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비아의 국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비아의 국기는 리비아를 대표하는 상징물로,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51년 독립 이후 1969년 쿠데타 이전까지는 빨강, 검정, 녹색의 삼색기에 초승달과 별을 배치한 국기를 사용했다. 1969년 이후에는 범아랍주의를 상징하는 삼색기를 거쳐, 1977년부터 2011년까지는 녹색 단색 국기를 사용했는데, 이는 세계에서 유일한 단색 국기였다. 2011년 리비아 내전 이후, 1951년 국기가 부활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의 상징 - 실피움
    실피움은 고대 의학과 요리에 쓰였으나 현재는 멸종된 식물로, 키레네 지역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했으며 피임약, 향신료, 약재 등으로 사용되었고 예술 작품에서도 상징적으로 등장했다.
  • 리비아의 상징 - 리비아의 국장
    리비아의 국장은 리비아의 정체성과 정치적 변화를 반영하며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변경되었고, 이슬람교와 범아랍주의를 상징하는 요소들을 포함하며 현재도 정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 아프리카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아프리카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리비아의 국기
개요
리비아의 국기
리비아의 국기
용도111110
비율1:2
채택일1951년 12월 24일
2011년 8월 23일 (트리폴리 전투)
폐지일1969년 9월 1일 (군사 쿠데타)
디자인빨강, 검정(너비 두 배), 초록의 수평 삼색기; 검정 줄무늬 중앙에 흰색 초승달과 오각별이 있음.
디자이너오마르 파이크 셰니브
해군기
리비아 해군기
리비아 해군기
용도000001
디자인캔톤에 리비아 국기가 있고, 날개 쪽에 흰색 닻이 있는 하늘색 기.

2. 역사

리비아의 국기는 시대에 따라 여러 번 변경되었다.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1864년~1911년)에는 오스만 트리폴리타니아로서 오스만 제국의 깃발을 사용했다. 이후 이탈리아 왕국이 이탈로-튀르크 전쟁에서 승리하여 리비아를 식민지로 삼으면서 1911년부터 1947년까지 이탈리아령 리비아로서 이탈리아 국기를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리비아는 영국프랑스의 군정을 받았다. 1947년부터 1951년까지 영국 군정 하에서는 유니언 잭이, 프랑스 군정 하에서는 프랑스 국기가 사용되었다. 1949년 영국의 지원을 받아 키레나이카 토후국이 선포되었고, 터키 국기에서 유래한 검은 바탕에 흰색 초승달과 별이 있는 깃발을 사용했다.

1951년 리비아가 독립하면서 리비아 왕국이 수립되었고, 빨강, 검정, 녹색의 삼색기에 흰색 초승달과 별이 있는 국기가 제정되었다. 이 국기는 세누시 왕조의 깃발을 바탕으로 디자인되었으며, 1969년 무아마르 카다피의 쿠데타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쿠데타 이후 리비아 아랍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범아랍주의를 상징하는 빨강, 하양, 검정의 삼색기가 국기로 채택되었다. 1972년에는 이집트, 시리아와 함께 아랍 공화국 연방을 결성하면서 세 나라가 같은 국기를 사용했다. 이 국기는 범아랍색 안에 금색 독수리 (쿠라이쉬 족의 독수리)를 배치한 형태였다.

1977년 무아마르 카다피는 국호를 대 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로 변경하고, 녹색 단색 국기를 채택했다. 이 녹색은 카다피의 정치 철학을 상징하는 색이었다.

