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디나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비아 디나르는 리비아의 통화이다. 1971년 리비아 파운드를 대체하여 도입되었으며, 1973년부터 1986년까지 미국 달러에 고정 환율을 유지하다가 특별인출권(SDR)에 연동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달러 대비 가치가 하락했으며, 2021년 환율 통합으로 1달러당 4.48 디나르로 평가 절하되었다. 리비아 디나르는 동전과 지폐로 발행되며, 2016년부터는 리비아 동부 지역에서 별도의 디나르가 발행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의 경제 - 리비아 대수로
리비아 대수로는 리비아 남부의 지하수를 활용하여 해안 지역의 도시와 농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대규모 수로 건설 프로젝트로, 한국 기업이 공사에 참여했으나 지하수 고갈 우려와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디나르 - 데나리우스
데나리우스는 기원전 211년 로마에서 발행된 은화로, 로마 공화정 및 제국 시대의 주요 통화였으며, 성경에도 등장하고 다양한 통화와 언어에 영향을 미쳤다. - 디나르 - 이라크 디나르
이라크 디나르는 1932년 도입되어 인도 루피를 대체한 이라크의 통화이며, 걸프 전쟁 이후 가치가 하락했다가 2003년 새로운 통화가 발행되었고 현재 이라크 정부가 환율을 통제하며 투자 사기에 주의해야 한다. - 통화에 관한 -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개발한 최초의 탈중앙화 암호화폐로, 중앙 기관 없이 P2P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채굴을 통해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된 자산이다. - 통화에 관한 - 피지 달러
피지 달러는 피지의 공식 통화로, 과거 피지 파운드를 대체하여 재도입되었으며, 현재 지폐와 동전에는 피지의 동식물이 도안되어 피지의 정체성을 나타낸다.
리비아 디나르 | |
---|---|
일반 정보 | |
현지 통화 이름 | (아랍어) |
ISO 코드 | LYD |
도입 연도 | 1971년 |
대체 통화 | 리비아 파운드 |
기호 | LD, |
발행 기관 | 리비아 중앙은행 |
발행 기관 웹사이트 | 리비아 중앙은행 웹사이트 |
가치 | |
보조 단위 비율 | 1/1000 |
보조 단위 이름 | 디르함 |
인플레이션율 | 6.1% (2012년 추정) |
통화 | |
자주 사용되는 동전 | 50 디르함, 100 디르함, LD ¼, LD ½ |
드물게 사용되는 동전 | 1 디르함, 5 디르함, 10 디르함, 20 디르함 |
사용되는 지폐 | LD 1, LD 5, LD 10, LD 20, LD 50 |
![]() |
2. 역사
리비아 디나르는 1971년 9월, 무암마르 알-카다피 정권 수립 이후 기존의 리비아 파운드를 1:1로 대체하며 도입되었다.[1] 초기에는 특별인출권(SDR)에 고정되었으나,[1] 1973년부터 1986년까지는 미국 달러에 고정되었다(LD 1 = US$3.37). 이후 다시 SDR 고정으로 전환하며 변동폭을 점차 확대했다. 1972년에는 해외 투자를 위해 리비아 아랍 외국은행이 설립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디나르 가치는 점진적으로 하락했으며, 2002년에는 큰 폭의 평가 절하가 있었다.[2] 2011년 리비아 내전 이후 통화 안정을 위한 노력이 이어졌고,[3] 2021년에는 공식 환율과 암시장 환율의 격차 해소를 위해 환율을 통합하고 1 USD당 4.48 디나르로 평가 절하했다.[4]
2. 1. 리비아 파운드 대체 (1971년)
1951년 리비아 연합왕국(이후 리비아 왕국)이 독립하면서 국가의 통일된 화폐로 리비아 파운드가 발행되었다. 그러나 1969년, 무암마르 알-카다피가 이끄는 군부 쿠데타로 왕정이 무너지고 공화정이 수립되었다.왕정 시대의 통화인 리비아 파운드는 잠정적으로 계속 사용되었으나, 새로운 공화정 체제는 1971년 9월 화폐 개혁을 단행하여 리비아 디나르를 새로운 공식 통화로 도입했다.[1] 이때 기존의 리비아 파운드는 디나르와 1:1 비율로 교환되었다. 디나르 도입 당시 환율은 특별인출권(SDR)에 고정되어 1 디나르당 2.80 SDR의 가치를 가졌다.[1]
