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비아 왕국은 1951년 유엔 결의에 따라 이탈리아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한 연합 왕국이었다. 이드리스 1세가 초대 국왕으로 즉위했으며, 트리폴리와 벵가지 두 곳을 수도로 하는 입헌 군주제를 채택했다. 친서방 정책과 석유 개발로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지만, 왕족과 측근의 부의 편중, 지역 갈등, 범아랍주의의 영향 등으로 인해 사회적 불안이 심화되었다. 1963년 연방제를 폐지하고 중앙 집권 체제로 전환했으나, 1969년 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쿠데타로 왕정이 폐지되고 리비아 아랍 공화국으로 국명이 변경되었다. 2011년 리비아 내전 이후, 1951년 헌법 복원과 센누시 왕조의 부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의 역사 - 맘루크 술탄국
맘루크 술탄국은 1250년부터 1517년까지 이집트와 레반트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로, 노예 출신 군인인 맘루크들이 세웠으며, 바흐리 왕조와 부르지 왕조 시대를 거쳐 강력한 군사력과 행정 시스템을 기반으로 번성했으나, 내부 분쟁과 흑사병, 유럽의 해상 무역 확장으로 쇠퇴하여 오스만 제국에 멸망, 이슬람 문화의 중심지로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남겼다. - 리비아의 역사 - 카넴-보르누 제국
카넴-보르누 제국은 7세기경 차드호 주변에 건국되어 1900년대 초까지 존속한 서아프리카의 제국으로, 투부족과 사오 문명의 통합으로 형성된 카넴 제국이 무슬림 카누리족의 지배 아래 사하라 횡단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식민 지배를 받았다. - 옛 왕국 - 하와이 왕국
하와이 왕국은 1795년 카메하메하 1세가 하와이 제도를 통일하여 건국한 입헌군주국으로, 영국 문화 수용 및 미국인 이주를 거쳐 1893년 릴리우오칼라니 여왕 폐위 후 미국에 합병되어 하와이주가 되었다. - 옛 왕국 - 마타람 왕국
마타람 왕국은 8세기부터 11세기까지 자바섬 중부와 동부를 통치하며 힌두교와 불교 문화를 융합한 왕국으로, 산자야 왕조가 건국하고 샤일렌드라 왕조의 영향을 받아 프람바난 사원을 건설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자연재해로 동부 자바로 천도하여 크디리 왕국으로 이어졌고 보로부두르, 프람바난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 건축물을 남겼다. - 아프리카의 옛 나라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 아프리카의 옛 나라 - 로디지아
로디지아는 1965년 백인 소수 정권이 일방적 독립 선언 후 1979년까지 사용한 남부 로디지아의 공식 명칭이었으나,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으로 종식되고 1980년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리비아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용어 | 아랍어 이탈리아어 |
종교 | 이슬람교 |
국 가 |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File:Libya, Libya, Libya instrumental.ogg]] |
수도 | 트리폴리 벵가지 알바이다 |
정치 | |
정치 체제 | 1951–1963: 연방 의회 입헌 군주제 1963–1969: 단일 의회 입헌 군주제 |
국왕 | 이드리스 1세 |
왕세자 섭정 | 하산 아스-세누시 |
총리 | 마흐무드 알-문타시르 (초대) 와니스 알-카다피 (마지막) |
의회 | 의회 |
상원 | 상원 |
하원 | 하원 |
역사 | |
독립 | 이탈리아로부터 독립 (1951년 12월 24일) |
쿠데타 | 쿠데타 (1969년 9월 1일) |
통화 | |
통화 | 리비아 파운드 |
2. 역사
16세기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리비아는 1911년 이탈리아 왕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연합국 (영국)과 추축국 (이탈리아, 나치 독일) 간의 격전(북아프리카 전선)이 벌어졌다. 전쟁 후에는 영국과 프랑스의 공동 통치령이 되었다.
1949년6월, 이드리스 아스 사누시는 키레나이카의 독립(키레나이카 토후국)을 선언했다. 트리폴리타니아, 페잔과의 통일 교섭이 시작되었으나, 국가 체제 형태를 두고 대립했다. 트리폴리를 중심으로 한 트리폴리타니아는 중앙 집권 국가를, 키레나이카와 페잔은 연방제를 주장했다. 1951년, UN의 결의에 따라 리비아는 3개 주의 연합 왕국으로 독립했고, 이드리스는 이드리스 1세로 즉위했다. 수도는 트리폴리와 벵가지의 복수 수도였으며, 중앙 정부는 외교와 국방을 담당하고, 3개 주 정부는 내정 자치권을 가졌다.
