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민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시민권은 미국 국민의 지위를 의미하며, 시민권과 국적은 1952년 이민 및 국적법에 의해 구분된다. 미국 시민은 미국 국민이지만, 모든 미국 국민이 시민인 것은 아니며, 특히 미국령 사모아 출신은 비시민 미국 국민으로 분류된다. 시민권은 출생, 혈통, 귀화 등을 통해 취득할 수 있으며, 시민은 투표권, 해외 영사 보호, 추방으로부터의 보호 등 다양한 권리를 갖는다. 반면, 배심원 의무, 납세 의무, 징병 등록 등 의무도 존재한다. 이중 국적도 허용되며, 시민권은 포기하거나 박탈될 수도 있다. 시민권 취득 및 관련 정책은 불법 이민자, 투표, 시민권 담당 기관과 관련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민 - 혈통주의
혈통주의는 국적을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계승하는 원칙으로, 국가를 혈연 공동체로 간주하며 부계 우선, 부모 양계, 완전 양계 등 유형이 있고, 무국적자 방지를 위해 출생지주의와 병행되기도 하며, 여성 권리 신장 및 이민 증가에 따라 적용 방식과 제한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시민 - 출생지주의
출생지주의는 출생에 따라 국적을 부여하는 법률로, 봉건 사회의 충성 확보, 현대 사회의 통합을 위해 활용되며, 절대적 출생지주의와 부분적 출생지주의로 구분된다. - 미국으로의 이민 - 1790년 귀화법
1790년 귀화법은 미국의 초기 국적법으로, 미국 시민권 취득 조건을 규정하며 2년 이상 미국 거주, 선량한 성품, 헌법 지지 서약 등을 요구했으나, 여성과 비유럽계 미국인의 시민권 문제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었다. - 미국으로의 이민 - 알라 나지모바
알라 나지모바는 러시아 출신으로 모스크바 예술극단에서 연기를 시작해 브로드웨이에서 성공한 후 할리우드에서 무성영화 스타가 되었으며, 자신의 제작사를 설립하여 혁신적인 영화를 제작하고 파격적인 사생활로도 유명한 배우, 영화 제작자, 각본가이다. - 미국의 법 - 공정 이용
공정 이용은 저작권법의 예외 조항으로,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1976년 미국 저작권법에서 명문화되었고, 대한민국 저작권법은 2011년 개정을 통해 관련 조항을 신설하였다. - 미국의 법 - 미국 연방보안관
미국 연방보안관은 미국 법무부 산하 연방보안관청 소속 법 집행 기관으로, 연방 법원 지원, 영장 집행, 피의자 호송, 도망자 체포, 증인 보호, 범죄 수익 자산 관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미국 시민권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국가 | 미국 |
국적 | 미국 국적 |
법적 근거 | 미국 국적법,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 |
국적 취득 방식 |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에 따라 미국 영토에서 출생 시 시민권 및 여권 부여 |
국적 포기 | 미국 시민권 포기 시 2350달러 수수료 및 기타 절차 필요 |
이중 국적 | 허용됨 |
시민권 | |
시민권 정의 |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귀화한 모든 사람 및 사법 제도에 따르는 사람은 미국과 거주하는 주의 시민 |
시민의 의무 | 세금 납부 법률 준수 |
시민의 권리 | 투표권 공직 출마권 여권 발급 권리 미국 내 자유로운 거주 및 이동 권리 |
시민권 취득 사유 | 출생 귀화 |
시민권 박탈 사유 | 외국 정부에서 근무 외국의 선거에서 투표 반역 행위 |
기타 | |
법률 | 미국 국적법 8 U.S.C. 1401, 8 U.S.C. 1481 |
관련 웹사이트 | 여권 취득 미국 시민권 법적 고려 사항 |
추가 정보 | |
설명 | 미국 시민권은 미국 내에서 태어났거나, 귀화 절차를 거쳐서 얻을 수 있음. 시민은 다양한 권리와 의무를 가지며, 미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함. |
2. 시민권과 국적의 구별
1952년 이민 및 국적법은 미국의 "시민권"(citizenship)과 "국적"(nationality)을 구별했다. 모든 미국 시민(citizen)은 미국 국민(national)이지만 모든 미국 국민이 미국 시민인 것은 아니다.[123] 따라서 미국 국민이지만 미국 시민은 아닌 경우도 있다.
미국 헌법의 시민권 조항(Citizenship Clause영어)에 따라, 미국 영토 내에서 출생한 자녀, 미국 시민인 부모(양쪽 부모가 시민일 필요는 없음)에게서 태어난 자녀, 그리고 귀화 시민(naturalized citizen영어)은 자동적으로 미국의 시민이 된다.[115]
시민권은 미국에서 일하거나, 미국 연방 정부의 행정 및 혜택을 받거나, 국정 선거에서 투표하거나, 배심원으로 법정 심리에 참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법적 지표이다. 미국 법률에서는 외국 국적자가 특정 조건 하에 미국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으며, 영주권 취득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시민권 신청이 가능하다.[116][115] 영주권자라 하더라도 시민권을 취득하지 않은 외국 국적자는 참정권, 배심원, 공무원 임용 등에 제한을 받는다.
시민권은 포기하거나 정부에 의해 박탈될 수 있지만, 회복도 가능하다.
미국 국적법은 이중 국적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지만,[117] 미국 정부는 이중 국적을 인정하고 허용하지만, 정책적으로는 지지하지 않는다.[117]
2. 1. 비시민 국적
1952년 미국 이민국적법은 미국의 "시민권"과 "국민성"을 구분했습니다. 모든 미국 시민은 미국 국민이기도 하지만, 모든 미국 국민이 미국 시민인 것은 아닙니다.[78] 따라서, 미국 국민이지만 미국 시민이 아닌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미합중국 미국 연방 정부는 미국의 무편입 영토가 미국 헌법 제14조 시민권 조항의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제14조 시민권 조항은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들에게 출생 시 미국 시민권을 부여합니다. 따라서 미국 무편입 영토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의회가 해당 영토에 대한 시민권 법률을 제정한 경우에만 출생 시 미국 시민이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출생 시 미국 국민이지만 시민이 아닌 상태가 됩니다.
현재 미국령 사모아는 신생아가 출생과 동시에 비시민 미국 국민이 되는 유일한 비통합 미국 영토입니다. 국제법과 대법원의 판례에 따르면 미국령 소외 열도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미국 국민이지만 시민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지만, 미국 법률에는 이러한 사람들의 국적 상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그리고 이 섬들은 무인도이므로 이 문제는 일상적으로 발생하지 않습니다).[79]

아메리칸사모아에 대한 미국의 정부 입장은 2010년대부터 법정에서 문제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2016년 D.C. 순회 항소 법원의 판결은 아메리칸사모아가 제14조의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정부의 입장을 옹호했으며, 따라서 아메리칸사모아 사람들은 출생 시 국민이지만 시민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80] 2021년 제10순회 항소 법원의 판결도 정부의 입장을 옹호하고 아메리칸사모아 원고들이 출생 시 미국 시민이라는 하급 법원의 판결을 뒤집었습니다.[81][82]
아메리칸사모아에서 태어난 사람들과 달리 푸에르토리코, 괌,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북마리아나 제도(1986년 11월 4일 이후)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의회가 법에 따라 이 지위를 부여했기 때문에 태어날 때 미국 시민권을 갖습니다.
2. 2. 시민과 비시민 국민 간의 법적 구분
1952년 이민 및 국적법은 미국의 "시민권"(citizenship)과 "국적"(nationality)을 구별했다. 모든 미국 시민(citizen)은 미국 국민(national)이지만 모든 미국 국민이 미국 시민인 것은 아니다.[123] 따라서 미국 국민이지만 미국 시민은 아닌 경우도 있다. 현재 미국령 사모아는 출생과 동시에 비시민 미국 국민이 되는 유일한 비통합 미국 영토이다.미국 시민권은 비시민 미국 국적보다 더 많은 특권과 권리를 부여한다.[124] 예를 들어, 비시민 미국 국민은 미국에 제한 없이 거주하고 일할 수 있지만, 연방 또는 주 선거에서 투표할 수 없다. 헌법상 투표를 금지하는 조항은 없다.