2. 2. 달러 및 SDR 고정 환율제 (1973년 ~ 2001년)
1973년 2월, 리비아 디나르는 미국 달러에 고정되었으며, 환율은 1달러당 0.29679 디나르(LD 1 = 3.37USD)로 설정되었다. 이 고정 환율제는 1986년까지 유지되었다.1986년 3월 18일, 리비아는 디나르의 고정 환율 대상을 특별인출권(SDR)으로 변경하여, 1디나르당 2.80 SDR의 비율로 고정했다. 같은 해 5월 1일부터는 디나르가 2.80 SDR을 기준으로 7.5%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것이 허용되었고, 이 허용 변동폭은 이후 여러 차례 확대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리비아 디나르의 가치는 미국 달러 대비 점진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하여, 2001년에는 환율이 1달러당 1.55 디나르(1USD = LD 1.55)에 이르렀다.[2]
2. 3. 평가 절하 및 환율 변동 (2001년 ~ 현재)
1990년대 중반부터 미국 달러에 대한 가치가 점진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하여 2001년에는 1USD당 1.55LYD에 달했다. 2002년에는 50% 평가절하되어 1USD당 0.77LYD가 되었다.[2]리비아 중앙은행 부총재인 알리 무하마드 살렘은 2011년 12월 27일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리비아 디나르의 환율이 1~3년 동안 특별인출권(SDR)에 고정될 것이라고 밝혔다.[3]
2021년 1월 3일, 환율 통합 조치에 따라 모든 거래에서 1USD = 4.48LYD로 디나르 가치가 평가절하되었다. 이 조치로 공식 환율과 암시장 환율 간의 차이가 해소되었다.[4]
2. 4. 리비아 내전과 화폐 (2011년 ~ 현재)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무아마르 알 카다피(معمر القذافيara) 정권이 붕괴되면서 리비아 화폐에도 변화가 생겼다. 기존 지폐 중 카다피의 초상이 그려진 1 디나르와 50 디나르 지폐의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다른 지폐들의 디자인도 약간 수정되었다.내전 이후 혼란 속에서 리비아 중앙은행은 통화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2011년 12월 27일, 알리 무하마드 살렘 당시 리비아 중앙은행 부총재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리비아 디나르의 환율을 향후 1~3년 동안 특별인출권(SDR)에 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3]
2015년부터는 새로운 디자인의 지폐 발행이 시작되었으며, 2019년부터는 내구성이 강화된 고분자(폴리머) 지폐가 점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한편, 내전 이후 지속된 경제 불안정 속에서 공식 환율과 암시장 환율 간의 격차가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21년 1월 3일, 리비아 중앙은행은 환율 통합 조치를 단행했다. 이 조치로 모든 거래에서 리비아 디나르의 가치는 1 USD당 4.48LYD로 평가절하되었고, 이를 통해 공식 환율과 암시장 환율 간의 차이를 해소하고자 했다.[4]
3. 동전
리비아 디나르의 보조 단위는 디르함(dirham)이며, 1 디나르는 1,000 디르함에 해당한다. 1975년 이전에는 리비아 파운드의 보조 단위였던 밀리엠(millieme) 동전이 통용되었는데, 이는 디르함과 동일한 가치를 지녔다. 1975년에 디르함 단위의 새로운 동전이 도입된 이후, 여러 차례 도안 변경과 새로운 액면가의 동전 발행이 이루어졌다.[21][22][23] 현재 주로 유통되는 동전은 50, 100 디르함과 ¼, ½ 디나르 네 종류이다. 과거 발행된 낮은 액면가의 디르함 동전들은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으나 법정 통화로서의 지위는 유지하고 있다.