이드리스 1세는 친서방 정책을 통해 서방 국가로부터 기지 제공의 대가로 경제 원조를 받았다. 리비아에서 석유 채굴이 시작되면서 막대한 오일 머니를 얻게 되었으나, 이익은 왕가와 그 주변에 집중되었고, 지역 대립도 심화되었다. 1956년 제2차 중동 전쟁 이후, 리비아에서도 범아랍주의가 확산되면서 친서방 국왕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
1963년, 리비아는 연방제를 폐지하고 국명을 '''리비아 왕국'''으로 변경했다. 중앙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국민 간의 격차를 줄이고자 노력했다. 또한 친서방 노선을 전환하여 민족 감정의 폭발을 억제하려 했으나, 이미 국왕과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불만은 최고조에 달한 뒤였다.
1969년9월 1일, 수도 트리폴리에서 무아마르 알 카다피가 이끄는 젊은 장교들의 쿠데타가 발생했다. 터키에서 요양 중이던 이드리스 1세는 국외로 추방되었고 왕정은 폐지되었다. 같은 해 11월, 카다피를 의장으로 하는 혁명 평의회가 최고 통치 기관으로 설치되고 국명은 '''리비아 아랍 공화국'''으로 변경되는 내용을 담은 잠정 헌법이 공포되었다.
2. 1. 독립 이전의 역사
16세기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911년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의 결과, 이탈리아 왕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국 (영국)과 추축국 (이탈리아, 나치 독일) 간의 격전지(북아프리카 전선)가 되었다. 이탈리아의 패전 이후 영국과 프랑스의 공동 통치령이 되었다.2. 2. 독립과 연방 왕국
1949년 6월, 훗날 국왕이 되는 이드리스 아스 사누시는 키레나이카의 독립(키레나이카 토후국)을 선언하였다. 이어서 트리폴리타니아와 페잔과의 통일 교섭도 시작되었지만, 국가 체제의 형태를 두고 대립했다. 경제 중심지인 트리폴리를 둔 트리폴리타니아는 중앙 집권 국가를 지향했지만, 키레나이카와 페잔은 연방제를 주장했다. 1951년, UN의 결의에 따라 최종적으로 리비아는 3개 주(州)의 연합 왕국으로 독립했고, 이드리스는 이드리스 1세로서 왕위에 올랐다. 수도는 트리폴리와 벵가지의 복수 수도였으며, 외교와 국방을 담당하는 중앙 정부 아래 3개의 주 정부에 대폭적인 내정 자치권이 부여되었다.1951년 10월, 유엔의 후원으로 헌법이 제정되었다.[3][4] 이 헌법은 인권 보호를 위한 중요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평가받았다.[3][4] 이 문서는 투명성을 증진하고 반민주적 권력 축적을 방지하는 제도적 장치를 확립했으며,[4][5] 특히 공적 기능 수행에 대한 책임과 모든 리비아 시민의 법 앞에서의 평등을 보장하는 장치를 구상했다.[1][2][5]
2. 3. 정치 발전과 외교 관계
1952년 2월 19일, 리비아에서 첫 총선이 치러졌으나, 이후 정당 활동이 금지되었다.[6] 지방 정부와 연방 정부 간의 권한 다툼은 계속되었다.[6]이드리스 1세 국왕은 친서방 정책을 추진하여 서방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1953년, 영국과 20년 기한의 우호 및 동맹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에 군사 기지를 제공하는 대가로 재정 및 군사 지원을 받았다.[11] 1954년에는 미국과도 협정을 맺어 군사 기지를 제공하고 경제 지원을 받았다.[11]
1955년 소련과 정식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나, 소련의 경제 지원 제안은 거절했다.[11] 같은 해, 벵가지에 리비아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67년 카르툼 아랍 연맹 정상 회담에서 리비아는 사우디 아라비아, 쿠웨이트와 함께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을 지원하기 위해 석유 수입에서 상당한 보조금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11] 또한 이드리스 1세는 세계 시장에서 유가를 인상하기 위한 집단적 행동을 취하는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제기했다.[11]