비시민 미국 국민은 미국 시민이 되려면 귀화를 신청할 수 있다. 귀화하려면 외국인과 유사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즉, 640USD(2023년 5월 29일 기준)를 지불하고, 우수한 도덕성 평가에 합격하고, 지문을 찍고, 영어 및 시민학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124] 다만, 외국인과 달리 미국 시민이 아닌 국민은 시민권을 신청할 때 미국 영주권을 소지할 필요가 없으며, 비통합 미국 영토에 합법적으로 거주하고 실제로 거주하는 것을 귀화 요건에 미국 본토에 거주하는 것과 동일하게 간주할 수 있다.[125]
미국 시민이 아닌 국민에게 발급된 미국 여권에는 주석 페이지에 "소지자는 미국 국민이며 미국 시민이 아니다"라고 명시하는 보증 코드 9가 포함되어 있다.[126]
3. 시민권 취득 방법
미국 헌법의 시민권 조항(Citizenship Clause영어)에 따라, 미국 영토에서 출생한 자 및 부모 또는 부모 중 한 명 아래에서 태어난 아이와 귀화한 시민(Naturalized citizen영어)은 자동으로 미국 시민이 된다.[115] 시민권은 사람이 미국에서 일하고, 생활하고, 연방 정부의 서비스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권리와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법적 지표이다.
미국법은 외국 국적자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는 것을 허용하며, 시민권을 취득하지 않은 외국인 미국 거주자도 미국 시민권 보유자가 될 수 있다. 시민권은 소지자가 포기할 수도 있고, 정부에 의해 박탈될 수도 있지만 시민권 회복도 가능하다.[124]
미국 정부는 이중 국적을 인정하지만, 미국 국적법은 이중 국적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 귀화 시 미국은 외국 국적 포기를 요구하지 않지만, 이중 국적을 지지하지도 않는다.[117]
미국 시민이 되려는 사람은 영주권자 자격으로 5년(미국 시민과 결혼한 경우 3년) 이상 거주해야 하고, 이민 당국자의 판단에 따라 "선량한 도덕적 성격"(중범죄 전과 없음)과 "정상적인 정신 상태"를 갖추고, 헌법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며, 고령자나 장애인이 아닌 한 영어를 말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58] 또한 시민권 시험에도 합격해야 한다.[58]
2006년, 미국 시민권 및 이민 서비스국은 이전의 퀴즈 시험을 10문항의 구술 시험으로 대체했다. 이 시험은 "몇 마디로 설명할 수 있는 단순한 미국의 역사적 사실을 피하고 자유와 같은 미국 민주주의 원칙에 대한 더 많은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6개 이상 정답을 맞히면 합격이다.[60] 새로운 시험은 이민자들이 "미국의 가치관을 이해하고 공유한다는" 징후를 조사한다.[60]
- 영주권자가 되는 한 가지 방법은 미국 정부에 '''다양성 비자 (DV) 추첨'''을 신청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외국인이 영주권을 얻기 위한 추첨에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61]
- '''군 복무'''는 이민 거주자가 시민권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군대는 미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으로 "계급을 채우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62][63] 시민권의 재정적 및 사회적 혜택은 군 복무와 같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활동에 참여하도록 사람들을 자극할 수 있다. 2009년 미국 군대에는 미국 시민이 아닌 외국 태생의 2만 9천 명이 복무하고 있었다.[64]
- '''조부모 규칙'''(1994년에 추가된 (INA) 322조)은 출생 시 시민이 되지 않은 미국 시민의 자녀가 미국 시민이었던 조부모의 미국 체류 기간을 사용하여 미국 시민권 자격을 얻을 수 있도록 허용한다.[66]

3. 1. 출생에 의한 시민권 (출생지주의)
미국 헌법 수정 제14조에 따라, 미국 영토에서 출생하면 자동으로 미국 시민권과 여권이 부여된다.[115] 전시 중의 적국인은 제외된다. 연령에 따라 투표권을 가질 수 없거나, 음주를 못하는 등 법적으로 몇 가지 혜택이 제한된다.미국 시민권은 일반적으로 미국 영토 내에서 태어난 아동에게 출생 시 취득된다. 출생지주의의 목적상 미국의 영토는 50개의 미국의 주, 워싱턴 D.C., 괌, 푸에르토리코, 북마리아나 제도,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팔미라환초를 포함한다.[41][42][43] 원래 헌법에는 시민권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1868년, 14번째 수정 조항은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귀화한 사람들 중 미국의 관할권에 있는 사람들을 시민으로 명확하게 정의했다.[44][45] 전시 중 적국의 외국인이나 외교관의 자녀를 제외한 미국에서 태어난 모든 아기는 대법원의 14번째 수정 조항에 대한 오랜 해석에 따라 부모의 시민권이나 이민 신분에 관계없이 미국 시민권을 누린다.[46] 수정 조항에는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귀화한 모든 사람은, 그 관할권에 있는 한, 미국의 시민이며, 그들이 거주하는 주의 시민이다."라고 명시되어 있다.[47] 출생 시 "미국의 관할권에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다.[48]
의회의 법률에 따라,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괌, 북마리아나 제도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은 출생으로 미국 시민이 된다.[49] 파나마 운하 지구에서 태어난 사람 중 아버지 또는 어머니(또는 둘 다)가 시민인 경우에도 출생으로 미국 시민이 된다.[50]
출생지에 관계없이, 미국 시민의 자녀는 대부분의 경우 미국 시민이다.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태어난 자녀 중 적어도 한 명의 미국 시민 부모가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부모를 통한 출생지주의를 가진다.
5세 미만의 미국에서 발견된 부모가 알려지지 않은 아동은 22세가 되기 전에 미국에서 태어나지 않았다는 것이 증명될 때까지 미국 시민으로 간주된다.[51]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시민으로 간주되며 미국 여권을 취득할 수 있지만, 18세 미만의 아동은 법적으로 미성년자로 간주되어 투표하거나 공직에 출마하거나 재직할 수 없다. 만 18세 생일이 되면 완전한 시민으로 간주되지만, 공식적인 행사는 없으며 정부와 새 시민 사이에 관계를 인정하는 서신 교환도 없다.
3. 2. 인지에 의한 시민권 (혈통주의)
미국은 시민권 취득에 일부분 속인주의를 겸하고 있다. 부모 중 한 명이 미국에서 출생했거나 귀화한 미국 시민권자이고 해외 영토에서 태어난 자녀는 미국 시민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부모가 귀화자가 아니면서 해외에서 출생한 미국 시민권자이며, 그 자녀 또한 해외에서 출생한 경우에는, 미국인 부 또는 모가 자녀의 출생일 이전까지 '만 14세 이후 2년 포함해서 총 5년' 동안 미국에 거주한 것을 증명해야 미국 시민권을 받을 수 있다. 부모가 미국 거주 기간을 채울 수 없다면 미국인 조부모 또는 부모의 초청을 받거나, 복잡한 시민권 취득 절차를 따로 밟아야 한다.[115]3. 3. 귀화에 의한 시민권
미국 헌법의 시민권 조항(Citizenship Clause영어)에 따라, 미국 영토에서 출생한 자 및 부모 또는 부모 중 한 명 아래에서 태어난 아이와 귀화한 시민(Naturalized citizen영어)은 자동으로 미국 시민이 되어 국가의 구성원이 된다. 시민권은 개인이 미국에서 일하고, 생활하고, 연방 정부의 서비스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권리와 권한을 갖는지 확인하는 법적 지표이다. 미국법은 외국 국적자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시민권을 취득하지 않은 외국인 미국 거주자도 미국 시민권 보유자가 될 수 있다. 시민권은 소지자가 포기할 수도 있고, 정부에 의해 박탈될 수도 있지만 시민권 회복도 가능하다.[124]미국 시민권은 비시민 미국 국적보다 더 많은 특권과 권리를 부여한다.[124] 예를 들어, 비시민 미국 국민은 제한 없이 미국에 거주하고 일할 수 있지만, 이들과 외국 국적자 및 시민은 연방 또는 주 선거에서 투표할 수 없다. 그러나 투표를 금지하는 헌법적 금지 조항은 없다.
