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규장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규장질은 75% 이상의 규장질을 함유한 암석을 지칭하며, 석영, 백운모, 정장석 등이 이에 속한다. 특히 규장질이 90% 이상 함유된 암석은 백색암이라고 불리며, 규장석이 대표적이다. 규장질 암석은 화학 조성에 따라 TAS 분류법으로 분류되며, 결정의 형태에 따라 화강암 명명법을 따른다. 주요 규장질 암석으로는 유문암과 화강암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물학 - 결정
    결정은 원자들이 주기적으로 배열된 고체 물질로, 단위세포의 반복적인 배열, 219가지 결정 대칭성, 7가지 결정계로 특징지어지며, 다양한 화학 결합과 이방성으로 특별한 특성을 나타내 결정학 연구의 대상이 된다.
  • 광물학 - 광석
    광석은 유용한 광물을 포함하는 암석으로, 유용한 광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 맥석은 광미가 되며, 금, 은, 구리, 철 등 주요 광석 광물이 있으며, 광상으로 분류되고 채굴 과정을 거쳐 국제적으로 거래된다.
규장질
개요
종류화성암
조직완정질, 유리질, 반정질
밝은 색
주요 구성 광물석영, 사장석, 정장석
화학적 조성이산화 규소 함량이 높음
생성 환경대륙 지각, 화산 활동 지역
대표적인 암석화강암, 유문암
특징
색상밝은 색 (회색, 흰색, 분홍색 등)
광물 조성석영장석 (사장석, 정장석)이 풍부함. 소량의 흑운모, 각섬석 등을 포함할 수 있음.
화학 조성이산화 규소 (SiO2) 함량이 63% 이상으로 높음
조직현정질 (phaneritic): 화강암과 같이 서서히 식어 형성된 심성암에서 나타남.
반정질 (porphyritic): 반화강암
은미정질 (aphanitic): 유문암과 같이 빠르게 식어 형성된 화산암에서 나타남.
유리질 (glassy): 흑요암과 같이 매우 빠르게 식어 형성된 화산암에서 나타남.
밀도상대적으로 낮음
강도높음
생성 과정
생성 환경대륙 지각: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서서히 식어 형성됨 (심성암).
화산 활동 지역: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분출되어 빠르게 식어 형성됨 (화산암).
마그마규장질 마그마 (이산화 규소 함량이 높은 마그마)
냉각 속도냉각 속도에 따라 다양한 조직을 나타냄
종류
심성암화강암, 섬장암, 석영섬록암
화산암유문암, 데사이트, 석영안산암
기타페그마타이트, 애플라이트
용도
건축 자재화강암은 건축 석재, 조경용 석재 등으로 사용됨.
도로 포장쇄석으로 사용됨.
장식재아름다운 색과 무늬를 가진 암석은 장식재로 사용됨.
관련 용어
반대고철질암

2. 용어

'규장질'은 지질학에서 특정 광물 조성을 가진 암석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는 주로 장석석영과 같이 밝은 색의 광물이 풍부한 암석을 가리킨다.

때때로 규산(이산화 규소) 함량이 높은 암석을 의미하는 '산성암(Acid rock)'이라는 용어와 관련되기도 하지만, 현대 지질학에서는 '산성암'을 특정 화산암을 지칭하는 데 더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규장질'이라는 용어 자체는 주요 구성 광물인 장석규산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들어진 합성어이다.[2]

2. 1. Acid rock (산성암)

현대적인 용법에서 '애시드 록'(Acid rock)이라는 용어는 때로는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규산(SiO2) 함량이 높은(무게 기준 63% 이상) 화산암, 예를 들어 유문암과 같은 암석을 특정하여 지칭한다.

과거에는 '염기성 암석'(MgO, FeO, 고철질)이라는 용어와 대비하여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법은 현재 구식으로 간주된다. 이 용법은 19세기의 오래된 개념에 기반하는데, 당시에는 규산(H4SiO4 또는 Si(OH)4)이 규질 암석에서 규소의 주요 형태라고 생각했다. 물과 암석의 상호작용 및 실리카 용해를 고려하는 수생 화학의 산-염기 관점에서는 이러한 생각이 일견 타당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규질 암석은 이러한 형태의 규산 분자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규소 원자 하나와 산소 원자 네 개가 결합한 사면체(SiO44–)들이 서로 연결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이러한 규질 암석이 물에 노출되어 가수분해되면 수용액 속에서 규산을 형성할 수는 있다.