3. 1. 현재 유통되는 동전
1975년까지는 밀리엠(디르함과 동일) 단위의 옛 동전들이 유통되었다. 1975년에는 아랍 공화국 연방의 국장이 새겨진 1, 5, 10, 20, 50, 100 디르함 동전이 도입되었다. 1979년에는 국장 대신 마부 디자인을 사용한 동일한 액면가의 두 번째 시리즈 동전이 발행되었다. 이후 2001년에는 ¼ 디나르, 2004년에는 ½ 디나르 동전이 각각 발행되었고, 2009년에는 새로운 디자인의 50, 100 디르함, ¼, ½ 디나르 동전이 발행되었다.2013년과 2014년에 리비아 중앙은행은 50 디르함, 100 디르함, ¼ 디나르, ½ 디나르 동전을 추가로 발행했다.[21][22][23] 현재 주로 유통되는 동전은 이 4종류이다. 과거에 발행되었던 1, 5, 10, 20 디르함 동전은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여전히 법정 통화로서의 지위는 유지하고 있다.
현재 리비아 디나르 주화 | |||||||
---|---|---|---|---|---|---|---|
그림 | 가치 | 구성 | 지름 | 무게 | 두께 | 모서리 | 발행년도 |
-- -- | 50 디르함 | 구리니켈 도금 강철 | 23mm | 5.1g | 1.77mm | 톱니형 | 2014 |
-- -- | 100 디르함 | 구리니켈 도금 강철 | 26mm | 6.54g | 1.9mm | 평평한 | 2014 |
-- -- | LD ¼ | 노르딕 골드 | 26mm | 6.55g | 2mm | 톱니형 | 2014 |
-- -- | LD ½ | 이중 금속, 중앙은 노르딕 골드, 테두리는 구리니켈 | 27mm | 7.05g | 1.9mm | 톱니형 | 2014 |
4. 지폐
1971년 리비아 파운드를 대체하여 리비아 디나르가 도입되면서 ¼, ½, 1, 5, 10 디나르 지폐가 처음으로 발행되었다.[24] 이후 리비아 경제 상황과 필요에 따라 새로운 액면가의 지폐가 추가되었는데, 2002년에는 20 디나르 지폐가, 2008년에는 무아마르 카다피의 초상이 들어간 50 디나르 지폐가 발행되어 유통되기 시작했다.[24][7]
지폐 디자인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특히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 시기에는 그의 초상화가 일부 지폐(4번째 시리즈 1 디나르, 2008년 발행 50 디나르 등)에 사용되었다. 1980년에는 기존 5 디나르와 10 디나르 지폐를 강제로 교환하게 하고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가 시행되었는데, 교환 한도를 제한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5][6]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카다피 정권이 붕괴된 이후, 리비아 중앙은행은 카다피의 초상이 그려진 지폐를 회수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지폐를 발행하는 작업을 진행했다.[8][9][10] 새 지폐에서는 카다피 정권 시절의 상징인 "자마히리야(Jamahiriya)" 표기가 삭제되었고, 약 20년 만에 영어 표기가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11][12][13] 2013년에는 리비아 혁명을 기념하는 도안이 담긴 1 디나르 지폐가 발행되었으며,[14] 이후 다른 액면가의 지폐들도 새로운 도안으로 교체되었다.[15][16] 2019년부터는 내구성을 높인 폴리머 지폐가 점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4. 1. 지폐 시리즈
1971년 리비아 디나르가 도입되면서 ¼, ½, 1, 5, 10 디나르 지폐가 처음 발행되었다.[5] 1980년 5월 15일에는 새로운 5 디나르와 10 디나르 지폐가 발행되었는데, 당시 리비아 정부는 시민들에게 일주일 안에 기존 지폐를 새 지폐로 교환하도록 강제했다. 이 기간 이후 기존 5, 10 디나르 지폐는 사용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1인당 교환 한도를 1000LYD로 제한하면서 많은 시민들의 저축이 사실상 휴지 조각이 되었고, 이는 정부 재정에 큰 도움이 되었으나 여론의 거센 반발을 샀다. 비판이 거세지자 무아마르 카다피는 압수한 돈을 함부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이후 지폐 시리즈는 계속 변경되었으며, 2002년에는 20 디나르 지폐가 추가되었고, 2008년 8월 31일부터는 무아마르 카다피의 초상이 들어간 50 디나르 지폐가 유통되기 시작했다.[24][7] 카다피의 초상화는 4번째 시리즈부터 1 디나르 지폐 앞면에도 사용되었다.