미국 정부는 이중 국적을 인정하지만, 미국 국적법은 이중 국적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 귀화 시 미국은 외국 국적 포기를 요구하지 않지만, 이중 국적을 지지하지도 않는다.[117]
- '''군 복무:''' 이민 거주자가 시민권을 획득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군대는 미국 거주 외국인으로 "계급을 채우는" 전통이 있다.[62][63] 시민권의 재정적, 사회적 혜택은 군 복무와 같은 잠재적 위험 활동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욕 타임스''의 2009년 기사에 따르면, 미국 군대는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인력 부족"을 겪는 가운데 "단 6개월 만에" 시민권 획득 기회를 약속하며 "임시 비자로 이 나라에 거주하는 숙련된 이민자"를 모집하고 있었다.[64] 2009년 미국 군대에는 미국 시민이 아닌 외국 태생 2만 9천 명이 복무 중이었다.[64]
- '''조부모 규칙:''' 1994년 추가된 (INA) 322조는 출생 시 시민권을 얻지 못한 미국 시민의 자녀가 미국 시민이었던 조부모의 미국 체류 기간을 이용하여 미국 시민권 자격을 얻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66]
3. 3. 1. 귀화 요건
미국 시민권을 신청하려는 비시민권자는 귀화를 신청할 수 있다. 귀화하려면 외국인과 유사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즉, 2023년 5월 29일 기준 640USD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우수한 도덕성 평가에 합격하고, 지문을 찍고, 영어 및 시민학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124] 그러나 외국인과 달리 미국 시민이 아닌 국민은 시민권을 신청할 때 미국 영주권을 소지할 필요가 없으며, 비통합 미국 영토에 합법적으로 거주하고 실제로 거주하는 것을 귀화 요건에 미국 본토에 거주하는 것과 동일하게 간주할 수 있다.[125]영주권자 등 시민권이 없는 사람이 미국 시민권을 신청하는 경우, 규정된 국내 거주 기간을 충족하고, 중범죄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았으며, 이민국 판단에 따라 정신적으로 건강하다고 판단되고, 미국 헌법에 대한 지식이 있으며, 노인이나 장애인을 제외하고 영어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는 등 몇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3. 3. 2. 귀화 절차
이민 등의 이유로 시민권이 없는 사람이 미국 시민권을 신청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국내 거주 기간을 충족하고, 중범죄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았으며, 미국 헌법에 대한 지식이 있고, 영어를 이해하고 말할 수 있는지 등 몇 가지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노령자나 장애를 가진 사람은 영어 능력 요구 사항에서 제외될 수 있다. 귀화 절차를 담당하는 기관은 미국 시민권 및 이민 서비스국(USCIS)이다.[60]새로운 미국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독립기념일 귀화식'이나 '귀화 선서식'에 참석하여 충성 서약(Oath of Allegiance)을 해야 한다.[118] 이 서약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 미국 헌법에 대한 충성
- 이전에 유지했던 모든 외국에 대한 충성 포기
- 국내외의 적으로부터 미국 헌법을 보호
- 법률이 정한 경우 병역 의무 이행
- 국가 중대 사건 발생 시 법률이 정한 시민으로서의 의무 이행
귀화 과정은 많은 이민자에게 의미 있는 의식으로 여겨진다.[60] 독립기념일 행사에서 선서하는 경우도 많다.[16] 대부분의 귀화식은 미국 시민권 및 이민 서비스국 사무소에서 열리지만, 2008년에는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서 열리기도 했다. 당시 이 장소를 선택한 판사는 "우리나라의 전사들을 기리고 새로운 시민들에게 이 나라를 위대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느끼게 해주기 위해"라고 설명했다.[75]
미국 시민권 및 이민 서비스국(USCIS)은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기관으로,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96] 신청 수수료가 주 수입원인데, 2009년 경제 침체로 신청 건수가 급감하여 서비스 개선에 어려움을 겪었다.[96]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이민 개혁 조치가 통과되면 시민권 신청 처리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추측도 있었다.[96] USCIS는 기록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있으며,[56] 웹사이트에서 신청 처리 시간 추정, 신청 상태 확인, 고객 안내서 접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57]
3. 3. 3. 귀화 선서
새롭게 미국 시민이 되는 이민자는 '독립기념일 귀화 행사'(Fourth of July, Naturalization Ceremony)나 '귀화 선서 행사'(Naturalization Oath Ceremony)라는 선서식에 참석해야 하며, 모든 이민자들은 그 자리에서 '충성 맹세(Oath of Allegiance)'라는 미국에 충성을 맹세하는 선서를 한다.[118]'''충성 맹세(Oath of Allegiance)'''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미국 헌법에 충성 맹세
- 이전 유지하는 모든 외국인의 충절 포기 서약
- 국내외 적으로부터 미국 헌법을 보호할 것을 서약
- 법률이 정한 경우 병역에 종사하겠다는 약속
- 국가의 중대 사건 때 법률이 정한 시민으로서의 의무를 이행하겠다는 약속
4. 시민의 권리와 의무
미국에서는 시민권이 군 복무나 사회 참여를 강제하지는 않지만, 시민과 정부에 대한 몇 가지 약속을 요구한다. 국토안보부는 미국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120]
- '''권리:'''
- 미국 내 거주 및 취업, 출입국의 자유가 있다.[11]
- 투표권: 50개 주와 컬럼비아 특별구의 연방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다.
- 공직 출마 자격이 주어진다.
- 연방 정부 일자리에 지원할 수 있다.[12]
- 해외여행 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추방에 대한 두려움 없이 살아갈 수 있다.
- 미군 자원 입대는 영주권만으로도 가능하며, 시민권은 필요하지 않다. 자원 입대 시 시민권 신청이 더 빨라진다.
- '''의무:'''
- 배심원 의무는 시민권자에게만 주어진다.[13]
- 납세의 의무는 소득이 있는 모든 납세자에게 주어진다.
- 징병: 현재 미국 군대는 자원입대 방식이지만, 미국 남성 시민과 영주권자는 징병제도에 등록해야 한다.[5]
- 기타 의무: 헌법 준수 및 수호, 지역 사회 문제 관심, 민주적 프로세스 참여, 법률 존중 및 준수, 타인의 권리/신념/의견 존중, 전시 국토 방위.
4. 1. 권리
미국 시민권자는 비시민권자나 미국 국민보다 더 많은 특권과 권리를 가진다.[124] 예를 들어, 비시민 미국 국민은 미국에서 제한 없이 거주하고 일할 수 있지만, 외국 국민과 마찬가지로 연방 또는 주 선거에서 투표할 수 없다. 그러나 투표를 금지하는 헌법적 조항은 없다.- '''거주 및 취업의 자유''': 미국 시민은 미국에서 거주하고 일할 권리가 있다.[11] 합법 영주권자와 같은 특정 비시민권자도 유사한 권리를 가지지만, 시민권자와 달리 비시민권자는 그 권리가 박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으면 추방될 수 있다.[11]
- '''미국 출입의 자유''': 미국 시민은 미국을 자유롭게 출입할 권리가 있다. 영주권자와 같은 특정 비시민권자도 이와 유사한 권리를 가진다. 하지만, 영주권자와 달리 미국 시민은 미국에 거주해야 할 의무가 없으며, 얼마든지 미국을 떠났다가 언제든지 자유롭게 돌아올 수 있다.
