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다우트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다우트 산은 알래스카 알류샨 산맥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요새화된 장소"를 의미하는 러시아어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화산은 안산암, 현무암, 데이사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881년, 1902년, 1922년, 1966년, 1989-1990년, 2009년에 분화했다. 특히 1989년 분화는 KLM 네덜란드 항공 867편 엔진 정지 사고를, 2009년 분화는 앵커리지 공항 결항을 야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래스카주의 화산 - 키스카섬
    키스카섬은 알류샨 열도에 위치하며 1741년 베링에 의해 발견, 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점령과 미군 탈환 작전이 있었고 현재는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자연과 전쟁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 알래스카주의 화산 - 오거스틴산
    오거스틴 산은 알래스카주에 있는 활화산으로, 여러 차례 폭발적인 분화 활동을 했으며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분화를 겪었고, 화산 활동 감지를 위해 다양한 관측 시스템이 운영되고 2005-2006년 분화 당시 화산재 기둥이 12km까지 치솟기도 했다.
  • 미국의 성층 화산 - 키스카섬
    키스카섬은 알류샨 열도에 위치하며 1741년 베링에 의해 발견, 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점령과 미군 탈환 작전이 있었고 현재는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자연과 전쟁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 미국의 성층 화산 - 베이커산
    베이커산은 캐스케이드 산맥의 화산으로, 원주민과 유럽인들이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렀으며, 태평양판 섭입으로 형성되었고, 11개의 빙하와 푸마롤 활동이 활발한 것이 특징이다.
  • 3000미터 봉우리 - 쿡산
    아오라키/쿡산은 뉴질랜드 남섬 서던알프스 산맥의 최고봉으로, 마오리어 이름과 탐험가의 이름을 함께 사용하며, 등반이 어렵고 침식 작용이 활발한, 국립공원 내의 아름다운 산이다.
  • 3000미터 봉우리 - 후지산
    후지산은 혼슈 중앙부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3,776.24m의 활화산이자 일본의 상징적인 산으로, 신성시되는 신앙의 중심지이자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어 일본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국제적인 관광지이지만 과잉 관광 및 화산 활동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리다우트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2009년 5월 8일 활발한 정상 용암 돔에서 김이 나는 모습
2009년 5월 8일 활발한 정상 용암 돔에서 김이 나는 모습
원어 이름Bentuggezh K’enulgheli
위치레이크클라크 국립공원 및 보존지, 케나이 반도 자치구, 알래스카주, 미국
산맥치그미트 산맥, 알류샨 산맥
종류성층 화산
나이890,000년
화산호알류샨 호
첫 등정1959년 C Deehr, J Gardey, F Kennell, G Wescott
가장 쉬운 경로눈/얼음 등반
지리
고도3,108 m
봉우리 높이2,789 m
좌표60°29′07″N 152°44′35″W
화산 활동
화산 아크알류샨 호
마지막 분화2009년 3월 ~ 7월
지정
국립 자연 랜드마크 (NNL) 지정1976년

2. 명칭

산의 공식 명칭은 레다우트 화산(Redoubt Volcano)이다. 이는 요새를 뜻하는 러시아어 이름 "Sopka Redutskaya"를 번역한 것으로, "요새화된 장소"를 의미한다.[8] 현지 이름인 "Ujakushatsch" 역시 "요새화된 장소"라는 뜻을 가지지만, 두 이름 중 어느 것이 먼저 유래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지명 위원회는 1891년에 "레다우트 화산"이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결정했다.[8]

스미소니언 협회의 세계 화산 활동 프로그램은 이 산을 단순히 "레다우트"라고 부르며, 버른트 산(Burnt Mountain), 고렐로이(Gorelloi), 미란도(Mirando), 우자쿠샤츠(Ujakushatsch), 비에소카이아(Viesokaia), 이자쿠샤츠(Yjakushatsch) 등의 다른 이름도 함께 기록하고 있다.[2] 알래스카 화산 관측소 역시 "레다우트"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고리알라야(Goryalaya), 레두트 산(Redoute Mtn.), 레두츠카야 소프카(Redutskaya, Sopka)와 같은 추가적인 이름들을 언급한다.[9]

3. 지질

An oblong piece of gray rock is displayed atop a black pillar, secured to it by an encircling length of plastic cord.
2011년 3월 앵커리지 박물관에서 2009년 화산에서 분출된 안산암 덩어리가 전시되어 있다.


