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정다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정다오(Tsung-Dao Lee)는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다. 약한 상호작용에서 반전성 대칭이 깨질 수 있다는 가설을 양전닝과 함께 제안하여, 1957년 우젠슝의 실험을 통해 증명됨에 따라 195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1926년 상하이에서 태어나 시카고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1962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통해 중국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2024년 샌프란시스코에서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톈진 대학 교수 - 쿵샹시
쿵샹시는 중국 국민당의 정치인이자 사업가로서, 쑨원과 장제스를 지지하며 중화민국의 재정부장과 중앙은행 총재를 역임했고 중일 전쟁 시기 전시 경제를 담당했으나, 전쟁 후기 부정부패 의혹으로 비판받고 국공내전 후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공자의 후손이자 쑹아이링의 배우자였다. - 중화민국의 노벨상 수상자 - 양전닝
양전닝은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리정다오와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양-밀스 이론을 개발했으며, 2016년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 - 저장 대학 교수 - 장치윈
장치윈은 중화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국립 난징 고등 사범학교 졸업 후 여러 대학교 교수와 학장을 역임하고 대만으로 이주하여 중국 국민당 요직과 교육부 장관, 원자력 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지냈으며 원동 대학을 설립했다. - 저장 대학 교수 - 린위탕
린위탕은 중국 문화와 철학을 서구에 소개하고 유머와 풍자가 담긴 수필로 인기를 얻은 작가이자 사상가, 언어학자로, 영어 저서와 중국어 타자기 개발을 통해 동서양 문화 교류에 기여했으며 노벨 문학상 후보에 지명되기도 했다.
리정다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리정다오 |
로마자 표기 | Li Jeongdao |
출생일 | 1926년 11월 24일 |
출생지 | 중화민국 상하이 시 |
사망일 | 2024년 8월 4일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국적 | 미국 |
분야 | 물리학 |
소속 | 컬럼비아 대학교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학위 논문 제목 | 백색 왜성의 수소 함량 및 에너지 생성 메커니즘 |
학위 논문 발표 연도 | 1950년 |
학력 | 저장 대학 국립 서남 연합 대학 시카고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엔리코 페르미 |
박사 제자 | 리처드 M. 프리드버그 노먼 크리스트 제럴드 파인버그 |
알려진 업적 | 리-양 이론 리-양 정리 키노시타-리-나우엔베르크 정리 G-패리티 비위상적 솔리톤 반전성 위반 |
수상 | 노벨 물리학상 (1957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상 (1957년) 구겐하임 펠로우십 (1966년) 오스카 클라인 기념 강연 (1993년) 마테우치 메달 (1995년) |
![]() | |
중국어 정보 | |
간체 | 李政道 |
번체 | 李政道 |
병음 | Lǐ Zhèngdào |
로마자 표기 | Li3 Cheng4-tao4 |
오어 | Lî Tsěn-dâu |
현대 물리학 | |
창시자 | 막스 플랑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막스 보른 에르빈 슈뢰딩거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파스쿠알 요르단 볼프강 파울리 폴 디랙 어니스트 러더퍼드 루이 드 브로이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 |
개념 | 위상수학 공간 시간 에너지 물질 일 무작위성 정보 엔트로피 빛 입자 파동 |