- '''투표권''': 50개 주와 컬럼비아 특별구의 연방 선거에서는 시민만이 투표할 수 있다. 주 정부는 모든 시민에게 선거권을 부여할 의무는 없다. 예를 들어, 여러 주에서는 유죄 판결을 받은 중범죄자의 투표를 금지하며, 이는 복역을 마친 후에도 마찬가지이다. 미국 헌법은 주 정부가 인종, 피부색, 이전의 노예 상태, 성별, 세금 납부 실패 또는 연령(18세 이상)을 이유로 시민의 투표권을 제한하는 것을 금지한다. 역사적으로 많은 주와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비시민권자의 투표를 허용했지만, 오늘날에는 극소수 지역의 지방 선거로 제한되어 있다. 시민은 투표할 의무가 없다.
- '''공직 출마 자격''': 미국 헌법은 미국 하원 의원은 취임 전 7년, 미국 상원 의원은 9년 이상 시민이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대부분의 주에도 이와 유사한 요건이 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주의회 의원이 취임 시 3년 이상, 주지사는 5년 이상 시민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미국 헌법은 태생 시민이며 14년 동안 미국 거주자여야 미국 대통령 또는 미국 부통령이 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헌법은 자격이 있는 시민이 이러한 직책에 대해 특정 연령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 '''연방 정부 일자리 지원 권리''': 많은 연방 정부 일자리는 지원자가 미국 시민권을 소지해야 한다. 미국 시민은 정부 기관이나 부서에서 연방 정부 일자리에 지원할 수 있다.[12]
- '''해외여행 시 정부 지원''': 해외에서 위기 상황에 처하거나 구금 또는 투옥될 경우, 미국 연방 정부의 보호 및 개입을 요청할 수 있다.[121]
- '''연방 정부의 지원''': 소득 지원을 포함한 시민권자에 대한 정부의 지원 및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 시민권을 취득함으로써 이민자는 추방에 대한 두려움 없이 살아갈 수 있다.
- 미군에 자원 입대하는 것은 영주권만으로도 가능하며, 시민권은 필요하지 않다. 자원 입대한 경우 일반적인 경우보다 시민권 신청이 더 빨리 가능하다.

-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미국 의회가 제정하는 법률에 따라 뛰어난 공적이 인정되는 외국인에게 수여되는 "미국 명예 시민"은 명예 칭호이며, 실제 시민권과 같은 권리나 의무는 따르지 않는다.
4. 2. 의무
배심원의 의무는 시민권자에게만 주어진다. 배심원과 그 요원으로 소송 절차에 참여하는 것은 시민의 의무이다. 연방 및 주 법원은 비시민을 배심원 풀에서 제외하고 있다.[13]
납세의 의무는 시민권 유무에 관계없이 소득이 있는 모든 납세자에게 주어진다. 미국 시민은 국외에서도 납세 의무가 있다.

현재 미국에서 군 복무는 의무 사항이 아니지만, 징병 정책은 미국 역사에서 여러 시대에 걸쳐 시행되었다. 가장 최근에는 베트남 전쟁 중에 시행되었다. 현재 미국 군대는 전문 자원입대 군대이지만, 미국 남성 시민과 미국 남성 비시민 영주권자는 모두 징병제도에 등록해야 하며, 미래의 징병이 있을 경우 소집될 수 있다.[5]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의무가 있다.
- 헌법 준수 및 수호
- 지역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
- 민주적 프로세스 참여
- 연방, 주, 지역 법률의 존중과 준수
- 타인의 권리, 신념, 의견 존중
- 전시에 있어서의 국토 방위
5. 이중 국적
둘 이상의 국가에서 시민으로 인정되는 사람은 ''이중 국적자''이다. 미국 시민이 이중 국적을 가지는 것은 가능하며, 외국 국적의 부모에게서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미국 시민인 부모에게서 다른 나라에서 태어나거나, 부모가 다른 나라의 시민인 경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귀화한 미국 시민은 귀화식에서 다른 국가에 대한 이전의 "충성"을 포기해야 한다.[23]
국무부는 "미국 시민은 외국에서 귀화하더라도 미국 시민권에 대한 위험 없이 귀화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24]
이중 국적의 가장 초기 기록은 프랑스 혁명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영국이 미국 선박을 나포하여 유럽으로 강제로 돌려보냈다. 영국 왕실은 미국인을 출생으로 영국인으로 간주하고 나폴레옹 전쟁에서 싸우도록 강제했다.[25]
특정 상황에서는 여권 소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체류 등 국가와의 "실질적인 연락"을 유지하는 이중 국적자와 그렇지 않은 이중 국적자 사이에 관련된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2008년 영웅 수입 지원 및 구제 세법(HEART)에 따라, 일반적으로 미국 시민은 미국 시민권을 포기할 경우 탈국세가 부과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외가 있다.
- 미국 시민권을 포기할 당시 만 18세 미만이고 미국에서 10년 미만 거주한 경우
- 출생으로 이중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 시민권을 포기할 당시 다른 국적 국가에 거주하고 지난 15년 중 10년 미만을 미국에서 거주한 경우[26]
마찬가지로, 미국은 외국 여권 소지자는 여권을 발급한 국가와 실질적인 연락을 맺고 있다고 간주하며, 이는 보안 자격을 막을 수 있다.
미국 시민은 연방법에 따라 미국에 입국하거나 출국할 때 다른 외국 여권이 아닌 미국 여권으로 신원을 확인해야 한다.[27] ''아프로이임 대 러스크'' 대법원 판결은 미국 시민이 미국 시민권을 포기할 의도가 없다면 외국 선거에 투표하거나 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고 해서 시민권을 상실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이중 국적을 가진 미국 시민은 공식적으로 포기하지 않는 한 미국 시민권을 잃지 않는다.[28]
미국 국적법에서는 이중 국적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 않다.[117] 미국 정부는 이중 국적의 존재를 인정하고 미국인이 다른 국적을 가지는 것을 허용하지만, 정책적으로는 이중 국적을 지지하지 않는다.[117]
6. 시민권 포기
미국 시민은 미국 시민권을 포기할 수 있으며, 이는 미국 거주권과 시민권의 다른 모든 권리와 책임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104] "포기(Relinquishment)"는 미국법 제8편 1481조(a)항에 따른 7가지의 잠재적 국적 상실 행위(시민권 포기 방법)를 모두 포함하는 법률 용어이다. "포기(Renunciation)"는 그러한 행위 중 두 가지, 즉 해외의 미국 외교 또는 영사관 담당관 앞이나, 전시 중 미국 법무장관이 지정한 미국 내 공무원 앞에서 탈퇴 서약을 하는 것을 가리킨다.[105]
국적 포기(Renunciation)에는 국무부 담당관 앞에서 선서가 필요하므로 대사관이나 영사관에 직접 출석해야 한다. 다른 잠재적 국적 상실 행위를 근거로 국적 상실 증명서(CLN)를 신청하는 사람도 직접 면접에 참석해야 한다. 면접에서 국무부 담당관은 해당자가 자발적으로 행동했는지, 미국 시민권의 모든 권리를 포기할 의도가 있었는지, 그리고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이해했는지 평가한다. 국무부는 시민권을 포기하려는 미국인에게 다른 국적이 있기를 강력히 권장하지만, 결과를 이해하는 경우 무국적자가 되는 것을 허용한다.[105] 이 과정에는 2350USD의 행정 수수료가 있다.[108] 시민권을 포기하는 일부 개인에게는 국적 상실세가 부과되지만, 세금 납부는 시민권 포기의 법적 전제 조건이 아니다. 세금과 관련 양식은 시민권 포기 다음 해의 정상적인 세금 납부 기한에 따라야 한다.[109] 국무부 담당관은 면접 대상자로부터 세금 정보를 얻으려고 하지 않으며, 세금 관련 질문은 IRS에 직접 문의하도록 지시한다.[110]
2015년과 2016년에 추산 300만~600만 명의 미국 해외 거주 시민 중 매년 5,000~6,000명이 시민권을 포기했다.[106] 미국 국적법은 미국 시민권을 포기할 의도로 잠재적 국적 상실 행위를 하는 사람을 해당 행위 시점부터 미국 시민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지만, 2004년 이후 미국 세법은 그러한 개인을 국무부에 통보하고 국적 상실 증명서(CLN)를 신청할 때까지 미국 시민으로 간주한다.[107]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려면 2350USD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필요한 절차를 밟아야 한다. 해외에 있는 경우에는 현지 미국 대사관에 출두해야 한다. 시민권 포기자는 취득 희망자에 비해 압도적으로 적어 2019년에는 2,072명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는 미국 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등의 요인으로 상반기에만 5,800명을 넘었다.[119]
7. 시민권 박탈
특정 상황에서는 시민권이 박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귀화자가 중요한 증거를 숨기거나, 고의로 거짓말을 하거나, 반국가 활동에 가담한 것으로 밝혀지면 귀화가 취소될 수 있다.[111]
미국 시민은 외국에서 공직을 맡는다고 해서 미국 시민권을 잃지 않는다.[112] 그러나 시민이 외국 정부에서 맡은 직책이 높고 역할이 중요할수록 미국 시민권의 영사권 행사는 더욱 제한된다. "외국 국가원수/정부 수반 또는 외무장관으로 재직하는 것은 이중 국적자가 누릴 수 있는 미국 관할권 면제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2]
1922년 9월 22일부터 1940년 국적법이 통과될 때까지, 미국 시민권을 가진 여성은 단순히 외국인 또는 시민권을 얻을 자격이 없는 특정 외국인과 결혼하면 시민권을 잃을 수 있었다.[113][114]
시민권은 소지자가 포기할 수도 있다. 또한 정부에 의해 박탈될 경우 시민권은 소멸하지만, 시민권 회복도 가능하다.