2. 4. 석유 발견과 경제 발전
1959년 6월, 에소(이후 엑손으로 개명)의 탐사 시추자들이 키레나이카의 잘탄에서 주요 석유 매장지를 발견하면서 리비아의 경제 상황은 급변하였다.[10] 추가적인 발견이 이어졌고, 양보 소유주들은 수익의 50%를 리비아 정부에 세금으로 반환하면서 상업 개발이 빠르게 시작되었다. 석유 시장에서 리비아의 장점은 그 양뿐만 아니라 원유 제품의 높은 품질에도 있었다. 리비아의 근접성과 바다를 통한 유럽과의 직접적인 연결은 추가적인 마케팅 이점이었다. 석유의 발견과 개발은 광대하고 인구가 희박하며 빈곤했던 이 나라를 광범위한 개발 잠재력을 가진 독립적으로 부유한 국가로 변화시켰고, 이는 리비아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었다. 리비아의 석유법은 1955년에 처음 통과되었으며, 1961년과 1965년에 개정되어 리비아 정부의 석유 수입 분배를 늘렸다.[10]1960년대 초 석유 자원 개발이 진행되면서 리비아는 1963년부터 1968년까지 제1차 5개년 계획을 시작했다. 그러나 석유에서 비롯된 새로운 부의 한 가지 부정적인 결과는 주로 방치로 인한 농업 생산의 감소였다.
2. 5. 단일 국가로의 전환과 사회적 불만
1963년 4월, 모히에딘 피키니 총리는 의회의 지지를 받아 연방제를 폐지하고 중앙 집권적인 단일 국가 체제를 수립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키레나이카, 트리폴리타니아, 페잔의 3개 주는 10개의 주로 재편되었다. 입법부는 연방제에서 단일 국가로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1963년에 헌법을 개정했다.[10]가말 압델 나세르가 주창한 범아랍주의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친서방 정책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었다. 1964년, 반서방 시위에 대응하여 영국과 미국 기지의 철수를 요구하였다. 1967년 6일 전쟁 이후, 반이스라엘, 반서방 시위가 격화되었고, 유대인 공동체에 대한 공격으로 대부분의 리비아 유대인들이 이민을 떠났다. 1967년 카르툼에서 열린 아랍 연맹 정상 회담에서 리비아는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을 지원하기 위한 석유 수입 보조금 제공에 합의했다.
2. 6. 1969년 쿠데타와 왕정의 종말
무아마르 카다피가 이끄는 일단의 젊은 장교들이 1969년 9월 1일 쿠데타를 일으키면서 리비아 왕국은 종말을 맞이했다. 당시 터키에서 치료를 받고 있던 이드리스 1세 국왕은 혁명군에 의해 참모총장과 왕국의 보안 책임자가 체포되는 상황에서도 쿠데타 소식을 "중요하지 않다"고 일축했다.[13]이 쿠데타는 이드리스 1세가 터키로 떠난 후 섭정으로 임명된 왕세자를 위해 1969년 8월 4일자로 작성되어 1969년 9월 2일부터 효력이 발생할 예정이었던 퇴위 문서보다 먼저 일어났다. 군주제 전복 후 국가는 '''리비아 아랍 공화국'''으로 개명되었다.
1963년, 리비아는 연방제를 폐지하고 국명을 '''리비아 왕국'''으로 변경하며 중앙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국민 간의 격차를 줄이고자 노력했다. 또한 친서방 노선을 전환하여 민족 감정의 폭발을 억제하려 했으나, 이미 국왕과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불만은 최고조에 달한 뒤였다.
결국 1969년 9월 1일, 수도 트리폴리에서 무아마르 알 카다피가 이끄는 젊은 장교들의 쿠데타가 발생했다. 터키에서 요양 중이던 이드리스 1세는 국외로 추방되었고 왕정은 폐지되었다. 같은 해 11월, 카다피를 의장으로 하는 혁명 평의회가 최고 통치 기관으로 설치되고 국명은 '''리비아 아랍 공화국'''으로 변경되는 내용을 담은 잠정 헌법이 공포되었다.