2011년 리비아 내전 동안 카다피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들은 1951년부터 1969년까지 사용되었던 왕정 시대 국기를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다. 국가 과도 위원회는 이 깃발을 리비아 공화국의 상징으로 채택했고, 현재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리비아를 대표하는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2. 1. 오스만 제국 및 이탈리아 식민 통치 시기 (1864년 ~ 1947년)

1864년부터 1911년까지 리비아는 오스만 제국의 트리폴리타니아 빌라예트 ("트리폴리의 왕국")에 속해 있었으며, 이 시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깃발을 사용했다. 오스만 트리폴리타니아는 현재의 리비아와 거의 동일한 영토를 가지고 있었다. 1911년 이탈로-튀르크 전쟁 이후,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키레나이카의 두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1934년 이들은 이탈리아령 리비아로 합병되었다. 이 시기에는 이탈리아 국기를 사용했다. "리비아"라는 명칭은 1934년 이탈리아에 의해 다시 도입되었다.[17]

깃발사용 연도정부비고
108x108px
1864년 ~ 1911년오스만 트리폴리타니아 "리비아"라는 명칭은 1934년 이탈리아에 의한 식민지화 동안 다시 도입되었다. 1911년 이전에는 오스만 제국의 트리폴리타니아 빌라예트 ("트리폴리의 왕국")가 현대 리비아와 거의 동일한 영토를 포함했다.
107x107px
1911년 ~ 1947년이탈리아령 리비아이탈로-튀르크 전쟁 (1911-1912) 이후,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키레나이카의 두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이들은 1934년 이탈리아령 리비아로 합병되었다. 이들은 모두 이탈리아 국기를 사용했다.



2. 2. 연합군 점령 및 독립 (1947년 ~ 1951년)

1947년부터 1951년까지 영국 군정 하의 리비아 지역(키레나이카 1947–1949, 트리폴리타니아 1947–1951)은 자체적인 국기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므로 유니언 잭을 사용했다.[17] 구 남부 군사령부의 페잔-가다메스 프랑스 행정 기간 동안에도 자체 국기를 사용하지 않고 프랑스 국기를 사용했다.[18]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령 리비아는 프랑스와 영국의 점령을 받았다. 키레나이카 토후국은 1949년 영국 점령 키레나이카에서 영국의 지원을 받아 선포되었다. "키레나이카의 아미르" 리비아의 이드리스는 1951년 리비아 국왕이 된 후 터키 국기에서 유래한 토후국의 국기(검은 배경에 흰색 초승달과 별)를 자신의 개인 깃발로 유지했다.[19]

깃발사용 연도정부비고
108x108px
1947년 ~ 1951년영국 군정영국 군정 하의 리비아 지역은 자체적인 국기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므로 유니언 잭을 사용했다.
108x108px
1947년 ~ 1951년페잔-가다메스 군사령부페잔-가다메스 프랑스 행정 기간 동안 자체 국기를 사용하지 않고 프랑스 국기를 사용했다.
108x108px
1949년 ~ 1951년키레나이카 토후국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연합군 점령을 받았다. 키레나이카 토후국은 1949년 영국 점령 키레나이카에서 영국의 지원을 받아 선포되었다.


2. 3. 리비아 왕국 (1951년 ~ 1969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패배하면서 리비아는 식민지 지배에서 해방되었지만, 전후에는 영국(트리폴리타니아키레나이카), 프랑스(페잔)으로 분할되어 국제 연합 신탁 통치령이 되었다. 1951년에 이 3개 지역이 리비아 왕국을 형성하면서 근대 리비아 최초의 국기가 제정되었다. 이 국기는 적·흑·녹색의 수평 삼색기에, 중앙에는 흰색 초승달과 별을 배치한 것이었다. 중앙의 검은색은 적색과 녹색의 2배 폭이었다. 이 국기는 19세기 이후 이 지역을 거점으로 한 이슬람교의 사누시 교단을 이끄는 사누시 가문 (Senussi)의 깃발(검은색 바탕에 초승달과 별)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이 국기는 카다피 체제가 성립된 후에도 리비아의 왕정 지지파 및 해외 리비아인에 의한 저항 운동에 사용되었다. 2011년에 성립한 반 카다피파 과도 정부인 리비아 국민 평의회도 이 깃발을 국기로 선택했다.

2. 4. 리비아 아랍 공화국 (1969년 ~ 1972년)

1969년 9월 1일 쿠데타카다피 청년 장교가 이드리스 1세 국왕을 몰아내고 왕정을 무너뜨리면서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리비아의 정식 국명은 리비아 아랍 공화국 (Al-Jumhuriya al-Arabiya al-Libiya)이 되었으며, 국기는 적·백·흑의 범아랍색을 사용한 수평 삼색기가 되었다.