화산은 기저부의 지름이 약 약 5.95km이며, 대략 약 30.01km3 ~ 약 35.01km3의 부피를 가지고 있다. 상부 원뿔의 측면은 비교적 가파른 편이다. 화산쇄설류 퇴적물과 용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알류샨 산맥 관입암중생대 암석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여러 빙하의 움직임에 의해 어느 정도 풍화되었다. 현재 주 화산구는 드리프트 빙하의 머리 부분 옆, 분화구 북쪽에 있다. 또한, 산에는 홀로세 라하르 퇴적물이 있으며, 이 퇴적물은 쿡 만까지 뻗어 있다.[10] 이 산은 안산암, 현무암데이사이트를 생성했으며, 최근의 분출에서는 비교적 규장질 안산암이 우세하게 나타났다.[11]

4. 분화 역사

1980년 북면


리다우트산은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분화 기록을 가지고 있다. 주요 분화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881년: 분화. 화구에서 높이 3000m 이상 분출했다는 기록이 있다.
  • 1902년: 분화.
  • 1922년: 분화.
  • 1966년: 분화.
  • 1989년 - 1990년: 분화. 이 기간 동안 용암 돔이 여러 차례 형성되었다가 붕괴했으며, 대량의 화산재가 상공으로 분출되었다. 1989년 12월 15일에는 분화로 인한 화산재를 흡입하여 KLM 네덜란드 항공 867편의 엔진이 일시 정지되는 KLM 네덜란드 항공 867편 엔진 정지 사고( KLM Flight 867영어 )가 발생하기도 했다.
  • 2009년: 3월 22일 밤부터 여러 차례 분화가 시작되었다[29]. 3월 26일의 분화에서는 화산재를 포함한 분연이 상공 20000m까지 도달했으며[30], 앵커리지 국제공항의 항공편 운항에 차질이 빚어졌다[30].

4. 1. 초기 기록

제임스 쿡 선장은 1778년 여름 리다우트 산을 목격하고 "불이 없는 하얀 연기를 내뿜고 있었다"고 기록했다. 그는 이 연기가 일반적인 구름과 달리 48시간 이상 같은 자리에 고정되어 있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여러 자료에서는 이를 "신뢰할 수 없는 분화"로 간주한다.[12] 이처럼 분화로 공식 기록되지 않은 활동 관찰은 이후에도 있었다.

1819년에는 산에서 연기가 관찰되었으나, 정보가 불충분하여 분화로 기록되지는 않았다.[13] 1933년에도 산에서 증기 기화 현상이 관찰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5] 비교적 최근인 2003년에는 앵커리지의 코노코필립스(ConocoPhillips) 건물 직원이 눈이 흩날리는 구름을 화산재 기둥으로 오인하는 일도 있었다.[14]

4. 2. 주요 분화

1881년, 동쪽 해발 약 3371.09m 높이의 리다우트산은 끊임없이 연기를 내뿜었으며, 격렬한 활동을 보이기도 했다. 바다 멀리 떨어진 산 정상에서 불길이 뿜어져 나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해에 대규모 분화가 있었는데, 산 중턱에서 사냥을 하던 원주민 일행이 용암류에 휩쓸려 2명만 살아남았다고 전해진다. 일부 기록에는 화구에서 높이 3000m 이상 분출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분화는 다른 자료에서는 충분히 기록되지 않았다.[17]

1902년, 화산은 1월 18일부터 6월 21일까지 다소 갑작스럽게 분화하여 화산재를 뿜어냈다. 당시 현지 신문은 "쿡 만의 화산 중 하나인 리다우트산이 1월 18일 분화했다는 소식이 방금 전해졌으며, 주변 약 241.40km 지역이 화산재와 용암으로 뒤덮였다"고 보도했다. 이 소식은 선라이즈에서 전해졌으나, 선박 접근의 어려움으로 피해 상황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른 보도에서는 분화를 "산을 갈라 놓을 정도의 엄청난 지진으로 큰 틈이 생겼다"고 묘사하기도 했으나, 실제 화산 분화구에 큰 균열이 생겼을 가능성은 낮다. 분화구에서 "화염"이 뿜어져 나왔으며 인근 지역 원주민들이 공포에 떨었다고 전해진다. 신문들은 화산재가 약 241.40km 이상 이동하여 쿡 만 반대편까지 도달했다고 보도했다.[18]

1922년과 1966년에도 분화 기록이 있다.