3. 정치
이드리스 1세는 1951년부터 1969년까지 리비아 왕국의 국가 원수였다.[1] 리비아 왕국은 입헌 군주제를 채택하였으며, 1951년 10월에 제정된 헌법에 따라 국왕은 국가 원수로서 상당한 정치적 권한을 가졌다.[1][2]
정부의 행정부는 국왕이 임명하는 총리와 각료회의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양원제 의회의 하원인 대의원 의회에 대해 책임을 졌다.[1] 상원은 세 개 주에서 각각 8명의 대표로 구성되었는데, 이 중 절반은 국왕이 임명했다. 국왕은 법안 거부권과 하원 해산권을 보유했다.[1]
1952년 2월 19일에 치러진 첫 1952년 리비아 총선 이후 정당이 폐지되었고, 연방 정부 형태에 반대하던 국민의회당은 불법화되었다.[1] 지방적 유대가 국가적 유대보다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연방 정부와 지방 정부는 권한 영역을 놓고 갈등을 겪었다.[1] 왕위 계승자가 없다는 문제도 있었는데, 이드리스 1세는 1953년 자신의 형제를 후계자로 지명했다가, 이후 조카인 하산 아르 리다를 후계자로 임명했다.[1]
리비아 왕국 의회는 양원제로,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되었다. 상원은 국왕이 임명하는 24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임기는 8년이었다. 하원은 1963년 헌법 개정 이후 보통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으며, 여성도 투표권을 가지게 되었다. 하원 의원의 수는 2만 명당 한 명의 의원을 기준으로 결정되었고, 선거는 4년마다 열렸다.
4. 행정 구역
독립 이후 1963년까지 리비아 왕국은 트리폴리타니아, 키레나이카 지방, 페잔 지방의 세 지방으로 구성되었다. 지방 자치는 지방 정부와 입법부를 통해 행사되었다.
1963년, 국가의 연방 구성을 폐지하는 헌법 개정 이후, 세 개의 주는 임명된 지사가 통치하는 10개의 주(아랍어: ''무하파자'')로 재편되었다.[19][20]
- 알바이다 (이전에는 키레나이카의 일부)
- 알쿰스 (이전에는 트리폴리타니아의 일부)
- 아와바리 (이전에는 페잔의 일부)
- 아자위야 (이전에는 트리폴리타니아의 일부)
- 벵가지 (이전에는 키레나이카의 일부)
- 다르나 (이전에는 키레나이카의 일부)
- 가르얀 (이전에는 페잔과 트리폴리타니아의 일부)
- 미스라타 (이전에는 트리폴리타니아의 일부)
- 사브하 (이전에는 페잔의 일부)
- 타라블루스 (이전에는 트리폴리타니아의 일부)
5. 역대 국왕
이드리스 1세는 1951년 12월 24일부터 1969년 9월 1일까지 리비아 왕국의 국왕으로 재임했다. 1969년 무아마르 알 카다피가 주도한 쿠데타로 인해 축출되었다.[1]
6. 2011년 리비아 혁명과 센누시 왕가의 부활
2011년 리비아 내전 동안, 무아마르 카다피에 반대하는 시위대는 왕정 시대의 삼색기를 사용하고, 국왕의 초상화를 들었으며,[17] 옛 국가인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를 연주했다. 생존한 두 명의 세누시 왕가 망명자는 시위대를 지원하기 위해 리비아로 돌아올 계획을 세웠다. 특히 세누시 왕가의 전통적인 거점인 키레나이카에서 왕가에 대한 지지가 부활했다.