분야 | 응용 실험 이론 수리 물리학 철학 양자역학 양자장론 양자 정보 양자 컴퓨팅 전자기학 약한 상호작용 전약력 강한 상호작용 원자 입자 핵 원자, 분자 및 광학 응집물질 통계 복잡계 비선형 동역학 생물 물리학 신경 물리학 플라스마 물리학 특수 상대성이론 일반 상대성이론 천체 물리학 우주론 중력 이론 양자 중력 만물 이론 |
과학자 | 뢴트겐 위튼 베크렐 로렌츠 플랑크 퀴리 빈 퀴리 조머펠트 러더퍼드 소디 오네스 아인슈타인 윌첵 보른 바일 보어 크라머르스 슈뢰딩거 드 브로이 라우에 보스 콤프턴 파울리 월턴 페르미 반데르 발스 하이젠베르크 다이슨 제이만 모즐리 힐베르트 괴델 요르단 디랙 위그너 호킹 앤더슨 르메트르 톰슨 푸앵카레 휠러 펜로즈 밀리컨 남부 폰 노이만 힉스 한 파인만 양 리 레나르트 살람 엇호프트 펠트만 벨 겔만 톰슨 라만 브래그 바딘 쇼클리 채드윅 로런스 차일링거 고즈밋 울렌벡 조디 |
양자장론 | |
배경 | 장론 전자기학 약력 강력 양자역학 특수 상대성이론 일반 상대성이론 게이지 이론 양-밀스 이론 |
대칭성 | 양자역학에서의 대칭성 C-대칭 P-대칭 T-대칭 로렌츠 대칭 푸앵카레 대칭 게이지 대칭 명시적 대칭 깨짐 자발적 대칭 깨짐 뇌터 전하 위상 전하 |
도구 | 변칙 배경장 방법 BRST 양자화 상관 함수 교차 유효 작용 유효장 이론 기댓값 파인만 도형 격자장 이론 LSZ 환원 공식 분배 함수 경로 적분 공식 전파자 양자화 정규화 재규격화 진공 상태 윅의 정리 와이트먼 공리 |
방정식 | 디랙 방정식 클라인-고든 방정식 프로카 방정식 휠러-드윗 방정식 바그만-위그너 방정식 슈윙거-다이슨 방정식 재규격화군 방정식 |
표준 모형 | 양자 전기역학 전약력 양자 색역학 힉스 메커니즘 |
불완전한 이론 | 끈 이론 초대칭 테크니컬러 만물 이론 양자 중력 |
과학자 | 애들러 앤더슨 안셀름 바그만 베치 벨라빈 벨 베레진 베테 비요큰 블로일러 보골류보프 브로드스키 브라우트 부흐홀츠 카차조 캘런 카디 콜먼 콘 다셴 드윗 디랙 도플리처 다이슨 앙글레르 파데예프 파딘 페이 페르미 파인만 피에르츠 포크 프램프턴 프리치 프뢸리히 프레덴하겐 퍼리 글래쇼 겔만 글림 골드스톤 그리보프 그로스 굽타 구랄닉 하그 하겐 한 하이젠베르크 헤프 힉스 엇호프트 일리오폴로스 이바넨코 자키프 재피 조나-라시니오 요르단 요스트 칼렌 켄들 키노시타 김 클레바노프 콘체비치 크라이머 쿠라예프 란다우 리 리 레만 로이트바일러 리파토프 로푸샨스키 로 뤼더스 마이아니 마요라나 말다세나 마쓰바라 미그달 밀스 묄러 나이마르크 남부 네뵈 니시지마 오에메 오펜하이머 오스본 오스터발더 파리시 파울리 페체이 페스킨 플레프카 폴친스키 폴랴코프 포메란추크 포포프 프로카 퀸 루에 루바코프 루엘 사쿠라이 살람 슈라더 슈바르츠 슈윙거 시걸 세이베르크 세메노프 시프만 시르코프 스카이름 소머필드 스토라 슈튀켈베르크 수다르샨 지만치크 다카하시 티링 도모나가 튜틴 바인시테인 펠트만 베네치아노 비라소로 워드 와인버그 바이스코프 벤첼 베스 베테리히 바일 윅 와이트먼 위그너 윌첵 윌슨 위튼 양 유카와 자몰로드치코프 자몰로드치코프 지 침머만 지누스탱 주베르 추미노 |
2. 생애
리정다오는 장쑤성 쑤저우 출신이지만, 중국 상하이 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리쥔캉(李駿康)은 난징 대학 제1기 졸업생으로 화학 비료를 전공한 화학공학자이자 상인이었다. 종조부(작은할아버지) 리중탄(李仲覃)은 쑤저우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였다.
고등학교 졸업 후 1943년 저장 대학 화학과에 입학했으나 곧 물리학과로 옮겼다. 1944년 중일 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했고, 1945년 윈난성 쿤밍 시의 시난 연합대학 물리학과에 입학했다. 1946년 장학금을 받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 물리학과 대학원으로 진학, 엔리코 페르미 지도 아래 1950년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0~1951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조교수, 1953년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리 모형'''(Lee model영어)이라는 양자장론 연구를 시작했다.
1956년 양전닝과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 반전성이 깨질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16] 우젠슝(Chien-Shiung Wu영어)이 이를 실험으로 증명했고, 리정다오와 양전닝은 195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31세였던 리정다오는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에 이어 두 번째로 젊은 노벨상 수상자였다. 리정다오와 양전닝은 최초의 중국인 노벨상 수상자이다.