2. 5. 아랍 공화국 연방 (1972년 ~ 1977년)

1972년 3월 리비아이집트, 시리아와 함께 아랍 공화국 연방을 결성하여 3개국이 같은 국기를 사용했다. 이 기는 범아랍색 안에 연방의 아랍어 이름을 쓴 두루마리를 가진 금색 독수리 (쿠라이쉬 족의 독수리)를 배치했다.

2. 6. 대 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 (1977년 ~ 2011년)

1977년 3월 8일, 무아마르 카다피는 국호를 대 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으로 변경하였다. 같은 해 11월 11일에는 정부 간부들에게 새로운 국기로 바꿀 것을 지시했고, 이에 따라 녹색 단색의 국기가 채택되었다.[23]

녹색이슬람교의 무함마드의 터번 색깔로, 이슬람 사회주의와 인민 혁명의 결의를 나타낸다.[23] 또한, 카다피가 1975년에 출판한 『녹색서』(الكتاب الأخضر|알키타브 알아흐다르ar)에 담긴 '녹색 혁명'을 상징한다.

과거 리비아는 범아랍주의를 주장하며 이집트 등과 아랍 공화국 연방을 결성하고 이집트의 국기를 함께 사용했다. 그러나 1977년 11월 11일, 이집트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방문하여 단독으로 화해하고 미국에 우호적인 외교를 시작하자, 카다피는 이에 반발하여 이집트와의 동맹을 해소하고 새로운 국기를 제정하도록 지시했다.

당시 측근들은 시간이 부족하여 고육지책으로 이슬람에서 숭상하는 녹색 단색 국기를 제안했으나, 카다피는 이 디자인을 마음에 들어 했다고 한다. 과거 파티마 왕조의 국기 역시 녹색 단색이었다.

한 가지 색으로만 이루어진 국기는 오스만 제국,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프랑스 왕국,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등에서도 사용된 바 있다.

2. 7. 리비아 내전과 현재 (2011년 ~ 현재)

2011년 리비아 내전 동안, 무아마르 카다피의 통치에 맞서 1951년~1969년 사용되었던 리비아 왕국의 국기가 다시 등장했다. 이 국기는 초승달과 별 상징이 없는 다양한 임시 버전, 또는 녹색 줄이 없는 버전 등으로 리비아 반군 점령 지역과 여러 리비아 외교 공관 밖 시위에서 사용되었다.[5][6][7]

리비아 내전 중, 별과 초승달이 없는 디자인이 수제 국기에서 흔했습니다.


리비아 내전 중 반군이 사용한 또 다른 변형, 세 줄의 크기가 동일함


2011년 2월 27일, 국가 과도 위원회는 1951년~1969년 리비아 왕국 국기를 "리비아 공화국의 상징"으로 채택했다.[8][9] 이 국기는 리비아 과도기 헌장 제3조에서 다음과 같이 공식 정의되었다.

국기는 다음과 같은 모양과 치수를 가집니다.

그 길이는 너비의 두 배가 되어야 하며, 세 개의 평행한 색 줄로 나뉘며, 맨 위는 빨간색, 중앙은 검은색, 가장 낮은 것은 녹색이며, 검은색 줄은 다른 두 줄을 합한 면적과 같고, 그 중심에는 흰색 초승달이 있으며, 그 두 끝 사이에는 5각형의 흰색 별이 있습니다.



2011년 3월 10일, 프랑스는 이 위원회를 리비아의 공식 정부로 인정하고 리비아 대사관 직원이 국기를 게양하도록 허용한 첫 번째 국가였다.[10] 3월 21일, 이 국기는 리비아의 UN 상임 대표부에 의해 게양되었고, 공식 웹사이트에 게재되었으며,[11][12] 그 후 8월 말에 아랍 연맹[13]과 리비아 자체 통신 당국인 리비아 통신 및 기술에서 자체 웹사이트에 게재되었다.[14] 그 다음 몇 달 동안 많은 다른 리비아 대사관이 카다피의 녹색 국기를 삼색 국기로 교체했다.

