마가 2n+1 형태로 표현되는 정수가 소수일 것이라고 추측하면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F0부터 F4까지는 소수였으나,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F5를 소인수분해하여 페르마의 추측이 틀렸음을 증명했다. 페르마 수는 Fn = (Fn-1-1)2+1, Fn = F0 … Fn-1 + 2 등의 성질을 가지며, 서로 다른 페르마 수는 서로소이다. 2n + 1 꼴의 소수인 페르마 소수는 F0=3, F1=5, F2=17, F3=257, F4=65537 뿐이며, 현재까지 n>4인 페르마 소수는 발견되지 않았다. 페르마 수는 정다각형 작도 가능성과 관련이 있으며, 일반화된 페르마 수는 $a^{2^n} + b^{2^n}$ 형태로 표현된다. 페르마 소수는 의사 난수열 생성에 응용되며, n>4인 페르마 소수의 존재 여부, 페르마 소수 및 합성수의 무한 존재 여부 등은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작도가능한 다각형 - 정삼각형
정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이 60°인 삼각형으로, 이등변삼각형의 특수한 형태이며 내심, 외심, 무게중심이 일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작도가능한 다각형 - 오각형
다섯 변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인 오각형은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정오각형을 포함하며, 정오각형은 컴퍼스와 자로 작도할 수 있고 자연에서도 발견된다. - 수론의 미해결 문제 -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는 조화급수와 자연로그 함수의 차이의 극한으로 정의되는 수학 상수로, 감마 함수, 리만 제타 함수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관련되어 있으며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밝혀지지 않은 미해결 문제이다. - 수론의 미해결 문제 - 리만 가설
리만 가설은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모든 영점의 실수부가 1/2이라는 추측으로, 힐베르트 문제와 클레이 수학 연구소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이며 정수론과 복소해석학을 연결하는 다양한 수학적 명제들과 동치이다. - 소수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소수 -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는 디리클레 지표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등차수열에 대한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자 오일러 곱, 함수 방정식 등의 성질을 가지며, 모듈러 형식, 타원 곡선과 관련되어 수론적 L-함수 연구의 핵심이고 암호론, 컴퓨터 과학 등에 응용된다.
페르마 수 | |
---|---|
페르마 수 | |
이름 유래 | 피에르 드 페르마 |
수식 형태 | 2^(2^n) + 1 |
변수 | n은 음수가 아닌 정수 |
페르마 소수 | |
OEIS | A019434 |
페르마 수 | A000215 |
알려진 페르마 소수의 개수 | 5 |
알려진 페르마 소수 | 3, 5, 17, 257, 65537 |
가장 큰 알려진 페르마 소수 | 65537 |
미해결 문제 | |
질문 1 | n > 4일 때, 모든 페르마 수는 합성수인가? |
질문 2 | 소수(합성수)인 페르마 수는 무수히 많거나 유한한가? |
2. 역사
피에르 드 페르마는 1637년에 22n + 1 형태의 모든 정수가 소수일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1732년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F5 = 4,294,967,297 = 641 × 6,700,417 로 소인수분해하여 이 추측이 틀렸음을 보였다.[30] 오일러는 페르마 수의 인수가 k2n+1 + 1 형태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증명했으며(이후 루카스에 의해 k2n+2 + 1 형태로 개선됨), 이는 페르마가 계산 실수로 인해 인수를 찾지 못한 이유를 설명해준다.[2]
F0부터 F4까지는 소수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으나, F5 이후의 수는 17세기 당시 기술로는 계산하기 어려웠고, 작은 소인수를 가지지 않아 페르마가 오류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현재 n > 4 인 경우에 대해 알려진 페르마 소수는 없으며,[3] 페르마 수에 대한 여러 가지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남아있다.[9]
2. 1. 페르마의 추측과 오일러의 반증
피에르 드 페르마는 1637년에 2n + 1 형태 (n은 음이 아닌 정수)로 표현 가능한 모든 정수가 소수일 것이라고 추측했다.[30] 그러나 1732년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F''5 = 4,294,967,297 = 641 × 6,700,417 로 소인수분해하여 페르마의 추측이 틀렸음을 증명했다.[30]오일러는 ''F''''n''의 모든 인수가 ''k''2''n''+1 + 1 형태를 가져야 함을 증명했고 (이후 루카스에 의해 ''k''2''n''+2 + 1로 개선됨), 641이 ''F''5의 인수라는 것은 641 = 27 × 5 + 1 및 641 = 24 + 54 에서 유추할 수 있다.
페르마는 오일러가 증명한 인수 형식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간단한 계산을 수행하여 인수를 찾지 못한 것은 계산 실수[2] 때문으로 추정된다.