7. 1951년 헌법의 의의와 현재적 논의
1963년 개정 이전의 1951년 헌법은 리비아의 안정과 통합을 위한 중요한 기반으로 여겨지고 있다.[4][5] 이 헌법은 유엔의 후원 하에 작성되었으며, 인권 보호를 위한 중요한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어 투명성 증진과 권력 집중 방지에 기여했다.[3][4][5]
2011년 카다피 정권 붕괴 이후, 리비아는 혼란을 겪으며 1951년 헌법 복원과 센누시 왕정 복귀를 지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21][22] 헌법적 합법성 회복 운동 등 관련 단체들은 1951년 헌법 복원과 무함마드 엘 센누시의 지도 하에 센누시 왕정 복귀를 옹호하고 있다.[23][24]
2014년 당시 리비아 외무부 장관이었던 모하메드 압델아지즈는 1951년 헌법에 따른 입헌 군주제 복귀가 국가 통합의 상징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25] 2015년에는 헌법 제정 의회(CDA) 위원들과 바이다 시장 등이 1951년 헌법 시행 복원 및 왕정 복귀 지지를 표명했다.[26] 같은 해, 키레나이카 연방주의 정당인 국민 연방 블록은 1951년 헌법을 국가의 합법적인 헌법으로 승인할 것을 의회에 요청했다.[27]
2015년 영국 의회 외교 위원회 위원인 대니얼 카브진스키는 1951년 헌법 복귀를 옹호하는 글을 게재했다.[4] 무함마드 엘 센누시 왕자는 1951년 헌법과 입헌 군주제 복원에 대한 열정을 인정하며, 리비아 국민이 원한다면 조국에 봉사할 의향이 있음을 밝혔다.[22][28]
참조
[1]
웹사이트
Libya: الدستور الليبي 1951
http://www.wipo.int/[...]
2017-09-21
[2]
웹사이트
Libya's Constitution
http://www.libyancon[...]
2017-09-21
[3]
웹사이트
Libya's constitution controversy
https://foreignpolic[...]
2017-09-21
[4]
웹사이트
Where next for Libya?
http://www.newstates[...]
2017-09-21
[5]
뉴스
Briefing Paper 28: Assessment of the 1951 Libyan Constitution
https://web.archive.[...]
2017-09-21
[6]
웹사이트
The Senussi Family
http://24dec1951.com[...]
2017-09-21
[7]
서적
From Deep State to Islamic State: The Arab Counter-revolution and Its Jihadi Legac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Heir to Libyan throne under Brussels spotlight
https://www.euractiv[...]
2017-09-21
[9]
간행물
Independent Libya
http://lcweb2.loc.go[...]
U.S. Library of Congress
1987
[10]
서적
A history of modern Liby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논문
Pragmatism and Rhetoric in Libya's Policy Toward Israel
https://journals.lib[...]
2018-02-21
[12]
서적
Nasser of Egypt: The Search For Dignity
Colonial Press
[13]
웹사이트
1969: Bloodless coup in Libya
http://news.bbc.co.u[...]
1969-09-01
[14]
웹인용
African Union commemorates King Idris : Libyan Embassy – London
https://web.archive.[...]
2017-09-21
[15]
뉴스
King Idris, Ousted in '69 by Waddafi, Dies in Cairo
https://www.nytimes.[...]
2017-09-21
[16]
서적
Libya in Western Foreign Policies, 1911–2011
https://books.google[...]
Springer
[17]
뉴스
The liberated east: Building a new Libya
http://www.economist[...]
2011-02-26
[18]
간행물
Libya: the new Arab kingdom of North Afri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Modern history in politics
http://www.libya-wat[...]
2011-10-15
[20]
웹사이트
Libya Districts
http://statoids.com/[...]
[21]
뉴스
A Radical Idea to Rebuild a Shattered Libya: Restore the Monarchy
https://www.nytimes.[...]
2017-09-21
[22]
뉴스
The Case for Monarchy in Libya
http://nationalinter[...]
2017-09-21
[23]
뉴스
دعوة لمبايعة الأمير محمد السنوسي ملكًا على ليبيا
https://web.archive.[...]
2017-10-06
[24]
뉴스
مبادرة للعودة إلى الملكية في ليبيا.. لماذا الآن؟
https://arabi21.com/[...]
2017-10-06
[25]
뉴스
Libya Foreign Minister calls for return of monarchy
http://www.al-monito[...]
2017-09-21
[26]
웹사이트
ليبيا – العربية.نت {{!}} الصفحة الرئيسية
http://www.alarabiya[...]
2017-09-21
[27]
뉴스
التكتل الفيدرالي يدعو إلى اعتماد دستور 1951 ويحذر من عدم الاستجابة
http://www.alwasat.l[...]
2017-09-21
[28]
웹사이트
Prince Mohammed el Senussi says Libyans must solve own problems in Independence Day address
https://www.libyaher[...]
2016-1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