유엔은 다음 성명에 따라 현재 이 국기를 리비아를 대표하는 유일한 국기로 사용한다.

"총회 결의안 66/1 채택에 따라, 리비아의 유엔 상임 대표부는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의 공식 명칭을 '리비아'로 변경하는 국가 과도 위원회의 2011년 8월 3일 선언과 리비아의 국기를 원래대로 변경하기로 한 결정을 유엔에 공식적으로 통지했습니다."[15] 대사관영사관과 같은 모든 리비아 외교 공관은 리비아의 원래 국기를 사용한다.

2011년 2월 27일, 리비아 내전 중 반정부 세력에 의해 리비아 국민 평의회가 리비아의 유일한 대표 정부임을 선언하고, 벵가지를 중심으로 한 잠정 정권이 발족했다. "리비아 공화국"의 국기로 왕정 시대의 국기를 부활시키겠다고 발표했다.

국민 평의회를 리비아의 정당한 정권으로 인정하는 나라가 늘면서 이 깃발도 국기로서의 인식이 확산되었다. 빨강, 검정, 초록, 하양의 배색은 각각 힘, 이슬람의 투쟁, 녹지에 대한 동경, 국민의 행위를 나타낸다.

리비아 내전은 일진일퇴의 공방이 계속되었지만, 8월 하순에 수도 트리폴리를 잠정 정권이 장악하면서 카다피 정권(대 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은 사실상 붕괴되었다. 주일본 리비아 대사관은 같은 해 8월 22일부터 국민 평의회의 국기를 게양했다. 이유에 대해 대사관 관계자는 "(카다피 정권이) 끝나가고 있다고 판단했기에 국기를 교체했다" 혹은 "(깃발을 바꿀)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했다"라고 말했다.[22] 9월 16일, 국제 연합이 국민 평의회의 대표권을 승인했으며, 19일 유엔 본부 앞에 국민 평의회의 국기가 게양되었다.

3. 규격과 색상

(#E70013)0–0–0
(#000000)35–158–70
(#239E46)255–255–255
(#FFFFFF)



리비아의 국기는 1951년 10월 7일 헌법 제7조에 기술되어 있고, 1951년 12월 24일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헌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기는 다음과 같은 치수를 갖는다: 길이는 너비의 두 배이며, 세 개의 평행한 색상 줄무늬로 나뉘며, 맨 위는 빨간색, 가운데는 검은색, 맨 아래는 녹색이며, 검은색 줄무늬는 다른 두 줄무늬를 합한 면적과 같으며, 중앙에는 흰색 초승달이 있고, 그 두 끝 사이에는 다섯 개의 뾰족한 흰색 별이 있다.

정확한 색조와 법적 구성은 1951년 리비아 왕국 정보 및 지도부에서 발행한 책자에 설명되어 있다.[16]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헌법 제7조에 규정된 리비아 국기의 정확한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빨간색은 신호 빨간색, 녹색은 영구 녹색이어야 한다. 초승달은 별의 게양대 쪽에 있어야 하며, 초승달이 부분을 형성하는 원의 중심은 국기의 중앙에 있어야 한다. 별은 초승달의 열린 끝에 있어야 하며, 별의 한 점은 원의 중심을 가리켜야 한다. 초승달의 최대 너비는 외부 직경의 1/6과 같아야 하며, 이는 국기 너비의 1/4이다. 초승달의 끝 사이의 거리는 이 두 점의 게양대 측면을 형성하는 수직선을 따라 측정한 별의 가장 위쪽 점과 가장 아래쪽 점 사이의 거리와 같아야 한다. 수직선은 국기의 상단과 하단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지점에서 초승달의 외부 둘레에 접선을 형성해야 한다.