2011년 제1차 리비아 내전으로 카다피 정권이 무너진 후, 리비아 중앙은행은 카다피의 모습이 담긴 지폐를 단계적으로 회수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지폐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2012년 1월 14일부터 50 디나르 지폐 회수가 시작되었고, 1 디나르와 20 디나르 지폐도 곧이어 회수될 예정이었다.
새로 발행되거나 수정된 지폐에서는 카다피 정권 시절의 상징인 "자마히리야(Jamahiriya)" 표기가 삭제되었고, 20년 만에 다시 영어 표기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수정된 10 디나르 지폐는 영국의 드 라 루와 프랑스의 오베르튀르 테크놀로지스에서 각각 인쇄되었는데, 중앙은행 표기 방식이나 홀로그램 패치, 2011년 리비아 내전 시작일(2011년 2월 17일) 표기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5 디나르 지폐에서도 비슷한 수정이 이루어져 아랍어 대신 영어 표기가 사용되고 카다피 시대의 상징물이 제거되었다.
2013년 2월 17일, 리비아 혁명 2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1 디나르 지폐가 발행되었다. 이 지폐 앞면에는 반(反)카다피 시위대와 리비아 반군의 깃발이, 뒷면에는 리비아 국기와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가 그려져 있다. 같은 해 3월에는 새로운 20 디나르 지폐가, 6월에는 새로운 50 디나르 지폐가 발행되었다. 50 디나르 지폐에는 새로운 위조 방지 기술인 크레인(Crane)사의 "모션(Motion)" 실이 처음 적용되었다.
2019년부터는 내구성이 강화된 폴리머 지폐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아래는 리비아 디나르 지폐 시리즈의 주요 변화를 요약한 표이다.
시리즈 | 발행 연도 | 액면가 | 주요 색상 | 주요 특징 및 변경 사항 |
---|---|---|---|---|
1 | 1971년–1972년 | ¼, ½, 1, 5, 10 디나르 | 주황색, 보라색, 파란색, 올리브색, 회색 | 최초 발행 |
2 | 1980년–1981년 | ¼, ½, 1, 5, 10 디나르 | 모두 녹색 | 5, 10 디나르 구권 강제 교환 및 무효화 조치 |
3 | 1984년 | ¼, ½, 1, 5, 10 디나르 | 녹색 위주, 갈색, 보라색, 파란색, 연두색 등 | |
4 | 1988년–약 1990년 | ¼, ½, 1, 5, 10 디나르 | 여러 색상 | 무아마르 카다피 초상화 1 디나르 지폐에 등장. ¼, ½, 5 디나르권에 영어 표기. |
4 (수정판) | 약 1991년–1993년 | ¼, ½, 1, 5, 10 디나르 | 여러 색상 (약간 변경) | ¼, ½, 5 디나르권 영어 표기 제거 |
5 | 2002년 | ¼, ½, 1, 5, 10, 20 디나르 | 여러 색상 | 20 디나르 추가 발행 |
6 | 2004년 | 1, 5, 10 디나르 | 파란색, 보라색, 녹색 | 위조 방지용 박막(1, 5 디나르) 또는 홀로그램(10 디나르) 추가 |
7 | 2008년–2009년 | 1, 5, 10, 20 디나르 (2차), 50 디나르 (1차) | 파란색, 빨간색, 녹색 등 | 50 디나르 추가 발행 (카다피 초상화 포함). 디자인 개선 및 보안 강화. |
7A (수정판) | 2011년–2012년 | 5, 10 디나르 | 빨간색 (5 디나르), 녹색 (10 디나르) | 2011년 리비아 내전 이후 발행. 카다피 시대 "자마히리야" 표기 제거. 영어 표기 재사용. |
1 (2013년 시리즈) | 2013년–현재 | 1, 5, 10, 20, 50 디나르 | 여러 색상 | 카다피 정권 붕괴 후 첫 전면 개정 시리즈. 혁명 기념 도안(1 디나르), 새로운 도안 및 보안 요소 적용. |
2 (2019년 시리즈) | 2019년–현재 | 1 디나르 | 파란색 | 최초의 폴리머 지폐 발행 (혁명 8주년 기념) |
3 (2021년 시리즈) | 2021년–현재 | 5 디나르 | 갈색 | 두 번째 폴리머 지폐 발행 |
4. 2. 현재 발행되는 지폐