1989년 12월 14일, 화산이 다시 분화하여 6개월 이상 활동을 지속했다.[22] 이 분화에서는 용암 돔이 여러 차례 크게 형성되었다가 스스로 붕괴했으며, 대량의 화산재가 상공으로 분출되었다. 정상에서 발생한 화쇄류와 돔 붕괴로 눈과 얼음이 급격히 녹아내리면서 산 북쪽 사면을 따라 라하르(진흙 흐름)가 발생했다. 대부분의 라하르는 화산에서 약 약 35.41km 떨어진 쿡 만까지 흘러 들어갔다. 라하르가 인근 강으로 유입되면서 강 주변의 유류 저장 시설 파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19] 과학자들은 반복되는 라하르 발생을 기회로 삼아, 암석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음향 흐름 감시 장치를 개발하고 시험했다. 이 장치는 잠재적인 라하르 발생 시 인근 관측소에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19] 또한, 1989년 12월 15일에는 KLM 네덜란드 항공 소속 보잉 747-400 여객기(KLM 867편)가 전날 분화로 발생한 화산재 구름 속을 비행하다 4개의 엔진이 모두 일시 정지되는 KLM 네덜란드 항공 867편 엔진 정지 사고가 발생했다.[20] 이 분화로 인한 피해액은 1.6억달러으로 추정되며,[21] 이는 미국 역사상 두 번째로 피해가 큰 화산 분화였다.[22]

2009년 3월 22일 밤, 네 차례에 걸쳐 분화가 발생했다.[29] 3월 26일의 분화에서는 화산재를 포함한 분연이 상공 20000m까지 도달했다.[30] 사상자는 없었지만, 앵커리지에 있는 공항에서는 항공편 결항이 잇따랐다.[30]

5. 2009년 분화와 대한민국의 입장

2009년 1월 24일, 규모 5.8의 지진이 깊이 98km 지점에서 이 지역을 강타했다. 분화와의 관련성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2001년 이후 이 지역에서 발생한 가장 강력한 지진이었다.

2009년 1월 30일, 알래스카 화산 관측소(AVO)의 과학자들은 분화가 임박했다고 경고했으며, 알래스카 주민들은 알래스카 중남부에 쏟아질 수 있는 화산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대비 물품을 구매했다.

1월 31일까지, 화산 지진이 시간당 여러 건으로 증가했고,[23] 산 측면의 빙하에 큰 분기공이 발견되었다.[24] 과학자들은 인근 지역 사회에 경고하기 위해 산에서 나오는 지진 데이터를 하루 24시간 모니터링하기 시작했다.[25] AVO가 실시한 비행 검사에서 1989-90년 분화구의 환기구 근처 정상 분화구 입구의 새로운 용융 함몰 부위에서 상당한 수증기 발생이 감지되었다.[26]

리다우트산의 지진 활동은 알래스카 시간대(ATZ) 기준으로 대략 13시 01분부터 증가했다. 알래스카 화산 관측소(AVO)의 관측 비행 결과, 수증기화산재 기둥이 해발 약 4572.00m까지 솟아올랐으며 리다우트산 남쪽 상단에 소량의 화산재가 낙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후 보고에 따르면 기둥은 주로 수증기였다.

이러한 활동 변화를 근거로 AVO는 경계 수준과 경보 단계를 ORANGE/WATCH로 상향 조정했다.

화산에서 분출된 물질은 주로 수증기로 구성되었으며, 소량의 이산화 탄소이산화 황을 포함했다. 공중 감시 장치에 의한 추가 연구 결과, 물질이 많이 산화되지 않았으며, 농축물에 황산염이 20% 미만으로 소량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27]

리다우트 산은 2009년 3월 22일 늦은 저녁에 폭발적으로 분화했다.[3] 알래스카 화산 관측소(AVO)는 이 기간 동안 리다우트 화산에서 수많은 화산 폭발을 기록했다.