구성 시트


빨강하양녹색검정
RGB231/0/19255/255/25535/158/700/0/0
16진법#e70013#FFFFFF#239e46#000000
CMYK0/100/92/90/0/0/078/0/56/380/0/0/100


4. 그 외의 깃발

5. 역대 리비아의 국기

깃발사용 연도정부비고
1864년 ~ 1911년오스만 트리폴리타니아1934년 이탈리아에 의한 식민지화 과정에서 "리비아"라는 명칭이 다시 도입되었다. 1911년 이전에는 오스만 제국의 트리폴리타니아 빌라예트 ("트리폴리의 왕국")가 현대 리비아와 거의 동일한 영토를 포함했다.
1911년 ~ 1947년이탈리아령 리비아이탈로-튀르크 전쟁 (1911년 ~ 1912년) 이후,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키레나이카의 두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이들은 1934년 이탈리아령 리비아로 합병되었다. 이들은 모두 이탈리아 국기를 사용했다.
1947년 ~ 1951년영국 군정영국 군정 하의 리비아 지역 (키레나이카 1947년 ~ 1949년, 트리폴리타니아 1947년 ~ 1951년)은 자체적인 국기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므로 유니언 잭을 사용했다.
1947년 ~ 1951년페잔-가다메스 군사령부구 남부 군사령부의 페잔-가다메스 프랑스 행정 기간 동안 자체 국기를 사용하지 않고 프랑스 국기를 사용했다.
1949년 ~ 1951년키레나이카 토후국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령 리비아는 프랑스와 영국의 점령을 받았다. 키레나이카 토후국은 1949년 영국 점령 키레나이카에서 영국의 지원을 받아 선포되었다. "키레나이카의 아미르" 리비아의 이드리스는 1951년 리비아 국왕이 된 후 터키 국기에서 유래한 토후국의 국기(검은 배경에 흰색 초승달과 별)를 자신의 개인 깃발로 유지했다.
108x108px
1951년 ~ 1969년리비아 왕국원래 리비아 연합 왕국으로 불렸으며, 1951년 12월 24일 독립과 함께 시작되어 1969년 9월 1일 무아마르 알 카다피가 이끄는 쿠데타로 이드리스 국왕을 전복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깃발은 초승달과 별이 있는 빨강, 검정, 녹색의 삼색기였다.
108x108px
1969년 ~ 1972년리비아 아랍 공화국1969년 쿠데타 이후, 깃발은 범아랍주의의 아랍 해방 깃발의 적-백-흑 삼색기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1952년 이집트 혁명 이후 처음 게양되었고, 이집트, 이라크, 시리아, 예멘의 국기의 기초가 되었다.
108x108px
(1974년)아랍 이슬람 공화국무아마르 알 카다피가 리비아 아랍 공화국과 튀니지를 합병하려던 1974년의 실패한 시도는 이 깃발을 사용하려 했다.
108x108px
1972년 ~ 1977년아랍 공화국 연합1972년 리비아가 아랍 공화국 연합에 가입했을 때, 이집트, 시리아와 함께 이 깃발을 국가에 의해 채택했다. 이 깃발은 아랍 연합의 이름을 아랍어로 적은 두루마리를 든 황금 매("쿠라이쉬의 매")를 특징으로 했다. 1951년부터 1972년, 그리고 1977년 이후의 리비아 국기는 2:1 비율을 사용하며, 1972년 ~ 1977년 국기는 처음으로 3:2 비율을 사용한 유일한 리비아 국기이다.
108x108px
1972년 ~ 1977년아랍 공화국 연합리비아 해군 군함기
108x108px
1977년 ~ 2011년대 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의 국기는 1977년 11월 19일에 채택되었으며 녹색 단색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당시 세계에서 단색으로 된 유일한 국기였다.[17] 리비아 지도자 무아마르 알 카다피는 그의 정치 철학 (그의 녹색 서 이후)을 상징하기 위해 이 깃발을 선택했다.[18] 녹색은 전통적으로 이슬람을 상징하며, 파티마 칼리파조의 역사적인 녹색 깃발을 반영했다. 리비아에서 녹색은 또한 전통적으로 트리폴리타니아 지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색상이었다. 이 깃발은 카다피 충성파에 의해 계속 사용된다.[19][20] 이 깃발에는 넓은 비율과 작은 비율의 두 가지 버전이 있었다.
107x107px
108x108px
1977년 ~ 2011년대 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리비아 해군 군함기



1969년 카다피쿠데타로 왕정이 무너진 후, 1977년 카다피는 대 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으로 국호를 변경하고, 녹색 단색의 국기를 채택했다.