8. 미국의 시민권 관련 역사
미국 시민권 역사는 시민의 권리와 참여 범위가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초기에는 민주적 의사 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남성 중심의 관계에서 시작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법적 권리와 특권을 가진 관계로 변화하였다. 시민권은 점차 확대되어 백인 남성뿐만 아니라 흑인 남성과 여성에게도 부여되었다.
미국 시민권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 주요 판례:
-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대 웡 킴 아크''' 판결: 14차 수정헌법에 따라 미국에서 태어난 중국계인은 시민으로 인정.[36][37]
- '''오자와 대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판결: 일본 출신 미국 거주자는 귀화 불가.[36][37]
-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대 바가트 싱 타인드''' 판결: 인도인 귀화 불가.[36][37]
- 관련 법률:
- 1906년 법: 당시 귀화 자격을 백인과 아프리카계 출신으로 제한.[36][37]
- 1934년 평등 국적법: 미국 시민권자 어머니와 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의 시민권 취득 조건을 규정.[38]
- 1940년 국적법: 1934년 평등 국적법을 수정, 보완.[38][40]
8. 1. 시민권 개념의 발전
시민권은 식민지 시대에 지방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적으로 일하고 뉴잉글랜드 마을 회의와 같이 민주적 의사 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남성들 사이의 적극적인 관계로 시작되었다. 남성들은 정기적으로 만나 지역 문제를 논의하고 결정을 내렸다. 1835년 알렉시 드 토크빌은 시민의 공공 업무 참여가 민주주의를 "튼튼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고 보았기에, 이러한 마을 회의는 "미국 민주주의의 가장 초기 형태"[29][30]로 묘사되었다. 국가 역사 동안 다양한 세력이 이러한 관계를 변화시켰다. 시민권은 정치 참여에 의해 덜 정의되고 수반되는 권리와 특권을 가진 법적 관계로 더 많이 정의되었다. 공적 영역에서의 시민 참여 영역이 축소되었지만,[31][32][33] 시민권은 부유한 백인 성인 남성뿐만 아니라 흑인 남성[34]과 성인 여성[35]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대법원은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대 웡 킴 아크'' 사건에서 14차 수정헌법의 시민권 조항에 따라 미국에서 ''태어난'' 중국계 사람은 시민이 된다고 확인했다.[36][37] 이는 귀화 시민권과 다릅니다. 1922년 대법원은 ''오자와 대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사건에서 일본에서 태어났지만 20년 동안 미국에 거주한 일본인은 당시 법률에 따라 귀화할 수 없다고 판결했고, 1923년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대 바가트 싱 타인드'' 사건에서 인도인은 귀화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오자와'' 판결에서 "1790년부터 1906년까지 모든 귀화법에서 귀화 특권은 백인(1870년 아프리카 출신 및 혈통의 사람들이 추가됨)으로 제한되었습니다"라고 언급했는데, 당시 문제가 된 가장 최근 법안은 1906년 법이었다.
1934년 평등 국적법은 미국 시민권을 가진 어머니와 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외국 태생 자녀 중 18세 미만으로 미국 영토에 입국하여 5년 동안 미국에 거주한 자녀가 처음으로 미국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38] 또한 미국 여성의 외국인 남편의 귀화 절차를 더 빠르게 만들었다.[38] 이 법은 여성과 남성 간의 국외 추방, 이민, 귀화 및 본국 송환 규칙을 동등하게 했다.[38][39] 그러나 이 법은 소급 적용되지 않았고, 1940년 국적법과 같은 후속 법률에 의해 수정되었다.[38][40]
8. 2. 주요 판례
-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대 웡 킴 아크''' 판결에서 대법원은 14차 수정헌법의 시민권 조항에 따라 미국에서 태어난 중국계 사람은 시민이 된다고 판결했다.[36][37]
- 1922년 '''오자와 대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판결에서 대법원은 일본에서 태어났지만 20년 동안 미국에 거주한 일본인은 당시 법률에 따라 귀화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 1923년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대 바가트 싱 타인드''' 판결에서 대법원은 인도인은 귀화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오자와'' 판결에서는 "1790년부터 1906년까지 모든 귀화법에서 귀화 특권은 백인(1870년 아프리카 출신 및 혈통의 사람들이 추가됨)으로 제한되었습니다"라고 언급했다.
8. 3. 관련 법률 제정
대법원은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대 웡 킴 아크'' 사건에서 14차 수정헌법의 시민권 조항에 따라 미국에서 태어난 중국계 사람은 시민이 된다고 확인했다.[36][37] 이는 귀화 시민권과는 다르다. 1922년 대법원은 ''오자와 대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사건에서 일본에서 태어났지만 20년 동안 미국에 거주한 일본인은 당시 법률에 따라 귀화할 수 없다고 판결했고, 1923년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대 바가트 싱 타인드'' 사건에서는 인도인은 귀화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오자와'' 판결에서는 "1790년부터 1906년까지 모든 귀화법에서 귀화 특권은 백인(1870년 아프리카 출신 및 혈통의 사람들이 추가됨)으로 제한되었습니다"라고 언급했는데, 당시 문제가 된 가장 최근 법안은 1906년 법이었다.