6. 갤러리

1990년 4월 23일

참조

[1] 웹사이트 Redoubt Volcano 2009-01-07
[2] 웹사이트 Redoubt 2009-01-07
[3] 웹사이트 Redoubt - Activity http://www.avo.alask[...] Alaska Volcano Observatory 2009-10-02
[4] 웹사이트 Aleutian Ranges 2012-11-21
[5] 웹사이트 National Natural Landmarks - National Natural Landmarks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19-03-20
[6] 웹사이트 Redoubt - Historic eruptions http://www.avo.alask[...] Alaska Volcano Observatory 2008-12-01
[7] 논문 Long-period volcano seismicity: its sources and use in eruption forecasting https://zenodo.org/r[...] 1996-03-28
[8] 웹사이트 Feature Detail Report for: Redoubt Volcano http://geonames.usgs[...] USGS 2009-03-27
[9] 웹사이트 Redoubt—Introduction http://www.avo.alask[...] USGS 2009-03-27
[10] 간행물 Catalog of the Historically Active Volcanoes of Alaska https://pubs.er.usgs[...] USGS 2020-08-23
[11] 웹사이트 Redoubt Volcano, Alaska: Map, Facts and Eruption Pictures http://geology.com/v[...]
[12] 웹사이트 Event Specific Information: Redoubt — 1778 http://www.avo.alask[...] Alaska Volcano Observatory 2008-12-01
[13] 웹사이트 Event Specific Information: Redoubt — 1819 http://www.avo.alask[...] USGS 2008-12-01
[14] 웹사이트 Event Specific Information: Redoubt — 2003 http://www.avo.alask[...] Alaska Volcano Observatory 2008-12-01
[15] 웹사이트 Event Specific Information: Redoubt — 1933 http://www.avo.alask[...] Alaska Volcano Observatory 2008-12-05
[16]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Global Volcanism Network; volume 15 number 4 (April 1990) http://volcano.si.ed[...] Smithsonian Institution 2018-01-14
[17] 웹사이트 Event Specific Information: Redoubt — 1881 http://www.avo.alask[...] Alaska Volcano Observatory 2008-12-01
[18] 웹사이트 Event Specific Information: Redoubt — 1902 http://www.avo.alask[...] Alaska Volcano Observatory 2008-12-01
[19] 웹사이트 1989–90 Eruption of Redoubt Volcano, Alaska, and the First Test Case of a USGS Lahar-Detection System http://volcanoes.usg[...] USGS 2008-11-30
[20] 뉴스 Redoubt Ash Cloud Forces Dutch 747 to Land http://nl.newsbank.c[...] Deseret News 2008-11-30
[21] 웹사이트 Alaska Natural Productions:Mount Redoubt Information Page http://www.semicro.c[...] Alaska Natural Productions 2008-11-30
[22] 뉴스 Redoubt rumblings: Seismic data gathered at Alaska volcano help scientists hone prediction techniques http://nl.newsbank.c[...] Dallas Morning News 2009-01-07
[23] 뉴스 Volcano Could Blow Any Minute http://news.sky.com/[...] SKY News 2009-01-30
[24] 뉴스 Scientist see boles in glacier at Alaska volcano https://www.google.c[...] Associated Press 2009-02-01
[25] 뉴스 Alaska volcano has geologists on alert https://www.ctvnews.[...] 2020-08-23
[26] 웹사이트 Alaska Volcano Observatory Current Status Report Saturday, January 31, 2009 11:54 AM AKST http://www.avo.alask[...] Alaska Volcano Observatory 2009-02-01
[27] 논문 Airborne measurements of particle and gas emissions from the 1990 volcanic eruptions of Mount Redoubt https://zenodo.org/r[...] 1991-10-01
[28] 뉴스 リダウト山とは https://kotobank.jp/[...] 2016-01-04
[29] 뉴스 米アラスカのリダウト山が噴火 https://www.afpbb.co[...] 2016-01-04
[30] 뉴스 米アラスカ州のリダウト山、再び噴火 https://www.afpbb.co[...] 2016-01-04
[31] 웹인용 알래스카 리다우트 화산 폭발 - 미주 한국일보 http://sf.koreatimes[...] 2020-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