''F''0, ..., ''F''4는 쉽게 소수임을 확인할 수 있지만, ''F''5 이후는 (17세기 당시의 계산 기술로는) 상당히 큰 수이며 작은 소인수를 포함하지 않아 페르마가 추측의 오류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3. 성질
- 페르마 소수는 홀수 소수 ''p''에 대해 두 개의 ''p'' 거듭제곱의 차로 표현될 수 없다.
- ''F''0와 ''F''1을 제외하고, 페르마 수의 마지막 십진수는 7이다.
- 모든 페르마 수의 역수의 합은 무리수이다. (1963년 솔로몬 W. 골롬)[5]
페팽의 검사법은 ''n'' > 0에 대해 을 ''n''번째 페르마 수라고 할 때, 이 소수일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식은 반복 제곱을 사용하여 을 모듈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검사법은 빠른 다항 시간 알고리즘이 된다. 하지만 페르마 수는 매우 빠르게 증가하므로, 합리적인 시간과 공간 내에서 소수의 페르마 수만 검사할 수 있다.
페르마 수의 약수와 같은 형태의 숫자 의 소수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프로스 정리가 있다. 홀수 에 대해 이라고 할 때, 만약 를 만족하는 정수 ''a''가 존재한다면 은 소수이다. 이면, 야코비 기호는 에 대해 항상 −1과 같으며, 프로스 정리의 이 특수한 경우는 페팽의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다.
페팽의 검사는 페르마 수의 소수성에 대한 필요충분조건을 제공하며, 현대 컴퓨터로 구현할 수 있다.
3. 1. 기본 성질
페르마 수는 다음 점화 관계를 만족한다.:
:
:(''n'' ≥ 1)
:
:
:(''n'' ≥ 2)
위 식들은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두 번째 식으로부터 골드바흐의 정리를 추론할 수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두 페르마 수는 서로소라는 것이다.
''F''0와 ''F''1을 제외한 모든 페르마 수의 일의 자리 숫자는 7이다.
모든 페르마 수의 역수의 합은 무리수이다. (솔로몬 W. 골롬, 1963)[5]
페르마 수는 모두 홀수이므로, 위에서 제시된 네 번째 점화식으로부터 서로 다른 두 페르마 수는 서로소임을 알 수 있다.
페르마 수는 다음의 합동식을 만족한다.
- ''n'' ≥ 2 이면,
- ''n'' ≥ 2 이면,
( ≥ 2) 형태의 소수는 페르마 수이다. 일반적으로, ( ≥ 2) 가 소수이면, 는 짝수이고 은 2의 거듭제곱이다.
3. 2. 소수성
2''n'' + 1 꼴의 수가 소수라면 ''n''은 반드시 2의 거듭제곱이어야 한다. 따라서 2''n'' + 1 꼴의 소수는 모두 페르마 수가 된다. 이러한 소수를 '''페르마 소수'''라고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페르마 소수는 ''F''0, ''F''1, ''F''2, ''F''3, ''F''4 뿐이다. 어떤 수가 페르마 소수인지 확인할 때에는 페팽 소수판별법이 많이 쓰인다.[2]''n'' > 4인 페르마 소수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소수 정리에 따르면, ''N'' 주변의 적절한 구간 내의 임의의 정수가 소수일 확률은 1/ln ''N''이다. 페르마 수가 크기가 같은 임의의 정수와 같은 확률로 소수이고, ''F''5, ..., ''F''32가 합성수라는 점을 이용하면, ''F''4 이후의 페르마 소수의 예상 개수는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
이는 ''F''4 이후의 페르마 소수가 존재할 확률의 상한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주장은 엄밀한 증명은 아니다. 페르마 수가 "무작위"로 행동한다고 가정하지만, 페르마 수의 인수에는 특별한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Boklan과 콘웨이는 또 다른 페르마 소수가 있을 확률이 10억 분의 1 미만임을 시사하는 보다 정밀한 분석을 발표했다.[5]
을 ''n''번째 페르마 수라고 할 때, 페팽의 검사법은 다음과 같다.
:이 소수일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식은 반복 제곱을 사용하여 을 모듈로 계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페팽의 검사법은 빠른 다항 시간 알고리즘이 된다. 하지만 페르마 수는 매우 빠르게 증가하므로, 합리적인 시간과 공간 내에서는 소수의 페르마 수만 검사할 수 있다.
페르마 수의 약수와 같은 형태의 숫자 의 소수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프로스 정리가 있다.
:'''프로스 정리''' (1878). 홀수 에 대해 이라고 하자. 만약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정수 ''a''가 존재한다면
::
:그렇다면 은 소수이다. 반대로, 위의 합동식이 성립하지 않고,
:: (야코비 기호 참조)
:이라면 은 합성수이다.