2. 2. 어원

'규장질'이라는 용어는 장석( feldspar|펠드스파영어 )의 '''장'''과 규산( silica|실리카영어 )의 '''규'''를 합쳐 만들어진 합성어이다.[2] 영어 용어 felsic이 독일어 felsig( felsig|펠지히ger , '바위'를 뜻하는 Fels|펠스ger 에서 유래하여 '바위가 많은'이라는 의미)와 철자가 비슷한 것은 우연이다. 한편, 장석( feldspar|펠드스파영어 )이라는 단어는 독일어 Feldspat( Feldspat|펠트슈파트ger )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들판'을 의미하는 독일어 Feld( Feld|펠트ger )와 '광물'을 의미하는 Spat[h]( Spat[h]|슈파트ger )가 합쳐진 말이다.[3]

3. 규장질 암석의 분류

요세미티 국립공원화강암 확대 사진


규장질 암석은 일반적으로 석영, 백운모, 정장석과 같은 규장질 광물을 75% 이상 함유한 암석을 말한다. 특히 규장질 광물이 90% 이상 함유된 암석은 백색암(leucocratic)이라고도 부르며, 규장석이 대표적이다.[4]

규장질 암석의 분류는 여러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 화성암의 경우, 화학적 조성을 기준으로 하는 TAS 분류법이 사용되며, 이는 주로 화산암에 적용된다. 결정을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현정질 암석은 석영(Q), 알칼리 장석(A), 사장석(P), 준장석(F)의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내는 QAPF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분류하며, 이는 주로 화강암과 같은 심성암 분류에 사용된다. 또한, 암석을 이루는 결정의 크기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암석 조직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다.

규장질 화산암휘석이나 각섬석과 같은 고철질 광물을 반정으로 포함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포함된 부성분 광물의 이름을 붙여 "각섬석 함유 규장암"과 같이 부르기도 한다. 한편, 매우 미세한 입자나 비현정질로 이루어진 밝은 색의 규장질 화산암을 통칭하여 규장암(felsite)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상세한 분석을 통해 재분류될 수 있는 현장 용어에 가깝다.

규장질 성분을 가진 암석이 변성 작용을 받은 변성암이고 뚜렷한 화산 모암이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규장질 편암'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규장질 암석으로는 화강암, 유문암 등이 있다.

유문암 표본


화강암 표본

3. 1. QAPF 다이어그램

결정을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현정질의 규장질 암석은 QAPF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이 분류는 화강암 명명법을 따르며, 암석에 포함된 고철질 광물의 종류를 이름에 명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석영섬록암에 휘석과 같은 고철질의 반정이 포함되었을 경우 "휘석질 석영섬록암"으로 표기하고, 각섬석이 포함된 화강암은 "각섬석 함유 화강암", 휘석이 포함된 토날라이트는 "휘석 토날라이트" 등으로 부른다. 단사휘석이 포함된 거정질 몬조나이트처럼 구체적인 광물명을 붙이기도 한다. 다만, 몬조나이트와 같이 이미 이름이 굳어진 것은 그대로 사용한다.

따라서 암석 조직(결정의 크기나 배열 상태)이 규장질 암석의 기본 이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아래 표는 암석의 조직에 따른 규장질 암석의 분류 예시이다.

암석 조직규장질 암석의 이름
페그마타이트화강암 페그마타이트
조립질 (현정질)화강암
조립질 및 반상 조직반상 화강암
세립질 (비현정질)유문암
세립질 및 반상 조직반상 유문암
화산쇄설암유문암질 응회암 또는 각력암
기공 조직부석
아몬드상없음
유리 광택흑요석 또는 도자기암


3. 2. TAS 분류

규장질 암석의 화학적 이름은 르 마이트르(Le Maitre)가 1975년 정의한 TAS 분류법을 따른다.[4] 이 분류법은 화성암 중에서도 화산암에만 적용된다. 만약 암석을 분석한 결과 규장질이지만 변성암이고 뚜렷한 화산 모암이 없다면, 단순히 '규장질 편암'이라고 부를 수 있다. 전단 (지질학)이 심하게 일어나 유문암으로 오인될 수 있는 화강암의 예도 알려져 있다.

결정을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현정질의 규장질 암석은 QAPF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분류하며, 화강암 명명법에 따라 이름을 붙인다. 종종 고철질 광물의 종류가 이름에 포함되는데, 예를 들어 각섬석을 포함하는 화강암은 '각섬석 함유 화강암', 휘석을 포함하는 토날라이트는 '휘석 토날라이트', 단사휘석 거정질 몬조나이트와 같이 표기한다. 이는 "화강암"이라는 용어 자체가 이미 장석석영을 포함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암석의 조직(texture)은 규장질 암석의 기본적인 이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음 표는 암석 조직에 따른 규장질 암석의 이름을 보여준다.