1962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저장 대학과 칭화 대학 특임교수를 지냈다.
2007년 노벨상 수상 50주년 기념식에 스웨덴 왕립 과학원 초청을 받았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리정다오는 1926년 11월 24일 중국 상하이 시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가문은 장쑤성 쑤저우를 본적으로 두고 있었다.[3][4] 아버지 리쥔캉(李駿康)은 난징 대학의 초기 졸업생으로, 화학 비료 분야의 화학공학자이자 상인이었다. 종조부(작은할아버지) 리중탄(李仲覃)은 쑤저우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였다.리정다오는 상하이와 장시성에서 중등 교육을 받았으나, 중일 전쟁으로 인해 학업이 중단되어 고등학교 졸업장을 받지 못했다. 1943년 저장 대학 화학과에 입학했으나 곧 물리학과로 전과했다.[4] 1944년 중일 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1945년 윈난성 쿤밍 시의 시난 연합대학 물리학과에서 우다유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학업을 이어갔다.[4]
1946년 장학금을 받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 물리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엔리코 페르미의 지도 아래 1950년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때 동문은 나중에 노벨상을 공동 수상한 양전닝이었다.
리정다오의 학력은 다음과 같다.
학교 | 학과 | 기간 | 비고 |
---|---|---|---|
장시성 간현 기독교 연합중학교 | 1932년~1943년 | 졸업 | |
저장 대학 | 물리학과 | 1943년~1944년 | 중퇴 |
시난 연합대학 | 물리학과 | 1944년~1945년 | 중퇴 |
시카고 대학교 | 물리학과 (대학원) | 1946년~1950년 | 졸업 (이학 박사) |
2. 2. 학문적 경력
1950년부터 1951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6][4] 1953년 컬럼비아 대학교에 교수로 임용되어, '리 모형'(Lee model영어)으로 알려진 양자장론 연구를 시작했다.[16]1956년 양전닝과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 반전성 대칭성이 깨질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 가설은 우젠슝(Chien-Shiung Wu영어)의 우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7] 1957년 이 공로로 양전닝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는 중국계 과학자 최초의 노벨상 수상이었다.
1960년대 초, 고에너지 중성미자 물리학 분야를 개척했다. 1964년, M. 나우엔버그와 함께 KLN 정리(키노시타-리-나우엔버그 정리)를 발표하여, 정지 질량이 0인 입자와 관련된 발산 문제를 해결했다. 1974년부터 1975년까지 고밀도 핵물리학 분야를 개척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1975년부터 비위상 솔리톤 분야를 확립하고, 솔리톤 항성과 블랙홀 연구를 수행했다. 1983년에는 이산 시간 동역학 변수 관련 연구를 발표했다.
1997년부터 2003년까지 RIKEN-BNL 연구 센터 소장(현 명예 소장)을 역임하며, 격자 QCD 연구를 위한 슈퍼컴퓨터 개발에 기여했다. 최근에는 슈뢰딩거 방정식의 새로운 해법과 중성미자 매핑 매트릭스 연구를 수행했다.
2. 3. 중국과의 관계
1962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였다.[16] 1972년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관계(중미 관계)가 재수립된 이후, 리정다오와 그의 아내 진혜군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여러 차례 방문하여 주은래와 모택동을 만났다.[14] 그는 중국의 과학 교육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활동을 했다.- CUSPEA 조직: 중미 물리학 시험 및 지원 프로그램(China-U.S. Physics Examination and Application, CUSPEA)를 조직하여 중국의 젊은 과학 인재들을 지원했다.
- 춘총 기금 설립: 1998년 3년 전에 사망한 아내를 기리기 위해 춘총 기금(Chun-Tsung Endowment)을 설립했다. 이 기금은 상하이 자오퉁 대학, 푸단 대학, 란저우 대학, 쑤저우 대학, 베이징 대학, 칭화 대학의 6개 대학 2학년 또는 3학년 대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한다. 장학금을 받는 학생들은 "춘총 학자"로 불린다.
- 교수 활동: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저장 대학과 칭화 대학에서 특임교수를 역임했다.