만약 이면, 위의 야코비 기호는 에 대해 항상 −1과 같으며, 프로스 정리의 이 특수한 경우는 페팽의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다. 페팽의 검사법과 프로스 정리는 일부 페르마 수의 합성수를 증명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구현되었지만, 두 검사법 모두 특정한 비자명 약수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과 에 대한 특정한 소인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페르마 수의 크기 때문에 소인수분해하거나 소수임을 확인하는 것조차 어렵다. 페팽의 검사는 페르마 수의 소수성에 대한 필요충분조건을 제공하며, 현대 컴퓨터로 구현할 수 있다.
3. 3. 소인수 분해
페르마 수의 크기 때문에 소인수분해를 하거나 소수인지 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에두아르 뤼카는 1878년에 n ≥ 2 일 때 페르마 수 의 모든 인수가 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증명했다(프로스 수 참고).처음 12개의 페르마 수의 소인수 분해는 다음과 같다.
현재 ''F''0에서 ''F''11까지만 완전히 인수분해되었다.[9]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인 Fermat Search는 페르마 수의 새로운 인수를 찾고 있다.[8]
1950년 이전까지 알려진 페르마 수의 인수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발견자 | 페르마 수 | 인수 |
---|---|---|---|
1732 | 오일러 | ||
1732 | 오일러 | (완전 소인수 분해) | |
1855 | 클라우젠 | ||
1855 | 클라우젠 | (완전 소인수 분해) | |
1877 | 페르부신 | ||
1878 | 페르부신 | ||
1886 | 젤호프 | ||
1899 | 커닝엄 | ||
1899 | 커닝엄 | ||
1903 | 웨스턴 | ||
1903 | 웨스턴 | ||
1903 | 웨스턴 | ||
1903 | 웨스턴 | ||
1903 | 컬린 | ||
1906 | 모어헤드 | ||
1925 | 크라이칙 | ||
알려진 가장 큰 합성 페르마 수는 ''F''18233954이며, 그 소인수 7 × 218233956 + 1은 2020년 10월에 발견되었다.
3. 3. 1. 소수성 상태
n영어 > 4인 페르마 소수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그밖에도 다음과 같은 의문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n영어 > 4인 ''Fn''이 모두 합성수인가?
- 페르마 소수가 무한히 많은가?
- 합성수인 페르마 수가 무한히 많은가?
5 ≤ ''n'' ≤ 32 사이의 모든 ''F''n은 합성수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 중 5 ≤ ''n'' ≤ 11 사이의 수만이 완전한 소인수분해가 구해져 있다.
페르마 수 Fn 에 대하여 현재의 소수성 상태는 아래 표와 같다.[29]
Fn의 특성 | n |
---|---|
소수 | 0, 1, 2, 3, 4 |
완전히 소인수분해 됨 | 5, 6, 7, 8 (각각 2개의 소인수), 9 (소인수 3개), 10 (소인수 4개), 11 (소인수 5개) |
6개의 소인수가 알려짐 | 12 |
4개의 소인수가 알려짐 | 13 |
3개의 소인수가 알려짐 | 15, 19, 25, 52, 287 |
2개의 소인수가 알려짐 | 16, 17, 18, 27, 30, 36, 38, 39, 42, 77, 147, 150, 251, 284, 416, 417 |
오직 1개의 소인수가 알려짐 | 14, 21, 22, 23, 26, 28, 29, 31, 32, 37, 40, 43, ...(280개)... 18233954 |
합성수임은 확인되었으나 소인수를 모름 | 20, 24 |
소수인지 합성수인지 모름 | 33, 34, 35, 41, 44, 45, 46, 47, 49, 50, ... |
4. 작도 가능한 정다각형과의 관계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정다각형의 작도 가능성에 대한 충분 조건을 공식화했고, 피에르 방첼이 1837년에 필요 조건에 대한 완전한 증명을 제시했다. 그 결과는 '''가우스-방첼 정리'''로 알려져 있다.
: ''n''개의 변을 가진 정다각형은 ''n''이 2의 거듭제곱이거나 2의 거듭제곱과 서로 다른 페르마 소수의 곱일 때, 즉 자(定規)와 컴퍼스로 작도할 수 있다. 여기서 ''k'', ''s''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p''''i''는 서로 다른 페르마 소수이다.
양의 정수 ''n''이 위의 형태를 갖는 것은 오일러 피 함수 ''φ''(''n'')이 2의 거듭제곱일 때와 동치이다.
5. 일반화된 페르마 수
숫자
숫자
숫자
숫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