1971년 리비아 파운드를 대체하여 리비아 디나르가 도입되면서 ¼, ½, 1, 5, 10 디나르 지폐가 발행되었다.[24] 이후 2002년에 20 디나르 지폐가 추가되었고, 2008년 8월 31일부터는 무아마르 카다피의 초상이 그려진 50 디나르 지폐가 유통되기 시작했다.[24][7]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카다피 정권이 붕괴된 후, 리비아 중앙은행은 카다피의 초상이 들어간 지폐를 단계적으로 회수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지폐를 발행하기 시작했다.[8][9][10] 2013년 2월 17일, 리비아 내전 2주년을 맞아 반(反)카다피 시위대와 리비아 반군의 깃발이 그려진 새로운 1 디나르 지폐가 발행되었다.[14] 이후 5, 10, 20, 50 디나르 지폐도 새로운 도안으로 발행되었다.[13][15][16] 특히 10 디나르와 5 디나르 지폐에서는 카다피 시대의 상징인 "자마히리야(Jamahiriya)" 표기가 삭제되고, 약 20년 만에 다시 영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11][12][13]
2019년부터는 내구성이 강화된 폴리머(고분자) 지폐가 도입되기 시작하여, 2019년에 1 디나르 지폐가, 2021년에 5 디나르 지폐가 폴리머로 발행되었다.
아래는 현재 리비아에서 발행되고 유통되는 지폐의 종류와 도안이다.
액면 | 주요 색상 | 앞면 설명 | 뒷면 설명 |
---|---|---|---|
LD 1 | 보라색 (2013년), 파란색 (2019년, 폴리머) | 무아마르 카다피 반대 시위대 | 리비아의 국기와 평화의 비둘기 |
LD 5 | 갈색 (2015년), 갈색 (2021년, 폴리머) | 오스만 시계탑 | 키레네의 제우스 신전 |
LD 10 | 파란색 | 오마르 무크타르 | 무크타르 기병 |
LD 20 | 주황색 | 아우질라의 아티크 모스크 | 가다메스의 전통 학교 |
LD 50 | 녹색 | 벵가지 등대 (세데 크레비치 이탈리아 등대) | 타드라르트 아카쿠스의 돌 아치 |
5. 명칭
리비아 디나르는 일반적으로 'jni' (발음: /ʒni/, 서부 리비아 방언) 또는 'jneh' (발음: /ʒneh/, 동부 리비아 방언)라고 불린다. 이 이름은 21 실링의 가치를 지녔던 영국 금화 기니(Guinea)에서 유래했으며, 이집트 파운드의 جنيه|genēhar와 비슷하다. 공식 명칭인 '디나르'(dinar)는 공식적인 상황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공식 보조 단위인 '디르함'(dirham) 역시 일상 대화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는다. 대신 키르시(qirsh)의 변형인 '가르시'(garsh)가 사용되며, 1 가르시는 10 디르함에 해당한다. 1,000 디나르는 세련되게 '킬로'(kilo, 발음: /kiːlu/)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젊은 남성들의 속어에서 5디나르 지폐와 10디나르 지폐는 각각 'faifa'(발음: /faːifa/)와 'tsena'(발음: /tseːna/)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영어 단어 'five'와 'ten'을 장난스럽게 여성화한 것이거나, 5파운드와 10파운드 지폐를 가리키는 영국 속어 'fiver'와 'tenner'의 잔재일 수도 있다. 리비아 통화는 10디나르 지폐 앞면에 등장하는 리비아의 독립운동가 오마르 무크타르의 이름을 따서 리비아 사람들에 의해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6. 동리비아 디나르 (2016년 ~ )
2016년부터 리비아 중앙은행은 리비아 대표위원회와 연합하여 자체적인 리비아 디나르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이는 러시아의 고즈낙에서 인쇄 및 주조되었으며, 20 디나르와 50 디나르 지폐, 그리고 1 디나르 주화가 발행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리비아 동부 지역에서 발생한 현금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동시에 동부와 서부로 나뉘어 경쟁하는 두 정부가 존재하는 리비아의 분열된 상황을 반영한다.[17][18][19]
참조
[1]
서적
The Banknote Book
http://www.banknoteb[...]