1934년 평등 국적법은 미국 시민권을 가진 어머니와 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외국 태생 자녀 중 18세 미만으로 미국 영토에 입국하여 5년 동안 미국에 거주한 자녀가 처음으로 미국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38] 이 법은 또한 미국 여성의 외국인 남편의 귀화 절차를 더 빠르게 만들었다.[38] 이 법은 여성과 남성 간의 국외 추방, 이민, 귀화 및 본국 송환 규칙을 동등하게 했다.[38][39] 그러나 이 법은 소급 적용되지 않았고, 1940년 국적법과 같은 후속 법률에 의해 수정되었다.[38][40]
9. 미국의 시민권 관련 논란
이민정책연구소(Migration Policy Institute)의 선임 연구원에 따르면, "시민권은 매우, 매우 귀중한 자산"이다.[74] 그러나 시민권을 취득할 자격이 있지만 신청하지 않는 합법 체류자들은 저소득, 영어 구사 능력 부족, 낮은 교육 수준 등의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9]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미국 시민권 취득자 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기간 | 시민권 취득자 수 (연간) |
---|---|
1920년 ~ 1940년 | 약 20만 명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급증 |
1980년대 | 약 20만 명 수준으로 감소 |
1990년대 중반 ~ 2009년 | 약 50만 명 (1996년에는 100만 명 이상) |
귀화 수수료는 지속적으로 인상되어, 1989년 60달러에서 2014년에는 640달러까지 올랐다. 이러한 높은 수수료는 시민권 취득에 장벽을 만든다는 비판을 받았다.[60] 2009년에는 경기 침체와 귀화 비용 증가로 인해 시민권 신청 이민자 수가 급감하기도 했다.[74]
미국 인구조사에서 시민권 상태에 대한 질문 포함 여부는 미국 상원에서 논의될 정도로 정치적 논란이 되기도 했다.[58][91] 이는 주의 선거권 및 예산 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91]
9. 1. 불법 이민자와 시민권
미국 시민권 취득은 특히 불법 이민자 문제와 관련하여 미국 정치에서 매우 논란이 많은 문제이다. 2008년 대통령 선거 후보였던 루디 줄리아니는 불법 이민 문제에 대해 "중도적인 입장"을 취하려 했지만, 존 매케인과 같은 경쟁자들은 불법 이민자들이 시민권을 신청하려면 먼저 미국을 떠나야 한다는 법안을 지지했다.[89] 투표 등록 시 시민권 증명을 요구하는 일부 조치들도 논란을 불러일으켰다.[90]일반적으로 미국에 불법적으로 거주하는 수백만 명의 사람들은 시민권 자격이 거부되지만, 때때로 사면이 있었다. 2006년 미국 전역에서 불법 이민자들에게 미국 시민권을 요구하는 수십만 명의 대규모 시위가 있었다.[98] 많은 사람들이 "우리에게도 꿈이 있다"는 현수막을 들고 있었다.[98] 2006년 미국에는 1,200만 명의 불법 이민자가 있었다는 추산이 있다.[98] 2008년에는 6만 5,000명의 불법 이민자 학생이 있었던 것으로 추산되었다.[99] 1982년 미국 대법원 판결인 ''플라이러 대 도우''는 불법 이민자들에게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무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음을 인정했다.[99][100][101] 체포된 무증빙 이민자들은 추방 심문 결과에 이의를 제기할 헌법상의 권리가 없기 때문에 법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다.[102]
9. 2. 시민권과 투표
미국에서 시민 참여(시민 참여)는 의무 사항이 아니다. 정례 회합에 참석하거나, 정당에 가입하거나, 선거에 투표할 의무는 없다. 그러나 귀화의 이점 중 하나는 "국가의 시민 생활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다.[19] 시민이 된다는 것은 정치에 매우 중요하며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20] 정치에 대한 대중의 무관심이 도움이 되는지, 해로운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밴더빌트 교수 다나 D. 넬슨은 대부분의 미국인들이 4년마다 대통령 선거에만 투표하며, 이러한 패턴을 비민주적인 것으로 본다고 주장한다. 넬슨은 저서 ''Bad for Democracy''에서 정치에 대한 시민 참여 감소가 민주주의의 장기적인 전망에 해롭다고 주장한다.
반면 로버트 D. 카플란은 ''The Atlantic''에서 비관여의 이점을 언급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의 무관심이 평온하고 건강한 정치적 분위기를 만든다"고 썼다.[21] 카플란은 "무관심은 종종 정치적 상황이 무시해도 될 만큼 건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더 많은 유권자, 특히 정치에 대한 열정을 가진 교육 수준이 낮고 소외된 유권자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21] 그는 시민 참여 자체가 항상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라며, "상대적으로 부패, 계약 위반, 재산 몰수 및 관료적 비효율성으로부터 안전"했기 때문에 번영한 싱가포르와 같은 권위주의 사회를 예로 들었다.[22]
미국 시민권 취득은 특히 불법 이민자 문제와 관련하여 미국 정치에서 매우 논란이 많은 문제이다. 2008년 대통령 선거 후보였던 루디 줄리아니(Rudy Giuliani)는 불법 이민 문제에 대해 "중도적인 입장"을 취하려 했지만, 존 매케인(John McCain)과 같은 경쟁자들은 불법 이민자들이 시민권을 신청하려면 먼저 미국을 떠나야 한다는 법안을 지지했다.[89] 투표 등록 시 시민권 증명을 요구하는 일부 조치들도 논란을 일으켰다.[90]
시민권이 정치적 문제에 영향을 미칠 때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미국 인구조사 질문에 현재 시민권 상태에 대한 질문을 포함할지 여부는 미국 상원에서 논의되었다.[58][91] 인구조사 데이터는 주의 선거권에 영향을 미치며 예산 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91] 비시민권자를 인구조사에 포함하면 의회 의석 재분배가 인구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비시민권자 포함이 미국 헌법에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비시민권자가 많은 주에 정치적 권력이 집중된다.[92]
새로 시민권을 얻은 사람들이 어떻게 투표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추측을 바탕으로 논란이 있었다. 많은 국가 출신 이민자들이 시민권을 얻으면 미국 민주당에 투표할 것이라고 추정되어 왔기 때문에, 민주당 행정부는 선거 전에 시민권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여 투표율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반면 미국 공화당은 절차를 늦추려는 압력을 행사했다.[93] 1997년에는 "잘못 시민권을 얻었다"고 여겨지는 5,000명의 새로 승인된 이민자들의 시민권을 박탈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이를 위한 법적 노력은 엄청난 어려움을 제기했다.[93] 이민귀화국(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Service)의 조사에 따르면, 1995년 9월부터 1996년 9월까지 시민권을 부여받은 110만 명 중 4,946건의 사례에서 형사 체포가 신청자를 자격 없게 했어야 하거나 신청자가 자신의 형사 기록에 대해 거짓말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93] 2008년 선거를 앞두고 USCIS의 신청 처리 속도에 대한 논란이 있었고, 한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기관은 새로 처리된 시민들이 2008년 11월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93만 건의 신청을 마칠 것이라고 제안했다.[94] 외국 출생 귀화 시민들은 원주민과 거의 같은 비율로 투표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뉴저지주의 2008년 선거에서 외국 출생 인구는 주 전체 인구 8,754,560명 중 20.1%를 차지했고, 이 중 63만 6,000명이 18세 이상으로 투표할 자격이 있었으며, 투표할 자격이 있는 유권자 중 39만 6,000명이 실제로 투표했는데, 이는 약 62%였다.[95] 따라서 외국 출생 시민들은 원주민 시민(67%)과 거의 같은 비율(62%)로 투표한다.[95]
9. 3. 시민권 담당 기관 관련 논란
새로운 시민의 입국을 담당하는 기관은 미국 시민권 및 이민 서비스국(USCIS)이다.[60] 이 기관은 미국 국토안보부의 산하기관으로,[96] 신청 수수료를 주 수입원으로 운영된다. 2009년 경제 침체로 신청 건수가 줄어 서비스 개선에 어려움을 겪었다.[96]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이민 개혁 조치가 통과되면 시민권 신청 처리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96] USCIS는 기록 디지털화, 신청 처리 시간 추정, 신청 상태 확인, 고객 안내서 접근 등의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며,[56][57] 접수 순서대로 업무를 처리한다.[57]미국 시민권 취득은 특히 불법 이민자 문제와 관련하여 정치적으로 논란이 많다. 2008년 대선 후보들은 불법 이민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보였고,[89] 투표 등록 시 시민권 증명을 요구하는 조치도 논란이 되었다.[90] 미국 인구조사에서 시민권 상태 질문 포함 여부도 미국 상원에서 논의되었는데,[58][91] 이는 선거권 및 예산 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91] 비시민권자를 인구조사에 포함하는 문제는 비시민권자가 많은 주에 정치적 권력을 집중시킨다는 논란을 야기한다.[92]
새 시민권 취득자의 투표 성향에 대한 추측도 논란거리이다. 민주당은 이민자들의 지지를 받는 경향이 있어 시민권 신청 절차 간소화를 추진했고, 공화당은 이에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다.[93] 1997년에는 부정하게 시민권을 얻은 이민자들의 시민권을 박탈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법적 어려움에 직면했다.[93] 이민귀화국 조사에 따르면, 1995년 9월부터 1996년 9월까지 시민권을 받은 사람 중 일부는 범죄 기록 때문에 자격이 없었음에도 시민권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93] 2008년 선거를 앞두고 USCIS의 신청 처리 속도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94]
미국 시민권 및 이민 서비스국(USCIS)은 "악명 높게 불친절하고 무관심한 관료주의"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처리 지연 문제도 지적되었다.[96] 복잡한 규제 환경,[97] 기술적 문제로 인한 시민권 신청자 추방 사례,[97] 과로한 심사관들의 거부 편향[97]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2000년과 2007년에는 상당수의 귀화 신청이 거부되었다.[97]
불법 거주자에게는 시민권 자격이 없지만, 사면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2006년에는 불법 이민자들의 시민권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있었고,[98] 1982년 미국 대법원 판결은 불법 이민자 자녀에게도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무료 교육을 받을 권리를 인정했다.[99][100][101] 무증빙 이민자들은 추방 심문 결과에 이의를 제기할 헌법적 권리가 없어 어려움을 겪는다.[102] 불법 이민자 단속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는데,[103] 이는 사법 제도에 과도한 부담을 주고 수감률을 높이지만 문제 해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103]
참조
[1]
웹사이트
Get a passport
https://travel.state[...]