- 1985년 베이징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2. 4. 사망
李政道|리정다오중국어는 2024년 8월 4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9][10][15]3. 수상 및 명예
연도 | 수상 및 명예 |
---|---|
1957년 | 노벨 물리학상,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상 |
1969년, 1977년 | G. Bude Medal, Collège de France |
1979년 | 갈릴레오 갈릴레이 메달 |
1986년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훈장 |
1993년 | Oskar Klein Memorial Lecture and Medal |
1994년 | Science for Peace Prize |
1995년 | China National-International Cooperation Award, 마테우치 메달 |
1997년 | 소행성 3443 3443 릿숭다오로 명명, New York City Science Award |
1999년 | Pope Joannes Paulus Medal, Ministero dell'Interno Medal of the Government of Italy |
2000년 | New York Academy of Science Award |
2007년 | 욱일장 금은성훈장, 일본 |
3. 1. 명예 학위
4. 주요 저서
Particle Physics and Introduction to Field Theory영어, 1981, Harwood Academic Publishers, Newark,[12]
Selected Papers, Vols 13영어, 1986, Birkhauser, Boston; Basel; Stuttgart,
Ed. R. Novick: Thirty Year's Since Parity Nonconservation영어, 1988, Birkhauser, Boston; Basel; Stuttgart,
Symmetries, Asymmetries, and the World of Particles영어, 1988,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Seattle,[13]
Selected Papers, 1985-1996영어, 1998, Gordon and Breach, Amsterdam,
Science and Art영어, 2000, 상하이 과학기술 출판사, 상하이,
The Challenge from Physics영어, 2002, 중국 경제 출판사, 베이징,
Response to the Dispute of Discovery of Parity Violation중국어, 2004, 간쑤 과학기술 출판사, 간쑤성 란저우,
; 기술 보고서
-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보존 법칙"(Conservation Laws in Weak Interactions), 컬럼비아 대학교, 미국 에너지부 (전신 기관인 원자력 위원회를 통해, 1957년 3월).
- "약한 상호작용"(Weak Interactions), 컬럼비아 대학교, 미국 에너지부 (전신 기관인 원자력 위원회를 통해, 1957년 6월).
- (C.N. Yang|양전닝영어과 공저) "소립자와 약한 상호작용"(Elementary Particles and Weak Interactions),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 미국 에너지부 (전신 기관인 원자력 위원회를 통해, 1957년 10월).
- "약한 상호작용의 역사"(History of Weak Interactions), 컬럼비아 대학교, 미국 에너지부 (전신 기관인 원자력 위원회를 통해, 1970년 7월).
- "고에너지 전자기 및 약한 상호작용 과정"(High Energy Electromagnetic and Weak Interaction Processes),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 미국 에너지부 (전신 기관인 원자력 위원회를 통해, 1972년 1월 11일).
참조
[1]
웹사이트
Home | Columbia News
http://news.columbia[...]
2012-04-30
[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57
https://www.nobelpri[...]
The Nobel Foundation
2014-11-01
[3]
웹사이트
Suzhou St. John Church
https://web.archive.[...]
[4]
뉴스
Tsung-Dao Lee, 97, Physicist Who Challenged a Law of Nature, D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08-05
[5]
뉴스
Lee, Robert Chung-tao (C.T.)
https://archive.toda[...]
2016-05-25
[6]
웹사이트
HowStuffWorks "Lee, Tsung Dao"
http://science.howst[...]
2010-07
[7]
웹사이트
This One Award Was The Biggest Injustice In Nobel Prize History
https://www.forbes.c[...]
2019-10-07
[8]
웹사이트
A Letter from America's Physics Nobel Laureates
https://fire.pppl.go[...]
[9]
뉴스
物理学家李政道逝世,享年98岁
https://www.thepaper[...]
The Paper
2024-08-05
[10]
웹사이트
Nobel Prize-winning physicist Tsung-Dao Lee dies at age 97
https://abcnews.go.c[...]
[11]
간행물
MG14, Marcel Grossmann Awards, Rome 2015
https://www.icra.it/[...]
ICRANet and ICRA
2024-04-28
[12]
저널
Review of ''Particle Physics and Introduction to Field Theory'' by T. D. Lee
https://books.google[...]
1981-11-19
[13]
저널
Review of ''Symmetries, Asymmetries, and the World of Physics'' by T. D. Lee
https://books.google[...]
1988-06-30
[14]
웹사이트
毛泽东给李政道和江青当裁判
http://dangshi.peopl[...]
2009-07-29
[15]
웹사이트
諾貝爾物理學獎得主李政道逝世 享年98歲
https://std.stheadli[...]
2024-08-05
[16]
저널
Question of Parity Conservation in Weak Interac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