www.BanknoteNews.com
[2]
웹사이트
سياسة سعر الصرف – مصرف ليبيا المركزي
https://cbl.gov.ly/%[...]
2022-01-11
[3]
뉴스
Libyan Islamic banking law seen in March
http://www.brecorder[...]
2011-12-27
[4]
뉴스
Libya's divided central bank agrees exchange rate after first meeting in years
https://www.reuters.[...]
2022-01-11
[5]
뉴스
Libya Writhing Under Qaddafi's Social Revolution
The New York Times
1980-08-22
[6]
뉴스
Gadafy bows to critics
The Guardian
1980-06-13
[7]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Libya issues a new 50 Dinars banknote-مصرف ليبيا المركزي يصدر ورقة نقدية جديدة من فئة الخمسين دينارا
http://www.ljbc.net/[...]
Libyan Jamahiriya Broadcasting Agency
2008-08-28
[8]
뉴스
Dinars from heaven as Britain flies banknotes to Libya
http://uk.reuters.co[...]
2011-09-01
[9]
뉴스
ibya withdraws notes bearing Kadhafi image
https://www.google.c[...]
2012-01-14
[10]
뉴스
Libyan central bank starts withdrawing old currency
https://www.reuters.[...]
2012-01-13
[11]
웹사이트
Libya new 10-dinar note confirmed
http://banknotenews.[...]
2012-01-25
[12]
웹사이트
Libya new 10-dinar note reported
http://banknotenews.[...]
2012-06-28
[13]
웹사이트
Libya new 5-dinar note confirmed
http://banknotenews.[...]
2012-03-24
[14]
웹사이트
Libya new 1-dinar note confirmed
http://banknotenews.[...]
2013-03-01
[15]
웹사이트
Libya new 20-dinar note to be issued 31.03.2013
http://banknotenews.[...]
2013-03-28
[16]
웹사이트
Libya new 50-dinar note confirmed
http://banknotenews.[...]
2013-06-18
[17]
뉴스
Eastern Libyan central bank launches its own coins made in Russia
https://web.archive.[...]
Reuters
2018-11-06
[18]
뉴스
More Russia-printed dinars arrive
https://www.libyaher[...]
The Libya Herald
2018-11-06
[19]
웹사이트
East Libya 1 dinar coin
https://en.numista.c[...]
2019-05-26
[20]
서적
The Banknote Book
http://www.banknoteb[...]
www.BanknoteNews.com
[21]
웹사이트
Libya 1/4 dinar 2014 - New series
http://worldcoinnews[...]
2014-06-30
[22]
웹사이트
Libya 1/2 dinar 2014 - Real scan
http://worldcoinnews[...]
2014-06-30
[23]
웹사이트
Libya 50 and 100 dirhams 2014 - New series
http://worldcoinnews[...]
2014-12-16
[24]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Libya issues a new 50 Dinars banknote-مصرف ليبيا المركزي يصدر ورقة نقدية جديدة من فئة الخمسين دينارا
http://www.ljbc.net/[...]
Libyan Jamahiriya Broadcasting Agency
2008-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