암석 조직규장질 암석의 이름
페그마타이트화강암 페그마타이트
조립질 (현정질)화강암
조립질 및 반상 조직반상 화강암
세립질 (비현정질)유문암
세립질 및 반상 조직반상 유문암
화산쇄설암유문암질 응회암 또는 각력암
기공 조직부석
아몬드상없음
유리 광택흑요석 또는 도자기암



3. 3. 기타

규장질 화산 암편, 광물현미경에서 관찰된 모습. 축척 상자는 밀리미터 단위


암석을 규장질로 분류하려면 일반적으로 75% 이상의 규장질 광물(즉, 석영, 정장석사장석)을 포함해야 한다. 규장질 광물이 90% 이상인 암석은 백색암(leucocratic)이라고도 불린다.[4]

규장암(felsite)은 매우 미세한 입자 또는 비현정질의 밝은 색 화산암을 가리키는 암석학 분야 용어이며, 보다 상세한 현미경 또는 화학 분석 후에 재분류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규장질 화산암에 반정으로 고철질 광물, 일반적으로 각섬석, 휘석 또는 장석 광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각섬석 함유 규장암'과 같이 반정 광물의 이름을 따서 암석 이름을 구체화해야 할 수도 있다.

규장질 암석의 화학적 이름은 Le Maitre(1975)의 TAS 분류에 따라 부여된다. 그러나 이는 화산암에만 적용되는 방식이다. 만약 암석을 분석한 결과 규장질이지만 변성암이며 뚜렷한 화산 모암이 없다면, 단순히 '규장질 편암'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전단 작용을 심하게 받아 유문암으로 오인될 수 있는 화강암의 예도 알려져 있다.

현정질 규장질 암석의 경우, QAPF 다이어그램을 사용해야 하며, 화강암 명명법에 따라 이름을 부여해야 한다. 종종 고철질 광물의 종류가 이름에 포함되는데, 예를 들어 '각섬석 함유 화강암', '휘석 토날라이트' 또는 '단사휘석 거정질 몬조나이트'와 같이 명명한다. 이는 "화강암"이라는 용어 자체가 이미 장석과 석영을 포함하고 있음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암석의 조직(texture)이 규장질 암석의 기본적인 이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암석 조직규장질 암석의 이름
페그마타이트화강암 페그마타이트
조립질 (현정질)화강암
조립질 및 반상 조직반상 화강암
세립질 (비현정질)유문암
세립질 및 반상 조직반상 유문암
화산쇄설암유문암질 응회암 또는 각력암
기공 조직부석
아몬드상없음
유리 광택흑요석 또는 도자기암


4. 주요 규장질 암석



일반적으로 암석이 규장질로 분류되려면 석영, 정장석, 사장석과 같은 규장질 광물을 75% 이상 포함해야 한다. 규장질 광물이 90% 이상 함유된 암석은 특히 우백질 암석(λευκός|leukósgrc '흰색'과 κρατεῖν|krateingrc '우세하다'에서 유래)이라고 하며[4], 규장석이 대표적이다.

규장질 암석의 분류와 명명은 암석의 종류와 특징에 따라 달라진다.


  • 규장질 화산암: 화산암의 경우, 화학적 조성을 기준으로 TAS 분류를 사용하여 분류한다. 때때로 규장질 화산암에 휘석이나 각섬석과 같은 고철질 반정(phenocryst)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섬석 함유 규장암"과 같이 포함된 광물의 이름을 붙여 부른다. 매우 미세한 입자나 비현정질의 밝은 색 화산암을 가리키는 암석학 용어로 규장암(felsite)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상세한 분석 후에 재분류될 수 있다.
  • 규장질 변성암: 변성암이 규장질 성분을 가지며 뚜렷한 화산 모암이 없는 경우, '규장질 편암'과 같이 부를 수 있다.
  • 현정질 규장질 암석: 결정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현정질 규장질 암석은 QAPF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분류하며, 화강암 명명법을 따른다. 예를 들어, 석영섬록암에 휘석과 같은 고철질 반정이 포함되면 "휘석질 석영섬록암"으로 표기한다. 몬조나이트와 같이 이미 이름이 굳어진 암석은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암석의 조직(texture)은 규장질 암석의 기본적인 이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주요 규장질 암석과 그 조직은 다음과 같다.

암석 조직규장질 암석의 이름
페그마타이트화강암 페그마타이트
조립질 (현정질)화강암
조립질 및 반상 조직반상 화강암
세립질 (비현정질)유문암
세립질 및 반상 조직반상 유문암
화산쇄설암유문암질 응회암 또는 각력암
기공 조직부석
아몬드상해당 없음
유리 광택흑요석 또는 도자기암



대표적인 규장질 암석으로는 유문암화강암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Essentials of Geology W. W. Norton & Company 2009
[2] 웹사이트 felsic, adj https://doi.org/10.1[...] 2023
[3] 웹사이트 feldspar 2008-02-08
[4] 웹사이트 Technical report Mackenzie mountains iron-copper property,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http://thecse.com/si[...]
[5] 서적 学術用語集 地学編 日本学術振興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