Travel.state.gov
2011-04-01
[2]
웹사이트
Hooven & Allison Co. v. Evatt, 324 U.S. 652 (1945)
https://supreme.just[...]
[3]
백과사전
United States
[4]
웹사이트
Top 10 Reasons to become a United States citizen
https://www.us-immig[...]
American Immigration Center
2018-01-30
[5]
뉴스
'Downsizing Democracy: How America Sidelined Its Citizens and Privatized Its Public' (book) by Matthew A. Crenson and Benjamin Ginsberg
http://www.independe[...]
Independent Institute
2004-07-01
[6]
웹사이트
United States Citizenship
https://www.uscis.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7]
기타
[8]
법규
The term 'naturalization' means the conferring of nationality of a state upon a person after birth, by any means whatsoever
[9]
법규
[10]
웹사이트
Legal Considerations
https://travel.state[...]
Travel.state.gov
[11]
웹사이트
Citizenship Through Naturalization
http://www.uscis.gov[...]
United States C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
[12]
웹사이트
English: The Citizen's Almanac – Pub. M-76 (rev. 09/2014) – United States C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 – Fundamental Documents, Symbols, and Anthems of the United States
https://commons.wiki[...]
2014-09-01
[13]
서적
Beyond Citizenship : American Identity After Globalization: American Identity After Globaliz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31
[14]
뉴스
New Law Makes Escape Tougher For Tax Exiles
https://www.wsj.com/[...]
2008-05-28
[15]
법규
[16]
뉴스
Surge Seen in Applications for Citizenship
https://www.nytimes.[...]
2007-07-05
[17]
뉴스
'Outstanding American by Choice Award' Announced by the United States Citizenship
https://www.reuters.[...]
2009-04-27
[18]
뉴스
Olympics; Marathon Runner's United States Citizenship Is on the Line
https://www.nytimes.[...]
2000-03-03
[19]
뉴스
Citizenship and Civic Engagement
http://www.migration[...]
mpI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09-11-20
[20]
서적
American Politics: Playing the Game
Houghton Mifflin Company
[21]
잡지
Was Democracy Just a Moment?
https://www.theatlan[...]
1997-12-01
[22]
잡지
Was Democracy Just a Moment?
https://www.theatlan[...]
1997-12-01
[23]
웹사이트
Title 8 of Code of Federal Regulations (8 CFR) \ 8 CFR Part 1337- Oath of allegiance \ § 1337.1 Oath of allegiance.
http://www.uscis.gov[...]
U.S. Code of Federal Regulations
[24]
웹사이트
Dual Nationality
https://travel.state[...]
[25]
학술지
At Home in Two Countries: The Past and Future of Dual Citizenship
http://ejas.revues.o[...]
2017-01-01
[26]
뉴스
Cut United States tax ties
http://www.advisor.c[...]
Rogers Media
2011-12-19
[27]
웹사이트
US State Department Services Dual Nationality
https://travel.state[...]
[28]
뉴스
United States Mexicans Gain Dual Citizenship
https://www.nytimes.[...]
2003-03-20
[29]
잡지
Who Cares About Iowa?
http://www.newsweek.[...]
2010-03-03
[30]
뉴스
Democracy at Century's End (speech)
http://speeches.byu.[...]
Brigham Young University
1996-10-29
[31]
뉴스
Jersey; An Exercise In Community
https://query.nytime[...]
2005-11-20
[32]
뉴스
Hey, Young Americans, Here's a Text for You
https://www.washingt[...]
2007-11-25
[33]
뉴스
Books: The End of America
https://www.washingt[...]
2007-09-27
[34]
기타
[35]
기타
[36]
논문
Defining "American": Birthright Citizenship and the Original Understanding of the 14th Amendment
http://www.gibsondun[...]
2012-03-27
[37]
뉴스
Trump wants to end birthright citizenship. A judge he appointed says he can't.
https://www.washingt[...]
2018-10-30
[38]
서적
The Specter of Sex: Gendered Foundations of Racial Formation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9-08-06
[39]
서적
New Frontiers of Democracy: The Story of America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American Education Press, Incorporated
[40]
서적
Generations: Rethinking Age and Citizenship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15-02-16
[41]
법률
[42]
법률
[43]
웹사이트
3222 Citizenship by Birth
http://dss.sd.gov/fo[...]
State of South Dakota
2003-04-01
[44]
웹사이트
The Real Origins of Birthright Citizenship
https://www.theatlan[...]
2018-10-31
[45]
뉴스
As Trump strikes at birthright citizenship, Americans – and Indians – look up 14th Amendment
https://timesofindia[...]
2018-10-31
[46]
뉴스
Romney Eyeing End to Birthright Citizenship
http://blogs.abcnews[...]
2007-07-22
[47]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mendments 11–27
http://archives.gov/[...]
[48]
웹사이트
[49]
법률
[50]
법률
[51]
웹사이트
8 U.S. Code § 1401 – Nationals and citizens of United States at birth
https://www.law.corn[...]
[52]
뉴스
Bringing Up Citizens
https://www.nytimes.[...]
1996-10-27
[53]
뉴스
Metro Dateline; American Citizenship Restored to Kahane Published
https://www.nytimes.[...]
1987-02-21
[54]
웹사이트
Article 1 - The Legislative Branch : Section 8 - Powers of Congress
https://usconstituti[...]
[55]
웹사이트
Citizenship and Nationality
https://travel.sta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56]
뉴스
CSC Receives US$27 Million Task Order From United States Citizenship and Immigration ...
https://www.reuters.[...]
2009-05-26
[57]
웹사이트
USCIS Processing Time Information
https://egov.uscis.g[...]
United States government — United States C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
2009-11-20
[58]
뉴스
Senate blocks census US-citizenship question
http://www.nj.com/ne[...]
NJ.com
2009-11-05
[59]
뉴스
Study guide for United States citizenship test omits freedom of press
https://www.usatoday[...]
2006-05-16
[60]
뉴스
United States to unveil new citizenship test
http://www.csmonitor[...]
2006-11-17
[61]
웹사이트
DV Lottery
https://www.dvprogra[...]
[62]
뉴스
National Affairs: Passport to Citizenship
http://www.time.com/[...]
1951-04-02
[63]
뉴스
United States military may recruit foreigners to serve
http://www.csmonitor[...]