2011년 2월 27일, 리비아 내전 중 반정부 세력에 의해 리비아 국민 평의회가 리비아의 유일한 대표 정부임을 선언하고, 벵가지를 중심으로 한 잠정 정권이 발족하면서 왕정 시대의 국기를 부활시켰다.

국민 평의회를 리비아의 정당한 정권으로 인정하는 나라가 늘면서 이 깃발도 국기로서의 인식이 확산되었다. 빨강, 검정, 초록, 하양의 배색은 각각 힘, 이슬람의 투쟁, 녹지에 대한 동경, 국민의 행위를 나타낸다.

주일본 리비아 대사관은 2011년 8월 22일부터 국민 평의회의 국기를 게양했다. 이유에 대해 대사관 관계자는 "(카다피 정권이) 끝나가고 있다고 판단했기에 국기를 교체했다" 혹은 "(깃발을 바꿀)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했다"라고 말했다.[22]

국제 연합이 2011년 9월 16일 국민 평의회의 대표권을 승인했으며, 19일 유엔 본부 앞에 국민 평의회의 국기가 게양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s the Crescent Moon a Symbol of Islam as Is Widely Believed? https://www.learnrel[...] 2022-01-18
[2] 웹사이트 National Flag of Libya https://web.archive.[...] 24dec1951.com 1951-12-24
[3] 문서 cited after a copy kept by the library of Swiss Vexillological Society; c.f. Jos Poels at FOTW, 1997.
[4] 웹사이트 For Amal, life (re)begins at 75 https://web.archive.[...] Feb17.info 2011-10-19
[5] 웹사이트 Libya's monarchist flag: a symbol of anti-Gathafi protest http://www.middle-ea[...] Middle East Online 2011-05-27
[6] 뉴스 What's in a flag? – Libya http://english.aljaz[...] Al Jazeera English 2011-05-27
[7] 뉴스 Bahrain in crisis and Middle East protests – live blog https://www.theguard[...] 2011-02-17
[8] 웹사이트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http://ntclibya.org/ 2011-03-13
[9] 웹사이트 Libya National Flag https://web.archive.[...] 2011-07-28
[10] 뉴스 Libya: France recognises rebels as government https://www.bbc.co.u[...] 2011-03-10
[11] 뉴스 Libya air raid 'killed civilians' https://www.bbc.co.u[...] 2011-03-31
[12] 웹사이트 Libyan Mission New York http://www.libyanmis[...] 2011-03-05
[13] 웹사이트 Libya regains Arab League seat – Africa http://english.aljaz[...] Al Jazeera English
[14] 웹사이트 ليبيا للاتصالات و التقنية http://www.ltt.ly/ Ltt.ly 2016-09-30
[1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Information Service http://www.unis.unvi[...] Unis.unvienna.org 2020-03-14
[16] 문서 English translation based on The Libyan Flag & The National Anthem, a booklet issued by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Guidance of the Kingdom of Libya, cited after Jos Poels at FOTW, 27 January 1997
[17] 웹사이트 Libya Flag http://www.worldatla[...] 2009-12-12
[18] 뉴스 Staff of Libyan consulate in Egypt lower flag https://www.reuters.[...] Reuters 2011-02-22
[19] 뉴스 Gaddafi loyalists stage rare protest in eastern Libya https://www.reuters.[...] Reuters 2015-08-04
[20] 웹사이트 Death sentences spark pro-Gaddafi protests https://www.middleea[...] 2015-08-12
[21] 웹사이트 リビアの国旗 世界の国旗図鑑 http://www.sarago.co[...]
[22] 뉴스 在日リビア大使館、旗を反体制派三色旗に取り変え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1-08-23
[23] 서적 トリビアの泉〜へぇの本〜 5 講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