2006-12-26
[64]
뉴스
United States Military Will Offer Path to Citizenship
https://www.nytimes.[...]
2009-02-14
[65]
잡지
Dual citizenship
https://www.usnews.c[...]
2005-11-30
[66]
뉴스
Citizenship via Grandparents
https://www.wsj.com/[...]
2007-10-16
[67]
웹사이트
Chapter 5 – Child Residing Outside of the United States (INA 322)
https://www.uscis.go[...]
UCSIS
[68]
웹사이트
Instructions for Application for Citizenship and Issuance of Certicate Under Section 322 (Form N-600K Instructions)
https://www.uscis.go[...]
UCSIS
2017-07-13
[69]
뉴스
Number of Immigrants Who Became United States Citizens: Fiscal Year 1920 to 2008
http://www.migration[...]
mpI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09-11-20
[70]
뉴스
The United States Citizenship Test: Learning, And Earning, Their Stripes
https://www.washingt[...]
1996-11-17
[71]
뉴스
Immigrant Families and Workers — Trends in Naturalization (pdf)
http://www.migration[...]
Urban Institute — Immigration Studies Program
2009-11-20
[72]
뉴스
Citizenship Fee Increases In Context Figure 1. Naturalization Applications Processed and Pending at USCIS, FY 1985 to 2005.
http://www.migration[...]
mpI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09-11-20
[73]
뉴스
Agency Plans to Double United States Citizenship Fee
https://www.nytimes.[...]
2009-11-19
[74]
뉴스
Number of Immigrants Applying for United States Citizenship Is Down 62%, Study Finds
https://www.washingt[...]
2009-11-19
[75]
뉴스
Judge Offers Lesson In United States Citizenship
https://www.washingt[...]
2009-11-19
[76]
뉴스
Citizenship For Immigrant Soldiers
https://www.cbsnews.[...]
2009-11-19
[77]
뉴스
Virgin America to DOT: Dismiss citizenship challenge
https://www.usatoday[...]
2009-11-19
[78]
법률
8 U.S. Code § 1101(a)(22)
[79]
웹사이트
8 FAM 302.1 Historical Background to Acquisition by Birth in United States Territories and Possessions
https://fam.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0-06-09
[80]
법률
Tuaua v. United States
https://casetext.com[...]
[81]
법률
Fitisemanu v. United States
https://law.justia.c[...]
2021-06-15
[82]
뉴스
American Samoans Are Not Born Into US Citizenship
https://www.courthou[...]
2021-09-13
[83]
웹사이트
Covenant
https://cnmilaw.org/[...]
[84]
웹사이트
8 FAM 308.3 Non-Citizen U.S. Nationality in The Commonwealth of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https://fam.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0-06-09
[85]
웹사이트
Should American Samoans be citizens?
http://www.cnn.com/2[...]
CNN
2015-03-07
[86]
웹사이트
8 FAM 308.9 Acquisition by Birth Abroad to Non-Citizen United States National Parent(s)
https://fam.state.go[...]
Foreign Affairs Manual,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87]
웹사이트
Title 8: Aliens and Nationality - PART 325: NATIONALS BUT NOT CITIZENS OF THE UNITED STATES; RESIDENCE WITHIN OUTLYING POSSESSIONS
https://www.ecfr.gov[...]
2023-01-25
[88]
웹사이트
8 FAM 505.2 Passport Endorsements
https://fam.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8-07-18
[89]
뉴스
Giuliani Sidesteps Whether Illegals Should Get Citizenship Without First Leaving United States
http://blogs.abcnews[...]
2009-11-19
[90]
뉴스
Voter ID Battle Shifts to Proof of Citizenship
https://www.nytimes.[...]
2009-11-19
[91]
뉴스
Eye Opener: Citizenship and the Census
http://voices.washin[...]
2009-11-19
[92]
뉴스
Census Nonsense
https://www.latimes.[...]
2010-05-29
[93]
뉴스
United States Is Seeking To Strip 5,000 Of Citizenship
https://www.nytimes.[...]
2009-11-19
[94]
뉴스
Goal Set for Reducing Backlog on Citizenship Applications
https://www.nytimes.[...]
2009-11-19
[95]
뉴스
Role of Foreign-born Voters in Election
http://www.migration[...]
mpI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09-11-20
[96]
뉴스
A Commitment to Citizenship
https://www.nytimes.[...]
2009-11-19
[97]
뉴스
Perfectly Legal Immigrants, Until They Applied for Citizenship
https://www.nytimes.[...]
2009-11-19
[98]
뉴스
Immigrants, backers demand citizenship
https://www.usatoday[...]
2009-11-19
[99]
뉴스
Should Colleges Enroll Illegal Immigrants?
https://www.usnews.c[...]
2009-11-19
[100]
웹사이트
Trump Challenges Birthright Citizenship
https://www.factchec[...]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2018-11-01
[101]
뉴스
Trump again raises much-debated but rarely tested question of birthright citizenship
https://www.washingt[...]
2020-08-18
[102]
뉴스
Mukasey Limits Ineffective Assistance Challenge for Aliens
https://blogs.wsj.co[...]
2009-12-16
[103]
뉴스
A Death in Texas — Profits, poverty, and immigration converge
http://bostonreview.[...]
2009-12-16
[104]
웹사이트
Foreign Affairs Manual
Department of State
2017-06-17
[105]
웹사이트
Foreign Affairs Manual
Department of State
2017-06-15
[106]
논문
Considering 'Citizenship Taxation': In Defense of FATCA
https://dc.law.utah.[...]
2017
[107]
학회
FATCA in Canada: The 'Cure' for a United States Place of Birth
http://moodysgartner[...]
2018-04-16
[108]
논문
Citizenship Overreach
https://repository.l[...]
2017
[109]
논문
The Exit Tax: A Move in the Right Direction
http://scholarship.l[...]
2018-04-16
[110]
서적
Foreign Affairs Manual
Department of State
2017-06-15
[111]
웹사이트
[USC02] 8 USC 1451: Revocation of naturalization
https://uscode.house[...]
United States Code
[112]
웹사이트
Advice About Possible Loss of U.S. Nationality and Seeking Public Office in a Foreign State
https://travel.state[...]
2019-03-12
[113]
웹사이트
54 Stat. 1137 1936-1941
http://library.uwb.e[...]
2019-08-30
[114]
웹사이트
[USC02] 8 USC 1435: Former citizens regaining citizenship
https://uscode.house[...]
United States Code
[115]
법률
§ 1101. Definitions
http://www.law.corne[...]
[116]
웹사이트
アメリカ市民権の申請・取得の流れと方法
https://www.us-light[...]
2023-09-03
[117]
웹사이트
二重国籍
https://jp.usembassy[...]
在日米国大使館
2019-04-15
[118]
웹사이트
Naturalization Oath Ceremony
http://www.immihelp.[...]
[119]
뉴스
米国籍放棄の数、記録的な水準に 1-6月5800人超
https://www.cnn.co.j[...]
CNN
2020-08-11
[120]
웹사이트
Citizenship Rights and Responsibilities
https://www.uscis.go[...]
[121]
웹사이트
Citizenship and Civic Engagement
http://www.migration[...]
[122]
뉴스
Downsizing Democracy: How America Sidelined Its Citizens and Privatized Its Public (book) by Matthew A. Crenson and Benjamin Ginsberg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Institute
2009-12-16
[123]
판례
8 U.S. Code § 1101(a)(22)
https://casetext.com[...]
2015
[124]
뉴스
Should American Samoans be citizens?
http://www.cnn.com/2[...]
2015-03-07
[125]
웹사이트
Title 8: Aliens and Nationality - PART 325: NATIONALS BUT NOT CITIZENS OF THE UNITED STATES; RESIDENCE WITHIN OUTLYING POSSESSIONS
https://www.ecfr.gov[...]
2023-01-25
[126]
웹사이트
8 FAM 505.2 Passport Endorsements
https://fam.state.go[...]
2018-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